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된 노예협약 개정 의정서
Protocol amending the Slavery Convention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채택일 1953. 10. 23.
/ 발효일 1953. 12. 7.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된 「노예협약」 개정 의정서
Protocol amending the Slavery Convention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1953년 10월 23일 자 총회 결의 제794(VIII)호로 승인
Approved by General Assembly resolution 794 (VIII) of 23 October 1953
발효: 제3조에 따라 1953년 12월 7일
Entry into force: 7 December 1953, in accordance with article III
이 의정서의 당사국은,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Protocol,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된 「노예협약」(이하 「협약」)에 따라 국제연맹이 일정한 의무와 기능을 부여받았음을 고려하고,
Considering that under the Slavery Convention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hereinafter called "the Convention") the League of Nations was invested with certain duties and functions, and
이 의무와 기능이 국제연합에 의해 계속되는 것이 합당하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Considering that it is expedient that these duties and functions should be continued by the United Nations,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Have agreed as follows:
제1조
Article I
이 의정서의 당사국은 이 의정서의 규정에 따라 이 의정서의 부속서에 규정된 「협약」 개정에 완전한 법적 효력과 효과를 부여하고 적정하게 적용할 것을 약속한다.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Protocol undertake that as between themselves they will,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rotocol, attribute full legal force and effect to and duly apply the amendments to the Convention set forth in the annex to the Protocol.
제2조
Article II
1. 사무총장이 이 목적을 위하여 통보한 「협약」 당사국은 어느 국가든지 이 의정서에 대한 서명 또는 수락을 할 수 있다.
1. The present Protocol shall be open for signature or acceptance by any of the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to which the Secretary-General has communicated for this purpose a copy of the Protocol.
2. 국가는 다음의 방법으로 이 의정서의 당사국이 될 수 있다.
2. States may become Parties to the present Protocol by:
(가) 수락에 관한 유보 없는 서명
(a) Signature without reservation as to acceptance;
(나) 수락에 관한 유보 조건부 서명 후 수락
(b) Signature with reservation as to acceptance, followed by acceptance;
(다) 수락
(c) Acceptance.
3. 수락은 공식 문서를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기탁함으로써 발효된다.
3. Acceptance shall be effected by the deposit of a formal instrument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제3조
Article III
1. 이 의정서는 두 국가가 당사국이 되는 날 발효하며 그 이후에는 각 국가가 이 의정서의 당사국이 된 날 그 국가에 대해 발효한다.
1. The present Protocol shall come into force on the date on which two States shall have become Parties thereto, and shall thereafter come into force in respect of each State upon the date on which it becomes a Party to the Protocol.
2. 이 의정서 부속서에 규정된 개정은 23개국이 이 의정서의 당사국이 될 때 발효하며, 이에 따라 「협약」의 당사국이 된 모든 국가는 이 개정이 발효한 후에 개정된 「협약」의 당사국이 된다.
2. The amendments set forth in the annex to the present Protocol shall come into force when twenty- three States shall have become Parties to the Protocol, and consequently any State becoming a Party to the Convention, after the amendments thereto have come into force, shall become a Party to the Convention as so amended.
제4조
Article IV
「국제연합헌장」 제102조 제1항과 총회에서 채택한 관련 규정에 따라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이 의정서와 이 의정서에 의한 「협약」 개정을 각각의 발효일에 등록하고 등록 이후 가능한 한 조속히 이 의정서와 「협약」 개정문을 공표할 권한을 부여받는다.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of Article 102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regulations pursuant thereto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is authorized to effect registration of the present Protocol and of the amendments made in the Convention by the Protocol on the respective dates of their entry into force and to publish the Protocol and the amended text of the Convention as soon as possible after registration.
제5조
Article V
이 의정서는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및 스페인어본이 동등하게 정본이며 국제연합 사무국 문서보관소에 기탁된다. 부속서에 따라 개정된 「협약」의 본문은 영어와 프랑스어본만이 정본으로, 이 부속서의 영어 및 프랑스어본은 마찬가지로 정본이며, 중국어, 러시아어 및 스페인어본은 번역본이다. 사무총장은 「협약」의 당사국과 국제연합의 모든 다른 회원국에 통보하기 위해 부속서를 포함한 이 의정서의 인증등본을 준비한다. 사무총장은 마찬가지로 제3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개정이 발효하는 대로 국제연합 회원이 아닌 국가를 포함하여 국가들에 통보하기 위해 개정된 「협약」의 인증등본을 준비한다.
The present Protocol, of which the Chinese, English, French, Russian and Spanish texts are equally authentic, shall be deposited in the archives of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The texts of the Convention to be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 annex being authentic in the English and French languages only, the English and French texts of the annex shall be equally authentic, and the Chinese, Russian and Spanish texts shall be translations. The Secretary-General shall prepare certified copies of the Protocol, including the annex, for communication to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as well as to all other States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He shall likewise prepare for communication to States including States not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upon the entry into force of the amendments as provided in article III, certified copies of the Convention as so amended.
이상의 증거로, 아래 서명한 전권대표는 각자의 정부로부터 정당하게 권한을 위임받아 각자의 서명 맞은편에 적힌 날짜에 이 의정서에 서명하였다.
In witness whereof the undersigned, being duly authorized thereto by their respective Governments, signed the present Protocol on the date appearing opposite their respective signatures.
1953년 12월 7일 국제연합 뉴욕 본부에서 작성되었다.
Done at the Headquarters of the United Nations, New York, this seventh day of December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fifty-three.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된 「노예협약」 개정 의정서의 부속서
Annex to the Protocol amending the Slavery Convention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제7조의 "국제연맹 사무총장"을 "국제연합 사무총장"으로 대체한다.
In article 7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shall be substituted for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제8조의 "상설국제사법재판소"를 "국제사법재판소"로 대체하며 "상설국제사법재판소 관련 1920년 12월 16일자 의정서"를 "국제사법재판소 규정"으로 대체한다.
In article 8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shall be substituted for the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and "th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shall be substituted for "the Protocol of December 16th, 1920, relating to the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제10조 첫 번째 항과 두 번째 항의 "국제연맹"을 "국제연합"으로 대체한다.
In the first and second paragraphs of article 10 "the United Nations" shall be substituted for "the League of Nations".
제11조의 마지막 세 항을 삭제하고 다음 문장으로 대체한다.
The last three paragraphs of article 11 shall be deleted and the following substituted:
"이 협약은 국제연합 회원국이 아닌 국가를 포함하여 국제연합 사무총장이 이 협약의 인증등본을 통보한 모든 국가가 가입할 수 있다."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be open to accession by all States, including States which are not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to whic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shall have communicated a certified copy of the Convention.
"가입은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공식 문서를 기탁함으로써 발효하며,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협약의 모든 당사국과 이 조에서 고려하는 모든 국가에 이를 통고하여 각각의 가입 문서가 기탁된 날짜를 통지한다."
"Accession shall be effected by the deposit of a formal instrument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who shall give notice thereof to all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and to all other States contemplated in the present article, informing them of the date on which each such instrument of accession was received in deposit."
제12조의 "국제연맹"을 "국제연합"으로 대체한다.
In article 12 "the United Nations" shall be substituted for "the League of Nations".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