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UPR 실무그룹 보고서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 배포일 2017. 12. 27.
서론
Introduction
1. 유엔 인권이사회 결의 5/1에 따라 설립된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 실무 그룹은 2017년 11월 6일부터 11월 17일까지 제28차 회기를 진행하였다. 대한민국에 대한 심의는 2017년 11월 9일 제8차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대표단의 수석대표는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맡았다. 2017년 11월 14일 개최된 제14차 회의에서 실무그룹은 대한민국에 대한 보고서를 채택하였다.
1.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held its twenty-eighth session from 6 to 17 November 2017.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held at the 8th meeting, on 9 November 2017.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headed by Minister of Justice, Mr. Sangki Park. At its 14th meeting, held on 14 November 2017, the Working Group adopted the report on the Republic of Korea.
2. 2017년 2월 13일 유엔 인권이사회는 대한민국에 대한 원활한 심의를 위해 몽골, 헝가리, 콩고민주공화국을 간사국(Troika)으로 선정하였다.
2. On 13 February 2017, the Human Rights Council selected the following group of rapporteurs (troika) to facilitate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ongo, Hungary and Mongolia.
3. 인권이사회 결의 5/1에 따른 부속서 15번째 문단 및 결의 16/21에 따른 부속서 5번째 문단에 따라 대한민국의 심의를 위하여 다음의 문서들이 발부되었다.
3.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of the annex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and paragraph 5 of the annex to Council resolution 16/21, the following documents were issued for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a) 15번째 단락 (a)항에 따라 제출된 서면 국가보고서(A/HRC/WG.6/28/KOR/1);
(a) A national report submitted/written presentation mad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a) (A/HRC/WG.6/28/KOR/1);
(b) 15번째 단락 (b)항에 따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서(OHCHR)가 작성한 유엔 권고사항 요약보고 (A/HRC/WG.6/28/KOR/2);
(b) A compilation prepared by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b) (A/HRC/WG.6/28/KOR/2);
(c) 15번째 단락 (c)항에 따라 준비된 이해관계자 보고서 요약본(A/HRC/WG.6/28/KOR/3).
(c) A summary prepared by OHCHR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c) (A/HRC/WG.6/28/KOR/3).
4. 브라질, 독일, 노르웨이,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영국이 간사국을 통해 대한민국에 제출한 사전 질의서는 UPR 엑스트라넷(extranet)에 게재되어 있다.
4. A list of questions prepared in advance by Brazil, Germany, Norway, Portugal, Slovenia, Spain,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was transmitted to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troika. These questions are available on the extranet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 심의과정 진행 개요
I. Summary of the proceedings of the review process
A. 수검국 발표
A. Presentation by the State under review
5. 대한민국 정부대표단은 UPR이 국제 인권 보호·증진에 기여했다고 진술했다.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인권 보호·증진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새 정부는 인권 보호를 국정과제에 포함시켰으며, 시민사회와의 효과적인 협력을 통해 인권정책을 진전시키는 것을 추진 중에 있다.
5. The delegation stated that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had contributed to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around the world. The Republic of Korea ha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The new Government had mad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ne of the cornerstones of its State policy. The Government had been working to advance further human rights policy through effective cooperation with civil society.
6. 대표단은 국가보고서 준비과정에서 관련 정부부처와의 협력 및 조율과정을 거쳤다. 정부는 또한 국가보고서 초안에 대한 시민사회대표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국가인권위원회, 시민사회단체를 초청해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6. The delegation reported that the national report had been prepared based on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of various ministries and State bodies. The Government had also sought the opinion of civil society representatives on the draft national report. In that respect, a public hearing had been organiz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7. 대표단은 제2차 UPR 심의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받은 권고를 이행하기 위하여 이행한 조치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2차 UPR에서 받은 권고사항은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에 반영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정부부처, 국가인권위원회, 시민사회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권고 이행에 관한 중간보고서를 제출하였다.
7. The delegation reported on a number of measures taken by the Government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from the second universal periodic review. The recommendations had been reflected in the secon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The Government voluntarily submitted a midterm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ommendations, which had been prepared based on consultation with various ministrie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8. 대표단은 UPR심의를 비롯한 국제 인권 메커니즘을 통해 받은 권고의 국내 이행과 그 점검을 위한 체계, 즉 국가보고 및 후속조치 메커니즘(NMRF)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은 협의를 통해 수립 중에 있다. 정부는 NAP 수립 절차에서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권정책자문단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는 조치를 이행하고 있다.
8. The delegation informed the Human Rights Council about the plans of the Government to strengthen the existing national mechanism for reporting and follow-up for the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of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 including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The Government had been work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through a consultation process. The Government had been taking measures to strengthen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Human Rights Policy Advisory Panel, which had included civil society representatives, so as to foste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civil society in the drafting process of the new action plan.
9. 대표단은 국가인권위원회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하여 2016년 관련법을 개정하여 인권위원 선출 절차를 개선하고 인권위원의 직무 수행에 대한 면책 규정을 마련하는 등의 다양한 방안을 도입하였다.
9. The delegation reported on the measures taken to strengthe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including by amending the relevant law in 2016 to improve the selection of human rights commissioners and ensure immunity of commissioners in performing their official duties.
10. 정부는 2008년 인권위원회의 특별절차 권한 보유자들에 대한 상시초청을 허용하였고, 이후 거의 매년 특별보고관의 국가방문을 수용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강제실종실무그룹의 정례회기를 서울에서 개최하도록 지원하였다.
10. The Government extended a standing invitation to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of the Human Rights Council in 2008, and had received country visits of the special rapporteurs almost every year. The Government had invited the Working Group on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s to hold its regular session in Seoul in 2017.
11. 2017년 대한민국 정부는 아동권리협약 제21조(a) 아동 입양에 관한 조항에 대한 유보를 철회하였다. 정부는 미가입 국제인권조약의 비준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1. In 2017, the authorities had withdrawn the reservation to article 21 (a)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lated to the issue of adoption. The Government had been studying the possibility of ratifying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o which it had not yet acceded.
12. 병역의무 이행을 거부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에 대한 권고와 관련하여 대표단은 역내 안보상황 및 병역의 형평성에 관한 국민적 합의를 고려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위한 대체복무제 도입을 내용으로 하는 「병역법」 개정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이와 관련해 광범위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12. Regarding the recommendations on conscientious objectors who refused to perform military service, the delegation stated that it was important to consider the security considerations in the region and public consensus on the equity of military service. The Government has been planning to undertake a cautious review of the amendment to the Military Service Act, introducing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and to hold a wide consultation on the matter.
13. 집회의 자유에 관해 정부는 집회 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인권 보호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보장했다. 2017년 경찰 업무에 있어 인권 중심 접근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경찰개혁위원회가 출범하였다. 경찰개혁위원회는 일반적인 시위 현장에서 경찰의 살수차 및 차벽 사용을 금지할 것을 권고하였다. 경찰의 물대포를 맞고 사망한 농민 백남기 씨 사건과 관련하여 대표단은 조사 후 책임자 4명을 기소했다고 보고했다.
13. Regarding freedom of assembly, the Government had taken measures to ensure that every police officer assigned to monitor demonstrations underwent human rights training. In 2017, a committee on police reform had been established to ensure a greater human rights-based approach in the work of the police. For example, the committee had recommended excluding the use of water cannons and bus barricades by police in demonstrations. Regarding the case of Baek Nam-gi, who had died as a result of the use of water cannon by the police during a demonstration, the delegation reported that four persons had been prosecuted for the dea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vestigation.
14. 대표단은 정부가 재정부족 및 기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의 실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정부는 빈곤을 퇴치하고 모든 사람에게 기본적인 생활수준을 보장할 수 있도록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아동, 장애인, 미취업 청년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수당 또는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4. The authorities had been working to improve the realiz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despite existing financial and other difficulties. The Government had been building a social safety system to eradicate poverty and to ensure that everyone enjoyed basic standards of living. Some vulnerable groups, like children, persons with disability and unemployed young adults, had been provided with benefits or essential services.
15. 정부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으며, 공공부문이 이 같은 노력에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민간부문의 비정규직 남용 방지 및 처우개선, 하청계약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추진 중에 있다.
15. The Government had developed guidelines to change the status of non-regular employment to regular employment. The public sector had been taking a lead in that process. Some measures had been envisaged to prevent an overuse of non-regular employment, to improve the treatment of people in non-regular employment and to provide subcontracted employees with better employment conditions in the private sector.
16. 정부는 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로 인한 성별임금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육아휴직제도 확대, 재택근무 환경 구축, 유연근무제 도입 사업주지원 등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였다.
16. The Government had strengthened its policy on achieving work-family balance, including by expanding parental leave entitlements, creating an environment conducive to telecommuting and supporting employers who had adopted a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to address the issue of gender pay gap caused by the interruption of women’s careers.
17. 대표단은 현재 초·중학교까지 적용되는 무상 의무교육을 2022년까지 고등학교에도 확대 시행할 수 있도록 교육제도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학생들의 재정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대학등록금 인상률 상한제, 국가장학금 확대, 저금리 학자금 대출 등의 방안을 도입하였다.
17. While compulsor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had been free of charge, the Government had been reforming the education system to ensure free compulsory high school education by 2022. The Government had placed an upper limit on the increase of college tuition fees, expanded the national scholarship programme and maintained low interest rates for student loans to ease their financial burden.
18. 정부의 주거 정책에는 서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다. 정부는 취약계층의 주거지원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공급 및 주거비 지원을 확대하였다. 정부는 또한 보편적 의료보장을 위해 공공의료기관을 확충하고 지역사회 중심의 의료체계를 강화하였다.
18. The State housing policy had included measure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s of working families. The Government had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housing and public housing benefits to provide support to persons from vulnerable groups. It had also expanded the coverage of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ed a community-based health-care system to guarantee access to health care for all.
19. 정부는 2015년 양성평등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성별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고 여성의 권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정부는 첫 내각 여성장관 비율 30% 목표를 달성하였다.
19. The Government had developed a plan on gender equality in 2015, which prohibited gender-based discrimination and was aimed at advancing the rights of women. It had adopted measures to ensure that women represented over 30 per cent of the ministerial positions in the new cabinet.
20. 2015년 정부는 아동권 증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우리나라의 아동정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이행계획을 담고 있다. 아동학대사건 및 아동학대 가해자의 처벌에 대한 특례법을 제정하였다. 사법절차에서의 아동 보호를 위하여 법률지원 및 구금에 대한 대안절차를 확대하였다. 국가인권위원회에 아동청소년인권팀과 아동권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아동권리협약의 이행에 관한 독립적 모니터링을 강화하였다.
20. In 2015, the Government had developed a plan to promote the rights of the child. It had outlined the main objectives of the State policy on children and included a specific implementation plan. A special law had been adopted to address and punish perpetrators of child abuse. The Government had improved the protection of children in the judicial processes by providing legal aid and expanding alternative services to juvenile incarceratio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had established a division for children and juveniles and the Child Rights Committee to strengthen independent monitor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21. 정부는 외국인의 차별 없는 권리 보호와 사회통합을 위하여 제3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왔다.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조합 설립을 허가하였으며, 노인을 위한 국가 주도적 지원 및 돌봄 서비스를 추진하였다. 정부는 노인학대로부터 노인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기초연금수급액을 점진적으로 상향 지급하기 위해 관련법 및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21. The Government had been developing its third basic plan for immigration policy aimed at protecting the rights and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ers without discrimination. The Government had approved the registration of a trade union of migrant workers and had put forward State-led support and care for the older persons. It had been working to improve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to effectively protect older persons against abuse and to progressively increase basic pension benefits.
22. 대표단은 정부가 국제개발원조를 확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고 국제개발협력사업에서 인권을 고려하도록 보장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22. The Government had been working to increase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to make sure that programmes supported under that assistance take into account human rights issues.
B. 상호 대화 및 수검국 답변
B. Interactive dialogue and responses by the State under review
23. 총 95개 대표단이 상호 대화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상호 대화에서 나온 권고사항은 이 보고서의 섹션2에 수록되어 있다.
23.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 95 delegations made statements. Recommendations made during the dialogue are to be found in section II of the present report.
24. 독일은 대한민국이 인권 강화를 위해 도입한 몇몇 긍정적인 조치들에 주목하였다. 독일은 사형제 완전 폐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4. Germany no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announced several positive steps to strengthen human rights. It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ful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25. 가나는 표현의 자유, 언론의 독립성, 차별 금지를 강화하는 대한민국의 노력을 칭찬하였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 의정서 비준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환영하였다.
25. Ghana laud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inforce freedom of expression, independence of the media and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It welcomed ongoing research on possible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26. 그리스는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강화, 차별 금지, 직업을 가질 권리, 사회보장권, 교육권, 건강권 강화를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에 주목하였다.
26. Greece no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prohibit discrimination and to reinforce the rights to work, social security, education and health.
27. 과테말라는 대한민국의 국가보고서 제출에 감사를 표했고 이에 대하여 권고했다.
27. Guatemala thanked the delegation for the presentation of the national report and made recommendations.
28. 온두라스는 이번, UPR에서 제시된 권고사항을 이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였다. 온두라스는 고용 부문에서의 이주민에 대한 차별을 지적하였다.
28. Honduras urged the Government to incorporate recommendations from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n the next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It noted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in employment.
29. 인도는 2016년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을 환영하였고,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가 동일한 근로조건의 적용을 받도록 보장하려는 정부의 노력에 주목하였다.
29. India welcomed the 2016 amendments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It no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nsure equal condition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ment contract holders.
30. 인도네시아는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을 칭찬하였고, 「형법」 개정안의 인신매매죄 신설 조항에 주목하였다.
30. Indonesia commended the Government on the amendments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It also noted amendments made to the Criminal Code to include human trafficking as an offence.
31. 이란은 아동권 보호 및 아동권리협약 이행여부 감독 업무를 맡은 아동청소년인권팀 설립에 주목하였다.
31.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noted the establishment of a divis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charge of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32. 이라크는 인종차별 및 외국인 혐오를 금지하는 법의 채택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성과에 주목하였다.
32. Iraq noted the adoption of a law on combating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nd the progress made under the National Health Initiative.
33. 아일랜드는 성소수자에 대한 지속적 차별과 사형제 폐지를 위한 국회의 노력이 답보상태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33. Ireland noted tha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continued to face discrimination and that the efforts of parliament to pass legislation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had stalled.
34. 아르헨티나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아동청소년인권팀을 신설한 것에 주목하였다.
34. Argentina noted the establishment of a divis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35. 이탈리아는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의 수립 과정에서의 시민 사회 참여, 성폭력 및 가정폭력의 방지 성과에 주목하였다.
35. Italy noted the development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with the involvement of civil society, and the progress made in preventing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36. 일본은 정부 활동을 비판하는 사람을 형법상 명예훼손죄로 처벌하는 점에 우려하였고, 정부의 성폭력 및 가정폭력 방지 노력을 칭찬하였다.
36. Japan noted concerns about the use of criminal defamation laws to prosecute persons criticizing government actions and about the harsh sentences handed down in such cases. It noted concerns regarding peaceful assembly and protest. It commended the Government on its efforts to prevent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37. 카자흐스탄은 성평등 및 장애인 권리 증진과 성폭력 및 가정폭력 근절 노력에 주목하였다.
37. Kazakhstan no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further promote gender equality and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combat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38. 키르키즈스탄은 제2차 UPR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정부가 이룬 성과에 주목하였다.
38. Kyrgyzstan noted the achievements attained in the follow up to the second universal periodic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39. 라오스는 여성 및 아동의 권리, 건강권과 교육권, 표현의 자유 증진 등의 성과에 주목하였다.
39.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noted progress made in promoting the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to health and education and to freedom of expression.
40. 리비아는 제2차 UPR 권고 이행성과를 환영하였다.
40. Libya welcomed the progress made in implementing the recommendations of the second universal period review.
41. 리히텐슈타인은 대한민국이 1997년 이후 사형제에 대해 실질적 모라토리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형이 선고되고 있다는 사실을 우려했다.
41. Liechtenstein noted that, despite a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since 1997, persons remained sentenced to death.
42. 말레이시아는 노동, 사회보장, 건강, 교육, 여성의 권리, 아동, 소수자 권리 보호 부문의 성과를 환영하였고, 노인의 권리 증진을 위한 계획 수립을 칭찬하였다.
42. Malaysia welcomed the progress made in the areas of labour, social security, health, education, women’s rights, child rights and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minorities. It commended the Government on the initiatives to promote the rights of older persons.
43. 몰디브는 대한민국의 아동권 증진·보호 노력과 기초연금제도의 도입, 노인 보호 대책에 의하여 고무되었다.
43. Maldives was encouraged by the Government’s efforts in promoting and protecting child rights and by the introduction of a basic pension scheme and measures to protect older persons.
44. 멕시코는 기초연금제도,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방안 도입, 성평등을 위한 법 개정, 공공부문에서의 성 주류화 정책 등의 성과에 주목하였다.
44. Mexico noted the progress in the basic pension scheme, measures to combat racial discrimination, legislative reforms for gender equality and the mainstreaming of a gender policy in public affairs.
45. 몽골은 장애아동의 교육권 및 이주민의 권리 보호, 성평등 증진에 대한 정부의 노력에 주목하였다.
45. Mongolia noted the Government’s efforts in protecting the right to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rights of migrants, and in promoting gender equality.
46. 몬테네그로는 대한민국 정부에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하고 모든 환경에서 아동의 체벌을 금지할 것을 장려하였다.
46. Montenegro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adopt comprehensive anti- discrimination legislation and to prohibit corporal punishment of children in all settings.
47. 미얀마는 1997년 이후 사형집행이 일어나지 않은 점에 주목하였고, 사형제 폐지에 있어 사회적 논의와 국민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47. Myanmar noted that capital punishment had not been used since 1997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scussions and public consultations when considering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48. 나미비아는 이전 UPR 권고에 대한 이행조치와 자발적인 중간보고서 제출을 칭찬하였다.
48. Namibia commended the Government on the various measures taken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previous review and the submission of the voluntary midterm report.
49. 네팔은 대한민국 정부에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도입과, 사형제 폐지를 목표로 공식적 모라토리엄 선언을 고려할 것을 장려하였다.
49. Nepal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launch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and to consider declaring an official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with an aim of abolishing the practice.
50. 네덜란드는 집회의 자유 보장 및 경찰관 대상 인권교육 실시 등에 관한 조치를 환영하였으며, 인권옹호자의 권리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보안법」을 남용하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50. The Netherlands welcomed measures to ensure freedom of assembly and to provide human rights training to police officers.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not misusing the National Security Act to restrict human rights defenders’ rights.
51. 에콰도르는 개발 정책에 있어 인권에 기반한 접근법을 취한 것에 주목하였으며, 가정폭력 방지 및 빈곤 감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강조하였다.
51. Ecuador noted the human rights approach in development policies. It highligh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and to reduce poverty.
52. 노르웨이는 대한민국이 실질적 사형 폐지국이 된 것에 주목하였으나, 한부모 가정의 상황 개선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혼모에 대한 차별이 남아있다는 점에 우려하였다.
52. Norway noted the de facto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t remained concerned about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mothers despite improvements in the situat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53. 파나마는 보편적 의무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칭찬하였고, 빈곤 감소와 여성, 아동, 장애인의 권리 증진에 대한 정부의 노력을 강조하였다.
53. Panama praised efforts to ensure universal compulsory education. It highligh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duce poverty, promote the rights of women, children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54. 페루는 차별 및 가정폭력 금지를 위한 조치 등을 포함해 이전 UPR 권고 이행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인정하였다.
54. Peru acknowledg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from the previous review, including measures taken to combat discrimination and domestic violence.
55. 필리핀은 아동청소년인권팀의 설립과 이주노동자의 동등한 처우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에 주목하면서, 이주민의 권리 보호를 위한 법 제정을 장려하였다.
55. The Philippines noted the establishment of the Child Support Agency and measures to ensure the equal treatment of migrant workers.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enact legislation to further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s.
56. 포르투갈은 대한민국이 실질적 사형 폐지국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56. Portugal noted the de facto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57. 카타르는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수립에 주목하며,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제공을 칭찬하였다.
57. Qatar noted the development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It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provision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 developing countries.
58. 몰도바공화국은 인권위원 선출의 투명성 보장을 위한 2016년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에 주목하였다.
58. The Republic of Moldova noted the 2016 amendment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to ensure transparency in the selection of Commissioners.
59. 러시아는 법무부에 국적과 난민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가 설치된 것을 환영하였으나, 대중매체에서 외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 점에 우려하였다.
59. The Russian Federation welcomed the establishment of a unit on citizenship and refugees at the Ministry of Justice, but noted with concern negative rhetoric in the media addressed to foreigners.
60. 르완다는 대한민국에게 「양성평등기본법」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 노력할 것을 장려하였다.
60. Rwanda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implement effectively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61.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동권리협약의 이행을 위한 독립 기구의 설치를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에 아동청소년인권팀을 신설한 것을 칭찬하였다.
61. Saudi Arabia commended the Governmen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with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ensure the independent monitoring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62. 세네갈은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수립과,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강화를 위한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 마련을 축하하였다.
62. Senegal congratulated the Government on the development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and the amendment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to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 institution.
63. 세르비아는 정신질환자 조기 발견을 위한 제도 확대 노력을 지속할 것을 장려하였고, 여성의 권리 증진 및 성폭력 근절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주목하였다.
63. Serbia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continue its efforts to expand the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mental illness. It no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omote the rights of women and combat sexual violence.
64. 시에라리온은 사회통합 및 문화교류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이주민, 외국인, 다문화가정에 대한 외국인혐오 발언에 대처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강화할 것을 장려하였다.
64. Sierra Leone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cultural exchanges and strengthen mechanisms to prevent and address reports of xenophobic discourse against migrants, foreign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65. 싱가포르는 성평등 달성 및 노인지원에 대한 정부의 노력에 주목하였다.
65. Singapore noted the Government’s initiatives to attain gender equality and to provide support to older persons.
66. 슬로베니아는 성별임금격차를 포함한 노동시장에서의 구조적인 성차별을 근절하기 위하여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취할 것을 장려하였다.
66. Slovenia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take practical and comprehensive measures to eliminate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labour market, including the gender pay gap.
67. 스페인은 「양성평등기본법」 및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 등을 통한 정부의 차별 금지 노력을 환영하였다.
67. Spain welcomed measures taken to combat discrimination, particularly the adoption of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and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Act.
68. 스리랑카는 다양한 정책에 인권을 반영하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에 주목하면서, 국제사회에서 인권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다.
68. Sri Lanka not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incorporate human rights in various policies. It recognized the active rol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romoting human rights and democratic values globally.
69. 팔레스타인은 인종차별 및 외국인혐오를 근절하기 위한 정부에 노력에 주목하면서, 특히 고용 부문에서 성평등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칭찬하였다.
69. The State of Palestine noted the efforts to address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nd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its efforts to ensure gender equality, especially in employment.
70. 수단은 대한민국의 국제인권협약 가입, 4개 인권협약에 근거한 개인진정절차의 수용, 특별절차 상시초청 허용 등에 주목하였다.
70. The Sudan noted the accession by the Republic of Korea to many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its acceptance of individual complaints procedures under four human rights treaties and its issuance of a standing invitation to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71. 스웨덴은 인권의무 이행에 관한 대한민국의 지속적인 노력을 인정하면서, 이러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을 장려하였다.
71. Sweden acknowledged the continued work of the Government to fulfil its human rights obligations and encouraged it to continue its efforts.
72. 스위스는 제2차 UPR 이후 사형제 폐지를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는 점에 유감을 표하고, 많은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구금되어 있다는 점을 우려하였다.
72. Switzerland welcomed the de facto moratorium, but noted with regret that no measures had been taken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since the second review. It expressed concern at the large number of conscientious objectors in detention.
73. 태국은 노인 보호 개선과 장애아동을 위한 통합교육 증진에 관해 정부가 취한 조치를 칭찬하였고, 인신매매죄의 범위를 확대하는 「형법」 개정안을 환영하였다.
73. Thailand praised the steps taken to improve the protection of older persons and to promote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elcomed the amendment to the Criminal Act to expand the scope of crimes of human trafficking.
74. 동티모르는 고용 부문에서 여성의 권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가정 양립을 위해 정부가 취한 조치에 주목하였다.
74. Timor-Leste noted the measures taken to reconcile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as a way to improve the rights of women in employment.
75. 토고는 대한민국이 1997년 이후 사형집행을 하지 않은 실질적 사형 폐지국이라는 점을 만족스럽게 평가하였으며, 사형제 전면 폐지를 위하여 결단력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장려하였다.
75. Togo noted with satisfaction the de facto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since 1997 and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take the decisive step to abolish it fully.
76. 튀니지는 이전 UPR 권고의 이행 및 인권의 종합적 강화를 위하여 정부가 취한 조치에 대해 칭찬하였다.
76. Tunisia praised the steps undertaken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previous review and to strengthen human rights in a comprehensive manner.
77. 터키는 대한민국이 인권 증진에 관하여 의미 있는 성취를 이룬 것을 칭찬하였다.
77. Turkey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significant achievements in promoting human rights.
78. 우간다는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이행을 촉구하였으며,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 인권침해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였다.
78. Uganda urged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It noted the growing challenge of racism and xenophobia and human rights abuses faced by migrant workers.
79. 영국은 사형제 폐지에 관한 진전을 이루고, 대한민국의 법제가 평화적 집회와 성소수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장려하였다.
79. The United Kingdom encouraged further progress towards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further efforts so that legislation could ensure peaceful assemblies and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ople.
80. 미국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과, 많은 수의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영 중인 것과, 보호의 범위를 성소수자에게까지 확대하는 차별금지법이 없다는 점을 우려하였다.
8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mained concerned by legislation limit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large number of conscientious objectors serving jail terms and a lack of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extending protection to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81. 우루과이는 공공부문의 성 주류화를 위한 노력에 주목하였으며, 성평등과 여성권익 신장을 위하여 노력을 배가할 것과,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과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을 장려하였다.
81. Uruguay noted measures on gender mainstreaming in public affairs.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redouble efforts to ensure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and to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82. 우즈베키스탄은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성공적 이행, 인권이사회 특별절차 권한 보유자들과의 협력, ILO 협약 비준 노력에 주목하였다.
82. Uzbekistan note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the cooperation with the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and efforts to ratif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conventions.
83. 베네수엘라는 빈곤 퇴치, 사회안전망 및 장애인 연금 확충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칭찬하였다.
83. The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commended the Government on its initiatives to combat poverty and ensure a social security network and pension pla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84. 베트남은 이주노동자 및 여성, 아동,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권리 보호와, 이들에 대한 차별 철폐에 관한 성과에 주목하였다.
84. Viet Nam noted the achievements made in protecting the rights of and combating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 workers and vulnerable groups, including women, children, older person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85. 예멘은 인권위원 선출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과 「국제개발협력기본법」에 주목하였다.
85. Yemen noted the revised law o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guaranteeing transparency of the selection of its members, and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86. 잠비아는 대한민국이 인권이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형사사법절차에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피의자의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한 것을 칭찬했다.
86. Zambia applaud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work of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legal guarantees of lawyers of suspects in criminal process.
87. 아프가니스탄은 대한민국이 인권이사회 특별절차에 협력하고 생명권 보호를 위해 노력한 것을 칭찬했으며,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의 비준을 위해 노력할 것을 장려하였다.
87. Afghanistan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its cooperation with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and its efforts to protect the right to life.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take further steps to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88. 알바니아는 차별금지를 위한 법적 기틀을 공고히 한 것을 칭찬하였고, 노동기본권의 보호를 보장할 것을 장려하였다.
88. Albania praised the solid legal framework on anti-discrimination and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ensure fundamental labour rights.
89. 알제리는 차별 철폐, 성평등 원칙의 정책적 반영, 인종차별 및 외국인혐오 근절을 위한 정부의 조치를 환영하며, 공적개발원조의 규모 확대를 촉구하였다.
89. Algeria welcomed the Government’s measures to combat discrimination, integrate gender equality into policies and combat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It called for it to extend ODA.
90. 앙골라는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의 완전한 이행을 칭찬하였고 향후 수립되는 제3차 NAP를 환영하였다.
90. Angola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its full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and welcomed the forthcoming third plan.
91. 이스라엘은 시민적, 정치적 권리의 실현에 있어 정부가 이룬 성과와, 경찰 업무에서의 인권 주류화 및 가정폭력 근절을 위한 노력을 인정하였다.
91. Israel acknowledged the progress made in the realization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efforts to mainstream human rights in the work of police and to combat domestic violence.
92. 아르메니아는 인종차별 및 외국인혐오 근절, 필수 의료 서비스 및 지원 제공, 교육 개선에 대한 정부의 노력을 칭찬했다.
92. Armenia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combating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providing essential health care and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promoting education.
93. 호주는 성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환영하였고, 불평등 감소를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할 것을 장려하였다. 호주는 대한민국이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하지 않은 점을 우려하였다.
93. Australia welcomed the Government’s actions to address gender inequality and encouraged it to make greater efforts to reduce inequality. It was concern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not adopted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94. 아제르바이젠은 제3차 NAP의 수립을 완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을 장려하였으며, 가정폭력 근절을 위해 취한 조치를 환영하였다.
94. Azerbaijan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increase efforts to finalize its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It welcomed its measures to combat domestic violence.
95. 방글라데시는 여성, 아동, 소수민의 권리 보장에 있어 정부가 이룬 진전에 감사를 표하였으나, 취약한 환경에 있는 미등록 외국인과 이주노동자에 대하여 우려하였다.
95. Bangladesh appreciated the progress made in ensuring the rights of women, children and minorities. However, it was concerned that undocumented migrants and foreign employees remained in vulnerable conditions.
96. 벨라루스는 정부의 종합적인 인권정책과 인신매매죄를 신설하는 「형법」 개정안을 환영하였다.
96. Belarus welcomed the Government’s comprehensive human rights policy and legal amendments to criminalize trafficking in human beings.
97. 베냉은 정부가 특별절차 권한 보유자들에 대하여 협력한 것에 주목하였고, 제3차 NAP에 대한 노력을 환영하였다.
97. Benin noted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with the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and welcomed its efforts towards the adoption of its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98. 부탄은 여성의 개발에서 성평등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성 주류화 정책을 의무화하도록 한 것을 칭찬하였으며, 5개 특별절차 보고관의 국가 방문을 환영하였다.
98. Bhutan commended the Government on the successful paradigm shift from women’s development to gender equality, necessitating gender mainstreaming in its policies. It welcomed the five visits to the country by special rapporteurs.
99. 보츠와나는 아동권리협약의 이행여부 감독을 통해 아동의 권리를 증진한 정부의 노력을 칭찬하였으며, 노인을 위한 돌봄 서비스 개선 조치를 환영하였다.
99. Botswana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promoting the rights of the child through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t welcomed its measures to improve care for older persons.
100. 브라질은 빈곤 종식, 장애연금제도 도입, 공공주택 확충, 성평등 증진을 위한 정부의 조치를 칭찬하였다.
100. Brazil praised measures to eradicate poverty, introduce a disability pension scheme, expand public housing and promote gender equality.
101. 브루나이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 빈곤 종식을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과, 의무교육을 고등학교까지 확대하는 정부의 계획에 주목하였다.
101. Brunei Darussalam noted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pension system and a social safety net to eradicate poverty. It noted the Government’s plans to expand the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o high school.
102. 불가리아는 성 주류화 정책과 의무교육을 고등학교까지 확대하는 노력을 칭찬하였다. 장애아동의 70퍼센트가 통합 교육을 받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102. Bulgaria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its efforts to mainstream gender in policies and for its plan to expand compulsory education to high school. It highlighted that 70 per c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access to inclusive education.
103. 캐나다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칭찬하였으나, 이주노동자의 상황에 대해 우려하였고 이에 대한 개선을 촉구하였다.
103. Canada welcom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nhance the rol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It expressed concern over the situation of migrant workers and urged the Government to improve the situation.
104. 칠레는 UPR 권고를 제3차 NAP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였으며, 성소수자에 대한 폭력 및 혐오 발언에 대한 보고에 우려하였다.
104. Chile urged the Government to incorporate the recommendations made i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nto its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It expressed concerns about cases of violence and hate speech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105. 중국은 사회통합 증진, 취약계층 지원,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등의 성과를 칭찬하였으나, 성차별, 이주노동자 착취, 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발언 및 혐오 발언에 대하여 우려하였다.
105. China praised the progress made in promoting social inclusion, assisting vulnerable groups and expand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t was concerned about gender inequality, the exploitation of migrant workers and racist and hate speech against foreigners.
106. 콜롬비아는 「난민법」 및 「양성평등기본법」 제정과 아동청소년인권팀 설립을 환영하였다.
106. Colombia welcomed the adoption of the Refugee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107. 콩고는 아동, 여성, 이주민 등 취약계층에 대한 법적 보호를 강화함으로써 인권 보호에 대한 노력을 지속할 것을 장려하였다.
107. The Congo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persevere in its human rights efforts by strengthening legal protection of vulnerable groups, particularly children, women and migrants.
108. 코스타리카는 인권위의 투명성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국가인권위원회법」 개정안에 주목하였고, 아동의 권리 보호를 위하여 아동청소년인권팀을 설치한 것에 주목하였다.
108. Costa Rica noted the amendments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the Commis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ivis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protect children’s rights.
109. 코트디부아르는 두 차례에 걸친 UPR의 후속조치로서 정부가 이행한 조치들을 칭찬하였으나, 대한민국이 아직 비준하지 않은 핵심 인권규약 및 선택의정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109. Côte d’Ivoire commended the Government for measures taken to follow up on the previous two cycles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t noted, however, that some important conventions and optional protocols on human rights had yet to be ratified.
110. 크로아티아는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대체복무제 법안 등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긍정적 성과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을 계속할 것을 당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차별이 남아있는 점에 우려하였다.
110. Croatia noted positive developments regarding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including the draft bill on alternative services for conscientious objectors.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continue its efforts. It remained concerned over discrimination against conscientious objectors.
1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정당에 대한 억압, 자의적 구금, 군대 내 인권침해, 표현의 자유 및 집회의 자유 제한, 사찰 등 인권침해에 대해 우려하였다.
111.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xpressed concern about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the suppression of political parties, arbitrary detention, abuse in the military, restrictions on th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embly, and surveillance.
112. 덴마크는 성소수자, 여성,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가정폭력에 관해 정부가 취한 긍정적 조치들에 주목하면서도 우려를 표하였다.
112. Denmark remained concerned about discrimination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women and minorities, and about domestic violence, while noting as commendable the measures taken in those areas.
113. 니카라과는 UPR 권고를 NAP에 반영한 것과, 평등 보장, 인종차별 철폐, 자살률 감소에 관한 정부의 노력에 주목하였다.
113. Nicaragua noted the inclusion of recommendations from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n the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ensure equality, combat racial discrimination and reduce suicides.
114. 이집트는 인권 영역에서의 긍정적 성과에 주목하였고, 이런 노력을 지속하는 정부의 역량에 확신을 표명하였다.
114. Egypt noted the positive development in the area of human rights and expressed confidence in the capacity of the Government to continue its efforts.
115. 에티오피아는 공적개발원조의 긍정적 영향에 주목하였고, 2030년까지 국민총소득(GNI) 대비 공적개발원조(ODA)의 비중을 0.3%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에 주목하였다.
115. Ethiopia not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country’s ODA and the plan to increase it to 0.3 per cent of gross national income by 2030.
116. 프랑스는 인권 보호·증진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참여를 환영하였다.
116. France welcomed the engage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117. 그루지야는 UPR 권고 이행에 관한 중간보고서의 제출에 주목하였으며, 정부가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을 지속하고, 여성의 권리 신장, 가정폭력 예방 정책을 강화할 것을 장려하였다.
117. Georgia noted the submission of the midterm report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t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continue that practice, and to strengthen its policies to further promote the rights of women and prevent domestic violence.
118. 아이티는 2013년 「난민법」 제정을 환영하였고, 장애인을 위한 법적, 제도적 프레임워크 개선 노력을 환영하였다.
118. Haiti welcomed the adoption of the 2013 Refugee Act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119. 대한민국 정부대표단은 상호 대화를 위한 사전 질의서를 제출해 준 8개 대표단에 감사를 표하고 그에 답변하였다. 대한민국은 국제인권 메커니즘을 통해 도출된 권고를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에 반영하였고, 법무부 장관이 주재하는 국가인권정책협의회에서 NAP의 이행여부의 감독을 맡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대한민국은 UPR 심의결과의 국내이행과 그 점검을 위한 체계인 국가보고 및 후속조치 메커니즘(NMRF)에 관한 인권이사회 결의안에 대하여 지지입장을 밝혔다. 새 정부는 NAP 및 국제인권기구 권고의 후속조치와,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시민사회와의 협의를 위한 종합적인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국가인권위원회법」 제정을 추진 중에 있다.
119.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ed its gratitude to eight delegations for having submitted questions in advance for the interactive dialogue and provided responses to them. It recalled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action plan had incorporated the recommendations from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s. The Human Rights Policy Council, chair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had been assigned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ion plan. The Government supported the resolut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related to national mechanisms on reporting and follow-up. The new Government would enact a new human rights basic act, introducing a comprehensive mechanism for the follow-up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action plan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bodies and for consultation with civil society in that process.
120. 대한민국은 1997년 이후 사형집행을 하지 않은 실질적 사형폐지국이다. 그러나 사형 폐지는 국민 여론과 형사사법 체계의 세부사항을 포함해 많은 요소들의 검토를 필요로 하는 문제다. 자유권규약 제2선택의정서의 비준은 사형제 폐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120. Capital punishment had been de facto abo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since 1997. The abolishment of the death penalty, however, would require the consideration of many factors, including public opinion and the specificities of the criminal system. The ratification of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would depend on whether or not the Government decided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121. 국가 안보와 민주주의 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목적의 「국가보안법」은 그 적용에 있어 제한을 받으며, 법의 남용 방지를 위한 특별 조치들이 도입된 바 있다. 국회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하는 안을 논의 중이다. 추진 중인 「집회시위법」 개정안에는 집회 제한에 관한 규정을 명확히 하고, 사전신고 대상에서 제외되는 집회의 범위를 확대하고, 온라인 신고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121.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which aimed to protect security and democratic order, had been limited and special measures had been put in place to avoid the abuse of the Act. The National Assembly had discussed a bill to repeal article 92-6 of the Military Criminal Code. Revision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would be pursued to provide clearly defined criteria for restrictions on demonstrations, to expand the scope of assemblies that would not be subject to prior notification and to establish an online notification system.
122. 정부 대표단은 고용에서의 성평등 보장과 성희롱 처벌을 위해 마련되어 있는 조치를 설명하였다. 정부는 「정신보건법」 개정을 통해 강제입원 절차 및 요건을 강화하는 등 정신질환자의 인권에 대한 실질적 보호 조치를 도입하였다.
122. The delegation reported on existing guarantees for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and for punishing sexual harassment. The Government had revised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Act to effectively protect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by introducing stricter requirements and procedure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123. 정부 대표단은 이주노동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도입한 조치들을 강조하였다. 정부는 고용허가제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난민법」은 난민 신청 및 난민 인정 절차에 관한 결점을 보완하였다. 「난민법」을 통해 비호신청자들에 대한 사회 보장, 노동시장 접근, 주거 및 의료 지원, 교육이 보장되었다. 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 및 외국인 혐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 등 여러 조치를 이행하였다. 2017년 정부는 원어민 영어 강사로 일하는 외국인에 대한 HIV/AIDS 검사 의무화 규정을 폐지하였다.
123. The delegation reiterated the measures taken to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ould be further revised. The Refugee Act had remedied insufficiencies regarding refuge applications and refugee recognition procedure. It had ensured social benefits, access to the labour market, housing and medical support and education for asylum seekers. Several measures, including education, had been implemented to address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gainst foreigners. In 2017, the Government had repealed mandatory HIV/AIDS testing of foreign English teachers in Korea.
124. 정부 대표단은 부부간 성폭력을 범죄화 하는 규정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의 향유를 증진하는 조치에 관해 설명하였다. 정부 대표단은 이주민 여성에 대한 인신매매 근절, 비정규직 근로자 권리 보호, 최소 생활수준 보장을 위하여 도입한 조치에 관해 설명하였다.
124. The delegation reported on legal provisions that criminalized marital rape and on measures taken to advance the enjoyment of th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including on the Internet. The delegation reported on the steps taken to combat trafficking in migrant women, to protect the rights of persons in non-regular employment and to reduce poverty and increase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125. 대한민국 정부는 아동학대 및 아동폭력 예방을 위하여 아동학대 조기 발견, 아동학대 피해자 지원, 아동학대 및 아동폭력 가해자에 대한 엄격한 처벌 관련 조항 등의 조치에 관해 설명했다.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인식제고 캠페인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정부는 성폭력, 가정폭력 예방을 위해 가해자 처벌을 확대하고 피해자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조치를 마련하였다. 또 이를 위해 각 경찰서에 가정폭력 전담 경찰관을 배치하였다.
125. The delegation reported on measures adopted to prevent child abuse and violence, including the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 abuse, the provision of support to child victims and legal provisions providing for the severe punishment of perpetrators of child abuse and violence. Public awareness campaigns and parent education had been organized to prevent child abuse. The Government had also made special efforts to prevent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to increase the punishment of perpetrators and to strengthen support for victims. Specialized police officers had been assigned to deal with domestic violence cases in every police centre.
126. 정부 대표단은 탈북식당 여종업원 12명이 자유의사로 한국에 입국하였으며, 현재 한국에 살고 있는 약 3만명에 이르는 탈북자들과 마찬가지로 이들에 대해서도 인도주의 원칙에 기반해 보호 및 정착 지원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126. In response to the statement made regarding 12 women who had defected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delegation stated that the women had defected to the Republic of Korea of their own free will. The Government had provided them with humanitarian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as it had for the 30,000 other defectors from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living in the country.
127. 정부는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이 국내 관련법과 상충된다고 판단하였으나, 동시에 이주노동자들이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 강제실종협약, ILO 핵심협약 등의 비준에 앞서 국제법과 국내법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여 국내법 개정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
127. The Government considered that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was inconsistent with relevant national law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had taken measures to ensure that migrant workers were protected agains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e Government had continued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s in order to identify necessary amendments to domestic legislation prior to the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nd the ILO fundamental conventions.
128. 전쟁의 참화를 극복한 대한민국은 경제발전과 민주화, 인권증진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민주주의 성취에 이르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으며 많은 개혁과 도전을 겪어야 했다. 시민사회는 이런 많은 도전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이 되었다. 새 정부는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 ‘인권이 존중받는 사회’라는 국정목표를 세웠고, 국제인권의무 준수를 위한 인권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UPR 권고사항을 정부의 인권정책에 반영하고자 한다.
128. The delegation stated that, rising from the ashes of the war, the Republic of Korea had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along with democratization and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However, the path to democracy had not been easy and the country had been through various reforms and challenges. Civil society had been a driving force in overcoming many challenges. The new Government had set an objective to build a society that upheld fairness, justice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The Government had recognized the need to improv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 order to meet its international obligations. The recommendations made as part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would be reflected in the Government’s human rights policy.
129. 마지막으로, 정부 대표단은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해나가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보편적 인권은 한 나라의 역량만으로 달성될 수 없기 때문에 연대와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국제 시민사회와의 효과적 소통 및 교류를 유지하고, 국가 차원에서 인권침해의 당사자뿐 아니라 시민사회, 전문가, 민간 부문의 집단적 지혜를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국내외에서의 인권 보호·증진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다.
129. In conclusion, the delegation reaffirmed the Government’s continuing commitment to worki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reate a society where no one was left behin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nternationally. Guaranteeing universal human rights could not be achieved by one country alone and, thus, solidarity and cooperation would be crucial. It would be important to maintai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international civil society and to garner the collective wisdom not only of the people who were deprived of their due rights, but also of civil society groups, experts and the private sector at the national level. Thus, the Government would continue to work to further advance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I. 결론 및 권고
II.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130. 상호 대화에서 도출된 아래 권고사항에 대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검토 후 수용의사를 밝혔다.
130. The recommendations formulated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 listed below have been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enjoy the sup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130.1 ILO 핵심협약 비준을 위해 ILO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 (우즈베키스탄);
130.1. Continue cooperation with ILO on the ratification of the fundamental labour conventions (Uzbekistan);
130.2 결사의 자유, 강제노동 금지 등에 관한 ILO 4개 핵심협약을 비준할 것 (스페인);
130.2 Ratify the four fundamental conventions of ILO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hibition of forced or compulsory labour (Spain);
130.3 ILO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원칙의 적용게 관한 협약,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 강제노동 폐지에 관한 협약 등 ILO 4개 핵심협약을 비준하고 이행할 것 (스웨덴);
130.3 Ratify and implement the remaining four ILO core conventions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ze, the right to organize and collective bargaining, forced labour and the abolition of forced labour (Sweden);
130.4 결사의 자유,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강제노동 폐지에 관한 ILO 4개 핵심협약의 비준을 고려할 것 (니카라과);
130.4 Consider ratifying the four core ILO conventions related to freedom of association, the right to organize trade unions and collective bargaining, and on the prohibition of forced and compulsory labour (Nicaragua);
130.5 대한민국이 비준하지 않은 ILO 4개 핵심협약의 비준을 촉진하기 위하여 관련 국내법과 행정절차의 검토를 신속하게 이행할 것 (우간다);
130.5 Expedite the review of the relevant domestic laws and administrative practices to facilitate ratification of the four fundamental conventions of ILO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s not yet ratified (Uganda);
130.6 다른 주요 지역인권규범 및 국제인권협약의 비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국내법 개정을 고려할 것 (필리핀);
130.6 Consider amending domestic legislation to pave the way for ratification of a number of other key regional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nventions (Philippines);
130.7 OHCHR 서울 사무소의 업무를 계속해서 지원할 것 (일본);
130.7 Continue supporting the work of OHCHR Seoul office (Japan);
130.8 인권이사회 및 인권이사회 메커니즘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 (미얀마);
130.8 Continue contribution of its efforts to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its mechanism (Myanmar);
130.9 유엔 및 인권 메커니즘에 기여하는 좋은 선례를 계속하여 만들어갈 것 (부탄);
130.9 Continue its good work of contributing to the United Nations and its human rights mechanisms (Bhutan);
130.10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선출과 임명에 있어 투명하고 참여적인 절차를 보장하고, 인권위원의 독립성을 보장하며, 인권위가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도록 보장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입법조치를 취할 것 (과테말라);
130.10 Adopt necessary legislation to ensure a fully transparent and participatory process for the selection and appointment of the member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their members and ensure that it has sufficient resources (Guatemala);
130.11 파리 원칙에 입각하여 국가인권위원회의 위상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인권위원장의 선출에 있어 시민사회 및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협의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특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 (몰도바공화국);
130.11 Continue the consolida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relating to the status of national institutions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Paris Principl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ppointment of the Chairperson of the Commission, in consultation with civil society groups and other relevant stakeholders (Republic of Moldova);
130.12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완전한 참여를 바탕으로 제3차 국가인권기본계획(NAP)의 추진을 가속화할 것 (인도네시아);
130.12 Accelerate the progress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for Human Rights, with the full participation of all stakeholders (Indonesia);
130.13 2012-2016 제2차 국가인권기본계획(NAP)의 연장선상으로서의 제3차 NAP의 신속한 도입을 추진할 것 (에티오피아);
130.13 Consider expediting the adoption of a third national human rights action plan as an extension of the second, which served for the period 2012- 2016 (Ethiopia);
130.14 시민사회와 긴밀히 협력하여 제3차 NAP의 신속한 채택을 추진할 것 (그루지야);
130.14 Accelerate the process for the adoption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in close cooperation with civil society (Georgia);
130.15 인권 증진·보호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할 것 (사우디 아라비야);
130.15 Continue efforts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Saudi Arabia);
130.16 정치적, 사법적, 사회적 측면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인권보호를 위하여 법 체계를 개혁하는 조치를 강화할 것 (미얀마);
130.16 Strengthen measures to reform its legal framework to protect human rights in consideration of political, legal and social perception (Myanmar);
130.17 성 주류화를 위한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하고,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강화할 것 (인도);
130.17 Take credible steps towards gender mainstreaming and reinforcing the principle of equal pay for equal work (India);
130.18 사회, 경제, 정치 분야에서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 (나미비아);
130.18 Intensify measures aimed at addressing gender equality gaps in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ields (Namibia);
130.19 여성차별 금지 보장 및 성평등 증진을 위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 (라오스);
130.19 Continue to develop measures to ensure non-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promote gender equality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130.20 여성에 대한 차별적 대우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조치를 계속해서 이행할 것 (세르비아);
130.20 Continue to undertake actions whose objective is to reduce discriminatory behaviour against women (Serbia);
130.21 성평등을 달성하고 여성차별을 철폐하기 위하여, 국가적·지역적 차원에서 체제 개선을 이행하기 위한 실질적 조치들을 지속할 것 (싱가포르);
130.21 Continue to put in place practical measures to implement the revised framework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to achieve gender equality and comba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ingapore);
130.22 대한민국 국적의 근로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HIV/AIDS 검사 의무화 조항을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하여 적용하는 차별적 조치를 중단할 것 (인도);
130.22 Stop the discriminatory approach that requires only foreign workers in various sectors to mandatorily undergo HIV/AIDS testing, which is not required for Korean nationals (India);
130.23 여성, 아동, 소외 계층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 조치를 취할 것 (네팔);
130.23 Take continuous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women, children and other marginalized groups (Nepal);
130.24 여성 및 기타 소외 계층의 권리 보호를 위한 지속적 조치를 취할 것 (잠비아);
130.24 Take continuous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women and other marginalized groups (Zambia);
130.25 대한민국 국민과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사이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차별의 해소를 위해 화합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 (에티오피아);
130.25 Increase the efforts to create harmony by fighting the unnecessary discrimination between nationals and foreigners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Ethiopia);
130.26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의 이행을 위하여 국가행동계획을 수립할 것 (이집트);
130.26 Develop a national plan of action to implement the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Egypt);
130.27 관련 협약기구들이 지적한 바에 따라 성폭력 및 가정폭력 방지 노력을 증대할 것 (일본);
130.27 Make further efforts to prevent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as pointed out by the relevant treaty bodies (Japan);
130.28 가정폭력 예방, 수사, 처벌을 위한 조치 및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대책 강화를 위한 조치를 계속하여 이행할 것 (몰디브);
130.28 Continue measures to prevent, investigate and prosecute domestic violence offences and strengthen victim care (Maldives);
130.29 가정폭력 근절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튀니지);
130.29 Continue efforts to eliminate domestic violence (Tunisia);
130.30 젠더기반 폭력 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을 도입하고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하여 철저한 조사와 기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 (시에라리온);
130.30 Adopt a comprehensive strategy to prevent gender-based violence and thoroughly investigate and prosecute incidents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ed against migrant populations (Sierra Leone);
130.31 가정폭력 가해자의 처벌을 보장하는 입법개정을 추진하고, 정부 차원에서 피해자 지원체계를 개선할 것 (잠비아);
130.31 Amend the legislation to ensure that perpetrators of domestic violence are punished, while the State improves the victim support system (Zambia);
130.32 국민 인식제고 등을 포함하여 가정폭력방지 종합대책의 이행을 위한 노력을 경주할 것 (스리랑카);
130.32 Continue implementation of its Comprehensive Plan to Prevent Domestic Violence, including through awareness-raising (Sri Lanka);
130.33 젠더기반 폭력의 예방을 위한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법안을 제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 (터키);
130.33 Take further steps so as to enact a comprehensive and general legislation for the prevention of gender-based violence (Turkey);
130.34 「양성평등기본법」의 이행을 통하여 가정폭력 근절 노력을 지속할 것 (아제르바이젠);
130.34 Continue efforts to eliminate domestic violence through implementation of its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Azerbaijan);
130.35 젠더 폭력, 특히 가정폭력과 부부간 성폭력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의 도입을 고려할 것 (칠레);
130.35 Consider the adoption of a comprehensive strategy to eliminate gender violence, particularly domestic violence and marital rape (Chile);
130.36 부부간 성폭력을 범죄로 규정할 것 (온두라스);
130.36 Criminalize marital rape (Honduras);
130.37 가장 취약한 상황에 있는 지뢰 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모범 사례 및 해결해야 할 도전 과제를 공유할 것 (스리랑카);
130.37 Share its best practices and challenges in reaching out to the most vulnerable mine victims (Sri Lanka);
130.38 표현의 자유 및 집회의 자유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노력을 배가할 것 (그리스);
130.38 Step up its ongoing efforts in the field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embly (Greece);
130.39 표현의 자유 및 집회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실질적 조치를 이행할 것 (브라질);
130.39 Adopt legal and practical safeguards to protect freedom of expression and of assembly (Brazil);
130.40 표현의 자유 및 평화적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고, 특히 인권옹호자의 이니셔티브를 보호하는 효과적인 국가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인권옹호자의 활동을 보호할 것 (이탈리아);
130.40 Guarantee freedom of expression and peaceful association and safeguard the activities of human rights defenders, in particular by promoting effective national policies to protect their initiatives (Italy);
130.41 평화적 시위에 관한 이전 UPR 권고를 이행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일본);
130.41 Continue to make efforts to follow up on the recommendations made in the previous universal periodic review on peaceful protests (Japan);
130.42 평화적 집회 및 결사의 권리에 대한 완전한 향유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하고, 사회활동가, 인권대표자, 노동조합 대표들에 대하여 국가권력이 과도한 무력을 사용했다는 진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 (베네수엘라);
130.42 Continue to redouble efforts to guarantee full enjoyment of the right to freedom of assembly and peaceful association, investigating complaints as to excessive use of force on the part of State security agents against social activists, human rights representatives as well as representatives of the trade unions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130.43 인권옹호자에 대한 폭력, 협박, 괴롭힘, 감시를 내용으로 하는 고발 및 진정에 대한 즉각적이고 공정한 조사를 보장할 것 (에콰도르);
130.43 Ensure prompt and impartial investigations into accusations and complaints of violence, intimidation, harassment and surveillance of human rights defenders (Ecuador);
130.44 인신매매 근절 및 부처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지원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수립 및 이행할 것 (영국);
130.44 Develop and implement a specific national action plan to support the Government’s efforts in tackling human trafficking and strengthening inter- agency coordination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130.45 특히 여성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신매매와 성적 착취를 근절하기 위하여, 「형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수사·재판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필요한 지원과 보호를 제공하는 등의 조치를 확대할 것 (태국);
130.45 Take further measures to combat trafficking in persons, particularly women and children, and sexual exploitation, by ensuring effective enforcement of the Criminal Act and providing victims with necessary assistance and protection throughout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and trial (Thailand);
130.46 인신매매를 범죄로 규정하는 노력을 강화하고, 인신매매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 (콜롬비아);
130.46 Increase efforts to criminalize human trafficking and take necessary measures for its prevention (Colombia);
130.47 인신매매 피해자를 식별하기 위한 효과적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 (러시아);
130.47 Establish an effective mechanism to identify victims of trafficking in human beings (Russian Federation);
130.48 권고 124.28, 124.29, 124.36, 124.47 등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한부모 가구 지원법을 개정 및 이행하는 노력을 지속하여, 여성, 특히 미혼모들이 고용, 임금, 혼인 등에서 차별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할 것 (아이티);
130.48 Continue efforts to revise and implement the single parent family support law with a view of introducing measures to ensure that women, in particular single mothers, can have access without fear of discrimination to employment, equal pay and matrimonial rights, as a follow up to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paragraphs 124.28, 124.29, 124.36 and 124.47 of the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from the previous cycle (Haiti);
130.49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이행을 강화할 것 (노르웨이);
130.49 Improve the enforcement of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Norway);
130.50 청년 및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노력을 제고할 것 (카타르);
130.50 Make further efforts to increase access of young people and women to the labour market (Qatar);
130.51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페루);
130.51 Continue guaranteeing labour rights (Peru);
130.52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 사이에 여전히 존재하는 근로조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이스라엘);
130.52 Continue efforts to close gaps that still exist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non-regular as opposed to regular workers (Israel);
130.53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 (벨라루스);
130.53 Intensify efforts to eradicate differences between employees with permanent contracts and those who do not have permanent employment (Belarus);
130.54 정신질환자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개선하고 이들의 사회통합을 돕는 노력을 지속할 것 (세르비아);
130.54 Continue with its efforts to improve the welfare services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Serbia);
130.55 노인들이 존엄성을 지키며 늙을 수 있고, 사회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노후생활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보호, 서비스,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련 입법, 정책, 사업을 검토 및 개선할 것 (싱가포르);
130.55 Continue to review and refine the relevant legislations, policies and programmes to accord the elderly with more protection, services and opportunities to allow them to age with dignity and continue contributing to society where they can (Singapore);
130.56 노인들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것 (베트남);
130.56 Continue effort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elderly persons (Viet Nam);
130.57 노인 빈곤 문제를 근절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 (알제리);
130.57 Take necessary measures to combat poverty among the elderly (Algeria);
130.58 노인들의 증가하는 필요에 대응하여, 노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포함한 종합 계획의 수립을 고려할 것 (이스라엘);
130.58 In response to the growing needs of older persons, consider developing a master plan that would bring under its wing the various initiatives designed to protect the rights of older persons (Israel);
130.59 사회보장체계와 노인의 권리 보호를 강화할 것 (중국);
130.59 Strengthen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and step up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elderly (China);
130.60 기초연금제도를 통해 제시된 바와 같이, 소득 하위 70%에 속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기초소득을 보장해주는 훌륭한 노력을 지속할 것 (브루나이);
130.60 Continue with its ongoing impressive efforts to ensure that the bottom 70 per cent of the elderly aged over 65 are provided with basic income, as set out by its basic pension scheme (Brunei Darussalam);
130.61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연금 제도와 같은 모범 사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 (부탄);
130.61 Continue setting good practices like pension scheme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Bhutan);
130.62 노인을 위한 기초연금제도의 급여를 책정할 때 충분한 생활비를 보장할 수 있도록 관련 대표 단체와 협의하여 결정할 것 (아이티);
130.62 Review the benefits of the basic pension scheme for older persons with a view to ensuring that older persons have enough to cover their living costs, in full consultation with their representatives (Haiti);
130.63 취약 계층의 의료 서비스 및 교육에 대한 접근을 보장할 수 있는 조치를 이행할 것 (앙골라);
130.63 Implement measures to facilitate access to health care and education, particularly for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 (Angola);
130.64 의무교육을 고등학교까지 확대하는 정부의 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 (브루나이);
130.64 Follow through the Government’s plans to expand compulsory education to high school (Brunei Darussalam);
130.65 인권교육 및 인권인식 제고를 추진할 것 (아르메니아);
130.65 Promote the human rights education and awareness-raising (Armenia);
130.66 노동시장에서 여성 참여를 증진하기 위하여 일·가정 양립을 보장하는 국가 차원의 이행 노력을 강화할 것 (팔레스타인);
130.66 Make greater efforts to implement national measures to ensure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in order to improv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ur market (State of Palestine);
130.67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의 여성 관리자 비율이 높아지도록 조치를 취할 것 (불가리아);
130.67 Undertake further steps to encourage a higher proportion of women in managerial positions in the public institutions and the private business (Bulgaria);
130.68 의사결정직에서 여성 대표성을 확대하고, 성별 임금 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배가할 것 (콜롬비아);
130.68 Redouble efforts to increase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decision- making positions and reduce the wage inequality gap between men and women (Colombia);
130.69 성별 임금 격차를 없애고 정치, 경제 분야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 (수단);
130.69 Intensify its efforts to eliminate the gender wage gap and promote women’s representation in political and economic affairs (Sudan);
130.70 의사결정직에서 성비균형을 이루도록 장려하고, 노동시장 및 기업에서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준수를 통해 평등을 보장하는 등 성평등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니카라과);
130.70 Continue efforts to promote 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by encouraging a balanced representation in decision-making positions, equality in the labour market and in entrepreneurship, including equal pay, among other aspects (Nicaragua);
130.71 여성의 지위 향상, 여성에 대한 폭력 및 차별 근절을 위해 효과적인 수단을 강구할 것 (중국);
130.71 Take effective measures to raise women’s status, combat violence against women and eliminat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hina);
130.72 가정폭력, 성폭력, 인신매매, 기타 폭력의 피해자가 되는 외국인 여성이 사법절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 (러시아);
130.72 Ensure that foreign women who becom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sexual abuse, trafficking in human beings and other forms of violence are guaranteed access to justice (Russian Federation);
130.73 아동권 보호 및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교육과정에 아동권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도록 할 것 (카타르);
130.73 Pursue efforts to strengthen and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o integrate educ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into the school curriculum (Qatar);
130.74 아동, 특히 장애아동을 위한 적절한 시설 및 지원이 제공되도록 법적 조치를 취할 것 (동티모르);
130.74 Take legal measures to provide appropriate facilities and support for children, particularl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imor-Leste);
130.75 고아원, 아동복지시설을 포함한 모든 환경에서 아동의 체벌을 법적, 실질적으로 금지할 것 (에콰도르);
130.75 Prohibit by law and in practice corporal punishment of children in all settings, including in orphanages and child welfare centres (Ecuador);
130.76 특히 성폭력을 포함하여 아동에 대한 폭력을 근절하는 제도적, 법적 체계를 강화할 것 (알제리);
130.76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and legal framework to combat violence against children, in particular sexual violence (Algeria);
130.77 장애인들의 의료 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 (리비아);
130.77 Pursue efforts to improve chan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have access to health care (Libya);
130.78 모든 장애인들이 복지 서비스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 (불가리아);
130.78 Continue its efforts to extend welfare services and assistance to all persons with disabilities (Bulgaria);
130.79 독립적인 감시 메커니즘을 수립하여 정신보건시설 등에 수용된 장애인들을 폭력, 학대, 부당한 대우로부터 보호할 것 (에콰도르);
130.79 Protect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ned in psychiatric hospitals, against acts of violence, abuse and ill-treat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monitoring mechanisms (Ecuador);
130.80 강제치료를 금지하고, 폭력, 학대, 부당한 처우로부터 정신보건시설에 수용된 장애인을 보호할 것 (동티모르);
130.80 Abolish forced treatment and protect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sychiatric hospitals from violence, abuse and ill-treatment (Timor-Leste);
130.81 이주노동자에 대한 폭력 및 차별을 금지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국내법과 규정을 강화할 것 (인도네시아);
130.81 Continue strengthening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in the view to avoiding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 workers and raising awareness on the existence of cultural diversity (Indonesia);
130.82 이주노동자를 위한 효과적 보호방안을 마련하고 이주노동자 착취 문제에 대처할 것 (중국);
130.82 Provide effective protection to migrant workers and address the issue of the exploitation of migrant workers (China);
130.83 이주노동자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 (프랑스);
130.83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France);
130.84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이들을 위한 공정하고 안전한 근로환경을 보장하며, 노동법을 엄격히 집행하고, 법을 위반한 고용주를 처벌할 것 (태국);
130.84 Enhance measures to promote and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and ensure fairer and safer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stricter labour law enforcement and punishment for employers who violate the law (Thailand);
130.85 대한민국 국민과 이주민 사이에 문화교류를 장려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라오스);
130.85 Continue efforts on encourag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residents and migrants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131. 상호 대화에서 도출된 아래 권고사항에 대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검토 후 불수용의사를 밝혔다.
131. The recommendations formulated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 listed below have been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have been noted by the Republic of Korea:
131.1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을 비준할 것 (시에라 리온, 과테말라, 온두라스, 키르키즈스탄);
131.1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Sierra Leone) (Guatemala) (Honduras) (Kyrgyzstan);
131.2 유네스코 교육차별철폐협약을 비준할 것 (콩고);
131.2 Ratif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Conven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education (Congo);
131.3 전 정권 당시 납치된 북한 여종업원 12명과 북송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지속적으로 밝혀온 김련희를 즉각 석방하고, 납치에 책임이 있는 이들을 사법처리할 것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1.3 Immediately release the 12 women citizen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ho were abducted during the former regime and Mrs. Kym Ryon Hui, who has been appealing for her return to her family, and bring to justice those responsible for the abduct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2. 대한민국 정부는 아래 기술되어 있는 권고사항을 검토하여 2018년 3월 인권이사회 37회 총회 전까지 수용여부에 대한 답변을 제출할 예정이다.
132.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ill be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ill provide responses in due time, but no later than the thirty-seventh se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32.1 유엔 강제실종방지협약에 가입할 것 (이라크);
132.1 Accede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Iraq);
132.2 유엔 강제실종방지협약 비준을 고려할 것 (튀니지);
132.2 Consider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Tunisia);
132.3 유엔 강제실종방지협약을 비준할 것 (우루과이, 코스타리카, 스위스, 몬테네그로, 카자흐스탄, 시에라리온);
132.3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Uruguay) (Costa Rica) (Switzerland) (Montenegro) (Kazakhstan) (Sierra Leone);
132.4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 정서를 비준할 것 (코스타리카, 앙골라, 스웨덴, 독일)
132.4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Costa Rica) (Angola) (Sweden) (Germany);
132.5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 비준을 고려할 것 (몽골);
132.5 Consider ratifying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Mongolia);
132.6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 비준 절차를 가속화할 것 (토고);
132.6 Accelerate the process of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ogo);
132.7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베냉);
132.7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Benin);
132.8 국가 차원의 고문 방지 메커니즘을 수립하기 위하여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칠레);
132.8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in order to establish a national preventive mechanism (Chile);
132.9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 비준을 위한 절차를 조속히 진행할 것 (가나);
132.9 Speed up ongoing processes leading up to the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Ghana);
132.10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 가입을 고려할 것 (튀니지);
132.10 Consider acceding to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unisia);
132.11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카자흐스탄, 터키, 덴마크, 과테말라, 포르투갈, 우루과이);
132.11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Kazakhstan) (Turkey) (Denmark) (Guatemala) (Portugal) (Uruguay);
132.12 장애인권리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토고, 과테말라, 가나);
132.12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go) (Guatemala) (Ghana);
132.13 이주노동자권리협약 비준을 고려할 것 (인도네시아, 세네갈, 필리핀);
132.13 Consider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Indonesia) (Senegal) (Philippines);
132.14 이주노동자권리협약 가입을 고려할 것 (페루, 수단);
132.14 Consider acceding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Peru) (Sudan);
132.15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가입하는 문제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것 (벨라루스);
132.15 Continue studying the issue of the accession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Belarus);
132.16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에 대한 공소시효 부적용에 관한 협약을 비준할 것 (아르메니아);
132.16 Ratify the 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rmenia);
132.17 침략범죄에 대한 로마규정 캄팔라 개정문을 비준할 것 (리히텐슈타인);
132.17 Ratify the Amendments to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on the crime of aggression (the Kampala amendments) (Liechtenstein);
132.18 핵무기금지조약에 서명할 것 (과테말라);
132.18 Sign the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Guatemala);
132.19 아직 비준하지 않은 협약 및 의정서의 비준을 위한 개혁 및 입법 조치를 취할 것 (코트디부아르);
132.19 Adopt the reforms and legislative measures indicated to be able to ratify the remaining conventions and protocols (Côte d’Ivoire);
132.20 자유권규약 제22조에 대한 유보 철회를 고려할 것 (알바니아);
132.20 Consider withdrawing its reservation to article 22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lbania);
132.21 특히 정신장애인에 관하여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와 건설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할 것 (이란);
132.21 Carry out a constructive and a cooperative engagement with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persons with psychological disabilities (Islamic Republic of Iran);
132.22 유엔 협약기구 선거를 위한 국가 후보자 인선 절차를 개방적으로 운영하고 능력에 따라 평가할 것 (영국);
132.22 Adopt an open, merit-based selection process when selecting national candidates for United Nations treaty body elections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132.23 국가인권위원회의 구금시설에 대한 방문 및 조사 권한을 강화하여 국가 차원의 고문 방지기구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 가입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할 것 (몰도바);
132.23 Strengthen the mandat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conduct visits and investigations to places of detention so as to effectively function as a national torture preventive mechanism and consequently to consider acceding to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Republic of Moldova);
132.24 새로운 정당의 창당절차를 간소화할 것 (이라크);
132.24 Facilitate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parties (Iraq);
132.25 「국가보안법」 등 국제인권기준에 어긋나는 반인권적인 법과 문제적인 「북한인권법」을 폐지할 것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2.25 Abolish the anti-human rights “National Security Law” and other laws which are in contraven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s well as the provocativ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2.26 삶의 전 영역에서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인종, 성적지향, 성정체성 등 모든 사유로 인한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일반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 (온두라스);
132.26 Approve general legislation to combat discrimination, which expressly covers all spheres of life and prohibits discrimination on any ground, particular on grounds of race,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Honduras);
132.27 인종, 성, 성적지향, 성정체성 등을 포함해 어떠한 이유에서든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지체 없이 도입할 것 (슬로베니아);
132.27 Adopt without delay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that prohibits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race, gender,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Slovenia);
132.28 인종, 성, 국적 등을 포함해 어떠한 이유에서든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수립할 것 (방글라데시);
132.28 Formulate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that prohibits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those based on race, gender, nationality, etc. (Bangladesh);
132.29 모든 차별 사유를 다루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스페인);
132.29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at addresses all grounds of discrimination (Spain);
132.30 폭력과 차별을 금지하고 외국인혐오를 근절하며 모든 종류의 인종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의 도입을 위해 노력할 것 (이집트);
132.30 Endeavour to introduce a law prohibiting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nd combat xenophobic discourse and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Egypt);
132.31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도입에 필요한 절차를 계속해서 추진할 것 (그루지야);
132.31 Continue the process necessary for the adoption of the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Georgia);
132.32 모든 삶의 영역에서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인종, 성적지향, 성정체성 등 모든 사유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는 완전한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알바니아);
132.32 Adopt complete legislation against discrimination dealing with all parts of life explicitly and prohibiting discrimination on all grounds, notably based on race,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lbania);
132.33 삶의 전 영역에서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일반적 차별금지법의 도입을 승인하고, 모든 사유에 근거한 차별의 금지를 규정하며, 혐오발언, 인종차별, 외국인혐오 등 편견을 조장하는 모든 종류의 표현과 의사표명에 대한 조치를 취할 것 (니카라과);
132.33 Approve general legislation to combat discrimination, which expressly covers all spheres of life, and defines and prohibits discrimination on any ground, taking measures against all expressions and manifestations of prejudices such as hate speech, racism and xenophobia (Nicaragua);
132.34 삶의 전 영역을 포괄하며 모든 사유에 근거한 차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터키);
132.34 Adopt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which explicitly addresses all spheres of life and prohibits discrimination on any grounds (Turkey);
132.35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도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지속적인 전략과 계획을 세우고, 법 위반의 심각성에 상응하는 처벌을 부과하는 조치를 포함할 것 (팔레스타인);
132.35 Continue to apply its strategies and plans, work towards the adoption of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and include penalties appropriate for the seriousness of the offence (State of Palestine);
132.36 인종, 성적지향, 성정체성 등 모든 사유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는 일반적인 법을 도입하고, 이주민과 다문화가정에 대한 외국인혐오 발언을 근절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강화할 것 (콜롬비아);
132.36 Adopt general legislation to combat discrimination on any ground, particularly on the grounds of race,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and strengthen the mechanisms to eliminate xenophobic speech against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Colombia);
132.37 인종, 성, HIV/AIDS 감염 여부 등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 (보츠와나);
132.37 Enact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s, especially on the basis of race, gender and HIV/AIDS status (Botswana);
132.38 성소수자에 대한 보호를 포함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호주);
132.38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including protection for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Australia);
132.39 성소수자를 비롯한 소외 계층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노르웨이);
132.39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individuals and other marginalized groups (Norway);
132.40 성적지향, 성, 종교, 신념, 인종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덴마크);
132.40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prohibiting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gender, religion, belief, and race (Denmark 2);
132.41 이주민, 소수인종 및 소수종교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할 것 (멕시코);
132.41 Enact general laws to combat discrimination, particularly against migrants and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Mexico);
132.42 모든 이주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우간다);
132.42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at will protect the rights of all migrants (Uganda);
132.43 차별금지법의 이행에 있어 대한민국 정부의 칭찬할 만한 노력을 강화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특히 성적지향과 성정체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사유에 근거한 불관용과 불평등을 근절할 것 (브라질);
132.43 Continue and step up its Government’s laudable efforts towards implementation of anti-discrimination laws, in order to fight all kinds of intolerance and inequality, especially on the ground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Brazil);
132.44 성정체성·성적지향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는 내용의 일반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하여 성소수자에 대한 보호를 보장하고, 동성 간 합의하에 이루어지는 성관계를 금지하고 처벌하는 「군형법」 조항을 폐지하며, 개인의 성적 정체성과 지향을 존중할 필요성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증진할 것 (프랑스);
132.44 Adopt a general anti-discrimination law, which includes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gender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to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repeal the provision of the Military Penal Code, which prohibits and punishes same-sex consensual sexual relations in the army, increase public awareness on the need to respect gender identity and sexual orientation of every individual (France);
132.45 차별금지법을 국회에 상정하기 위한 일정을 수립하고, 동성 간 합의하에 이루어지는 성관계를 제한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 (아일랜드);
132.45 Establish a timeline to present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repeal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o end restrictions on consensual same sex relations (Ireland);
132.46 인종주의, 인종차별, 외국인혐오 근절 노력을 지속할 것 (세네갈);
132.46 Continue efforts aimed at strengthening the fight against racism,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Senegal);
132.47 인종주의, 인종차별, 외국인혐오 및 그와 관련된 불관용을 근절하고 예방할 수 있는 조치를 강화할 것 (르완다);
132.47 Strengthen measures to combat and prevent racism,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and related intolerance (Rwanda);
132.48 인종차별을 범죄로 규정하고 선언할 것 (나마비아);
132.48 Declare racial discrimination as a criminal offence (Namibia);
132.49 외국인, 이주민, 다문화가정에 대한 모든 종류의 차별과 혐오 발언을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한 메커니즘 강화를 지속할 것 (베네수엘라);
132.49 Continue to strengthen mechanisms to prevent and eliminate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xenophobic speech against foreigners,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132.50 비시민에 대한 인종차별적 발언, 외국인혐오 발언을 예방하고 대항하기 위한 효과적 조치를 취할 것 (카자흐스탄);
132.50 Tak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and counter racist and xenophobic discourse against non-citizens (Kazakhstan);
132.51 삶의 모든 영역에서 외국인혐오 발언을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강화할 것 (터키);
132.51 Strengthen mechanisms for preventing and eliminating xenophobic discourse in all spheres of life (Turkey);
132.52 외국인 관련 법제의 맥락 속에서 교육 및 인식제고 캠페인을 통해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할 것 (리비아);
132.52 Pursue efforts to combat racial discrimination, xenophobia through education and information awareness campaigns in the context of the Law on Foreigners (Libya);
132.53 언론 및 인터넷에서 인종 및 종족에 대한 불관용을 선동하고 이를 출판, 게시하는 행위를 근절할 것 (러시아);
132.53 End the practice of publishing in the media and on the Internet materials inciting racial and ethnic intolerance (Russian Federation);
132.54 외국인, 이주민, 다문화가정에 대한 외국인혐오, 혐오발언 및 차별을 금지하는 구체적인 추가 조치를 취할 것 (키르키즈스탄);
132.54 Take additional concrete measures to combat xenophobia, hate speech and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Kyrgyzstan);
132.55 법적, 제도적 체계를 통해 혐오발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 정책 및 조치를 이행할 것 (시에라리온);
132.55 Implement policies and measures which comprehensively address hate speech through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Sierra Leone);
132.56 인종차별을 범죄로 규정하기 위해 관련법을 개정할 것 (키르키즈스탄);
132.56 Amend the relevant laws in order to identify racial discrimination as a criminal offence (Kyrgyzstan);
132.57 2012년 UPR 권고사항에 따른 후속조치로서 혐오발언 및 폭력행위로 나타나는 성적지향과 성정체성에 대한 차별에 관한 법을 강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조사하고 처벌할 수 있도록 할 것 (아르헨티나);
132.57 Follow up on the recommendation made in 2012, strengthening its legislation, investigating and punishing effectively the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expressed through hate speeches and acts of violence (Argentina);
132.58 군대를 포함해 모든 분야에서 성 또는 성적지향을 이유로 한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 (영국);
132.58 Take further action to end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or sexual orientation in all fields, including in the military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132.59 입법 등의 조치를 통해 성적지향 및 성정체성을 이유로 한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 (이스라엘);
132.59 Step up efforts to end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sexual identity, including through relevant legislation (Israel);
132.60 차별금지법에 성적지향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는 조항을 명시적으로 삽입할 것 (스웨덴);
132.60 Include a specific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in the Anti-discrimination Law (Sweden);
132.61 어떠한 형태로든 성적지향 또는 성정체성을 이유로 한 차별 및 모든 형태의 낙인찍기가 이루어지는 것을 근절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 (칠레);
132.61 Continue to work to eliminate all forms of stigmatization or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Chile);
132.62 포괄적 차별금지법 및 국가 차원의 인식제고 캠페인을 통해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포함해 모든 종류의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 (이탈리아);
132.62 Strengthen efforts to comba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by adopting a comprehensive law and running national awareness campaigns (Italy);
132.63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속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체계를 강화하고, 대한민국 영토 내에서 전환 치료로 알려져 있는 행위를 금지할 것 (우루과이);
132.63 Strengthen legal framework to protect people belonging to the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community, avoiding practices, known as conversion therapies in State premises (Uruguay);
132.64 성소수자의 권리 보호 및 증진을 위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 (미국);
132.64 Adopt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to provide protections for and to promote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United States of America);
132.65 성적지향, 성정체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을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통해 성소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동성간의 성관계를 범죄화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 (캐나다);
132.65 Protect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through the adoption of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at prohibits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nd abolish article 92-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criminalizes consensual same-sex relations (Canada);
132.66 군대 내 동성 간 합의하에 이루어지는 성관계를 범죄로 규정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 (코스타리카);
132.66 Repeal article 92-6 of the Military Criminal Code which criminalizes consensual sexual relations between people of the same sex in the army (Costa Rica);
132.67 국제인권기준을 준수하기 위하여, 군대 내 동성간 합의하에 이루어지는 성관계를 범죄로 규정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 (네덜란드);
132.67 Abolish article 92-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views consensual same-sex intimacy in the armed forces as a criminal offence, in order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Netherlands);
132.68 군대 내 동성 간 성관계를 금지하고 이를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 (덴마크);
132.68 Repeal article 92(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prohibiting and punishing consensual sexual activity between people of the same sex in the military (Denmark);
132.69 개발 정책 및 사업에 있어 개발 사업에 영향을 받는 모든 지역사회의 효과적 참여를 보장하는 인권에 기반한 접근법을 취할 것 (예맨);
132.69 Adopt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policies and programmes that ensure the effective participation of all communities affected by development projects (Yemen);
132.70 사형제를 폐지할 것 (온두라스);
130.70 Abolish the death penalty (Honduras);
132.71 사형제의 법적 폐지를 추진할 것 (노르웨이);
132.71 Move on to de jur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Norway);
132.72 사형제 폐지 추진을 고려할 것 (이탈리아);
132.72 Consider taking steps with a view to abolishing death penalty (Italy);
132.73 사형제의 법적 폐지를 고려할 것 (동티모르);
132.73 Consider the legal abolition of death penalty (Timor-Leste);
132.74 사형제의 법적 폐지의 가능성을 고려할 것 (우즈베키스탄);
132.74 Consider possibilities of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n law (Uzbekistan);
132.75 사형제의 법적 폐지와, 모든 사형수에 대하여 징역형으로 감형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할 것 (리히텐슈타인);
132.75 Give due consideration to the leg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s well as to the commutation of all death sentences to terms of imprisonment (Liechtenstein);
132.76 사형제에 대한 공식적인 모라토리엄을 선언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를 밟을 것 (르완다);
132.76 Take measures to introduce a formal moratorium on executions and take concrete steps toward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Rwanda);
132.77 20년 동안 사실상의 모라토리엄 상태였던 사형제를 완전히 폐지할 것 (캐나다);
132.77 Fully abolish the death penalty, which has been under a de facto moratorium for 20 years (Canada);
132.78 사형제를 폐지하고, 기존의 사형은 징역형으로 감형할 것 (콜롬비아);
132.78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commute existing death penalties sentences to prison sentences (Colombia);
132.79 사형제를 폐지하고 이미 선고된 사형은 징역형으로 감형할 것 (파나마);
132.79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commute to prison terms the death sentences already pronounced (Panama);
132.80 모든 사형수에 대하여 지체 없이 징역형으로 감형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 비준을 추진할 것 (슬로베니아);
132.80 Commute without delay all death sentences to terms of imprisonment and work towards ratification of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Slovenia);
132.81 모든 사형수에 대하여 감형조치하고, 사형제를 폐지할 것 (스위스);
132.81 Commute all death sentences and take concrete measures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Switzerland);
132.82 기존의 모라토리엄 상태를 인정하여,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하여 사형제 폐지로 나아갈 것 (멕시코);
132.82 Make progress in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through ratification of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recognizing the existing moratorium (Mexico);
132.83 사형제를 법으로 완전히 폐지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포르투갈);
132.83 Fully abolish death penalty in the law and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Portugal);
132.84 사형제를 폐지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호주);
132.84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ustralia);
132.85 사형제 폐지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사형제가 범죄억제 효과가 없다는 점에 대하여 인식제고 노력을 펼칠 것 (프랑스);
132.85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raise awareness on the fact that the death penalty is not a useful instrument to fight crime (France);
132.86 사형제를 금지하는 법적 이니셔티브를 승인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스페인);
132.86 Approve a legislative initiative that proscribes the death penalty and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Spain);
132.87 모든 사형을 종신형으로 감형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 비준을 고려할 것 (몬테네그로);
132.87 Commute all remaining death sentences into life imprisonment and consider ratifying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Montenegro);
132.88 사형제를 법으로 폐지하고, 관련 의정서를 비준할 것 (나미비아);
132.88 Legally abolish the death sentence and ratify the relevant protocol (Namibia);
132.89 사형 적용에 대한 모라토리엄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정 명령을 발부하고, 가능한 한 빨리 사형제 폐지를 위한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 (아일랜드);
132.89 Issue an executive order to make the moratorium on the application of the death penalty official, and that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be ratified as early as possible (Ireland);
132.90 「국가보안법」의 자의적 적용으로 인해 부당하게 구금된 모든 정치범과 친통일적 인사들을 석방할 것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2.90 Release all political prisoners and pro-reunification figures who have been unjustly detained by arbitrary application of “National Security Law”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2.91 고문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범죄의 경중에 비례하는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할 것 (잠비아);
132.91 Revise the legislation to ensure acts of torture are criminalized and punishable by penalties commensurate with the gravity of the crime (Zambia);
132.92 부부간 성폭력을 범죄로 규정하는 입법조치를 취할 것 (파나마);
132.92 Undertake legislative measures to criminalize marital rape (Panama);
132.93 미군이 저지른 인권범죄에 대한 불처벌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2.93 Take measures to end the practice of impunity for human rights crimes committed by general infantrymen stationed in the country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2.94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비범죄화하고, 완전한 민간 성격의 대체복무제도를 도입하며, 양심적 병역거부를 이유로 수감된 모든 이들을 석방할 것 (독일);
132.94 Decriminalize conscientious objectors, introduce a genuinely civilian alternative to military service and release those imprisoned for refusing to perform military service (Germany);
132.95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인정하고, 현역 복무기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완전한 민간 성격의 대체복무제로 병역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제공할 것 (캐나다);
132.95 Recognize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nd allow conscientious objectors the option to perform an appropriate alternative service of a genuinely civilian character and of a length comparable to that of military service (Canada);
132.96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대체복무제도를 도입할 것 (미국);
132.96 Introduce alternatives to military service to protect conscientious objectors (United States of America);
132.97 현역 복무 기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이행할 수 있는 순수한 민간 성격의 적절한 비처벌적 대체 복무를 도입할 것 (호주);
132.97 Introduce an alternative non-punitive service of genuine civilian character, under civilian control and of a length comparable to military service (Australia);
132.98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하여 양심적 병역거부의 원인과 충돌하지 않으며, 비전투적이거나 또는 민간적 성격을 띠고, 공익에 부합하며, 비처벌적인 다양한 대체복무제도를 제공할 것 (크로아티아);
132.98 Provid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various forms of alternative service which are compatible with the reasons for conscientious objection, of a non-combatant or civilian character, in the public interest and not of a punitive nature (Croatia);
132.99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에 대하여 민간 성격을 띠며 민간 통제를 받는 비처벌적 성격의 대체복무제도를 보장할 수 있는 법을 제정하고, 대체복무제도의 제공을 위하여 의무적 군사훈련을 거부한다는 이유로 수감된 개인들의 상황을 조사할 것 (프랑스);
132.99 Adopt legislation to ensure that alternative services offered to conscientious objectors are of a civilian nature, placed under civilian authorities’ control, and devoid of any punitive dimension; examine the situation of individuals who are currently imprisoned for refusing to submit to compulsory military training, with a view to offering them an alternative civilian service (France);
132.100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대체복무제도를 마련할 것 (멕시코);
132.100 Set up an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to the compulsory military service in order to guarantee their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Mexico);
132.101 대한민국의 국제사회에 대한 인권의무에 부합하기 위하여,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위해 민간 통제 하에 운영되는 대체복무제도를 도입할 것 (스위스);
132.101 Establish an alternative service under civilian control for conscientious objectors, in conformity with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oblig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Switzerland);
132.102 의무복무제도와 관련해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권리를 행사한 이들을 형사처벌하는 제도를 바꾸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 (아르헨티나);
132.102 Make further progress in changing the regime which criminalizes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in relation to obligatory military service (Argentina);
132.103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위한 대체복무제도를 도입하고, 이들에 대한 징역형을 폐지하며, 민간 성격의 대체복무제도가 부재한 상황에서 병역의무의 이행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수감된 모든 이들을 석방할 것 (파나마);
132.103 Introduce alternatives to the military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abolish prison sentences and release all persons who have been incarcerated for having refused the military service in the absence of a civilian alternative (Panama);
132.104 양심적 병역거부를 법으로 인정할 것 (포르투갈);
132.104 Ensure the legal recogni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Portugal);
132.105 양심적 병역거부를 이유로 수감 또는 구금된 개인들을 석방하고, 이들의 전과기록을 삭제하는 것을 고려할 것 (크로아티아);
132.105 Release individuals imprisoned or detained solely on the basis of their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nd to consider expunging the corresponding charges from their criminal records (Croatia);
132.106 수감 또는 구금된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석방하는 것을 고려하고, 이에 해당하는 전과기록을 없애는 것을 고려할 것 (코스타리카);
132.106 Consider releasing those people imprisoned or detained because of their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nd consider removing the corresponding charges from their criminal record (Costa Rica);
132.107 명예훼손죄에 대하여는 민사적 제재만이 가능하도록 보장하고, 보상액은 발생된 피해에 비례하도록 할 것 (과테말라);
132.107 Guarantee that defamation is punishable only through civil law and that the compensation awarded is proportionate to the damage caused (Guatemala);
132.108 형사상 명예훼손 및 명예훼손에 관한 법을 민법으로 대체하고, 국가보안에 관련된 법률을 개정하여 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호를 확장할 것 (미국);
132.108 Replace criminal defamation and libel laws with civil ones, and reform national security laws to provide greater protections for free expression (United States of America);
132.109 「국가보안법」, 특히 그 제7조가 자의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개정하고, 이 법이 표현, 의견, 결사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침해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하며, 표현의 자유 및 결사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정당하게 행사했다는 이유만으로 부당하게 기소되고 징역형을 선고받은 개인들을 석방할 것 (독일);
132.109 Amend the National Security Law, in particular its article 7, to ensure that it is not used arbitrarily or to harass and restrict th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opinion and association, and release all individuals unjustly charged and sentenced to prison terms solely for the legitimate exercise of their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ociation (Germany);
132.110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국가보안법」 제7조를 검토할 것 (이라크);
132.110 Review article 7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which restricts freedom of expression (Iraq);
132.111 「국가보안법」을 검토하여 언론, 결사, 평화로운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포함한 인권에 대한 완전한 존중을 보장할 것 (포르투갈);
132.111 Review the National Security Act to ensure that it fully respects human rights, including the rights to freedom of speech, association and peaceful manifestation (Portugal);
132.112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조치를 강화하기 위하여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국가계획을 수립하고, 인신매매 피해자들의 권리가 보호되도록 보장할 것 (벨라루스);
132.112 Develop a national plan to combat trafficking in human beings with a view to strengthening the mechanism for the identification of victims of trafficking and to ensure their rights are protected (Belarus);
132.113 국회에서의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하여 성별 할당제를 수립할 것 (코스타리카);
132.113 Establish a gender quota system to increase women represent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Costa Rica);
132.114 임신중절수술을 비범죄화하는 등 여성의 재생산 권리를 존중할 것 (인도);
132.114 Respect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which includ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s (India);
132.115 임신중절수술을 받고자 하는 여성, 시술한 의사 및 의료진을 처벌하는 규정을 삭제할 것 (네덜란드);
132.115 Remove all penalties for women who seek abortion, and for doctors and other medical personnel involved in providing these services (Netherlands);
132.116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제 불임수술 사례에 대하여 조사할 것 (러시아);
132.116 Investigate cases of forced steriliz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Russian Federation);
132.117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제 불임수술 관행을 조속히 철폐할 것 (알바니아);
132.117 Urgently eliminate the practice of forced steriliz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Albania);
132.118 난민과 비호신청자의 자녀들을 포함하는 보편적 출생제도를 수립할 것 (이란);
132.118 Establish a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that includes children of refugees and asylum seekers (Islamic Republic of Iran);
132.119 부모의 체류자격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이 출생 직후 등록될 수 있도록 보편적인 출생신고제도를 수립할 것 (키르키즈스탄);
132.119 Establish a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to ensure that all children have access to birth registration immediately after birth, regardless of the status of their parents (Kyrgyzstan);
132.120 난민, 비호신청자, 무국적자의 자녀를 포함하는 보편적 출생신고제도를 도입할 것 (페루);
132.120 Adopt a universal system for birth registration, which includes children of refugees, asylum seekers and stateless persons (Peru);
132.121 부모의 체류자격과 관계없이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들이 보편적 출생신고제도에 포함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출생신고제도를 개선할 것 (터키);
132.121 Further improve the birth registration system as to ensure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to all children born in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regardless of the status of the parents (Turkey);
132.122 부모의 국적 및 체류자격에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출생신고에 대한 권리를 누릴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것 (카자흐스탄);
132.122 Consider establishing a system which guarantees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 parents’ nationality and status, the right to birth registration (Kazakhstan);
132.123 외국인을 위한 포괄적 국가출생신고제도를 구축하여 이들의 자녀들의 출생사실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할 것 (시에라리온);
132.123 Establish a comprehensive national birth registration system for foreign nationals to ensure the births of their children are registered (Sierra Leone);
132.124 부모의 국적에 관계없이 한국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들이 국가출생신고제도의 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보츠나와);
132.124 Establish a national birth registration system to register all births in Korea irrespective of the nationality of parents (Botswana);
132.125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비준하여 이주노동자들이 모든 인권침해로부터 보호받도록 보장할 것 (이집트);
132.125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to guarantee their protection against all human rights violations (Egypt);
132.126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 특히 아동이 생활비, 주거, 의료서비스, 교육에 대한 충분한 접근권을 갖도록 보장할 것 (콩고);
132.126 Ensure that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and in particular children have access to sufficient means of subsistence, to housing, to health care and to education (Congo);
132.127 이주노동자, 특히 이주여성노동자의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조치를 도입하여 이들의 한국사회 통합을 도울 것 (베트남);
132.127 Adopt further measures to promote working condition of migrant workers, especially women migrant workers and to improve their integration in the Korean society (Viet Nam);
132.128 「고용허가제법」을 개정하여 사업장 변경 기록이 있는 이주노동자의 비자 연장 또는 갱신이 제한을 받거나 거부당하지 않도록 할 것 (방글라데시);
132.128 Amend the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Act to ensure that an application for a visa extension or a renewal is not restricted or refused to migrant workers who have changed jobs (Bangladesh);
132.129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 특히 아동에게 적절한 생계수단, 주거, 의료, 교육을 보장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 (이란);
132.129 Make its best efforts to ensure that the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their children, enjoy an adequate livelihood, housing, health care and education (Islamic Republic of Iran);
132.130 학교에 등록된 미등록 이주아동의 강제출국 및 강제출국 명령 이후 구금을 전면 중단할 것 (방글라데시);
132.130 Completely stop deportation of undocumented migrant children enrolled in schools and their detention after deportation orders (Bangladesh).
133. 이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결론 및 권고사항은 제안국 또는 수검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서, 실무그룹 차원에서 수용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133. All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the present report reflect the position of the submitting State(s) and/or the State under review.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dorsed by the Working Group as a whole.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