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가치 동일보수에 관한 협약, 1951(ILO 협약 제100호)
Equal Remuneration Convention, 1951 (ILO No. 100)
채택일 1951. 6. 29.
/ 발효일 1953. 5. 23.
/ 대한민국 가입일 1997. 12. 8.
/ 적용일 1998. 12. 8.
참고/링크 자료 :
동일가치노동에 대한 남녀근로자의 동일보수에 관한 협약(ILO 협약 제100호)
Equal Remuneration Convention, 1951 (No. 100)
제1조
Article 1
이 협약의 목적상,
For the purpose of this Convention:
가. "보수"라 함은 통상 기본 또는 최저의 임금이나 봉급 그리고 고용을 이유로 지불하는 모든 추가적 급여를 말한다.
(a) The term "remuneration" includes the ordinary, basic or minimum wage or salary and any additional emoluments whatsoever payable directly or indirectly, whether in cash or in kind, by the employer to the worker and arising out of the worker's employment;
나. "동일가치 노동에 대한 남녀근로자의 동일보수"라 함은 성별에 따른 차별없이 정하여지는 보수액을 말한다.
(b) The term "equal remuneration for men and women workers for work of equal value" refers to rates of remuneration established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sex.
제2조
Article 2
1. 회원국은 보수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적합한 수단으로 동일가치 노동에 대한 남녀근로자의 동일보수 원칙을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할 것을 촉진하며, 이 방법과 일치하는 한 그 적용을 보장한다.
1. Each Member shall, by means appropriate to the methods in operation for determining rates of remuneration, promote and, in so far as is consistent with such methods, ensure the application to all workers of the principle of equal remuneration for men and women workers for work of equal value.
2. 이 원칙은 다음의 수단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다.
2. This principle may be applied by means of:
가. 국내법령
(a) National laws or regulations;
나. 합법적으로 제정되었거나 인정된 임금결정체계
(b) Legally established or recognised machinery for wage determination;
다. 사용자와 노동자간의 단체협약
(c) Collective agreements between employers and workers; or
라. 위의 각종 수단의 조합
(d) A combination of these various means.
제3조
Article 3
1. 이 협약의 규정을 이행하는데 도움이 될 경우에는, 수행되는 노동을 기초로 한 객관적인 직무평가를 장려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1. Where such action will assist in giving eff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measures shall be taken to promote objective appraisal of jobs on the basis of the work to be performed.
2. 이 직무평가시에 따라야 할 방법은 보수액의 결정을 담당하는 기관이 결정할 수 있고, 보수액이 단체협약에 의하여 결정될 경우 에는 그 단체협약의 당사자가 결정할 수 있다.
2. The methods to be followed in this appraisal may be decided upon by the authorities responsible for the determination of rates of remuneration, or, where such rates are determined by collective agreements, by the parties thereto.
3. 근로자간 보수액의 차이는 위의 객관적인 평가로 볼 때 성별에 관계없이 행하여지는 노동의 차이와 일치하면 동일가치 노동에 대한 남녀근로자의 동일보수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3. Differential rates between workers, which correspond, without regard to sex, to differences, as determined by such objective appraisal, in the work to be performed, shall not be considered as being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equal remuneration for men and women workers for work of equal value.
제4조
Article 4
회원국은 이 협약의 규정을 이행할 목적으로 관련 사용자단체 및 근로자단체와 적절히 협력한다.
Each Member shall co-operate as appropriate with the employers' and workers' organisations concerned for the purpose of giving effect to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제5조
Article 5
이 협약의 정식 비준서는 등록을 위하여 국제노동사무국장에게 송부한다.
The formal ratification of this Convention shall be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for registration.
제6조
Article 6
1. 이 협약은 국제노동사무국장에게 비준이 등록된 국제노동기구회원국만을 기속한다.
1. This Convention shall be binding only upon thos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whose ratifications have been registered with the Director-General.
2. 이 협약은 2개 회원국이 사무국장에게 비준을 등록한 날부터 12월 후에 발효한다.
2. It shall come into force twelve months after the date on which the ratifications of two Members have been registered with the Director-General.
3. 협약 발효후에 비준한 회원국에 대하여, 이 협약은 비준서를 등록한 날부터 12월 후에 발효한다.
3. Thereafter, this Convention shall come into force for any Member twelve months after the date on which its ratification has been registered.
제7조
Article 7
1. 국제노동기구헌장 제35조제2항에 의하여 국제노동사무국장에게 송부되는 선언은 다음 사항을 명시한다.
1. Declarations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of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shall indicate:
가. 협약의 규정을 수정하지 아니하고 적용할 것을 약속하는 지역
(a)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the Member concerned undertak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shall be applied without modification;
나. 협약의 규정을 수정하여 적용할 것을 약속하는 지역 및 상세한 수정내역
(b)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it undertak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shall be applied subject to modifications, together with details of the said modifications;
다. 협약을 적용할 수 없는 지역 및 그 이유
(c)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the Convention is inapplicable and in such cases the grounds on which it is inapplicable;
라. 입장에 대한 추후 고려시까지 결정을 유보하는 지역
(d)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it reserves its decisions pending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2. 제1항 가목 및 나목에 규정된 약속사항은 비준서의 불가분의 일부로 간주되며 비준의 효력을 가진다.
2. The undertakings referred to in subparagraphs (a) and (b) of paragraph 1 of this article shall be deemed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 ratification and shall have the force of ratification.
3. 회원국은 제1항 나목·다목 또는 라목에 의하여 최초의 선언에서 한 유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추후 선언으로 언제든지 취소할 수 있다.
3. Any member may at any time by a subsequent declaration cancel in whole or in part any reservation made in its original declaration by virtue of subparagraphs (b), (c) or (d) of paragraph 1 of this article.
4. 회원국은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이 협약을 폐기할 수 있는 기간중 언제든지 과거 선언의 조항을 변경하고 지정지역에 관하여 현재입장을 기술한 선언을 사무국장에게 통보할 수 있다.
4. Any Member may, at any time at which the Convention is subject to denun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9, communicate to the Director-General a declaration modifying in any other respect the terms of any former declaration and stating the present position in respect of such territories as it may specify.
제8조
Article 8
1. 국제노동기구헌장 제35조제4항 또는 제5항에 의하여 국제노동사무국장에게 송부되는 선언은 해당지역에서 이 협약의 규정을 수정없이 적용할 것인지 수정하여 적용할 것인지를 명시한다. 선언이 이 협약의 규정을 수정하여 적용할 것임을 명시하는 경우에는, 선언에 수정의 상세사항을 기술한다.
1. Declarations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s 4 and 5 of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shall indicate whether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will be applied in the territory concerned without modification or subject to modification; when the declaration indicat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will be applied subject to modification, it shall give details of the said modifications.
2. 하나 이상의 관련회원국 또는 관련국제기구는 과거의 선언에 명시된 수정을 할 수 있는 권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추후의 선언에 의하여 언제든지 포기할 수 있다.
2. The Member, Members or international authority concerned may at any time by a subsequent declaration renounce in whole or in part the right to have recourse to any modification indicated in any former declaration.
3. 하나 이상의 관련회원국이나 관련국제기구는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협약을 폐기할 수 있는 기간중에는 언제든지 이전의 선언의 조건을 다른 사항에 관하여 수정하고, 이 협약의 적용에 관련된 현 재의 사정을 기술한 선언을 사무국장에게 통고할 수 있다.
3. The Member, Members or international authority concerned may, at any time at which this Convention is subject to denun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9, communicate to the Director-General a declaration modifying in any other respect the terms of any former declaration and stating the present position in resp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제9조
Article 9
1. 이 협약을 비준한 회원국은 이 협약이 발효일부터 10년이 만료 한 후 국제노동사무국장에게 문서를 등록함으로써 협약을 폐기할 수 있다. 협약의 폐기는 등록일부터 1년 후에 발효한다.
1. A Member which has ratified this Convention may denounce it after the expiration of ten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the Convention first comes into force, by an act communicated to the Director- 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for registration. Such denunciation shall not take effect until one year after the date on which it is registered.
2. 이 협약을 비준하고 제1항의 규정에 의한 10년이 만료한 후 1년내에 이 조에 규정된 폐기권을 행사하지 아니한 회원국은 다시 10년의 기간 협약의 기속을 받으며 그 후 10년의 기간이 만료할 때 마다 이 조에 규정된 조건에 따라 협약을 폐기할 수 있다.
2. Each Member which has ratified this Convention and which does not, within the year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of ten years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exercise the right of denunciation provided for in this article, will be bound for another period of ten years and, thereafter, may denounce this Convention at the expiration of each period of ten years under the terms provided for in this article.
제10조
Article 10
1. 국제노동사무국장은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으로부터 통보받은 모든 비준.선언 및 폐기에 관한 등록사항을 기구의 모든 회원국에 통고한다.
1.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shall notify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of the registration of all ratifications, declarations and denunciations communicated to him by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2. 국제노동사무국장은 2번째의 비준등록 통보를 받아 회원국에 통고할 경우 협약의 발효일에 대하여 기구 회원국의 주의를 환기한다.
2. When notifying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of the registration of the second ratification communicated to him, the Director-General shall draw the attention of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to the date upon which the Convention will come into force.
제11조
Article 11
국제노동사무국장은 위 조항들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된 모든 비준서.선언서 및 폐기서의 명세를 국제연합헌장 제102조에 의하여 등록하기 위하여 국제연합사무총장에게 통보한다.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shall communicate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for registra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102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full particulars of all ratifications, declarations and acts of denunciation registered by him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receding articles.
제12조
Article 12
국제노동사무국 이사회는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협약의 이행에 관한 보고서를 총회에 제출하며, 협약의 전부 또는 일부 개정에 관한 문제를 총회의 의제로 상정할 것인지를 심의한다.
At such times as it may consider necessary, the Governing Body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shall present to the General Conference a report on the working of this Convention and shall examine the desirability of placing on the agenda of the Conference the question of its revision in whole or in part.
제13조
Article 13
1. 총회가 이 협약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정하는 신협약을 채택하는 경우, 신협약에 달리 규정하지 아니하는 한
1. Should the Conference adopt a new Convention revising this Convention in whole or in part, then, unless the new Convention otherwise provides:
가. 회원국이 신 개정협약의 비준으로 신 개정협약이 발효하였을 때 제9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이 협약은 즉시 폐기된다.
(a) The ratification by a Member of the new revising Convention shall ipso jure involve the immediate denunciation of this Convention,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article 9 above, if and when the new revising Convention shall have come into force;
나. 이 협약은 신 개정협약의 발효일부터 더 이상 회원국의 비준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b) As from the date when the new revising Convention comes into force this Convention shall cease to be open to ratification by the Members.
2. 이 협약을 비준하였으나 신 개정협약을 비준하지 아니한 회원국에 대하여 이 협약은 현재의 형식 및 내용으로 계속 유효하다.
2. This Convention shall in any case remain in force in its actual form and content for those Members which have ratified it but have not ratified the revising Convention.
제14조
Article 14
이 협약의 영문본 및 불어본을 동등하게 정본으로 한다.
The English and French versions of the text of this Convention are equally authoritative.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