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1948(ILO 협약 제087호)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ze Convention, 1948 (ILO No. 087)
채택일 1948. 7. 9.
/ 발효일 1950. 7. 4.
/ 대한민국 가입일 2021. 4. 20.
/ 적용일 2022. 4. 20.
참고/링크 자료 :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ILO 협약 제87호)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ze Convention, 1948 (No. 87)
전문
Preamble
국제노동기구 총회는,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이사회가 1948년 6월 17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소집한 제31차 회기를 개최하고,
Having been convened at San Francisco by the Governing Body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and having met in its thirty-first session on 17 June 1948,
회기 의제 일곱 번째 안건인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제안을 국제협약의 형식으로 채택할 것을 결정하며,
Having decided to adopt, in the form of a Convention, certain proposals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which is the seventh item on the agenda of the session,
「국제노동기구헌장」 전문에서 "결사의 자유 원칙의 인정"은 노동 조건을 개선하고 평화를 확립하는 수단이라고 선언하고 있음을 고려하고,
Considering that the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declares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of freedom of association" to be a means of improving conditions of labour and of establishing peace,
필라델피아 선언에서 "결사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는 지속적인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재확인하고 있음을 고려하며,
Considering that the Declaration of Philadelphia reaffirms that "freedom of expression and of association are essential to sustained progress",
국제노동기구 총회 제30차 회기에서 국제적 규정의 기반을 형성하는 원칙들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음을 고려하고,
Considering that the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at its thirtieth session, unanimously adopted the principles which should form the basis for international regulation,
국제연합 총회 제2차 회기에서 이러한 원칙들을 지지하고, 국제노동기구가 하나 이상의 국제협약을 채택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계속할 것을 요청하였음을 고려하여,
Considering that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at its second session, endorsed these principles and requested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to continue every effort in order that it may be possible to adopt one or several international Conventions,
1948년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 협약이라고 부를 다음의 협약을 1948년 7윌 9일 채택한다.
Adopts this ninth day of July of the year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forty-eight the following Convention, which may be cited as the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1948:
제1절 결사의 자유
Part I FREEDOM OF ASSOCIATION
제1조
Article 1
이 협약이 시행되고 있는 각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은 다음의 규정을 이행할 것을 약속한다.
Each Member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for which this Convention is in force undertakes to give effect to the following provisions.
제2조
Article 2
노동자 및 사용자는 어떠한 차별도 없이 사전 인가를 받지 않고 스스로 선택하여 단체를 설립하고 해당 단체의 규칙만을 따를 것을 조건으로 하여 그 단체에 가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Workers and employers, without distinction whatsoever, shall have the right to establish and, subject only to the rules of the organisation concerned, to join organisations of their own choosing without previous authorisation.
제3조
Article 3
1. 노동자단체 및 사용자단체는 그들의 규약과 규칙을 작성하고, 완전히 자유롭게 대표자를 선출하며, 관리 및 활동을 조직하고, 사업을 수립할 권리를 가진다.
1. Workers' and employers' organisations shall have the right to draw up their constitutions and rules, to elect their representatives in full freedom, to organise their administration and activities and to formulate their programmes.
2. 공공기관은 이 권리를 제한하거나 이 권리의 합법적인 행사를 방해하는 어떠한 간섭도 삼간다.
2. The public authorities shall refrain from any interference which would restrict this right or impede the lawful exercise thereof.
제4조
Article 4
노동자단체 및 사용자단체는 행정기관에 의해 해산되거나 활동이 정지되지 않는다.
Workers' and employers' organisations shall not be liable to be dissolved or suspended by administrative authority.
제5조
Article 5
노동자단체 및 사용자단체는 연맹과 총연합단체를 설립하고 이에 가입할 권리를 가지며, 이러한 단체, 연맹 또는 총연합단체는 국제적인 노동자단체 및 사용자단체와 제휴할 권리를 갖는다.
Workers' and employers' organisations shall have the right to establish and join federations and confederations and any such organisation, federation or confederation shall have the right to affiliate with international organisations of workers and employers.
제6조
Article 6
이 협약 제2조, 제3조 및 제4조의 규정은 노동자단체 및 사용자단체의 연맹 및 총연합단체에 적용된다.
The provisions of articles 2, 3 and 4 hereof apply to federations and confederations of workers' and employers' organisations.
제7조
Article 7
노동자단체와 사용자단체, 연맹 및 총연합단체의 법인격 취득은 이 협약 제2조, 제3조 및 제4조 규정의 적용을 제한하는 성격의 조건을 적용받지 않는다.
The acquisition of legal personality by workers' and employers' organisations, federations and confederations shall not be made subject to conditions of such a character as to restrict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f articles 2, 3 and 4 hereof.
제8조
Article 8
1. 이 협약에 규정된 권리를 행사하는 데 있어 노동자 및 사용자 그리고 그들 각각의 단체는 다른 개인이나 조직된 집단과 마찬가지로 국내법을 존중한다.
1. In exercising the rights provided for in this Convention workers and employers and their respective organisations, like other persons or organised collectivities, shall respect the law of the land.
2. 국내법은 이 협약에 규정된 보장사항을 저해하는 것이거나, 저해할 목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2. The law of the land shall not be such as to impair, nor shall it be so applied as to impair, the guarantees provided for in this Convention.
제9조
Article 9
1. 이 협약에 규정된 보장사항이 군대 및 경찰에 적용되는 범위는 국내 법령으로 정한다.
1. The extent to which the guarantees provided for in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the armed forces and the police shall be determined by national laws or regulations.
2. 「국제노동기구헌장」 제19조제8항에 명시된 원칙에 따라, 회원국의 이 협약 비준은 군대 또는 경찰 구성원이 이 협약에서 보장하는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법률, 판결, 관행 또는 합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2.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set forth in paragraph 8 of article 19 of the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the ratification of this Convention by any Member shall not be deemed to affect any existing law, award, custom or agreement in virtue of which members of the armed forces or the police enjoy any right guaranteed by this Convention.
제10조
Article 10
이 협약에서 단체는 노동자 또는 사용자의 이익을 증진하고 옹호하기 위한 모든 노동자단체 또는 사용자단체를 의미한다.
In this Convention the term "organisation" means any organisation of workers or of employers for furthering and defending the interests of workers or of employers.
제2절 단결권 보호
Part II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제11조
Article 11
이 협약이 시행되고 있는 각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은 노동자 및 사용자가 단결권을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하고 적절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한다.
Each Member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for which this Convention is in force undertakes to take all necessary and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that workers and employers may exercise freely the right to organise.
제3절 그 밖의 규정
Part III MISCELLANEOUS PROVISIONS
제12조
Article 12
1. 이 협약을 비준하는 각 회원국은 1946년 「국제노동기구헌장」의 개정서에 의해 개정된 「국제노동기구헌장」 제35조에 언급된 영역과 관련하여, 개정된 같은 조 제4항 및 제5항에 언급된 영역을 제외하고, 비준과 함께 또는 비준 후 가능한 한 빨리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에게 다음을 명시하는 선언을 통보한다.
1. In respect of the territories referred to in article 35 of the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as amend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Instrument of Amendment, 1946, other than the territories referred to in paragraphs 4 and 5 of the said article as so amended, each Member of the Organisation which ratifies this Convention shall communicate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with or as soon as possible after its ratification a declaration stating:
가. 회원국이 협약 규정을 수정 없이 적용하겠다고 약속한 영역
(a)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it undertak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shall be applied without modification;
나. 회원국이 협약 규정을 수정에 따라 적용하겠다고 약속한 영역 및 그 수정의 세부사항
(b)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it undertak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shall be applied subject to modifications, together with details of the said modifications;
다. 협약이 적용될 수 없는 영역과 그러한 경우에 적용될 수 없는 이유
(c)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the Convention is inapplicable and in such cases the grounds on which it is inapplicable;
라. 회원국이 결정을 유보한 영역
(d) The territories in respect of which it reserves its decision.
2. 이 조 제1항가호 및 나호에 언급된 약속은 비준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되며 비준의 효력을 가진다.
2. The undertakings referred to in subparagraphs (a) and (b) of paragraph 1 of this article shall be deemed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 ratification and shall have the force of ratification.
3. 회원국은 언제든 추후 선언을 통해 이 조 제1항나호, 다호 또는 라호에 따른 원래 선언에서 한 유보를 전부 또는 일부 철회할 수 있다.
3. Any Member may at any time by a subsequent declaration cancel in whole or in part any reservations made in its original declaration in virtue of subparagraphs (b), (c) or (d) of paragraph 1 of this article.
4. 모든 회원국은 제16조의 규정에 따라 이 협약이 폐기될 수 있을 때는 언제든 이전 선언의 조건을 달리 수정하고 그 선언이 명시한 영역과 관련하여 현재의 입장을 명시하는 선언을 사무총장에게 통보할 수 있다.
4. Any Member may, at any time at which this Convention is subject to denun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16, communicate to the Director-General a declaration modifying in any other respect the terms of any former declaration and stating the present position in respect of such territories as it may specify.
제13조
Article 13
1. 이 협약의 주제가 본국이 아닌 영역의 자치권한에 속하는 경우, 해당 영역의 국제관계를 책임지는 회원국은 해당 영역 정부와의 합의를 통해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에게 해당 영역을 대신하여 이 협약 의무를 수락하는 선언을 통보할 수 있다.
1. Where the subject-matter of this Convention is within the self-governing powers of any non-metropolitan territory, the Member responsible fo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at territory may, in agreement with the government of the territory, communicate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a declaration accepting on behalf of the territory the obligations of this Convention.
2. 이 협약의 의무를 수용하는 선언은 다음의 주체가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에게 통보할 수 있다.
2. A declaration accepting the obligations of this Convention may be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가. 두 개 이상의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의 공동 권한하에 있는 영역과 관련하여 그 두 개 이상의 회원국, 또는
(a) By two or mor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in respect of any territory which is under their joint authority; or
나. 「국제연합헌장」에 따라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국제기관이 행정을 책임지는 영역과 관련하여 그 국제기관
(b) By any international authority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any territory, in virtue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or otherwise, in respect of any such territory.
3. 이 조의 위 항들에 따라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에게 통보된 선언은 해당 영역에서 협약 규정이 수정 없이 또는 수정을 조건으로 적용될 것인지를 명시한다. 선언에서 협약 규정이 수정을 조건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명시하는 경우, 그 선언은 그러한 수정의 세부사항을 설명한다.
3. Declarations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ceding paragraphs of this article shall indicate whether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will be applied in the territory concerned without modification or subject to modifications; when the declaration indicates tha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will be applied subject to modifications it shall give details of the said modifications.
4. 해당 회원국, 회원국들 또는 국제기관은 언제든 추후 선언을 통해 이전 선언에 명시된 수정을 사용할 권리를 전부 또는 일부 포기할 수 있다.
4. The Member, Members or international authority concerned may at any time by a subsequent declaration renounce in whole or in part the right to have recourse to any modification indicated in any former declaration.
5. 해당 회원국, 회원국들 또는 국제기관은 제16조의 규정에 따라 이 협약이 폐기될 수 있을 때는 언제든 이전 선언의 조건을 달리 수정하고 협약 적용과 관련하여 현재의 입장을 명시하는 선언을 사무총장에게 통보할 수 있다.
5. The Member, Members or international authority concerned may, at any time at which this Convention is subject to denunc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16, communicate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a declaration modifying in any other respect the terms of any former declaration and stating the present position in resp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제4절 최종 규정
Part IV FINAL PROVISIONS
제14조
Article 14
이 협약의 공식 비준은 등록을 위해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에게 통보된다.
The formal ratifications of this Convention shall be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for registration.
제15조
Article 15
1. 이 협약은 사무총장에게 비준이 등록된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에만 구속력이 있다.
1. This Convention shall be binding only upon thos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whose ratifications have been registered with the Director-General.
2. 이 협약은 2개의 회원국이 사무총장에게 비준을 등록한 날 후 12개월째 되는 날에 발효한다.
2. It shall come into force twelve months after the date on which the ratifications of two Members have been registered with the Director-General.
3. 그 이후 이 협약은 회원국에 대해 그 회원국의 비준이 등록된 날 후 12개월째 되는 날에 발효한다.
3. Thereafter, this Convention shall come into force for any Member twelve months after the date on which its ratification has been registered.
제16조
Article 16
1. 이 협약을 비준한 회원국은 협약이 처음 발효한 날부터 10년이 경과한 후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에게 등록을 위해 통보하는 행위를 통해 협약을 폐기할 수 있다. 그러한 폐기는 등록된 날 후 1년이 될 때까지 발효하지 않는다.
1. A Member which has ratified this Convention may denounce it after the expiration of ten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the Convention first comes into force, by an act communicated to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for registration. Such denunciation shall not take effect until one year after the date on which it is registered.
2. 이 협약을 비준하고 위 항에서 언급된 10년의 기간이 만료된 후 1년 내에 이 조에 규정된 폐기권을 행사하지 않는 각 회원국은 다음 10년의 기간 동안 이 협약에 기속되며, 각 10년의 기간이 만료되었을 때에 이 조에서 규정한 조건에 따라 협약을 폐기할 수 있다.
2. Each Member which has ratified this Convention and which does not, within the year following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of ten years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exercise the right of denunciation provided for in this article, will be bound for another period of ten years and, thereafter, may denounce this Convention at the expiration of each period of ten years under the terms provided for in this article.
제17조
Article 17
1.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은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이 자신에게 통보한 모든 비준, 선언 및 폐기에 대한 등록을 모든 회원국에 통보한다.
1.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shall notify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of the registration of all ratifications, declarations and denunciations communicated to him by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2. 사무총장은 자신에게 통보된 두 번째 비준 등록을 회원국에 통보할 때, 협약이 발효할 날짜에 대해 회원국의 주의를 환기한다.
2. When notifying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of the registration of the second ratification communicated to him, the Director-General shall draw the attention of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 to the date upon which the Convention will come into force.
제18조
Article 18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사무총장은 위 규정에 따라 그가 등록한 모든 비준, 선언 및 폐기 행위에 대한 모든 세부사항을 「국제연합헌장」 제102조에 따라 등록하기 위해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통보한다.
The Director-General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shall communicate to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for registra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102 of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full particulars of all ratifications, declarations and acts of denunciation registered by him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receding articles.
제19조
Article 19
국제노동기구 사무국 이사회는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 협약 운용에 관한 보고서를 총회에 제출하고, 전부 또는 일부 개정 문제를 총회 의제로 상정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한다.
At the expiration of each period of ten years after the coming into force of this Convention, the Governing Body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ffice shall present to the General Conference a report on the working of this Convention and shall consider the desirability of placing on the agenda of the Conference the question of its revision in whole or in part.
제20조
Article 20
1. 총회에서 이 협약을 전부 또는 일부를 개정하는 새 협약을 채택하는 경우, 새 협약에서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1. Should the Conference adopt a new Convention revising this Convention in whole or in part, then, unless the new Convention otherwise provides:
가. 새 개정 협약이 발효한 경우 발효 시점에, 위 제16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회원국의 새 개정 협약 비준은 법률상 이 협약의 즉각적인 폐기를 수반한다.
(a) The ratification by a Member of the new revising Convention shall ipso jure involve the immediate denunciation of this Convention,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of article 16 above, if and when the new revising Convention shall have come into force;
나. 새 개정 협약이 발효하는 날부터 이 협약은 더 이상 회원국의 비준을 위해 개방되지 않는다.
(b) As from the date when the new revising Convention comes into force this Convention shall cease to be open to ratification by the Members.
2. 이 협약을 비준하였으나 개정 협약은 비준하지 않은 회원국에 대해 이 협약은 어떤 경우에도 현재의 형식 및 내용으로 계속 유효하다.
2. This Convention shall in any case remain in force in its actual form and content for those Members which have ratified it but have not ratified the revising Convention.
제21조
Article 21
이 협약의 영어본 및 프랑스어본은 동등하게 정본이다.
The English and French versions of the text of this Convention are equally authoritative.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