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사태 및 무력 충돌 시 여성과 아동의 보호에 관한 선언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in Emergency and Armed Conflict
채택일 1974. 12. 14.
참고/링크 자료 :
비상사태 및 무력 충돌 시 여성과 아동의 보호에 관한 선언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in Emergency and Armed Conflict
1974년 12월 14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제3318호(XXIX)로 선포
Proclaimed by General Assembly resolution 3318 (XXIX) of 14 December 1974
국제연합 총회는,
The General Assembly,
1974년 5월 16일 자 결의 제1861호(LVI)에 포함된 경제사회이사회의 권고를 고려하고,
Having considered the recommendation of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contained in its resolution 1861 (LVI) of 16 May 1974,
평화, 자결, 민족 해방 및 독립 투쟁에서 비상사태 및 무력충돌의 시기에 빈번하게 비인도적 행위의 피해자가 되어 그 결과 심각한 해를 입는 민간인 주민에 속하는 여성과 아동의 고통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Expressing its deep concern over the sufferings of women and children belonging to the civilian population who in periods of emergency and armed conflict in the struggle for peace, self-determination, national liberation and independence are too often the victims of inhuman acts and consequently suffer serious harm,
세계의 많은 지역, 특히 억압, 침략, 식민주의, 인종주의, 외세의 지배 및 외국의 속박을 받는 지역의 여성과 아동의 고통을 인식하고,
Aware of the suffering of women and children in many areas of the world, especially in those areas subject to suppression, aggression, colonialism, racism, alien domination and foreign subjugation,
일반적이고 명백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 인종주의, 외세 및 외국의 지배가 민족 해방 운동을 잔인하게 진압하고 여성과 아동을 포함하여 자신의 지배 아래 있는 주민들에게 막대한 손실과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가하면서 여전히 다수의 인민을 계속해서 지배 아래 두고 있다는 사실을 깊이 우려하며,
Deeply concerned by the fact that, despite general and unequivocal condemnation, colonialism, racism and alien and foreign domination continue to subject many peoples under their yoke, cruelly suppressing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and inflicting heavy losses and incalculable sufferings on the populations under their domination, including women and children,
기본적 자유와 인간의 존엄에 대한 중대한 공격이 여전히 자행되고 있으며 식민주의와 인종주의적인 외국 지배 세력이 국제인도법을 계속해서 위반하고 있다는 사실을 개탄하고,
Deploring the fact that grave attacks are still being made on fundamental freedoms and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and that colonial and racist foreign domination Powers continue to violate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평시 및 전시 여성과 아동의 보호와 관련된 국제인도법 문서에 포함된 관련 규정들을 상기하며,
Recalling the relevant provisions contained in the instrument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relative to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in time of peace and war,
다른 중요한 문서들 중에서도 인권 존중 및 무력 충돌 시 민간인 주민의 보호를 위한 기본 원칙에 관한 1968년 12월 19일 자 결의 제2444호(XXIII), 1969년 12월 16일 자 결의 제2597호(XXIV), 1970년 12월 9일 자 결의 제2674호(XXV) 및 제2675호(XXV)와 비상사태 또는 전시 여성과 아동의 보호에 관한 선언의 초안 작성 가능성을 검토하도록 국제연합 총회에 요청한 1970년 5월 28일 자 경제사회이사회 결의 제1515호(XLVIII)를 상기하며,
Recalling , among other important documents, its resolutions 2444 (XXIII) of 19 December 1968, 2597 (XXIV) of 16 December 1969 and 2674 (XXV) and 2675 (XXV) of 9 December 1970, on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on basic principles for the protection of civilian populations in armed conflicts, as well a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resolution 1515 (XLVIII) of 28 May 1970 in which the Council requested the General Assembl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rafting a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in emergency or wartime,
신진 세대의 운명과 사회, 가정, 그리고 특히 자녀 양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母)의 운명에 대한 책임을 의식하며,
Conscious of its responsibility for the destiny of the rising generation and for the destiny of mother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ety, in the family and particularly in the upbringing of children,
민간인 주민에 속하는 여성과 아동을 특별히 보호할 필요성을 유념하면서,
Bearing in mind the need to provide special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belonging to the civilian population,
비상사태 및 무력 충돌 시 여성과 아동의 보호에 관한 이 선언을 엄숙히 선포하며 모든 회원국이 이 선언을 엄격히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
Solemnly proclaims this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in Emergency and Armed Conflict and calls for the strict observance of the Declaration by all Member States:
1.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가하는 민간인 주민, 특히 가장 취약한 주민 구성원인 여성과 아동에 대한 공격과 폭격은 금지되며, 그 행위는 규탄받는다.
1. Attacks and bombings on the civilian population, inflicting incalculable suffering, especially on women and children, who are the most vulnerable members of the population, shall be prohibited, and such acts shall be condemned.
2. 군사 작전 과정에서 화학 및 세균무기의 사용은 1925년 제네바 의정서, 1949년 제네바 협약 및 국제인도법 원칙에 대한 가장 명백한 위반을 구성하며 무방비 상태의 여성과 아동을 포함하여 민간인 주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엄중하게 규탄받는다.
2. The use of chemical and bacteriological weapons in the course of military operations constitutes one of the most flagrant violations of the Geneva Protocol of 1925, the Geneva Conventions of 1949 and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inflicts heavy losses on civilian populations, including defenceless women and children, and shall be severely condemned.
3. 모든 국가는 1925년 제네바 의정서, 1949년 제네바 협약, 그리고 여성과 아동의 보호를 위한 중요한 보장을 제공하는 무력 충돌 시의 인권 존중에 관한 그 밖의 국제법 문서에 따른 의무를 완전히 준수한다.
3. All States shall abide fully by their obligations under the Geneva Protocol of 1925 and the Geneva Conventions of 1949, as well as other instruments of international law relative to respect for human rights in armed conflicts, which offer important guarantees for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4. 무력 충돌, 외국 영토에서의 군사 작전 또는 여전히 식민 지배 아래 있는 영토에서의 군사 작전에 관여하고 있는 국가는 전쟁의 참화로부터 여성과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한다. 특히 여성과 아동으로 구성된 민간인 주민에 대한 박해, 고문, 징벌적 조치, 굴욕적인 대우 및 폭력과 같은 조치의 금지를 보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한다.
4. All efforts shall be made by States involved in armed conflicts, military operations in foreign territories or military operations in territories still under colonial domination to spare women and children from the ravages of war. All the necessary steps shall be taken to ensure the prohibition of measures such as persecution, torture, punitive measures, degrading treatment and violence, particularly against that part of the civilian population that consists of women and children.
5. 군사 작전 중 또는 점령지에서 교전자가 자행하는 구금, 고문, 총격, 대량 체포, 집단 처벌, 주거지 파괴 및 강제 퇴거를 포함하여 여성과 아동에 대한 모든 형태의 억압과 잔혹하고 비인도적인 대우는 범죄로 간주한다.
5. All forms of repression and cruel and inhuman treatment of women and children, including imprisonment, torture, shooting, mass arrests, collective punishment, destruction of dwellings and forcible eviction, committed by belligerents in the course of military operations or in occupied territories shall be considered criminal.
6. 민간인 주민에 속하고 평화, 자결, 민족 해방 및 독립 투쟁에서 비상사태 및 무력 충돌 상황에 놓여 있거나 점령지에 거주하는 여성과 아동은 「세계인권선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아동의 권리에 관한 선언」 또는 그 밖의 국제법 문서에 있는 규정에 따라 피난처, 식량, 의료 지원 또는 기타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박탈당해서는 안 된다.
6. Women and children belonging to the civilian population and finding themselves in circumstances of emergency and armed conflict in the struggle for peace, self-determination, national liberation and independence, or who live in occupied territories, shall not be deprived of shelter, food, medical aid or other inalienable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or other instruments of international law.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