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권위원회 개인통보 (2003): 강용주 vs 대한민국
CCPR Individual Communications (2003): Kang Yong-Joo vs Republic of Korea
배포일 2003. 7. 6.
제출자(통보자) : 강용주 (대리인 조용환 변호사)
피해자 : 제출자
당사국 : 대한민국
제출일 : 1998. 5. 27.
채택일 : 2003. 7. 15.
제출일 : 1998. 5. 27.
채택일 : 2003. 7. 15.
통보번호 878/1999
Communication No. 878/1999
통보자: 강용주 (대리인 조용환 변호사)
Submitted by: Yong-Joo Kang (represented by counsel, Mr. Yong-Whan Cho)
피해자: 통보자
Alleged victim: The author
당사국: 대한민국
State party: Republic of Korea
통보일: 1998년 5월 27일
Date of communication: 27 May 1998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제28조에 따라 설치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The Human Rights Committee, established under article 28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2003년 7월 15일에 열린 회의에서
Meeting on 15 July 2003,
강용주 씨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에 따라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에 제출한 통보번호 878/1999에 대한 심의를 종결하고
Having concluded its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No. 878/1999, submitted to the Human Rights Committee on behalf of Mr. Yong-Joo Kang under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통보의 제출자 및 대한민국이 위원회에 제공한 모든 문서 자료를 심의하여
Having taken into account all written information made available to it by the author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State party,
다음과 같은 견해를 채택한다:
Adopts the following:
선택의정서 제5조 4항에 따른 견해
Views under article 5, paragraph 4, of the Optional Protocol
1. 1998년 5월 27일자의 통보 제출자는 한국인 강용주(남) 씨로 통보 제출 당시 수감 상태였다. 그는 곧 석방되었다. 그는 대한민국에 의한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0조 1항과 3항, 제18조 1항과 2항, 제19조 1항과 2항, 제26조 위반의 피해자라고 주장한다. 이 통보는 변호사 가 통보자를 대리하여 제출했다. 선택의정서는 1990년 7월 10일 대한민국에서 효력이 발생되었다.
1. The author of the communication, dated 27 May 1998, is Mr. Yong-Joo Kang, a Korean citizen, in prison at the time of submission of the communication. He was subsequently released. He claims to be the victim of a violation by the Republic of Korea of articles 10, paragraphs 1 and 3, 18, paragraphs 1 and 2, 19, paragraphs 1 and 2, and 26 of the Covenant. He is represented by counsel. The Optional Protocol entered into force for the State party on 10 July 1990.
통보자가 제출한 사실 관계
The facts as presented by the author
2.1 통보자(강용주)는 동료들과 함께 1980년대 대한민국 군사정권의 반대자였다. 1984년 그는 정 권을 비판하고, 그와 다른 이들을 박해하려는 공권력의 사용을 비판하는 유인물을 뿌렸다. 그 당 시 통보자는 북한을 불법(그러므로 죄가 되는) 방문하기도 했다. 1985년 3월과 5월, 통보자는 정치, 역사, 경제, 사회 관련 이슈를 다룬 수많은 비판적인 인쇄물들을 배포했다.
2.1 The author, along with other acquaintances, was an opponent of the State party’s military regime of the 1980s. In 1984, he distributed pamphlets criticizing the regime and the use of security forces to harass him and others. At that time, he also made an unauthorized (and therefore criminal) visit to North Korea. In January, March and May 1985, he distributed dissident publications covering numerous political, histor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2.2 통보자는 1985년 7월 1일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에 의해 영장 없이 체포되었다. 그는 36일 동안 외부와 단절된 채 안기부에 구금되어 “고문과 가혹행위”를 당했다. 고문 때문에 그는 북한의 조선노동당에 가입했으며 북한으로부터 간첩교육을 받았다고 허위 자백했다. 1985년 8월 5일에서야 구속영장이 발부되었다. 계속 구금된 상태에서 그는 1980년 12월 31일에 개정된 국가보안법 1 ) 위반 혐의로 1985년 9월 4일 기소되었다. 이 혐의들은 친북 “이적행위”를 하는 간첩단의 다른 구성원과 접촉한 것, 국가 또는 군사 기밀을 누설한 것(간첩죄), 그리고 음모 행위를 포괄한다.
2.2 The author was arrested without warrant on 1 July 1985 by the Agency for National Security Planning (ANSP). He was held incommunicado and interrogated in ANSP detention, suffering “torture and other mistreatments”, over 36 days. Under torture, he confessed to joining the North Korean Labour Party and receiving instructions for espionage from North Korea. Only on 5 August 1985, was a judicial warrant issued for his arrest. Remaining in detention, he was formally indicted on 4 September 1985 for alleged violation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of 31 December 1980. 1 ) These allegations encompassed meeting with another member of a spy ring, “enemy-benefitting activities” in favour of North Korea, gathering and divulging state or military secrets (espionage), and conspiracy.
2.3 1986년 1월 통보자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 10부에서 재판을 받았 다. 이 간첩단사건으로 15명이 1985년과 1986년에 유죄선고를 받았다. 2 ) 재판에서 그는 자신의 자 백이 고문에 의한 것임을 강력히 주장했다. 1986년 1월 20일, 재판부는 통보자의 자백에 근거하여 그를 무기징역에 선고했다. 재판부는 통보자가 “반국가단체의 구성원이었다”는 것과(번역자주 1 참조), 다른 정부 비판자들과 대화하고 접촉한 사실이 “반국가단체 고무 찬양죄”와 “반국가단체 구성원과 회합죄”에 해당한다고 인정했다. 출판간행물 전달은 “간첩죄”가 된다고 재판부는 판단했다.
2.3 In January 1986, the author was tried before the 10th Panel of the Seoul Criminal District Court for alleged violation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s part of a spy ring case in which 15 persons were convicted in 1985 and 1986. 2 ) At trial, he contended that his confessions had been obtained by torture. On 20 January 1986, the court relied on the author’s confessions, convicting and sentencing him to life imprisonment. The court found that he had “become a member of an anti-State organization”, and that dialogue and meeting with other regime critics constituted a “crime of praising, encouraging or siding with the anti-State organization” and “crime of meeting with a member of the anti-State organization”. The distribution of publications was said to amount to “espionage”.
2.4 통보자의 상소는 1986년 5월 31일 서울고등법원 합의 4부와 1986년 9월 23일 대법원 합의1부에 의해 잇달아 기각되었다. 3 ) 헌법재판소가 1987년 헌법개정에 의해서 만들어졌으므로 통보자가 1986년 유죄 판결을 받았을 때는 아무런 헌법적 문제제기를 할 수 없었다.
2.4 His appeals were successively dismissed by the 4th Criminal Panel of the Seoul High Court on 31 May 1986 and by the 1st Panel of the Supreme Court on 23 September 1986. 3 ) As he was convicted in 1986, he had no possibility to raise any constitutional issues b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was only introduced by the 1987 Constitution.
2.5 유죄판결 후 통보자는 독방구금에 처해졌다. 그는 “사상전향제도”에 의해 공산주의자 “확신 범” 4 ) 으로 분류되었다. 사상전향제도는 1980년에 개정된 행형법에 의해 합법적 토대를 부여받은 제도로 교도소에서 호의적인 특혜와 처우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해 재소자의 정치적 견해를 바꾸 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통보자는 더 나은 처우를 받을 수 없었다. 1991년 3월 14일, 통보자는 수형자분류처우규칙(‘1991년 규칙’)에 의해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를 부정하면서 그 파괴를 목적으로 하는 내용의 범죄를 범하고도 개전의 정이 없는 자로 재분류 되었다. 게다가 국가보안법으로 유죄 판결 받은 통보자는 특별히 엄격한 가석방 절차를 적용 받았다. 5 )
2.5 After his conviction, the author was held in solitary confinement. He was classified as a communist “confident criminal” 4 ) under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a system given legal foundation by the 1980 Penal Administration Law and designed to induce change to a prisoner’s political opinion by the provision of favourable benefits and treatment in prison. Due to this classification, he was not eligible for more favourable treatment. On 14 March 1991, the author’s detention regime was reclassified by the Regul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Convicts (‘the 1991 Regulation’) to “those who have not shown signs of repentance after having committed crimes aimed at destroying the free and democratic basic order by denying it”. Moreover, having been convicted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author was subject to an especially rigorous parole process. 5 )
2.6 1992년 2월 17일, 국가보안법 유죄 판결을 받은 통보자와 다른 41명의 장기 구금 정치범들은 헌법재판소에 사상전향제도가 위헌이라는 결정과 그 폐지를 구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하였다. 1992 년(번역자주 2 참조) 5월 25일, 헌법재판소는 헌법소원이 기간을 도과하여 제출되었다는 이유로 각하하였다. 헌법소원에서 주장한 인권침해가 계속되는데도 헌법재판소는 헌법 소원이 1991년 규 칙의 효력이 발생한(번역자주 3 참조) 1991년 3월 14일로부터 180일 이내에 청구되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2.6 On 17 February 1992, the author and 41 other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convicted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filed a constitutional petition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seeking adjudication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and its repeal. On 25 May 1992, the Court found the complaint time-barred. While conceding that the alleged violations had continuing effect, the Court considered that the complaint should have been brought within 180 days of the 1991 Regulation coming into effect on 14 March 1991.
2.7 1993년, 대통령 특사에 의해 통보자의 무기징역형이 20년형으로 감형되었다. 1994년 7월 7일, 통보자는 자신의 “불법체포” 및 1985년 7월과 8월에 저질러진 가혹행위와 관련하여 안기부 수사 관 8명에 대한 고소장을 제출했다. 검찰은 공소시효가 지났기 때문에 안기부 수사관들을 기소하 지 않기로 결정했다. 곧바로 고등검찰청도 이 결정을 유지했다. 1995년 1월 9일, 헌법재판소는 통보자의 헌법 소원에 대해 형사소송법상 공소시효 7년의 법규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검찰의 결정을 유지했다.
2.7 In 1993, by Presidential Decree, the author’s life sentence was commuted to 20 years’ imprisonment. On 7 July 1994, the author filed a criminal complaint against eight officials of the ANSP concerning his "illegal arrest" and the mistreatment suffered in July and August 1985. The prosecutor decided not to indict the suspects of the ANSP as the relevant statute of limitation had already expired. This decision was subsequently upheld by the High Prosecutor's Office. On appeal, on 9 January 1995, the Constitutional Court confirmed the High Prosecutor’s decision, holding the relevant 7 year time bar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to be applicable.
2.8 1998년 새 정부가 출범한 뒤 1999년 2월 25일 (통보가 제출된 후), 통보자는 일반사면으로 석방되었다. 6 )
2.8 Following the inauguration of a new administration in 1998, on 25 February 1999 (after submission of the communication), the author was released under the terms of a general amnesty. 6 )
통보 내용
The complaint
3.1 통보자는 “국가 또는 군사 기밀”을 수집하고 누설한 것(간첩죄)으로 국가보안법에 의해 유죄 판결을 한 것은 규약 제19조 2항의 위반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유죄판결은 불법구금 시 자행된 고문에 의한 자백으로 얻어진 것이고 그 “기밀”이라고 하는 정보는 일반에 다 알려진 내용이었 다. 대법원의 “기밀” 개념 해석(앞의 각주 3을 볼 것) 때문에 검찰은 정보 유출이 국가 안보를 위 협한다는 사실을 증명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해 누구나 아는 정보를 검열할 필요는 없는 것이므로 통보자의 유죄 판결과 그에 따른 투옥은 규약 제19조 3항의 합리적 인 제한을 벗어나는 것이다.
3.1 The author claims a violation of article 19, paragraph 2, in relation to his conviction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for his gathering and divulging of “state or military secrets” (espionage). His conviction was obtained by confessions extracted under torture during an illegal detention, while the information regarded as “secret” was publicly known. Due to the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notion of “secret” (see footnote 3, supra), the prosecution did not consider it necessary to establish that release of the information would threaten national security. It could scarcely be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security to censor ideas which were publicly known, and therefore the author’s conviction and subsequent imprisonment fell outside the legitimate restrictions of article 19, paragraph 3.
3.2 통보자는 더 나아가 “사상전향제도”와 관련하여 규약 제10조 1항과 3항, 제18조 1항과 2항, 제19조 1항, 그리고 제26조를 위반했다고 주장한다. 통보자는 “공산주의자”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그가 거부하는 표현이다. 그의 “전향” 거부로 통보자는 13년 동안 독방 구금에 처해졌다. “전향” 하지 않는 한 그는 확신범으로 분류됨으로써, 처우개선의 여지도 없고 가석방도 불가능하게 되는 등 사상과 양심을 바꾸려 하는 강제는, 간섭 없이 스스로 선택한 신념을 가질 권리를 침해하는 것에 해당한다. 그렇게 해서 통보자는 정치적 견해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차별을 받았고 또한 타 고난 존엄성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그의 교정이나 사회 복귀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처우를 받았 다.
3.2 He further claims a violation of articles 10, paragraphs 1 and 3, 18, paragraphs 1 and 2, 19, paragraph 1, and 26 in relation to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The author was regarded as a “communist”, a characterization he rejects. He was thus held in solitary confinement for 13 years for his refusal to “convert”. The coercion to change his thought and conscience that he had suffered as a result of his classification and the withholding of benefits, as well as the absence of possible parole unless he “converted”, amount to violations of his right to hold beliefs of his own choice, without interference. He was thus subjected to systematic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political opinion, and to treatment in prison which is neither compatible with his inherent dignity nor aimed at his reform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3.3 “사상전향제도”가 규약 위반이라는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통보자는 유엔 시민적·정치 적 권리 위원회가 다음과 같은 취지로 대한민국의 최초 보고서에 대해 최종견해(concluding observations)를 내린 것을 언급한다.
3.3 In support of his contention that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violates the Covenant, the author refers to the Committee’s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initial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effect that:
“... 위원회의 주 관심은 국가보안법의 계속적인 운용에 관한 것이다. ... 게다가, 국가보안 법의 몇몇 규정은 다소 모호하게 정의되어 있어 진정으로 국가 안보에 해롭다고 할 수 없 는 행위에 제재를 가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광범위한 해석을 허용하고, 규약에도 부합 되지 않는다. ... 위원회는 또한 재소자에 대한 교육 내용들이 정상적 의미의 교화에 해당되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활용되는 강요 행위는 양심의 자유에 관한 인권 규약의 규정을 침해할 수 있 다고 인정한다 ” 7 )
“… The Committee’s main concern relates to the continued oper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 Furthermore, some issues addressed by the National Security Law are defined in somewhat vague terms, allowing for broad interpretation that may result in sanctioning acts that may not be truly dangerous for State security and responses unauthorized by the Covenant. … The Committee also considers that the conditions under which prisoners are being re-educated do not constitute rehabilitation in the normal sense of the term and that the amount of coercion utilized in that process could amount to an infringement of the Covenant relating to freedom of conscience. …” 7 )
3.4 유엔인권위원회의 의사 표현의 자유에 관한 권리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관심을 되풀이하여 나타냈다. 그의 보고서는 대한민국에 “국가보안법을 폐지하고 ...국가 안보를 보호할 다른 수단을 찾을 것을” “강하게 권고한다.” 나아가 그 보고서는 대한민국이 “기존 질서 를 반대하거나 반감을 나타내는 정치적 견해를 가졌다고 알려진 수감자들에게 그런 견해를 포기하도록 요구하는 관행”은 중지되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의사 표현의 자유권을 행사한 이유로 수감된 모든 재소자는 무조건적으로 석방되어야” 하며 “과거 정부 아래서 재판받은 수감자의 경우 재심리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8 )
3.4 The Special Rapporteur of the Commission on Human Rights on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has echoed these concerns. His report “strongly encourage[s]” the State party “to repeal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o find other means … to protect its national security”. It further suggests that the State party cease “the practice of requesting prisoners who allegedly hold political opinions repugnant or unpalatable to the establishment to renounce such opinions”, and recommends that “all prisoners who are held for their exercise of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should be released unconditionally” and that the “cases of prisoners who have been tried under previous Governments should be reviewed”. 8 )
3.5 통보자는 더 나아가 (규약 제2조를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헌법재판소가 “사상전향제 도”와 관련한 그의 헌법소원을 각하함으로써 헌법재판소 스스로 계속적인 권리침해를 인정한 것에 대하여 “효과적인 구제수단”을 박탈하였다고 주장한다.
3.5 The author further claims (without specifically referring to article 2)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s dismissal of his application concerning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deprived him of an “effective remedy” for what the Court itself found to be a continuing violation of his rights.
3.6 통보자는 a) "간첩죄”로 유죄 판결 받은 것과 “사상전향제도”의 강요는 관련 규약 조항들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선언, b)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 9 ) , c) “사상전향제도”의 폐지, d) 통보자 사건의 재심, e) 통보자의 권리 침해에 대한 적절한 배상, 그리고 f)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의 견해를 관보에 실을 것을 구한다.
3.6 The author seeks (a) declarations that his conviction for “espionage” and subjection to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violate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venant, (b) immediate and unconditional release, 9 ) (c) repeal of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d) retrial of his case, (e) adequate compensation for the violation of the author’s rights, and (f) official publication of the Committee’s Views.
3.7 통보의 허용성 여부에 대해 통보자는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 자신의 권리와 관련하여 자신이 국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구제절차를 다 마쳤고, 대한민국의 법 제도 아래서는 다른 효과적 인 구제수단이 없다고 주장한다. 시효의 적용에 관해 (헌법재판소와 형사소송절차 두 가지 모두) 통보자는 당시 권력을 쥐고 있던 비합법적인 군사정권 아래서 시효기간 안에 정치적 견해를 달 리하는 사람들을 고문한 자들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없었다고 주장한다. 한국 사법부 스스로 1993년 2월까지 헌법 질서가 침해 받았다고 인정한다. 10 ) 그러므로 통보자의 경우 공소시효가 그 날로부터 적용되었어야 한다.
3.7 As to the admissibility of the communication, the author contends that he has exhausted all available domestic remedies and that he has no other effective remedy under the country's legal system with regard to the alleged violation of his rights. As to the applicability of the time bar (in both his petition to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riminal proceedings initiated), the author argues that in both cases it was impossible under the unconstitutional military regime then in power to have brought a case against torturers of political dissidents within the period of limitations. The Korean legal order itself recognizes that the constitutional order was interrupted until February 1993, 10 ) and therefore the statute of limitations in his case ought to have run from that date.
3.8 시간적 요건에 따른 통보의 허용 여부에 대해 통보자는 선택의정서가 효력을 발생한 뒤에도 투옥 기간 내내 규약을 침해하는 유죄판결의 영향이 계속되었다고 주장한다. “사상전향제도”와 관련한 규약의 침해는 지속적인 성격을 지녀왔고 통보자의 석방 때까지 계속되었다고 한다.
3.8 As to the admissibility ratione temporis of the communication, the author states that he suffered continuing effects of his original conviction in violation of the Covenant past the entry into force of the Optional Protocol in the form of his prison term. The violations of the Covenant on account of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are said to have been of an ongoing character and run up to his release.
3.9 통보자는 이 사건이 다른 어떤 국제적 조사나 해결 절차에 계류되어 있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3.9 The author confirms that the matter has not been submitted for examination under any other procedure of international investigation or settlement.
통보의 허용 여부와 본안에 관한 당사국의 주장
The State party’s submissions on admissibility and merits
4.1 1999년 12월 30일과 2000년 6월 22일 제출한 서면에서 대한민국은 통보의 허용 여부와 본안에 대해 각각 이의를 제기한다.
4.1 The State party, by submissions of 30 December 1999 and 22 June 2000, disputes the admissibility and merits, respectively, of the communication.
4.2 대한민국은 세 가지 근거를 들어 이 통보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첫째, 통보 자는 일반사면으로 1999년 2월 25일 석방되었다. 둘째, “사상전향제도”는 1998년 6월에 폐지되고 “준법서약제”로 대체되었다. 이 제도는 강제로 운용되지는 않으나 재소자들로부터 법을 준수하겠 다는 서약을 요구한다.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49명의 수감자가 1999년 8월 15일 서약서 없이 일반사면으로 석방된 사실이 보여주듯이 이 서약이 석방을 위한 전제조건은 아니다. 셋째, 통보자가 유죄판결을 받은 “간첩죄 및 테러 활동”은 “표현의 자유에 의해 조금도 정당화될 수 없다.” 대한민국은 북한 간첩인 통보자가 정부를 전복시키려고 했고 국가기밀을 북한에 누설했으며 “북한의 지령을 받고 사악한 반국가 테러 활동”에 참여하는 한편 “한국 국민들에게 반미 감정을 부추기기 위해” 광주미문화원을 파괴하려고 공모했다고 주장한다.
4.2 The State party considers the communication inadmissible on three grounds. Firstly, the author was released on 25 February 1999 pursuant to a general amnesty. Secondly,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was abolished in June 1998, and replaced by a “oath of law-abidance system”. This system does not operate by compulsion, but requests an oath from prisoners that they will abide by the law. The oath is not a prerequisite for release, as the release under the 15 August 1999 general amnesty without giving the oath of 49 persons convicted for violation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shows. Thirdly, “crimes of espionage and terrorist activities” for which the author was convicted “can by no means be justified by the right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State party argues that the author, a North Korean agent, sought to overthrow its Government, leaked State secrets to North Korea, engaged in “vicious anti-state terrorist activities under the instruction of North Korea” and plotted to destroy the American Cultural Center in Kwang-ju City “in order to fuel anti-American feelings amongst Korean people”.
4.3 본안에 대해 대한민국은 똑같은 이유로 통보가 근거 없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첫째, 북한 지 령에 따른 통보자의 간첩 및 테러 활동은 공정하고 공개된 재판을 거쳐 유죄판결을 받았다고 주 장한다. 둘째, 대한민국은 표현의 자유가 그러한 범죄들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는 주장을 뒷받침하 기 위해 규약 제19조 3(b)항을 인용한다. 셋째, 자신의 자백이 자발적이고 자유롭게 이루어진 것이라고 재판에서 통보자 자신이 인정했듯이, 검찰 심문 과정에서 어떤 실질적인 강제나 가혹행위는 없었다. 11 ) 넷째, “사상전향제도”를 폐지하고 도입한 준법서약제는 단순히 법을 지키겠다는 서 약을 요구할 뿐이어서 의사나 양심의 자유를 전혀 침해하지 않는다. 다섯째, 대한민국은 이 서약 이 석방을 위한 전제조건이 아니라는 것과 1999년 2월 25일 통보자의 석방이 “국민적 화해를 촉 진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 일반 사면의 일부였다는 것을 다시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통보자가 제기한 소송의 절차가 규약과 일치했기 때문에 재심이나 배상을 할 근거가 없다.
4.3 On the merits, the State party considers the communication unfounded for similar reasons. Firstly, it argues that the author’s convictions for espionage and terrorist activities under North Korean instruction followed fair and open trials. Secondly, the State party refers to article 19, paragraph 3(b), of the Covenant for the proposition that freedom of expression cannot justify such crimes. Thirdly, there was no substantiated coercion or cruelty in the prosecutorial interrogation, for the author himself admitted at trial that his confession was voluntarily and freely given. 11 ) Fourthly, the oath of law-abidance system following abolition of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simply requests an oath of compliance with the law and thus does not restrict any rights to freedom of opinion or conscience. Fifthly, the State party again refers to the fact that the oath is not a pre-requisite for release and that the author’s release on 25 February 1999 was part of a general amnesty “aimed at facilitating national reconciliation”. Finally, as the proceedings in the author’s case were consistent with the Covenant, there is no basis for a retrial or compensation.
통보자의 의견
The author’s comments
5.1 2000년 2월 11일과 2000년 9월 8일 제출한 서면을 통해 통보자는 허용 여부와 본안 모두에 대한 대한민국의 주장을 반박한다.
5.1 By letters of 11 February 2000 and 8 September 2000, the author rejects the State party’s submissions on both admissibility and merits.
5.2 통보자는 통보자에게 제공된 “사면”이 법률 용어로 형사소송법 471조에서 규정하고 있듯이 단지 “형집행 정지”일뿐이라고 강조한다. 따라서 통보자는 단지 조건적으로 석방되었을 뿐이고 특히 정치적 상황이 바뀐다면 언제라도 재수감될 수 있다. 통보자는 이 상황을 1980년 군사 쿠데 타에 연루된 전 대통령들에게 제공된 무조건적 사면과 비교하고, 통보자와 같은 날 석방된 사람 들의 경우와 비교하고, 장래에 수감될 어떤 가능성도 없는 사람들의 경우와도 비교한다.
5.2 The author points out that, in legal terms, the “amnesty” provided to the author was merely a “suspension of execution of punishment” as provided for in article 471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Accordingly, the author was only conditionally released and liable to re-detention at any time, particularly if political circumstances change. The author contrasts this situation with the unconditional amnesties provided to former presidents involved in the 1980 military coup d’etat and released the same day as the author, and do not face any possibility of future detention.
5.3 통보자는 “준법서약제”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음을 언급하면서 “사상전향제도”가 완전히 철폐되었다는 대한민국의 주장을 부정한다. 그는 유엔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가 “서약 조건 은 차별적인 근거로 특히 국가보안법과 연루되어 유죄판결을 받은 사람들에게 적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그것이 사람들로 하여금 규약에 부합되지 않는 준법서약을 하게끔 만든다”는 취지에서 대한민국에 내린 최종견해를 인용한다. 12 )
5.3 The author rejects the State party’s suggestion that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is fully abolished, referring to the similar character of the “law-abidance oath system”. He cites the Committee’s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effect that the “oath requirement is applied, on a discriminatory basis, particularly to persons convicted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at in effect it requires persons to make an oath to abide by a law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Covenant.” 12 )
5.4 통보자는 자신이 북한 간첩이고 국가 기밀을 북한에 누설했으며 “사악한 반국가 테러 활동”에 참여했다는 대한민국의 주장에 대해 사실을 입증할 것을 촉구한다. 통보자는 자신이 “광주미문화원을 폭파하려는 음모”에 관련되었다는 대한민국의 주장을 중상모략으로 부정한다. 그는 “간첩죄”로 유죄판결을 받는 것에 자신의 통보를 국한하였기 때문에 “테러 활동”으로 인한 유죄 판결을 둘러싼 쟁점들이 그의 통보 내용을 구성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그러므로 통보자는 대한민국 이 주장하는, 간첩 활동으로 인한 유죄판결과의 관련성을 부정하되, 만약 대한민국이 이 범죄로 인한 유죄판결의 증거를 내놓으려 한다면 테러 활동 혐의로 안기부와 검찰이 어떻게 고문하고 자백을 강요했는지 보여줄 준비가 되어 있다. 통보자는 구속영장 발부 이후에도 계속된 구금은 물론, 국내법상 심각한 범죄를 구성하는, 외부와 단절된 불법구금에 대해 당사국이 성실하게 조사 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통보자는 질문하였다.
5.4 The author invites the State party to substantiate the allegations that he was a North Korean agent, leaked State secrets to North Korea and engaged in “vicious anti-state terrorist activities”. The author rejects as libelous the State party’s allegation that he was involved in “plotting to blow up the American Cultural Center in Kwang-ju”. He notes the issues surrounding his conviction for “terrorist activity” did not form part of his original communication, as he had confined himself to his conviction for “espionage”. He therefore rejects the relevancy to the espionage conviction of the State party’s submission, but would be prepared to show how he suffered torture and forced extraction of confessions at the hands of the ANSP and prosecutors on the terrorism charge as well, were the State party to advance evidence of his conviction for this crime. The author questions why the State party has not genuinely investigated the author’s prolonged detention incommunicado, which constituted a serious crime under domestic law, as well as his subsequent detention pre-trial after issuance of the arrest warrant.
5.5 공판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적절한 처우에 대해, 통보자는 장기간의 불법구금과 그 기간 동 안 일어났을 지 모를 일에 대해 판검사들이 하나같이 조사하지 않았음을 강조한다. 자백의 자발성 과 재판에서 그 자백을 계속 활용한 것에 대해, 통보자는 그가 이 자백들을 문제 삼는 경우 안기 부로 돌아가고 싶냐는 질문을 받았을 뿐이라고 진술한다. 13 )
5.5 As to improper treatment at the pre-trial stage,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prosecutors and judges singularly failed to investigate the prolonged period of unlawful detention and what may have occurred during that period. As to the voluntariness of the confessions and their subsequent use at trial, the author states that he was simply asked if he wished to return to the ANSP when he raised these issues. 13 )
5.6 통보자는 간첩죄가 표현의 자유라는 명분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을 자명하게 받아들이지만, 이것이 특별한 경우에 처한 그의 행동에 관한 논점을 교묘히 피하고 있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통보에서 요약하였듯이 통보자가 유죄판결을 받은 “국가 또는 군사기밀”은 일반에 널리 알려진 것이었고 대한민국의 생명이나 안보에 어떤 위협도 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의 배포는 규약 제19조에 의해 보호받는다. 그러므로 통보자가 수집하고 누설하여 유죄판결을 받은 그 정보 가 왜 그토록 위협이 되었는지를 입증하는 일이 대한민국의 책임인데, 대한민국은 그렇게 하는 데 실패했다. 국가보안법 하에서는 개인이 국가안보를 위협한 사실을 정부가 증명하는 대신, 국가 안보를 위협하지 않은 사실을 개인이 증명할 책임을 부담하고 있다고 통보자는 강조한다.
5.6 The author accepts as self-evident that espionage is not justified by the right to free expression, but contends that this begs the question of his conduct in the particular case. As outlined in the communication, the “state or military secrets” for which he was convicted were publicly available and did not pose any threat to the life or security of the State party. Accordingly, their dissemination was protected by article 19. It falls on the State party therefore to justify why the information for which he was convicted for gathering and divulging posed such a threat, and it has failed to do so. The author points out that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burden of proof falls on the individual to show that he did not pose a threat to State security, rather than on the State to show that he or she did pose such a threat.
5.7 마지막으로, 통보자는 그의 석방이 조건적이었다는 것과, 그가 유죄판결에 기초한 재수감의 위협 아래 놓여 있기 때문에 여전히 피해자라는 점을 지적한다. 게다가 “사상전향제도”는 그가 석방될 때까지 계속 적용되었다.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통보자의 석방 전후의 위상이 규 약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5.7 Finally, the author notes that his release was conditional, and he remains a victim because he is under threat of re-detention based on the conviction. Moreover,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continued to apply until his release. The Committee is asked to determine whether his status before and after release is compatible with the Covenant.
위원회가 심의한 쟁점과 진행 절차
Issues and proceedings before the Committee
허용여부 검토
Consideration of admissibility
6.1 통보에 포함된 주장을 심의하기 전에,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절차규칙 제87조에 따라 통보 내용이 규약의 선택의정서에 따라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6.1 Before considering any claim contained in a communication, the Human Rights Committee must, in accordance with rule 87 of its Rules of Procedure, decide whether or not the complaint is admissible under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venant.
6.2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선택의정서 제5조 2(a)항의 규정에 따라 동일한 사건이 다른 국 제적인 조사나 해결 절차에 따라 심의되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국내 구제절차의 완료와 관련하여,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대한민국이 통보자가 완료하지 않은 국내 구제절차가 있다고 주장하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한다.
6.2 The Committee has ascertained that the same matter is not being examined under another procedure of international investigation or settlement for the purposes of article 5, paragraph 2 (a) of the Optional Protocol. With respect to the exhaustion of domestic remedies,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State party has not claimed that there are any domestic remedies that have not been exhausted by the author.
6.3 통보자의 간첩죄 유죄판결과 판결에 앞서 발생한 고문과 불법감금 상황의 시간적 요건에 관 한 허용성 여부에 대해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이런 사건이 대한민국에 대해 선택의정 서가 효력을 발생하기 전에 일어난 사실을 인정한다. 이것은 관할권 문제를 제기하는데, 이런 상 황에서는 추가적인 요소들이 없는 한 재소기간 그 자체는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의 시간적 관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규약 침해의 “계속적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다. 14 )
6.3 As to the admissibility ratione temporis of the author’s conviction for espionage, and the circumstances of alleged torture and unlawful detention preceding it, the Committee observes that these events occurred befor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Optional Protocol for the State party. It recalls its jurisprudence that, in such circumstances, a term of imprisonment, without the involvement of additional factors, does not amount per se to a “continuing effect”, in violation of the Covenant, sufficient to bring the original circumstances giving rise to the imprisonment within the Committee’s jurisdiction ratione temporis. 14 )
6.4 나머지 주장과 관련해서, 대한민국은 통보자가 석방됨에 따라 통보 대상이 없어졌다고 주장한 다.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대한민국이 위원회 앞에 제출된 주장들에 대한 전면적이고 효 과적인 구제책을 제공한 경우에만 통보 대상이 없어지거나 통보를 용인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길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 사건의 경우 규약 위반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적절한 배상이 통보자에게 주어졌는지는 알 길이 없다. 따라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효과적인 구제책이 제공되었는지 여부는 오직 이 사건의 본안을 판단함으로써만 결정할 수 있다.
6.4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claims, the State party argues that the communication is deprived of object as the author has been released. The Committee observes that a communication could only be considered to be deprived of object and inadmissible if the State party had provided a full and effective remedy for the allegations brought before the Committee. In the present case, there is no indication that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alleged violations of the Covenant has been granted to the author. Accordingly,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the question whether an effective remedy has been provided can only be determined by addressing the merits of the case.
6.5 대한민국의 나머지 이의에 대해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이 이의들이 본안에 대한 심의 단계에서 가장 적절히 다루어지는 논쟁이라고 생각한다.
6.5 As to the State party’s remaining objections,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they are in the nature of arguments on the merits which are most appropriately dealt with at that stage of its consideration.
본안 심의
Consideration of the merits
7.1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선택 의정서 제5조 1항에 따라 당사자들이 제출한 모든 자료를 토대로 이 통보 내용을 심의하였다.
7.1 The Human Rights Committee has considered the present communication in the light of all the information made available to it by the parties, as provided in article 5, paragraph 1, of the Optional Protocol.
7.2 “사상전향제도”가 규약 제18조, 19조, 26조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하는 통보자의 주장에 대해,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그러한 제도의 강압적 성격을 주목하는데, 이것은 그 뒤에 나온 “준법서약제”에서도 유지된다. 이런 제도는 더 나은 가석방 가능성과 감옥 내 차별적인 처우라는 유인책을 제공함으로써 피수용자의 정치적 견해를 바꾸기 위한 의도로 차별적 관행을 적용하는 것이다. 15 )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대한민국이 규약 제18조와 제19조에 인권을 제한할 수 있는 것으로 열거된 목적들 중 어느 것을 위해서든 필요하다는 사실을 정당화하는 데 실패한 그 런 제도가, 정치적 견해의 차별적 기초 위에서 의사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그럼으로써 규약 제26조와 더불어 제18조 1항과 제19조 1항도 침해한다고 인정한다.
7.2 As to the author’s claim that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violates his rights under articles 18, 19 and 26, the Committee notes the coercive nature of such a system, preserved in this respect in the succeeding “oath of law-abidance system”, which is applied in discriminatory fashion with a view to alter the political opinion of an inmate by offering inducements of preferential treatment within prison and improved possibilities of parole. 15 )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such a system, which the State party has failed to justify as being necessary for any of the permissible limiting purposes enumerated in articles 18 and 19, restricts freedom of expression and of manifestation of belief on the discriminatory basis of political opinion and thereby violates articles 18, paragraph 1, and 19, paragraph 1, both in conjunction with article 26.
7.3 규약 제10조와 관련하여 통보자의 나머지 주장에 대해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선택의 정서가 발효된 후에도 8년 넘게 계속된 1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의 독방 구금이, 당사자 본인에 게 너무나도 엄중하고 근본적인 영향을 끼치는 수단이어서, 가장 진지하면서도 상세한 정당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위원회는 또한, 추정된 그의 정치적 견해라는 단 하나의 이유로 그토록 긴 기간 동안 구금한 것을 정부가 정당화하는 데 실패했고, 이 구금은 통보자의 타고난 존엄성을 보 호하는 규약 제10조 1항과, 구금의 근본 목표가 교화와 사회 복귀임을 명시하는 3항을 침해한다 고 인정한다.
7.3 As to the author’s remaining claims under article 10,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his detention in solitary confinement for a period as long as 13 years, of which more than eight were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Optional Protocol, is a measure of such gravity, and of such fundamental impact on the individual in question, that it requires the most serious and detailed justification.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confinement for such a lengthy period, apparently on the sole basis of his presumed political opinion, fails to meet that such particularly high burden of justification, and constitutes at once a violation of article 10, paragraph 1, protecting the inherent dignity of the author, and of paragraph 3, requiring that the essential aim of detention be reform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7.4 이러한 인정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문제되는 침해 사실들에 대한 효과적인 구제책을 대한민국 재판부가 통보자에게 제공하는 데 실패했으므로 규약 제2조와 관련하여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 회는 더 이상의 주장을 판단할 필요가 없다.
7.4 In the light of these findings, the Committee need not address the further claim under article 2 alleging a failure of the domestic courts to provide him with an effective remedy for the violations in question.
8.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 선택 의정서의 제5조 4항에 따라 위원회에 제출된 사실 관계들이 규약 제26조와 더불어 제10조 1항과 3항, 제18조 1항, 그리고 제19조 1항을 침해한다는 견해를 채택한다.
8. The Human Rights Committee, acting under article 5, paragraph 4,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s of the view that the facts before it disclose violations of article 10, paragraphs 1 and 3, and articles 18, paragraph 1, and 19, paragraph 1, in conjunction with 26, of the Covenant.
9. 규약 제2조 3(a)항에 따라 대한민국은 통보자에게 효과적인 구제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통보 자가 석방되었다 할지라도 문제되는 위반사항들의 가혹함에 상응하는 배상을 대한민국이 통보자에게 제공할 의무가 있다고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지적한다. 대한민국은 장래에 유사한 침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의무가 있다.
9.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paragraph 3 (a), of the Covenant, the State party is under an obligation to provide the author with an effective remedy. The Committee notes that, although the author has been released, the State party is under an obligation to provide the author with compensation commensurate with the gravity of the breaches in question. The State party is under an obligation to avoid similar violations in the future.
10. 선택의정서의 당사국이 됨으로써 대한민국은 규약의 위반이 일어났는가를 결정하는 위원회의 권한을 승인하고, 규약 제2조에 따라 당사국은 자국 영토 안에서 관할권 아래에 있는 모든 개인 들에게 규약이 인정하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애써왔다는 것을 상기하면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는 대한민국으로부터 90일 이내에 위원회의 견해를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조처를 하였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또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의 견해를 관보에 실어야 한다.
10. Bearing in mind that, by becoming a State party to the Optional Protocol, the State party has recognised the competence of the Committee to determine whether there has been a violation of the Covenant or not and that, pursuant to article 2 of the Covenant, the State party has undertaken to ensure to all individuals within its territory and subject to its jurisdiction the rights recognised in the Covenant, the Committee wishes to receive from the State party, within 90 days,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s taken to give effect to its Views. The State party is also requested to publish the Committee’s Views.
[영어, 불어, 스페인어로 채택하였으며 원본은 영어임. 또한 추후에 유엔총회에 대한 연차 보고서 의 일부로 아랍어, 중국어 및 러시아어로도 발행할 것임.]
[Adopted in English, French and Spanish, the English text being the original version. Subsequently to be issued also in Arabic, Chinese and Russian as part of the Committee's annual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각주
FootNote
*주
1) 국가보안법은 1980년 군사쿠데타 이후 선거를 치루지 않고 구성된 입법부인 “국가보위입법회의”에 의해 입법되었다. “반국가단체”를 구성하거나 가입한 행위, 간첩죄, 또는 반국가단체의 지시를 받고 저지른 행 위들은 국가보안법 제3와 제4조에 의거하여 중형 처벌을 받을 수 있다.
1)
The Law was enacted by the “National Security Legislative Council”, an unelected body organized as a legislature following the 1980 military coup d’etat. Forming or joining an “anti-State organization”, and espionage or other activities under instruction of an anti-State organization are punishable with heavy penalties under articles 3 and 4, respectively.
*주
2) 1994년, 유엔인권위원회 자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은 대한민국의 답변이 없는 상태에서 다른 두 명의 공범이 자의적 구금에 해당한다고 인정했다. (E/CN.4/1994/27, at 95 et seq.)
2)
In 1994, the Working Group on Arbitrary Detention of the Commission on Human Rights found, in the absence of a response from the State party, the imprisonment of two of these other individuals to be of arbitrary character. (E/CN.4/1994/27, at 95 et seq.)
*주
3) 간첩죄에 관한 법원의 판례는 다음과 같다 : “…그 내용사실이 대한민국에서는 자명하고도 당연하여 상 식에 속하는 공지의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반국가단체에는 유리한 자료가 되고 대한민국에게는 불 이익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면 국가기밀에 속한다.”
3)
As to the crime of espionage, the Court’s earlier jurisprudence had been as follows: “…even though the information is self-evident and natural common sense knowledge in the Republic of Korea, it shall be regarded as state secret [sic] under the National Security law when it might provide benefit to an anti-State organization and might cause damage to us” [emphasis added].
*주
4) “확신범”은 명확히 정의를 내릴 수는 없지만, 통보 문맥으로 봐서는 사상전향제도와 이 제도에 따른 여러 가지 요구사항에 동의하지 못하는 재소자를 가리키는 것 같다. (아래 참조)
4)
“Confident criminal” is not specifically defined, but appears from the context of the communication to be a prisoner who fails to comply with the ideology conversion system and its renunciation requirements (to which see below).
*주
5) 가석방심사규칙에 따르면 이런 경우 가석방심사위원회는 재소자가 사상을 전향했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소자에게 전향 성명이나 전향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5)
Under the Parole Administration Law, in such cases, the Parole Examination Committee “shall examine whether the convict has converted the [sic] thought, and, when deemed necessary, shall request the convict to submit an announcement or statement of conversion”.
*주
7) CCPR/C/79/Add. 6, 25 September 1992, at paras 6-7.
7)
CCPR/C/79/Add.6, 25 September 1992, at paras 6-7.
*주
8) E/CN.4/1996/39/Add.1, 21 November 1995, at paras 12-26, 46.
8)
E/CN.4/1996/39/Add.1, 21 November 1995, at paras 12-26, 46.
*주
9) 석방 뒤 제출한 서면에서 통보자는 그가 언제라도 재수감될 수 있음을 확인하면서, 재수감될 가능성이 없는 “무조건” 석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9)
In his later submissions after his release, the author confirms that he is liable to re-imprisonment and therefore maintains his claim for “unconditional” release with no such possibility.
*주
10) 통보자는, 전두환과 노태우 전 대통령들에 대해 쿠데타와 광주 학살범으로 유죄를 선고하고 “사실상의 반역적 상황 (de facto rebellious situation)"이 1993년 2월까지 지속되었다고 판단한 1996년 12월 16일 서울고등법원의 판결을 인용한다. 유사하게, 5.18 민주화운동에 관한 1995년의 특별법은 헌법 질서가 1993년 2월 24일까지 침해되었고 그에 따라 쿠데타 범죄에 대한 공소기간도 연장된다고 규정한다.
10)
The author refers to the Seoul High Court’s decision of 16 December 1996, convicting former Presidents Chun Doo-Hwan and Roh Tae-Woo for the coup d’etat and massacre, that the “de facto rebellious situation” lasted until February 1993. Similarly, the 1995 Special Law on the Democratisation Movement of May 18 recognises that the constitutional order was interrupted until 24 February 1993, and accordingly extended the limitation period for coup d’etat crimes.
*주
12) CCPR/C/79/Add.114, 1 November 1999, para 15.
12)
CCPR/C/79/Add.114, 1 November 1999, para 15.
*주
13) 이 진술을 통해 통보자가 의미하는 것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만약에 그가 맨 처음에 한 자백 상황을 계 속 문제 삼는다면 새로운 심문을 받기 위해 안기부로 되돌려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13)
What the author means with this statement is unclear, however it would appear that it was suggested to the author that he could be returned to the ANSP for new interrogation if he continued to dispute the circumstances of the original one.
*주
14) 또한 Baulin v Russian Federation Case No 771/1997, Decision adopted on 31 October 2002을 보라.
14)
See also Baulin v Russian Federation Case No 771/1997, Decision adopted on 31 October 2002.
*주
15) 대한민국의 두 번째 보고서에 관한 시민적·정치적 권리 위원회의 최종 견해와 관련하여 그 반대의 주장 을 펴는 대한민국의 주장을 보라. (CCPR/C/79/Add.122, at para 2).
15)
See the comments of the State party arguing the contrary with regard to the Committee’s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ir second periodic report. (CCPR/C/79/Add.122, at para 2).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