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권위원회 제03차 최종견해
Concluding observations of the CESCR
/ 배포일 2009. 12. 17.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1.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009.11.10-11간 개최된 제42, 43, 44차 회의(E/C.12/2009/SR.42, 43 and 44)에서 경제․사회․문화적 권리규약(이하 ‘규약’)의 이행 관련 대한민국의 제3차 정기 보고서(E/C.12/KOR/3)를 심의하였으며, 2009.11.19 개최된 제55차 회의에서 다음의 최종견해를 채택하였다.
1.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considered the third periodic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E/C.12/KOR/3) at its 42nd, 43rd and 44th meetings, held on 10 and 11 November 2009 (E/C.12/2009/SR.42, 43 and 44), and adopted, at its 55th meeting, held on 19 November 2009, the concluding observations as set out below.
A. 도 입
A. Introduction
2. 위원회는 대한민국이 제3차 정기보고서, 위원회의 사전질의에 대해 통계자료를 포함한 서면답변(E/C.12/KOR/Q/3/Add.1)을 제출한 것을 환영함. 위원회는 협약이 포괄하는 주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다양한 부처 대표들로 구성된 정부대표단과의 솔직하고 건설적인 대화를 평가한다.
2. The Committee welcomes the submission of the third periodic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written replies to its list of issues, including statistical data (E/C.12/KOR/Q/3/Add.1). The Committee appreciates the frank and constructive dialogue with the delegation of the State party, which included representatives from various ministries with expertise on the subjects covered by the Covenant.
3. 위원회는 보고 과정에서 국가인권위원회의 기여를 평가한다.
3. The Committee notes with appreci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the reporting process.
B. 긍정적 측면
B. Positive aspects
4. 위원회는 경제․사회․문화적 권리규약의 이행을 증진하는데 있어 당사국이 기울인 긍정적 노력을 평가하며, 특히 다음을 환영한다.
4. The Committee notes with appreciation the positive efforts made by the State party in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rights. The Committee welcomes in particular:
(a) 2007-2011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및 그 이행을 담당하는 협의체인 국가인권정책협의회 수립
(a)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07–2011 and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Council as a consultative body in charge of its implementation;
(b) 호주제 폐지 발효
(b) The coming into effect of the abolition of the Hoju system;
(c) 장애인 권리 협약의 비준
(c) The ratification by the State party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d) 직업상 안전 및 보건에 관한 ILO 협약 제187호 및 제155호 비준
(d) The ratification of ILO Conventions Nos. 187 and 155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 출입국관리법 개정을 통해 인도적 체류자에게 일할 권리를 부여하고 망명신청자에게 취업허가 신청 가능성 제공
(e) The changes to the Immigration Control Act to grant humanitarian status holders the right to work and provide asylum-seekers with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or a work permit;
(f) 2004년 무상의무교육의 범위를 중학교로 확대
(f) The expansion of free and compulsory education to include secondary education, in 2004;
(g) 학내 체벌의 대안으로 시범적인 그린 마일리지 제도 도입
(g) The introduction of a pilot green mileag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h) 저소득층 개인 및 가족의 문화공연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문화바우처 제도 운용
(h) The use of cultural voucher programmes to facilitate access to cultural performances for low-income individuals and families.
C. 협약 이행을 저해하는 요소 및 어려움
C. Factors and difficulties impe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venant
5. 위원회는 당사국내에서 규약의 효과적인 이행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나 어려움이 없다고 본다.
5. The Committee notes the absence of any significant factors or difficulties preventing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ovenant in the State party.
D. 주요 우려 및 권고사항
D. Principal subjects of concern and recommendations
6. 위원회는 2001년 위원회의 최종견해(E/C.12/1/Add.59)에도 불구하고, 규약이 당사국 국내법으로 완전히 통합되지 못했다는 점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점을 우려한다.
6.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Covenant has not yet been fully incorporated into domestic law despite the Committee’s concluding observations in 2001 (E/C.12/1/Add.59). The Committee remains concerned that:
(a) 헌법상의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의 범위가 규약보다 협소
(a) The scope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is narrower than in the Covenant;
(b) 헌법의 적용 대상이 국민으로 한정
(b) The Constitution only applies to citizens (art. 3);
(c) 협약상 권리가 국내법정 또는 행정당국에서 원용되거나 직접 집행되는 사례 희박
(c) Covenant rights have seldom been invoked before, or directly enforced by, domestic courts, tribunals or administrative authorities.
위원회는 국내법 체계내에서 직접 원용이 가능한 법적 지위를 규약에 부여하도록 거듭 권고한다. 이와 관련, 위원회는 규약의 국내 적용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 견해 제9호를 언급한다. 위원회는 차기 정기보고서에 협약상 권리에 효력을 부여하는 국내법정 또는 행정당국의 결정에 관한 상세 정보를 포함시킬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recommendation that the State party accord the Covenant a legal status that would enable it to be invoked directly within the domestic legal system. In this regard, the Committee refers to its general comment No. 9 (1998) on the domestic application of the Covenant. The Committee requests the State party to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on decisions of national courts, tribunals or administrative authorities giving effect to Covenant rights in its next periodic report.
7. 위원회는 당사국이 성취한 빠른 경제발전으로 인해 원조기여국이 된 것과 ODA를 꾸준히 증가시킨다는 계획을 평가하나, 2015년 당사국의 ODA 목표치가 국제적으로 합의된 목표치인 GDP 0.7%에 훨씬 밑돌고(규약 제2조 1항), 양자원조가 여전히 부분적으로 구속적(tied)인 것을 우려한다.
7.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target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f the State party for 2015 is well below the internationally agreed target of 0.7 per cent of GDP (art. 2.1) and that bilateral aid is still partially tied, while noting with appreciation the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achieved in the State party that has enabled it to become an aid donor country, as well as the information that the State party plans to continue its steady increase in ODA.
위원회는 당사국이 2015년 ODA 목표치를 국제적으로 합의된 목표인 GDP 0.7% 수준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을 제고할 것을 권고한다. 이와 관련, 위원회는 회원국의 원조 구성에 있어 최빈개도국에 대한 양자 ODA 공약중 무상원조를 늘리도록 한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의 권고를 당사국이 존중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step up its efforts to increase its ODA target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ly agreed commitment of 0.7 per cent of GDP by 2015. In this respect,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take on board the recommendations made by the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ncerning the increase of the grant element of bilateral ODA commitments to least developed countries in the State party’s aid portfolio.
8. 위원회는 규약상 권리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제한된 관할권과 조사권에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여타 모든 부처들의 축소폭이 최대 2%에 그친데 비해 국가인권위원회는 21%를 축소한데 대해 깊이 우려한다. 위원회는 특히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을 심각히 압박하는 당사국내 최근 상황 전개에 대해 우려한다.
8.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limited jurisdict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over Covenant rights and the lack of its investigative power. The Committee is deeply concerned about the downsizing of the Commission by 21 per cent, whereas for all other ministries, it has been of 2 per cent at the most. The Committee is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 State party that have put the independence of the Commission under severe pressure.
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가 파리원칙(Paris Principles)에 부합될 수 있도록 보장할 당사국의 책임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위원회는 더 나아가 다음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minds the State party of its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remains compliant with the Paris Principles.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 국가인권위원회의 위임권한을 규약상 모든 권리를 포괄할 수 있도록 확대․강화
(a) Strengthen and expand the mandate of the Commission to cover all Covenant rights;
(b)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라 인권전문가를 포함, 적정한 인력 및 예산 배분
(b) Allocate adequate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including human rights expert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ct;
(c)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의 침해에 대해 개인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직접 진정을 제기할 수 있도록 허용
(c) Allow individuals to file complaints on violations of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rights directly to the Commission.
9. 위원회는 2007.12월 제17대 국회에 제출된 차별금지법이 심의되지 않고 폐기된 사정으로 인해, 포괄적 차별금지법이 아직 당사국에 의해 채택되지 않은 것을 우려한다. 또한, 위원회는 T/F에 의해 검토중인 현재 법안이 차별금지 근거를 배타적으로 예시하지 않고, 전형적인 차별금지 근거만을 대표적 사례로서 나열하고 있다는 점과 특정 차별근거만을 포함하고 국적 및 성적 지향과 같은 원래 법안에서 예시되었던 여타 근거들을 배제하고 있는 데 대해 우려한다. (규약 제2조)
9.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has still not been adopted by the State party owing to the fact that the anti-discrimination bill submitted to the seventeenth National Assembly in December 2007 was discarded without consideration.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the present version under assessment by the task force does not exclusively enumerate anti-discrimination grounds, but rather stipulates a list of typical anti-discrimination grounds as an example, and that it only contains certain grounds for discrimination, excluding others that had been indicated in the original bill, such as nationality and sexual orientation (art. 2).
위원회는 당사국이 위원회의 일반견해 제20호에 따라 규약 제2조 2항에 규정된 차별의 모든 근거들을 분명하게 적시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신속하게 채택할 것을 촉구한다.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adopt expeditiously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at clearly spells out all the grounds for discrimination, as set out by article 2.2 of the Covenant and in line with the Committee’s general comment No. 20 on non-discrimination i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rt. 2, para. 2).
10. 위원회는 난민 및 망명자격 신청자들이 신청절차에서 긴 대기기간으로 인해 처하는 어려움에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에 의해 난민 및 망명신청자들의 인정 비율이 매우 낮은 점과 그들의 지위인정을 획득하는 절차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점에 대해 우려한다.
10.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difficulties faced by applicants for refugee and asylum status because of the long waiting periods while their applications are processed. The Committee remains concerned about the extremely low rate of recognition of refugees and asylum-seekers by the State party, and by the still lengthy status recognition process.
위원회는 당사국이 난민 및 망명 지위 인정을 위한 대기 기간을 축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make more efforts to shorten waiting periods for the recognition of refugee and asylum-seeker status by:
(a) 개정된 출입국관리법 및 시행령을 이행하기 위해 출입국 직원 수의 증가를 포함한 적정한 자원 제공
(a) Providing adequate resourc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Immigration Control Act and relevant enforcement decree, includin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mmigration officers;
(b) 망명 절차의 표준화
(b) Standardizing asylum procedures;
(c) 난민 및 망명 신청자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
(c) Systematically collecting data on refugees and asylum-seekers.
위원회는 난민 및 망명 지위 부여에 관한 통계자료를 포함, 당사국이 위와 관련하여 채택한 조치에 관한 정보를 차기 정기보고서에 포함시킬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quests the State party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measures taken in this regard, including statistics on the granting of refugee and asylum status, in its next periodic report.
11. 위원회는 당사국에 의해 취해진 긍정적 조치들을 인정하면서도 여성부에 대한 권한 및 자원배분에 있어서의 변화가 여성의 실질적인 평등 향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에 대해 우려한다. (규약 제2조)
11. The Committee, while recognizing the positive steps taken by the State party, is concerned that changes in the competences of, and resource allocation for,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have negatively affected women’s substantive enjoyment of equality (art. 2).
위원회는 당사국이 여성부가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예산 및 사업에 있어서 성인지를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고 필요한 자원을 분배하도록 한 이전의 권고를 반복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최우선적으로 규약 제2조 2항 및 제3조에 규정된 대로 모든 생활 영역에서 남녀간 법적, 실제적 평등을 보장하기 위해 諸 입법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행할 것을 촉구한다. 이와 관련, 위원회는 모든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의 향유에 있어 남녀의 평등한 권리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견해 제16호(2005)에 대해 당사국의 주의를 환기하며, 차기 정기보고서에 이와 관련 진전사항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previous concluding recommendation that the State party provide an adequat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allocate the necessary resources to enabl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to function effectively and to consistently apply a gender perspective to legislation and programmes.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undertake, as a matter of priority,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legislation with a view to ensuring de jure and de facto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all fields of life, as provided for in article 2, paragraph 2, and article 3 of the Covenant. In this regard, the Committee draws the attention of the State party to its general comment No. 16 (2005) on the equal right of men and women to the enjoyment of al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requests the State party to provide, in its next periodic repor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rogress made in this respect.
12. 위원회는 한국민과 결혼한 외국인 배우자들이 여전히 그들의 거주 자격(F-2)을 한국인 배우자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우려한다. (규약 제2조)
12. The Committee remains concerned that foreign spouses married to Korean nationals are still dependent on the latter for their residency status (F-2) (art. 2).
위원회는 한국민과 결혼한 외국여성이 배우자에 의존하지 않고 거주자격 취득 또는 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처한 차별을 극복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make more efforts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faced by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 nationals by allowing them to acquire residency status or naturalization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ir husbands.
13. 위원회는 민법의 개정, 특히 호주제의 폐지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생활 영역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이 상존하는 것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남녀간 지속적인 임금 격차, 정치 및 공공 분야 고위직에 낮은 여성 비율, 직업에 있어 성별 분리에 대해 거듭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여성의 높은 직업교육 등록율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OECD 평균보다 낮은 저조한 수준인 점에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에서 여성의 출산율 저하가 직업과 가족생활을 양립하고자 하는 여성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의 반증일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한다. (규약 제3조)
13. The Committee remains concerned that, in spite of the amendments made to the Civil Law, in particular the abolition of the Hoju system,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still present in many fields of life.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concern over the persisting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the low percentage of women in high-ranking positions in political and public life, and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by the low rate of labour market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State party, which i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despite high female enrolment in tertiary education. The Committee also notes with concern that the decreasing fertility rate of women in the State party may be a reflection of the difficulties they face when they wish to reconcile professional and family life (art. 3).
위원회는 당사국에게 다음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 대안적인 가족등록제도가 사적 자유를 비롯, 성평등 및 개인적 존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입법 및 정책적 조치를 취할 것
(a) Take the necessary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to ensure that the alternative family registry system guarantees gender equality, individual dignity, and privacy;
(b) 세금 감면 및 사회보장 혜택 등과 같이, 남성과 여성이 직장과 가족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조치들을 고려
(b) Consider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tax reductions and social security incentives, to allow men and women to reconcile professional and family life;
(c) 남성 육아휴직과 같은 정책적 유인들을 통해 남성들이 가족 돌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
(c) Encourage men to participate in family care through, inter alia, policy incentives such as paternity and parental leave;
(d) 남성과 여성이 일과 가족에 대한 의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유연한 근로 스케줄 인정
(d) Permit flexible work schedules that allow men and women to combine paid work with their family responsibilities;
(e) 공공 보육센터 및 학교 급식 등 아동양육 시설을 포함한 사회 서비스 연계망 확장
(e) Expand the network of social services, including childcare facilities, such as public day-care centres and school lunches.
14. 위원회는 당사국에서 고용 기회의 부족, 특히 여성 및 청년을 위한 일자리 부족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청년 고용을 위한 국가 정책에 관해 제공된 정보가 충분히 상세하지 않은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규약 제6조)
14. The Committee is concerned at the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 State party, in particular for young persons and women. The Committee regrets that information provided on national policies for youth employment was not sufficiently detailed (art. 6).
위원회는 당사국이 노동력에 있어서 과소 대표되고 있는 여성 및 청년의 고용을 증진하도록 권고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노력을 배가하면서, 2010년까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목표율 55%를 달성하기 위해, 아울러 자녀양육 및 경력 단절 이후 여성들이 노동시장에 재진입하도록 지원과 적절한 교육 및 재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당사국이 시장 수요에 적합한 직업 교육 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청년을 위한 고용 기회를 창출하도록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promote greater employment of women and young persons, who are underrepresented in the labour force.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reach the target of 55 per cent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labour market by 2010, stepping up its efforts to create sustainable jobs and to provide support, adequate training and retraining for women to re-enter the labour market after child-rearing and career breaks.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creat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ng persons by strengthening vocational training activities that are adequate to market demand.
15. 위원회는 전체 근로자의 34.9%, 여성 근로자의 44.1%, 특별경제구역의 대다수 근로자가 비정규직인 점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다음을 우려한다.
15.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34.9 per cent of the total workforce is made up of non-regular workers, that 44.1 per cent of women workers are non-regular, and that most workers in the Special Economic Zones are non-regular.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a)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소득이 정규 근로자의 약 절반인 점
(a) That the monthly income of a non-regular worker is about half that of a regular worker;
(b) 비정규직 및 파견직 근로자들의 부적절한 근무 환경 및 사회보험
(b) That working conditions and social insurance of non-regular and dispatched workers are inadequate;
(c) 비정규직 및 파견직 근로자들의 수적 증가, 2년간의 근로 계약이 종결되기 전, 정규직 노동자로 전환될 수 없도록 해고당할 위험 감수
(c) 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workers, and the fact that they run the risk of being summarily dismissed before ending their two-year work contract, making it impossible for them to become regular workers;
(d)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부당한 해고로부터 보호할 보호수단의 비효과성 (규약 제7조)
(d) That safeguards to protect non-regular workers from unfair dismissal are not effective (art. 7).
위원회는 비정규직 및 파견직 근로자들의 상황에 관한 평가를 신속하게 완료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 다음의 권리가 부여되도록 강력히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conclude expeditiously its assessment of the situation of non-regular and dispatched workers. The Committee strongly recommends that non-regular workers be entitled to:
(a) 동일 가치 근로에 대한 동일 임금
(a) Equal pay for work of equal value;
(b) 적절한 사회보험 보호
(b) Adequate social insurance coverage;
(c) 퇴직금, 휴가, 초과근무 등을 포함한 근로법에 의한 보호
(c) Labour law protection, including severance pay, vacation and overtime;
(d) 부당한 해고에 대한 보호수단
(d) Safeguards against unfair dismissal.
16. 위원회는 법적 최저임금의 적용범위를 확대한 2005년 최저임금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근로자들이 최저임금 수급에서 배제되고 있으며, 최저임금 관련 입법이 모든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지 않은 점을 우려한다. (규약 제7조)
16. The Committee remains concerned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workers are not entitled to the minimum wage and that the minimum wage legislation does not apply to all sectors, in spite of the amendment to the Minimum Wage Act in 2005, which expanded the application of the legal minimum wage (art. 7).
위원회는 최저임금이 효과적으로 시행되도록, 최저임금이 근로자와 그 가족들에게 규약 제7조 (a) (ii)에 따라, 적절한 생활수준을 제공하도록 당사국이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최저임금 입법이 비적용분야로 확장 적용되도록 하고, 근로감독의 수를 증가하며, 최저임금법을 따르지 않는 고용주에 대해 벌금 또는 여타 적절한 제재를 가하는 등 법정 최저임금을 이행하려는 노력을 강화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당사국이 현재 검토중인 최저임금 산정에 있어서 숙식비 공제를 감안하도록 한 변화가 이주노동자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take all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that the minimum wage is effectively enforced and that it provide workers and their families with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in accordance with article 7, paragraph (a) (ii), of the Covenant.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xtend the applicability of the minimum wage legislation to those sectors where it still does not apply and intensify its efforts to enforce legal minimum wages through increased labour inspections and fines or other appropriate sanctions for employers who fail to comply with the minimum wage legislation. The Committee further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nsure that changes in the calculation of the minimum wage to take into account deductions for meals and accommodation presently under consideration do not disproportionately affect migrant workers.
17. 위원회는 다음을 우려한다.
17.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a) 직장 성희롱에 대한 계속적인 이해 부족
(a) There continues to be a lack of understanding on what constitutes sexual harassment at work;
(b) 직장 성희롱의 법적 불처벌
(b) Sexual harassment at work is not criminalized;
(c) 피해자는 직장 또는 이민자격 상실에 대한 두려움으로 구제조치 이용 주저
(c) Victims rarely seek redress for fear of losing their job or their immigration status;
(d) 조사 과정에서 성희롱이 빈번히 은폐
(d) Sexual harassment is often covered up during case proceedings.
위원회는 당사국이 직장에서의 성희롱을 처벌하는 입법을 채택․시행하고, 그 이행을 감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수립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당사국이 직장 성희롱을 다루는 공공기관에 처벌조치를 부과하고, 피해자를 보상할 수 있는 충분한 권한을 부여할 것을 권고한다. 아울러, 성희롱의 범죄적 성격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계속 증진시킬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strongly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dopt and implement legislation that criminalizes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nd set up mechanisms to monitor such implementation.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give sufficient authority to the public organizations dealing with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to impose punitive measures and compensate its victims.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continue to promote public awareness of the criminal nature of sexual harassment.
18. 위원회는 당사국내에서 높은 산업재해 발생 건수와 근로감독관의 수가 불충분한데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근로감독이 작업장의 안전 및 근로조건에 대한 조사보다는 노동자의 이주 지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음을 우려한다. (규약 제7조)
18.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high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State party and the insufficient number of labour inspectors. It is also concerned at allegations that labour inspections focus on the immigration status of workers rather than on occupational safety and working conditions (art. 7).
위원회는 당사국이 근로감독관의 수를 증가시킬 것과 감독관, 고용자 및 피고용자에게 작업장의 안전 및 근로 환경에 관한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increase the number of labour inspectors and provide adequate training on occupational safety and working conditions to labour inspectors, employers and employees.
19. 위원회는 헌법(제33조)에 따라 법에 의해 지정된 특정 공무원만이 노조권을 향유할 수 있음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공무원과 교수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취한 조치들을 주목하나, 공립 및 사립대학에서 노동조합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고, 규약 제8조를 위배하여 2001년 조직된 한국교수연합을 인정하지 않은데 대해 거듭 우려를 제기한다. (규약 제8조)
19.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concern that, according to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only certain public officials as designated by law may enjoy trade union rights. The Committee takes note of the measures taken by the State party to ensure the rights of Government workers and professors. However,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concern that trade unions in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are prohibited by law and that the Korean Professor’s Union, formed in 2001, has not been accepted, in direct contravention of article 8 of the Covenant (art. 8).
위원회는 집회 및 결사의 자유에 관한 2001 국제노동기구(ILO) 전문가위원회의 의견(제87호)에 부합되게 공무원의 노동조합 가입권 및 파업권에 부과된 제한을 철폐하기 위해 공무(civil service)에 관한 입법을 개정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legislation on civil service be amended with a view to lifting the restrictions imposed on the right of civil servants to join a trade union and to strike in conformity with the comments made by the Committee of Experts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in 2001, on the Convention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No. 87).
20. 위원회는 업무방해죄에 관한 형법 제314조에 주로 근거하여 노사관계 관련 근로자의 빈번한 처벌 사례 및 파업 근로자에 대한 과도한 물리력 사용 등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 위원회는 노동조합권이 당사국내에서 적절히 보장되지 않음을 거듭 우려한다. (규약 제8조)
20. The Committee is greatly concerned about the frequent prosecution of workers with regard to labour management relations and the excessive use of force demonstrated against striking workers, mainly on the grounds of article 314 of the Penal Code regarding “obstruction of business”.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concern that trade union rights are not adequately guaranteed in the State party (art. 8).
위원회는 당사국이 파업권을 약화시키기 위해 업무방해죄 조항을 체계적으로 이용하는 것과 공공질서 유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수준 이상의 물리력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모든 사람의 노동조합 결성 및 가입, 노동조합을 통한 단체교섭에 참여할 권리 및 파업권을 보장하도록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당사국이 ILO 협약 제87호 집회의 자유 및 결사의 자유 보호협약(1948)과 제98호 결사의 자유 및 단체교섭권 협약(1949)의 비준을 고려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strongly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guarantee the right of all persons to form and join trade unions freely, the right to engage in collective bargaining through trade unions and the right to strike by refraining from the use of the “obstruction of business” clause as a systematic recourse to weaken the right to strike, and also from the use of force beyond that which is absolutely necessary to maintain public order.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consider ratifying ILO Conventions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No. 87)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Right to Organise and to Bargain Collectively (Convention No. 98).
21. 위원회는 이주노동자가 착취, 차별 및 임금 미불을 당하기 쉽다는 점을 우려한다.
21.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migrant workers are subject to exploitation, discrimination and unpaid wages.
위원회는 이주노동자를 근로법 보호 대상으로 이미 인정하고 있는 고용허가제도를 추가로 검토할 것을 권고한다. 특히 사업장 변경을 위해 규정된 3개월의 기간이 불충분하다는 사실에 유의할 것을 권고한다. 이것은 이주노동자가 합법적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불리한 근로 조건의 직장을 수용하는 외에 별다른 선택을 할 수 없는 현 경제 상황에서 더욱 그러하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이주노동자의 노동조합에 법적 지위를 부여하도록 한 고등법원의 결정을 지지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at has already recognized migrant workers as workers entitled to labour law protection be further reviewed. It also recommends that particular attention be paid to the fact that the three-month period stipulated for a change in job is highly insufficient.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in which migrant workers often have little choice but to accept jobs with unfavourable work conditions just to retain a regular work status. The Committee further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uphold the High Court’s decision to grant legal status to the Migrants’ Trade Union.
22. 당사국은 아시아에서 전례가 없는 빠른 속도의 경제 성장으로 인해 세계 제12위 경제대국이 되었으나, 이에 걸맞는 경제, 사회 및 문화적 권리 실현, 특히 가장 취약하고 소외된 개인 및 집단의 권리 실현을 이루지 못했음을 우려한다. 이와 관련, 위원회는 전체 인구의 8.2%가, 특히 일부 취약하고 소외된 개인 및 집단이, 확립된 국민적 사회 안전망이 부재한 가운데, 가장 취약한 환경에 사는 사람들에게 ‘국민최저복지기준’을 보장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로부터 배제되어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그러므로, 위원회는 부적절한 공적 사회 비용 및 의료, 교육, 식수 및 전기 공급 등 사회 서비스의 높은 민영화 수준으로 인해 가장 취약하고 소외된 개인 및 집단이 그러한 서비스에 접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음을 우려한다.
22.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rapid pace of economic growth — of unprecedented proportions in Asia — that has turned the country into the twelfth-largest economy has not been matched by greater fulfilment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particular for the most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groups. In this regard,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8.2 per cent of the total population, and in particular some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groups, are excluded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hich, in principle, guarantees a “national minimum” to people living in the most disadvantaged conditions, in the absence of an established national social safety net. The Committee is therefore concerned at inadequate public social expenditure and the high level of privatization of social services, including health care, education, water and electricity supplies, which has led to greater difficulties in the access and use of such services by the most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groups.
위원회는 “지원 의무(duty to support)” 기준 또는 부(富) 기준과 동 제도에의 보편적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검토되고 있다는 당사국의 정보를 주목하며, 당사국이 동 검토를 신속하게 완료할 것과 노숙자, 비닐하우스 거주자 및 임시보호시설 거주자 등 최소한의 “안정적 생활” 기간을 채우지 못한 사람들이 동 제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촉구한다.
The Committee, not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tate party that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is under review in relation to the “duty to support” standard or wealth standard and universal access to the system, urges the State party to conclude the review expeditiously and guarantee access to the system for persons that have not completed a minimum period of stable living, including the homeless and those living in shelters.
23. 위원회는 다수의 노인들이 국민연금제도로부터 부분적으로만 혜택을 받고 있는데 대해 거듭 우려를 제기한다. 당사국이 세계에서 자영업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이고, 60세 이상의 인구비중이 7%에서 14%로 두배가 되는데 22년밖에 소요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로 인해 이러한 우려는 더욱 증대된다.
23.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concern regarding the large number of older persons who only benefit partially from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his concern is enhanced by the fact that the State party has one of the highest levels of self-employment in the world and that it will take only 22 years for the share of the population aged over 60 to double from 7 to 14 per cent (art. 9).
위원회는 당사국이 노인들이 궁색하지 않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편적 최소연금 또는 여타 사회부조 혜택 등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대안적 또는 보충적 정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nvisage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policies to the national pension system, such as a universal minimum pension or other social assistance benefits that would enable elderly persons to live a decent life.
24. 위원회는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보호가 여전히 부적절하다는 점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가정폭력 의무 보고율이 현저히 낮고, 가해자에 대한 법적 조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다수의 해결된 사례들도 불기소로 종결된 것에 대해 우려한다. (규약 제10조)
24. The Committee remains concerned that there is still inadequate protection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the rate of mandatory reporting of domestic violence is very low, that legal action against perpetrators is seldom taken and that a number of settled cases have resulted in non-prosecution (art. 10).
위원회는 당사국이 가정폭력을 적절히 다루기 위해 입법 또는 여타 모든 필요한 조치를 위할 것을 권고한다. 특히, 당사국이 가해자를 기소․처벌하고,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하며, 가정폭력의 범죄적 성격에 관한 인식을 계속해서 증가시킬 것을 권고한다. 또한 당사국이 피해자를 위한 임시 보호시설과 정신적,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증가시킬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take all necessary measures, legislative or otherwise, to address domestic violence adequately. In particular, it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continue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criminal nature of domestic violence, bring perpetrators to trial and conviction, and strengthen counselling programmes.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increase shelters and psychosocial support services for victims.
25. 위원회는 당사국의 입법이 매춘 또는 성착취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어떠한 이익 목적을 위한 인신매매도 형사처벌토록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여성, 특히 원래 E-6(오락) 비자로 입국한 여성 노동자들과 아동들이 성적 착취와 강제노동 목적으로 당사국으로부터, 당사국을 거쳐, 당사국 내에서 계속적으로 인신매매를 당하고 있음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특히 인신매매범의 기소 및 유죄판결 건수가 매우 낮은 데 대해 우려한다. (규약 제10조)
25.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State party legislation penalizes trafficking not only for prostitution or sexual exploitation but for any purpose of profit, a high number of women and children continue to be trafficked from, through and within the country for the purposes of sexual exploitation and forced labour, especially women workers originally arriving on an E-6 visa (entertainment). The Committee is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low rate of prosecution and conviction of traffickers (art. 10).
위원회는 당사국이 특히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모든 사람, 특히 여성 및 아동의 인신매매를 철폐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intensify its efforts to combat trafficking in human being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for any purpose, by, inter alia:
(a) E-6 비자 발급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a)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of issuances of E-6 visas;
(b) 인신매매를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홍보 활동 지원
(b) Supporting programmes and information campaigns to prevent trafficking;
(c) 법집행 공무원, 검사 및 판사에게 인신매매금지 관련 입법에 관한 의무 교육 제공
(c) Providing mandatory training for law enforcement officials, prosecutors and judges on anti-trafficking legislation;
(d) 피해자에게 의료, 심리, 법률적 지원 제공을 증가
(d) Increasing the provision of medical, psychological and legal support to victims;
(e) 이주 지위와 무관하게 이주노동자를 위한 효과적인 진정 메커니즘을 보장
(e) Ensuring an effective complaint mechanism for migrant workers, regardless of their immigration status;
(f) 인신매매 사건의 완전한 조사 및 사법처리 보장
(f) Fully investigating cases of human trafficking and ensuring justice.
26. 위원회는 높은 GDP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빈곤이 계속 확대, 심화됨을 우려한다. (규약 제11조)
26. The Committee notes with concern that, in spite of a high GDP growth rate, the extent and depth of poverty continue to increase (art. 11).
위원회는 당사국이 빈곤척결 전략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 충분한 자금을 배분할 것을 권고한다. 최소생계비용을 결정하는 공식적인 빈곤선의 존재를 주목하면서도, 위원회는 당사국이 취약하고 소외된 개인 및 집단에 빈곤척결 전략이 주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빈곤 및 경제․사회․문화적 권리규약” (E/C.12/2001/10)에 관한 위원회의 성명에서 권고하였듯이, 당사국이 빈곤척결 전략에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가 완전히 통합될 수 있도록 할 것을 촉구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성별, 연령, 가구당 아동수, 미혼모 가구수, 농촌/도시 인구 및 소수민족 그룹 등으로 분류된 매년 빈곤생활인구의 비율에 관한 최신통계자료를 포함, 빈곤척결 전략 하에 채택된 조치들의 결과에 관한 상세 정보를 차기 정기보고서에 포함시킬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llocate sufficient funds for the full implementation of its poverty eradication strategy. While noting the existence of a formal poverty line to determine the minimum cost of living,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monitor effectively the impact of its poverty eradication strategy on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groups.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ensure the full integr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the strategy, as recommended by the Committee in its statement on poverty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E/C.12/2001/10). The Committee requests the State party to include in its next periodic repor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the measures taken under the strategy, including updated statistical data, on an annual basis, on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living in poverty, disaggregated by gender, age, number of children per household, number of single parent households, rural/urban population and ethnic group.
27. 위원회는 당사국이 노숙자문제를 다루고, 동 문제의 범위 및 원인을 조사하며, 노숙자를 위한 적절한 수준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전략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우려한다.
27.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State party has no strategy to address the problem of homelessness, to examine its extent and causes and to ensure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for the homeless.
위원회는 당사국이 노숙자 문제의 범위 및 원인들을 조사하고 노숙자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생활을 보장하며, 노숙자문제를 다룰 전략을 채택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차기 정기보고서에 성별, 연령, 농촌/도시 인구로 분류된 당사국내 노숙자의 범위에 관한 자료를 포함할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adopt a strategy to address the problem of homelessness, after examining its extent and causes and ensuring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for the homeless. The Committee invites the State party to include in its next periodic reports data on the extent of homelessness in the State party, disaggregated by sex, age and rural/urban populations.
28. 위원회는 2백6만 가구(조사대상가구중 13%)가 최소주거기준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2005년 인구 및 주택조사 결과에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공공 임대주택 제도에 대해서도 우려한다. (규약 제11조)
28. The Committee is deeply concerned that, 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05, 2.06 million households (13 per cent of all households surveyed) were living below minimum housing standards.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about the system of public leasing houses (art. 11).
위원회는 당사국이 주거문제에 관한 진정이나 지원요청을 다룰 정부내 전담 창구(focal point)를 설립하도록 거듭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당사국이 주거권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견해 제4호(1991)와 부합되게, 특히 가장 취약하고 소외된 개인 및 집단에 임대 안전성과 알맞은 주거를 제공할 목적의 프로그램을 실현하기 위해 충분한 자금을 배분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recommendation that the State party establish a focal point in the Government to deal with complaints or appeals for assistance on housing matters.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llocate sufficient funds for the realization of programmes aimed at providing security of tenure and affordable housing, particularly to the most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groups, in line with its general comment No. 4 (1991) on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e Committee strongly recommends in this regard that priority be given to those who are homeless or living in exceptionally substandard conditions.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with data disaggregated on an annual basis by gender, age and households.
29. 위원회는 강제퇴거에 의해 영향을 받은 혹은 받을 가능성이 큰 사람들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 및 법적 구제조치가 부족한 점, 강제퇴거를 당한 개인 및 가족들에 충분한 보장 또는 적절한 이주 장소 제공이 미흡한 점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특히 대규모 개발사업의 결과로서 당사국내에서 수행된 강제 퇴거의 범위에 관한 정보가 당사국의 보고서에 충분히 포함되지 않은 점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한다. (규약 제11조)
29. The Committee is deeply concerned at the lack of effective consultation of, and legal redress for, persons affected by or likely to be affected by forced removal or forced evictions and the lack of sufficient compensation or adequate relocation sites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who have been forcibly removed. The Committee also regrets that the State party report did not contain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forced evictions carried out in the State party,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the enormous scale of development projects (art. 11).
위원회는 강제퇴거가 최종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하며, 용산사건에서와 같이 폭력으로 이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떠한 개발 또는 도시정비 사업도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위한 사전 통보 및 임시 주거가 마련되지 않고서는 수행되어서는 안된다고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forced eviction be used only as a measure of last resort and that no project of development or urban renewal be carried out without prior notification and access to temporary housing for those affected so as to avoid recourse to violence, such as that seen in the Yongsan incident.
위원회는 당사국이 최우선적으로 강제퇴거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견해 제7호에 따라 다음을 촉구한다.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as a matter of priority, and in line with its general comment No. 7 on forced evictions:
(a) 주거로부터 강제 퇴거 당하는 사람들이 충분한 보상 그리고/또는 이주 장소가 제공될 수 있도록 보장
(a) To ensure that persons forcibly evicted from their homes be provided with adequate compensation and/or offered relocation;
(b) 개발사업 및 주거환경정비 계획을 이행하기 앞서 영향을 받는 거주자 및 공동체와 공개 토론 및 의미 있는 협의 추진
(b) To undertake public debate and meaningful consultations with affected residents and communities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learance plans;
(c) 새로운 거주지는 식수, 전기, 세정 및 위생 시설 등 기본적 서비스와 공공시설이 제공되고 학교, 의료센터 및 대중교통에의 접근이 용이할 것을 보장
(c) To ensure that new housing sites are provided with basic services and utilities, such as drinking water, electricity, washing and sanitation facilities, and easy access to schools, health-care centres and transportation;
(d) 차기 정기보고서에 매년 성별, 연령 및 가구(household)로 분류된 데이터를 포함한 강제퇴거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
(d)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forced evictions with data disaggregated on an annual basis by gender, age and households in its next periodic report.
30. 위원회는 국민의료보험에도 불구하고 취약하고 소외된 개인들이 전체 별원의 90%을 차지하는 민영 병원의 의료서비스에 충분한 접근권이 없음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국민건강보험이 전체 의료비용의 약 65%만을 지급하기 때문에 개인적 부담이 상당한 점에 대해 우려한다. (규약 제12조)
30.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despite the medical benefit programme,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individuals do not have adequate access to medical services in privately run hospitals, which constitute 90 per cent of all hospitals.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only covers around 65 per cent of total medical expenses and that, as a result, out-of-pocket payments are substantial (art. 12).
위원회는 당사국이 의료 지출을 증가하고, 모든 사람들이 감당할 수 있는 가격으로 의료 서비스에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며, 달성가능한 최고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권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견해 제14호(2000)에 대한 당사국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increase expenditure for health care and to take all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universal access to health care, at prices that are affordable to everyone, and draws the attention of the State party to its general comment No. 14 (2000) on the right to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31. 위원회는 의무적 성교육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성(性)과 생식에 관한 체계적이고 정확한 교육이 부족한데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다수의 임신한 십대들이 미혼모에 붙는 오명으로 인해 퇴학하고 낙태하는데 대해 우려한다.
31.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despite mandatory sex education programmes,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accurate education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n schools.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a number of pregnant teenagers drop out of the school system and turn to abortion owing to the stigma attached to unwed mothers.
위원회는 당사국이 학교내에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성과 생식, 피임법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의무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이행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미혼모에 재정적, 심리적 지원을 제공하며, 미혼모에 대한 뿌리 깊은 사회적 편견을 철폐하기 위한 홍보 활동을 증진할 것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implement its mandatory sex education programme in schools in a systematic manner, and that it include information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the use of contraceptive methods. The Committee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provide finan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unwed mothers and promote information campaigns to combat deep societal prejudice against them.
32. 위원회는 식수의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방사능 물질에 의한 마을 식수 오염에 관한 보고에 대해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생수판매회사들이 지역공동체가 농업 및 식수용으로 필요한 지하수를 이용하여 생수를 시판하고 있음을 우려한다. 아울러, 시판된 생수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된데 대해 우려한다.
32.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reports on the contamination of village waterworks by radioactive agents, exceeding safety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It is also concerned that companies commercializing bottled water are using groundwater resources that local communities need for farming and drinking. The Committee is further concerned at the failure to disclose the existence of carcinogenic substances in bottled drinking water.
위원회는 지방공동체가 농업 및 식수용으로 필요한 지하수자원을 빼앗기지 않도록 당사국이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또한 당사국이 발암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발견된 생수 관련 건강위험 정보가 대중에게 공개되도록 보장할 것을 권고한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이미 채택된 식수의 질에 관한 WHO 기준을 효과적으로 이행할 것과 달성 가능한 최고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권에 관한 위원회의 일반견해 제14호 및 식수권에 관한 일반견해 제15조를 고려하여 차기 정기보고서에 관련 정보를 포함할 것을 권고한다. (규약 제11조)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take effective measures to ensure that local communities are not deprived of groundwater resources needed for farming and drinking purposes.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nsure that adequate information on health hazards relating to the bottled drinking water that was found to contain carcinogenic substances is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The Committee further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ffectively implement adopted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ndards on drinking water quality and take into account the Committee’s general comment No. 14 on the right to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general comment No. 15 on the right to water, i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its next periodic report (art. 11).
33. 위원회는 부모들이 부담해야하는 높은 교육관련 비용에 대해 우려한다. 아울러, 교육에 있어서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정보, 최고대학 입학 가능성이 방과 후 개인교습 및 사교육을 감당할 수 있는 부모들의 능력에 의해 종종 결정된다는 사실에 대해 우려한다.
33.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high associated costs of education required to be paid by parents. It is also concerned about information regarding the deepening inequality in education and the fact that the chances of entering a high-level university for students are often determined by their parents’ ability to afford after-school tutoring or private education.
위원회는 교육이 재정적 가능성이 아니라 능력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차별없이 평등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위원회는 사교육에 대한 과도한 비용이 가구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중산층의 생활수준 저하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점을 인정하며, 당사국이 공교육 제도를 강화하고, 저소득층이 교육관련 비용을 부담하는데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것을 권고한다. (규약 제13조)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ccelerate its efforts to ensure that education is equally accessible to all and without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ability, not financial capacity. It also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having recognized that excessiv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imposes great burdens on the household economy and has been the major cause of decline in quality of life for the middle class, strengthe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low income families to cover the associated costs of education (art. 13).
34. 위원회는 극단적인 경쟁과 학업 스트레스에 의해 초래된 우울증, 주의 결핍 및 활동 과다증이 학생들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음을 우려한다. (규약 제12, 13조)
34. The Committee is concerned at the increase in clinical dep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ases among students caused by extreme competition and academic stress (arts. 12, 13).
위원회는 당사국에게 다음을 권고한다.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 사설학원의 운영시간 제한 관련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행
(a) Implement the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limitation of functioning hours of privately run cram schools;
(b) 시범적인 대안교육 모델 수립
(b) Set up pilot alternative learning models;
(c) 부모 및 일반 대중에게 학업에 대한 과도한 부담이 장기적으로 학생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교육
(c) Educate parents and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long-term effects of the overburdening of children with school work;
(d) 사설 야간학교 및 학원의 운영 억제
(d) Curb the operation of private night schools and cram schools;
(e) 학교간 불필요한 경쟁을 초래하고 고등교육에서 연구진로 선택을 제한하는 일제고사 제도에 대한 재평가
(e) Reassess the Iljegosa system, which creates unnecessary competition between schools and limits the choice of study paths in higher education.
35. 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실기교육에만 집중하도록 한국예술종합대학에 요청한 예에서와 같이, 예술 및 문화분야 대학교육에서 자율성과 다양성이 없음을 우려한다.
35.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absence of self-regulation and diversity in university education in arts and culture, following the request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o solely concentrate on “practical education”.
위원회는 당사국이 제시한 일반감사의 필요성에 관한 정보를 인정하지만, 대학이 완전한 학술적 자율성을 행사하고 커리큘럼과 교수법을 조절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받도록 권고한다.
The Committee, while not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tate party on the need for general audits, recommends that universities be guaranteed the freedom to exercise fully their academic authority and control their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36. 위원회는 당사국이 경제․사회․문화적 권리규약 선택의정서에 서명 및 비준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
36. The Committee encourages the State party to consider signing and ratifying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venant.
37. 위원회는 당사국이 동 최종견해를 전 사회계층, 특히 국가공무원, 사법부 및 시민사회 기구들 사이에 널리 배포할 것, 동 최종견해를 번역하여 가급적 널리 공표할 것, 최종견해 이행을 위해 취한 조치를 차기 정기보고서에서 포함, 위원회에 알리도록 요청한다. 또한 차기 정기보고서 제출 이전 국가 수준의 논의 과정에서 국가인권기구, NGO 및 여타 시민사회 구성원들이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37. The Committee requests the State party to disseminate the present concluding observations widely among all levels of society, in particular among State officials, the judiciary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o translate and publicize them as far as possible, and to inform the Committee on the steps taken to implement them in its next periodic report. It also encourages the State party to continue engaging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other members of civil society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at the national level prior to the submission of its next periodic report.
38. 위원회는 당사국이 이주노동자협약에 서명 및 비준을 고려할 것을 장려한다.
38. The Committee encourages the State party to consider signing and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39. 위원회는 2008년 채택한 위원회의 개정된 보고지침에 따라 준비된 제4차 정기보고서를 2014.6.30까지 제출토록 요청한다.
39. The Committee requests the State party to submit its fourth periodic report,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reporting guidelines of the Committee (E/C.12/2008/2), by 30 June 2014.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