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UPR 실무그룹 보고서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 배포일 2012. 12. 12.
서론
Introduction
1. 2007년 6월 18일 인권이사회 결의 5/1에 따라 설립된 국가별 인권상황 정기검토(UPR) 실무그룹은 2012년 10월 22일부터 11월 5일까지 제14차 회기를 개최하였다. 대한민국에 대한 심의는 2012년 10월 25일, 제8차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대표단의 단장은 길태기 법무부 차관이었다. 2012년 10월 31일에 개최된 제13차 회의에서 실무그룹은 대한민국에 대한 보고서를 채택하였다.
1.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of 18 June 2007, held its fourteenth session from 22 October to 5 November 2012.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held at the 8th meeting on 25 October 2012.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headed by Ghil Tae-Ki, Vice Minister, Ministry of Justice. At its 13th meeting, held on 31 October 2012, the Working Group adopted the report on the Republic of Korea.
2. 2012 년 5 월 3 일 인권이사회는 대한민국에 대한 원활한 심의를 위해 지부티, 헝가리, 인도네시아의 3 개국으로 보고관들 (트로이카)을 선정하였다.
2. On 3 May 2012, the Human Rights Council selected the following group of rapporteurs (troika) to facilitate the review of Republic of Korea: Djibouti, Hungary and Indonesia.
3. 결의안 5/1 의 부록의 15 번째 문단 및 결의 16/21 부록의 5 번째 문단에 따라, 대한민국의심의를 위해 다음의 문서들이 발행되었다:
3.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of the annex to resolution 5/1 and paragraph 5 of the annex to resolution 16/21, the following documents were issued for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a) 15 (a) 항에 따라 제출된 서면 국가보고서(A/HRC/WG.6/14/KOR/1 and Corr.1);
(a) A national report submitted/written presentation mad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a) (A/HRC/WG.6/14/KOR/1 and Corr.1);
(b) 15 (b) 항에 따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작성한 문서(A/HRC/WG.6/14/KOR/2);
(b) A compilation prepared by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b) (A/HRC/WG.6/14/KOR/2);
(c) 15(c)항에 따라 OHCHR 이 작성한 요약본 (A/HRC/WG.6/14/KOR/3 and Corr.1).
(c) A summary prepared by OHCHR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c) (A/HRC/WG.6/14/KOR/3 and Corr.1).
4. 체코 공화국, 독일, 아일랜드, 멕시코, 네덜란드,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스페인, 영국이 사전에 작성한 질의서는 트로이카를 통해 대한민국에 전달되었다. 상기 질의서는 UPR의 엑스트라넷(extranet)에 게재되어 있다.
4. A list of questions prepared in advance by the Czech Republic, Germany, Ireland, Mexico, Netherlands, Norway, Slovenia, Spain and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was transmitted to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troika. These questions are available on the extranet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I. 심의과정 진행 개요
I. Summary of the proceedings of the review process
A. 심의대상 국가의 발표
A. Presentation by the State under review
5. 대한민국은 약 50 년 만에 발전과 민주화를 동시에 이루어 냈으며 모든 분야의 인권을 증진시키고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대한민국 정부는 또한 사회 모든 구성원의 공평한 인권 보장을 위해 사회의 소수자와 취약계층의 인권 증진에 집중해왔다.
5. The Republic of Korea had achieved both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within a 50-year period and continued its efforts to promote and protect the full scope of human rights. It had also given attention to better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minorities and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so as to ensure that every member of society equally enjoyed universal human rights.
6. 대표단은 국가인권위원회 및 관련 NGO 들과 협의를 하는 등의 국가 보고서 작성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6. The delegation referred to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national report, including consultations with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NHRC) and relevant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7. 1 차 UPR 심의의 결과는 2008년 국가인권정책협의회(NHRPC)에 보고되었다. 2010년 이후부터는 1 차 심의시의 권고들이 이행되었는지에 대한 연례조사가 주로 법무부를 통해 이루어져 국가인권정책협의회에 보고되었다. 정부는 2차 UPR 주기 이후 본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려고 계획하였다 .
7. The results of the first UPR review were reported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Council (NHRPC) in 2008. Since 2010, annual examination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first review had been carried out, primarily through the Ministry of Justice, and were reported to the NHRPC. The Government planned to further develop the system of follow-up after the second UPR cycle.
8. 국가인권정책협의회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 초안을 작성하는 책임을 지고 있었다. 2차 NAP는 2012년 3월에 확정되었는데, 인권 보호 증진과 관련된 24개 부처의 209개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계획 초안 작성 과정에서 정부는 국가인권위원회(NHRC)의 권고들과 여러 국제인권 기구 및 시민사회단체들의 의견들도 검토하였다.
8. The NHRPC was responsible for drafting the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The second such plan was launched in March 2012 and included 209 projects under the 24 ministries and agencies relating to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During the drafting of the plan, the Government reviewed the NHRC recommendations as well as thos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s and opinions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9. 인권 의무 이행 노력과 관련해 정부는 「장애인권리협약」을 비준하고 아동권리협약 제9조 제3항 및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제7조에 대한 유보를 철회하였다.
9. Regarding efforts to implement its human rights obligations, the Government had ratifie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and had withdrawn its reservation to article 9, paragraph 3,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CRC) and to article 7 of the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10. 대한민국은 비준한 7개 핵심 인권 조약에 의거해 보고서를 제출했으며 개인통보들에 성실히 답변하였다.
10. The Republic of Korea had submitted its reports in accordance with the seven core human rights treaties ratified and had diligently responded to individual communications.
11. 2012 「난민법」 은 2013 년 7 월에 발효될 것이다. 이 법은 공정하고 효과적인 난민 지위 인정 절차 및 개선된 난민 보호 방안들을 확립한 것으로 기대되었다. 난민 지원 센터가 설립 중이었으며, 난민신청자 및 난민들에 대한 지원이 더욱더 강화될 것이다.
11. The 2012 Refugee Act would enter into force in July 2013. The Act was expected to put in place a fair and effective process of refugee recognition and improved refugee protection measures. A centre for refugee support was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and support for asylum seekers and refugees would be further strengthened.
12. 차별금지조치와 관련해 대략 90여 개의 개별 법률들이 현존한다. 이러한 법률들과 별도로 국내 및 국제 사회의 요청에 따라 정부는 포괄적인 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했다.
12. Concerning anti-discrimination measures, there were about 90 individual pieces of legislation. Aside from those laws and in response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quests, the Government had continued to examine and review the need for the enactment of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act.
13. 개인의 안전권과 관련해, 「인신보호법」이 2008 년 6 월부터 시행되어왔다.
13. Regarding the right to security of the person, the Habeas Corpus Act had been in force since June 2008.
14. 대표단은 가족 구조에 있어 주목할 만한 변화를 언급했다. 정부는 결혼이민자들이 대한민국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가정의 자녀들이 정당한 보호와 존중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2011 년에 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은 가정폭력을 겪은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의료 및 보건 서비스 뿐만 아니라 교육 지원을 위한 노력도 강화해왔다.
14. The delegation referred to notable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The Government was making efforts to establish policies for ensuring that marriage immigrants adjust well to societ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at the children of those families receive all due protection and respect. In 2011 the revis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had reinforced efforts concerning medical and health care as well as education support for marriage immigrants who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15. 대표단은 개인 사생활 보호의 필요성과 함께 문제점도 증가하고 있음을 언급했다.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설립을 통해 공공 및 민간 영역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규정과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기준들이 마련되었다. 또한 정부는 사생활 침해로 인한 피해를 교정할 방안들을 강화했다. 주민등록제도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주민등록번호의 수집 및 사용이 제한되었고, 개인 검증을 위한 대안 마련이 의무화되었다. 주민등록번호 대신 생년월일을 공공 문서에 기재하도록 노력해 왔다.
15. The delegation referred to increased demands and challenge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privacy.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rules had been set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and standards had been set for the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Moreover, the Government had reinforced corrective measures for damages caused by privacy rights violations. To prevent abuse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the collection and usage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had been limited and provision of alternative measures for personal verification had been made mandatory. Efforts were being made to have public documents record the date of birth instead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16. 표현의 자유가 확대되어, 「공직선거법」의 개정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선거운동이 허용되었다
16. Freedom of expression had been expand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llowing the use of telecommunication networks in election campaigns.
17. 노동 시장의 유연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대한민국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을 막기 위한 종합 방안들을 마련하고 이행하였다.
17. In the midst of increasing labour market flexibility, the Republic of Korea had initiated and implemented comprehensive measures to protect non-regular workers from discrimination.
18. 저임금 노동자들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개별 고용보험과 국가연금보험료 두 가지에 모두 보조금을 지급하였다. 고용보험 적용 대상도 자영업자들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18. For low-wage workers the Government had subsidized both the individual employment insurance and the national pension premium. The scope of applicability for employment insurance had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self-employed.
19. 직장 내 복수 노조 도입으로 노조 결성권 보호도 강화되었다.
19. The right to form a trade union was better protec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ultiple trade unions in a workplace.
20. 저소득층에 대한 임대주택 보급도 강화되었다. 적정한 주거권 보장을 위해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이루어졌다.
20.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for those in the lower income bracket had been reinforced. Improvements to the programm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development had been promoted to guarantee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21. 최저생계비를 감안해서, 또 취약계층에 속한 사람들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조건을 낮추어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합리적으로 개정되어 사회보장에 의한 보호도 점차적으로 확대되었다.
21. There had been a gradual expansion of the protection of social security, with the recent revision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o accommodate the minimum cost of living and the lowering of eligibility conditions for benefits to allow more people in vulnerable groups to receive benefits.
22. 국민의료건강보험의 보장도 출생에서 노년까지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 희귀성 질병과 불치병 환자 등 일부 환자들의 부담 비용도 낮아졌다. 대한민국은 희귀성 및 불치병 환자들에 대학의료 비용의 부담을 줄이고 외국인과 그 가족들에 대해 의료 지원을 함으로써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해오고 있다.
22. The coverage of the universal national medical health insurance had been steadily expanded. For some patients, such as those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the co-pay rate had been reduced. The Republic of Korea was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provide medical services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by reducing the burden on patients for the cost of medical care needed in cases of rare and incurable diseases and by providing medical support for foreigners and their families.
23. 급속한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정부는 노인 간병 가족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08년에 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였고, 치매 환자들을 위한 정책을 도입했다.
23. With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in mind, the Government had introduced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s in 2008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s on families caring for the elderly, and had also taken measures for patients with dementia.
24. 정부는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을 도입, 추진하고 있으며, 보다 종합적인 이민자 정책의 증진을 위해 5년마다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2013년부터 시행될 2차 계획의 목표는 이민자들에 대한 종합서비스를 확대해 이민자의 사회 적응을 돕고 이민자녀의 교육을 지원하는 데에 있다.
24. The Government had established and promoted the Framework Policy on Immigration, which would be evaluated every five years, to facilitate more comprehensive migrant policies. The second plan, to be initiated in 2013, was aimed at expanding comprehensive services for immigrants to assist with their adjustment in society and to support education for migrant children.
25.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들은 다양한 노동 관련 규정에 의거해 시민으로서 동등하게 보호를 받았다. 통역, 상담 및 의료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이주 노동자들에게 제공되었다. 여성 이주 노동자들에게는 근로 기준법에 따른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동일한 권한이 보장되었다. 여성 이주 노동자가 인권침해에 관한 법적 소송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 불법이주자라 하더라도 추방을 유예하고 특별 체류가 허용되었다.
25. Foreign workers who entered the country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ere afforded the same protections as citizens under various labour-related laws. Many services were provided to migrant workers, such as interpretation, counseling and medical services. Female migrant workers were guaranteed equal access to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labour standards. In cases where women migrants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legal proceedings for human rights violations, even if the person was an illegal resident, deportation would be delayed and a special stay permitted.
26. 대한민국은 원조의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모범 사례가 된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공적개발원조(ODA)의 규모를 늘리고자 하고 있다. 2010년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정부는 개발 사업의 기획과 이행 과정에 인권 원칙들을 고려할 생각이다.
26. The Republic of Korea was proud that it had become a model case, as it had transformed from aid beneficiary to aid donor, and was committed to increasing its official development aid volumes. In 2010,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d been enacted and the Government intended to consider human rights principles in the planning and carrying out of development projects.
B. 상호 대화 및 심의 대상 국가의 답변
B. Interactive dialogue and responses by the State under review
27. 상호 대화에서 65 개국이 발언하였다. 여기서 제시된 권고안들은 본 보고서 섹션 II에 명시되어 있다.
27.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 65 delegations made statements. Recommendations made during the dialogue are to be found in section II of the present report.
28. 보츠와나는 1차 심의 이후 진행된 대한민국의 발전을 치하하고 「아동권리협약」 제9조 상의 유보 철회 및 장애인을 위한 관련 정책의 발전된 모습을 언급했다. 보츠와나는 아동권리위원회가 제기한 아동에 대한 다중적 차별에 대한 우려 사항들을 언급했다. 보츠와나는 권고안들을 제시하였다.
28. Botswana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developments since its first review and referred to the withdrawal of reservations under article 9 of CRC and the development of policies in favou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noted concerns raised by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over multiple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Botswana made recommendations.
29. 브라질은 대한민국의 「장애인권리협약」 가입 및 장애인 관련 법 제정, 장애인 지원 정책채택을 언급했다. 브라질은 한국의 독신모들이 겪는 사회적 낙인과 어려움으로 인해 자녀를 포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보고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브라질은 2011 「입양특례법」의 개정이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를 희망했다. 브라질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29. Brazil noted the accession by the Republic of Korea to CRPD and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and policies to support persons with disabilities. Brazil raised concerns over reports of social stigma and hardship faced by single mothers, which may lead mothers to relinquish their children. It hoped that the enactment of the 2011 Special Adoption Act would improve that situation. Brazil made recommendations.
30. 불가리아는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한 규범적 및 제도적 틀의 실질적 발전과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출범을 언급했다. 불가리아는 2012년 3월에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범위가 확대된 것을 언급했으며,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OP-CAT)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불가리아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0. Bulgaria noted substantive developments in the normative and institutional framework and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It note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investigation of the NHRC in March 2012 and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OP-CAT). Bulgaria made recommendations.
31. 캄보디아는 대한민국의 그간의 성과들을 치하하고 2012-2016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을 환영했다. 캄보디아는 모든 미해결 인권문제들, 즉 인신매매, 이주 노동자 특히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인권, 그리고 국제조약의 추가 비준 고려 등을 해결하려는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을 인정했다. 캄보디아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31. Cambodia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on its achievements and welcomed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12-2016). It recognized efforts to address all remaining human rights challenges, including human trafficking, rights of migrant workers, especially women, and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instruments. It made a recommendation.
32. 캐나다는 이주 노동자의 인권 정책에 있어서 특히 여성과 아동에 대한 조치에 대해 최근까지의 정보를 더 보충해 줄 것과 법을 집행하는 관리들에 대한 교육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캐나다는 부부간 강간을 인정한 법원 판결을 긍정적으로 보지만, 한국 경찰이 가정 폭력 사건을 가볍게 다룬다는 보고에 우려를 표했다. 캐나다는 또한 E2 비자 외국인에 대한 HIV 및 마약 검사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캐나다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2. Canada requested an update on steps taken with regard to the emphasis on women and children in policies regarding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and on the provision of training for law enforcement personnel. Canada positively noted court rulings recognizing marital rape and expressed concern over reports of police taking domestic violence cases lightly. It raised concerns about HIV and drug testing for E2 visa non-citizens. It made recommendations.
33. 차드는 2008년에 제시됐던 권고안의 대부분을 대한민국이 수용했다는 것과 여러 국제인권조약에 가입했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차드는 UPR에 대한 후속으로 2009년에 채택한 조치들을 환영했다. 차드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33. Chad no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accepted the majority of the recommendations made in 2008 and that it was party to many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It welcomed the measures adopted in 2009 for follow-up to the UPR. It made a recommendation.
34. 칠레는 2008년 이후 UPR 권고안들을 이행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평가했다. 칠레는 대한민국의 높은 교육수준을 치하했다. 칠레는 아동권리위원회가 제기했던, 대한민국 교육체제에 만연한 극심한 경쟁 상황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을 질문했다. 칠레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4. Chile valued the efforts made by the Republic of Korea to implement the UPR recommendations from 2008. It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high standard of education. Chile asked about measures taken to address the highly competitive conditions prevalent in the education system, as raised by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Chile made recommendations.
35. 중국은 2012-2016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을 환영했다. 중국은 개인정보 및 사생활 보호, 교육에 대한 동등한 접근성 제공 및 노년층과 장애인의 인권 보장에 대한 대한민국의 노력을 치하했다. 한편 중국은 극심한 성차별, 여성에 대한 차별, 만연한 아동 체벌 및 학대, 인신 매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권리에 대한 비보호, 빈곤층의 건강보험 이용 등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중국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5. China welcomed the national plan of action for human rights (2012-2016). It appreciated effort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to provide equal access to education and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elderly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raised concerns about serious gender inequality,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idespread corporal punishment and abuse of children, rampant human trafficking, unprotected rights of non-regular workers, and access to health care for poor persons. China made recommendations.
36. 코스타리카는 1차 UPR 심의 때 제시된 권고안들의 이행에 관한 정보에 감사를 표했다. 코스타리카는 미혼모 자녀에 대한 차별, 부부 강간 처벌 부재, 가정 폭력 및 이혼 시 불평등한 자산배분 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코스타리카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6. Costa Rica appreciated the inform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ommendations from its first review under the universal periodic mechanism. It expressed concern at the discrimination of children of single women; the lack of criminalization of marital rape; domestic violence; and the unequal division of assets in divorce cases. Costa Rica made recommendations.
37. 쿠바는 차별금지법에 대한 계획을 환영하며, 대표단이 이와 관련한 정보를 더 제공해줄 수 있는지 질문했다. 쿠바는 대한민국이 국제조약비준 및 유보의 철회, 그리고 「국가보안법」을 둘러싼 도전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계속해서 모색하도록 독려했다. 쿠바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7. Cuba welcomed plans for an anti-discrimination law and asked whether the delegation could provide more information in that regard.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continue exploring avenues to overcome challenges identified for the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instruments and the withdrawal of reservations, as well a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Security Act. Cuba made recommendations.
38. 사이프러스는 인권문제에 대한 대한민국의 노력들을 치하했으며 대한민국이 주요 인권조약의 대부분에 가입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사이프러스는 2011 「성별영향평가분석법」 제정 등과 같은 여성인권증진을 위한 노력을 환영했다. 사이프러스는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사회보장과 출산휴가를 위한 방안들에 대해 질문했다.
38. Cyprus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commitment to human rights and noted that it was a party to most core human rights instruments. It welcomed efforts made to promote women’s right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2011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Act. Cyprus asked about measures foreseen to facilitate the social insurance enrolment of female non-regular workers and to guarantee such workers maternity leave.
39. 체코 공화국은 대한민국의 UPR 과정에의 참여를 치하했다. 체코 공화국은 차별금지법의 도입이 부진한 이유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요청했다. 체코 공화국은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의 가입에 대한민국이 관심을 보인 것을 환영했다. 체코 공화국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39. The Czech Republic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UPR process. It asked the Republic of Korea to elaborate more on the reasons for the slow progress in adopting a national anti-discrimination act. It welcomed the interes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cceding to OP-CAT. The Czech Republic made recommendations.
40. 북한은 「국가보안법」 및 「보안관찰법」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북한은 「국가보안법」이 조직적 인권 침해의 주된 원인이라고 언급했다. 표현 및 집회의 자유를 비롯한 여러 인권들이 「국가보안법」을 근거로 침해되어 왔고, 특히 제7조가 언급되었다. 북한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0.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xpressed grave concern over the National Security Act and the Security Surveillance Act. It noted that that the National Security Act was the main source of systematic human rights violations. Many violations of rights, includ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embly had been com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in particular article 7.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made recommendations.
41. 프랑스는 사형집행의 유예를 환영했으며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에 대한 대체 복무의 도입 및표현의 자유, 집회의 자유 및 평화적 집회의 자유 증진을 위한 노력들을 치하했다. 프랑스는 이주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구체적 방안들이 도입되었는지 질문했다. 프랑스는 권고안들을제시했다.
41. France welcomed the death penalty moratorium and commented on the establishment of an alternative to military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and efforts to promote freedom of expression, association and peaceful assembly. It asked what concrete measures had been taken to protect migrant workers. It made recommendations.
42. 독일은 1차 UPR의 권고들을 이행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치하했다. 독일은 대한민국이 여전히 사형제도를 폐지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했으며,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에 대한 장기 형량, 독신모 및 그 자녀들의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독일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2. Germany commended the active rol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implementing recommendations from the first UPR. It expressed its regret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not yet abolished the death penalty and expressed concern over the long sentences of conscientious objectors and the situation of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Germany made recommendations.
43. 온두라스는 2012-2016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출범 및 국제인권기구들과 UPR 제도에서 제시된 권고들이 기본계획에 반영된 점을 강조했다. 또한, 아동 인권 보호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이 있었음을 언급했다. 온두라스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3. Honduras highlighted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12-2016) and the incorporation in the Plan of the recommendations made by international human rights bodies and from the UPR mechanism. It also referred to important progress made in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Honduras made recommendations.
44. 헝가리는 성 평등 및 여성보호를 위해 취해진 조치들을 언급했다. 헝가리는 또한 임신 중인 근로자들을 보호하고 독신모에 대한 차별을 막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다. 헝가리는 대한민국이 아동폭력 및 학대를 막고, 차기 UPR 주기 전에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에 대한 대체복무제를 도입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독려했다. 헝가리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4. Hungary noted steps taken to achieve gender equality and the protection of women. It requested information on measures to protect pregnant employees as well as to counter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mothers. Hungary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continue efforts to protect children from violence and abuse, and to introduce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before the next UPR cycle. Hungary made recommendations.
45. 인도는 「아동권리협약」 제9조 제3항에 대한 유보 철회 및 『사회보장법』과 「성별영향평가붂석법」의 도입을 환영했다. 인도는 또한 상기 법안 이행을 위한 적절한 모니터링시스템 도입을 희망했다. 인도는 차별금지법안이 지연되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인도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45. India welcomed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article 9, paragraph 3, of CRC and the adoption of the Social Services Act and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Act. It expressed its hope that adequate monitoring mechanisms would be established to implement the legislation. India expressed concern over the delayed anti- discrimination bill. It made a recommendation.
46. 인도네시아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 권한이 확대된 것을 치하했다. 인도네시아는 2013-2017 제2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 마련에 주목했다. 인도네시아는 여성차별 철폐를 위한 방안들을 환영했으며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제정, 개발원조의 확대 및 ‘새천년개발목표(MDGs)'에 중점을 둔 중기 정책의 입안 등을 치하했다. 인도네시아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6. Indonesia commended the expanded investigatory mandate of the NHRC. It noted the formulation of the second Framework Policy on Immigration (2013-2017). It commended initiatives to eliminat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t welcomed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expanded development assistance and the enactment of the mid-term policy emphasiz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donesia made recommendations.
47. 이란은 인권 침해, 특히 아동의 권리에 대한 침해에 우려를 표했다. 이란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7.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expressed concern about human rights violations, with particular regard to children’s rights. It made recommendations.
48. 이라크는 국가계획 채택을 통한 인권 보호와 증진 방안들을 치하했다. 이라크는 「자살예방 및 생명 존중 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의 제정을 환영했다. 이라크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8. Iraq expressed its appreciation for measures taken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through the adoption of a national plan. It welcomed the act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nd the promotion of a culture of respect for life. Iraq made recommendations
49. 아일랜드는 대한민국에 보편적인 출생등록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출생과 주민등록 시점사이에 아이들이 비밀리에 입양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아일랜드는 2010년 조사에 따르면, 무려17,000명에 이르는 미등록 이주 아동들이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언급했다. 아일랜드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49. Ireland noted the absence of a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may give rise to children being secretly adopted between their birth and registration. It noted the results of a 2010 survey, which estimated that there might be as many as 17,000 undocumented migrant children who were unable to gain access to medical care and other services. Ireland made recommendations.
50. 이탈리아는 대한민국의 인권보호 노력을 인정했다. 이탈리아는 사실상의 사형집행 유예를 높이 평가했다. 이탈리아는 또한 보편적 출생등록 시스템의 미비 및 심각한 가정폭력 문제들에 대한 보고에 우려를 표했다. 가정 폭력의 형사적 본질에 대한 인식제고 및 학교 내 체벌 금지 방안들을 언급하고 추가정보를 요청했다. 이탈리아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50. Italy acknowledged efforts to protect human rights. It commended the de facto death penalty moratorium. It raised concerns over reports of an inadequate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and of serious domestic violence problems. It noted measures to raise awareness of the criminal nature of domestic violence and to prohibit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and requested further information. It made recommendations.
51. 일본은 「아동복지법」의 개정, 학교 내 체벌 금지 조항 마련, 그리고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의 개정 등을 환영했다. 또한 일본은 아동 인권 보호에 있어서 부족한 점, 즉 아동 인신매매 및 아동에 대한 폭력 및 성 착취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일본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51. Japan welcomed the amendment of the Child Welfare Act, the introduction of legal provisions to prohibit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s and amendments to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Juveniles from Sexual Abuse. Japan pointed out gaps in guaranteeing children’s rights, including issues relating to trafficking in children and violence against and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Japan made recommendations.
52. 제기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대표단은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에 명시된 고문의 정의와 관련해 기존 법에 명시된 조항 외에 형법상에 관련 규정을 포함시킬 필요성이 있을 지를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현재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와 국내법 간에 배치되는 점이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국내법과 제도를 검토하고 있는 중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이미 수감 및 보호 시설에 대한 시찰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선택의정서가 의도하는 예방 효과는 이미 상당부분 달성했다.
52. Responding to questions raised, the delegation stated that the need to establish regulations in the Criminal Act regarding the definition of torture as stipulated by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other than those already provided for in established laws, w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 Government was currently reviewing national laws and systems for possible discrepancies between OP-CAT and national laws. With the NHRC already carrying out inspections of detention and protection facilities, the prevention effect that was intended in OP-CAT had already been achieved to a significant extent.
53.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는 보편적인 차별금지법 제정 과제가 포함되었다. 정부는 성적 지향에 근거한 차별 및 간접 차별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충분히 고려할 것이다.
53.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included the task of preparing for the enactment of a general anti-discrimination act. The Government would fully consider including in it grounds for discrimination, such as sexual orientation, and indirect discrimination.
54. 한반도의 군사적 대치 상황을 고려할 때, 국가안보의 중요성은 강조되었다. 「국가보안법」의 개정 또는 철폐 여부는 공론적 합의를 필요로 할 것이다. 정부는「국가보안법」의 남용 또는 자의적 해석을 막기 위해 법 해석을 엄격히 하고 있다. 「국가보안법」 제7조는 반정부 조직을 단순히 찬양하거나 지지하는 사람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가보안법」이 학문의 자유나 표현의 자유의 근본을 침해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지난 5 년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억류되는 사람의 수는 꾸준히 연20명 정도에 머물고 있다.
54. Given the military confron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had been emphasized. The revision or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would require public consensus. The Government was strictly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law to prevent the National Security Act from being abused or arbitrarily interpreted. Article 7 of the Act did not apply to those who simply praised or supported the claims of an anti- government organization. Therefore, the law could not be seen as violating the fundamentals of academic freedom or freedom of expression. The average number of persons detained for violating the National Security Act each year in the last five years remained steady at about 20.
55. 출생 등록 및 입양에 관해서는, 2008년에 법이 개정되어 입양아도 친자녀와 같은 권리와 지위를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입양이 아니라 출생할 것으로 등록하는 과거의 문제들은 상당부분 시정되었다. 법적 통제도 강화되었다. 입양은 법원의 허가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55. Regarding birth registration and adoption, the law had been changed in 2008 so that an adopted child would enjoy the same rights and status as a biological child, and the problems in the past of registering a birth rather than an adoption had been corrected to a great extent. Legal controls had also been strengthened. Adoptions could take place only with a court permit.
56. 정부는 2008년 "여성·아동보호 종합대책"을 마련해 성폭력범죄에 대처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아동폭력 재발방지 및 피해자 지원대책", 그리고 2011년에는 "가정폭력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장애인, 아동, 청소년에 대한 성범죄 처벌도 강화되었으며, 미성년피해자가 법적으로 성년이 될 때까지 공소시효가 유예 될 것이다. 정부는 또한 성폭력과 가정폭력 피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 및 캠페인을 계속해왔다.
56.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Women and Children in 2008 in order to counteract sexual violence crimes, as well as the Countermeasures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of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Support for Victims in 2009, and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in 2011. Punishment of sexual crimes against the disabled and children and juveniles was also strengthened and the statutory limitation would be suspended until a minor victim reached the legal age of majority. The Government also continued to provide education and conduct public campaigns with a view to raising awareness of the serious nature of damages caused by sexual and domestic violence.
57. 경찰청은 "아동포르노방지대책반"을 구성해 아동 포르노의 제작, 유포, 소지를 강력히 통제하고 있다.
57. The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a task force to counter child pornography, and strengthened control over the making, dissemination and possession of child pornography.
58.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아동권리협약」, 그리고「장애인권리협약」 등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침해를 결정하는 기준은 개별 국가의 가용 자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선택의정서의 비준에는 심도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
58. A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CRC and CRPD provide for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decision criteria for violations may vary according to available resources of individual States,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s required more considered deliberation.
59.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비준은 국내 노동 시장의 특성과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고려해 면밀히 검토할 것이다.
59.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ICRMW) would be carefully examined,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s labour market and the need for social consensus.
60. 정부는 「국가간 입양에 관한 아동의 보호와 협력에 대핚 헤이그 협약」의 가입을 면밀히 준비해 왔다. 가령, 이전까지는 사설 입양 기관에서 감독해왔던 국제 입양을 이제는 정부가 감독하게 될 것이다. 정부는 헤이그 협약 비준에 앞서 최근에 출범한 "법원허가제"를 면밀히 모니터링 할 것이다.
60. The Government had been undertaking thorough preparations for accession to 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For instance, international adoption previously overseen by private adoption agencies would be overseen by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would also monitor closely the recently launched “court permit system”, prior to ratifying the Hague Convention.
61. 「학부모가족지원법」에 따라 보육비, 교육비 및 생활보조금이 지급되었다. 저소득 미혼모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해서 살아나갈 수 있도록 상담과 훈련 등을 지원하는 자활 및 취업 패키지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었다. 또핚 십대 부모들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 및 학칙 등이 개정되었다.
61. Under the Single Parent Family Support Act, support for childcare, education and living subsidies were provided. For low-income single mothers there were self-support and employment-package programmes with counselling and training to enable the families to become financially independent and viable. Moreover, relevant laws and school regulations had been amended to help teenage parents stay in school.
62. 2011년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의 개정을 통해 정부는 모든 형태의 체벌을 전면 금지시켰다. 학교는 의무적으로 학생, 학부모 및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자체적인 훈육방식과 기준을 수립, 적용해야 했다. 『아동복지법』은 2012년 8월 5일 개정되어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 내 체벌을 엄격히 금하고 있다.
62. Through the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2011, the Government had completely banned all forms of corporal punishment. Schools were required to collect the opinion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o establish and employ their own discipline methods and standards. The Child Welfare Act had been amended as of 5 August 2012 to strengthen the ban on corporal punishment in child welfare facilities and in homes.
63. 소득수준 및 지역적 배경의 차이로 인한 교육 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는 교육, 문화 및 복지 분야에서 소외된 학생들에게 조직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었다. 정부는 고등학교 형태를 다양화했다. 정부는 또한 과도한 대학 입학 경쟁을 줄이기 위해 단순히 성적비교가 아닌, 학생의 적성과 능력을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제를 확대했다. 정부는 사교육 시장에 대한 규제도 강화했다.
63. To reduce the educational gap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income levels and regional background, the Government was providing the disadvantaged wit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upport in the areas of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The Government was diversifying the forms of high schools. It was also expanding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which evaluated a student’s aptitudes and skills rather than simply comparing exam scores for college admission, with a view to alleviating excessive competition. The Government had tightened regulations on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64. 대한민국의 특수한 안보 상황을 감안할 때,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을 위한 대체 복무제의 도입은 안보 상황 및 남북한 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때, 그리고 그러한 대체 복무제 도입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질 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헌법 재판소는 「병역법」 조항이 합헌인 것으로 판결했다. 대체 복무제 도입을 위핚 「병역법」 개정안이 국회에 상정되었으나 폐기되었다.
64. Given the special security situ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introduction of an alternative system for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could be considered when positive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as the security landscape occurred, and when a national social consensus for accepting such an alternative system existed.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ruled that the clause in the Military Service Act was constitutional. A bill to amend the Military Service Act to introduce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had been proposed, but discarded, in the National Assembly.
65. 쿠웨이트는 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과 관련해서 긍정적 진전을 치하했다. 쿠웨이트는 1차 심의 이후 국가인권위원회의 권한 확대 및 여타 긍정적인 법적, 제도적 발전을 높이 평가했다. 쿠웨이트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65. Kuwait appreciated the positive steps taken with regard to the second national human rights plan of action. It commended the expansion of competences for the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 and other positiv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s since the first review. Kuwait made recommendations.
66. 키르기스스탄은 국가인권위원회의 범위 확대와 국제인권조약 유보 철회를 환영했다. 또한 범죄피해자 지원기금 설치 및 「성별영향평가분석법」의 제정을 치하했다. 특히, 최소외계층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제도를 높이 평가했다. 키르기스스탄은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66. Kyrgyzstan welcomed the expanded scope of the NHRC and the withdrawal of reservations to human rights instruments. It appreciated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victims’ support fund and the enactment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Act. It particularly commended the provision of scholarships for the most disadvantaged students. It made a recommendation.
67. 라오스는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제정, 인권증진을 위한 개발지원의 확대, 그리고 '천년개발목표' 달성 등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장애인권리협약」을 비롯한 국제인권조약의 가입에 주목했으며, UN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독려했다.
67.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commended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xpanded development assistance to promote human rights, and the achievement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t noted the accession by the Republic of Korea to human rights treaties, including CRPD, and encouraged continued cooperation with the United Nations.
68. 말레이시아는 국제인권조약 준수를 위한 조치들을 환영했다. 말레이시아는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 및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 범위 확대 등에 고무되었다. 말레이시아는 또한 공적 개발원조사업에 있어서 대한민국의 인도주의 정신의 고취를 환영했다. 말레이시아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68. Malaysia welcomed measures taken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It was encouraged by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on human rights and the expanded investigatory scope of the NHRC. Malaysia welcomed the promotion by the Republic of Korea of humanitarianism in i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mes. It made recommendations.
69. 멕시코는 인권 보호에 있어서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을 치하했다. 또한, 「강제실종협약」,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 「이주노동자권리협약」 등의 비준을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을 인정하면서, 상기 조약의 비준을 가로막는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멕시코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69. Mexico praised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progress in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It further recognized efforts towards the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OP-CAT and ICRMW, and hop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would be able to remove the challenges that hindered the ratification of those instruments. Mexico made recommendations.
70. 모로코는 권고안 이행에 있어서의 진전을 치하했다. 또한, 국가 보고서에 나타난 훌륭한 실천방안들을 환영했다. 모로코는 건강권, 사회권, 교육권 및 노동권의 진전을 높이 평가했다. 모로코는 2008 년 『장애인권리협약』의 비준을 환영했다. 또한 장애인들을 사회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특별 조치들을 환영했다. 모로코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0. Morocco commended progress in implementing recommendations. It welcomed the good practices described in the national report. It commended progress in the protection of health, social, education and employment rights. It welcomed the 2008 ratification of CRPD. It welcomed specific measures for social prote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made recommendations.
71. 네팔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개정과 국가인권정책협의회에서 그 이행 모니터링 방안 및 UPR 후속 행동을 채택할 것을 치하했다. 네팔은 2010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이라는 주요 입법에 주목했다. 네팔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1. Nepal commended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plan of action on human rights and the adoption of measures to monitor its implementation and the UPR follow-up actions at the NHRPC. Nepal noted the important enactment of the 2010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t made recommendations.
72. 네덜란드는 인권적 관점을 국가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을 치하했다. 대한민국이 곧 사형제도를 철폐한 것을 희망했다. 네덜란드는 또한 고용부문에서 여성들이 겪는 불평등에 대한 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우려와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사회권규약위원회의 우려를 지적했다. 네덜란드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2. The Netherlands commended the efforts made by the Republic of Korea to integrate a human rights perspective in its policies. It hop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would soon abolish the death penalty. It noted concerns expressed by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bout disadvantages faced by women in the employment sector, and the concerns of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regarding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It made recommendations.
73. 노르웨이는 대한민국에 아직도 미혼모의 권리, 아동의 권리 및 「국가보안법」의 영향하에 있는 사람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방안이 부족하다는 것에 우려를 나타냈다. 노르웨이는「국가보안법」 적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노르웨이는 사형 집행에 대한 사실상의 유예에 고무되었다. 노르웨이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3. Norway remained concern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lacked sufficient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of unwed mothers, of children and of persons affected by the National Security Act. Norway remained concerned about the increased use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Norway was encouraged by the de facto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It made recommendations.
74. 오만은 대한민국이 국내에서와 국제적인 차원 모두에서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는 점을 언급했다. 오만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4. Oman no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taken up commitments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t made recommendations.
75. 팔레스타인은 모든 아동에게 교육권을 보장하기 취한 조치를 언급하고, 교육 정책을 재검토해서 아동이 처한 압박상황의 정도를 낮추는 추가적인 노력을 해 줄 것을 독려했다. 팔레스타인은 대한민국의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언급했다. 팔레스타인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5. Palestine noted measures taken to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for all children and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take additional efforts to review its educational policies with a view to alleviating the level of pressure to which children were subjected. It noted the continuation of efforts in putting forward an anti-discrimination law. Palestine made recommendations.
76. 파라과이는 특히 2012-2016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과 같은 중요한 노력을 인정하며,「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제정이라는 진전을 언급했다. 파라과이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76. Paraguay recognized important efforts,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12-2016). It also noted progress made with regard to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araguay made a recommendation.
77. 필리핀은 대한민국이 국민의 인권 증진과 보호, 실현을 높이기 위한 법 제정, 「장애인권리협약」 비준, 그리고 수 천명의 필리핀인들을 포함해서 많은 이주 노동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것을 환영했다. 필리핀은 대한민국이 아직 보호가 안되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한 추가 입법을 독려했다. 필리핀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7. The Philippines welcomed the enactment by the Republic of Korea of legislation enhancing the promotion, protection and fulfilment of the human rights of its people, the ratification of CRPD, an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been a good host to thousands of Filipino and other migrant workers. The Philippines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enact further laws to protect the as yet unprotected rights of migrant workers. It made recommendations.
78. 폴란드는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과 국가인권정책협의회의 출범을 환영했다. 폴란드는 대한민국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안들로 여성을 차별과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이 포함된다고 했다.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는 사실에도 주목했다. 폴란드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8. Poland welcome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lan of action on human rights and of the NHRPC. Poland noted that issues requiring atten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ed protection of women against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he unresolved issue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lso attracted the attention of Poland. It made recommendations.
79. 몰도바 공화국은 정부 정책 내 효과적인 양성평등을 목표로 한 「성별영향평가분석법」의 제정에 만족을 표시했다. 또한, 가정폭력 예방 및 처벌, 그리고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보호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의지를 인정했다. 몰도바 공화국은 인신 매매 퇴치를 위한 강한 의지에도 만족감을 표했다. 몰도바 공화국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79. The Republic of Moldova noted with satisfaction the enactment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Act, aimed at ensuring effective gender equality in Government policies. It also acknowledged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prevent and prosecute domestic violence and ensure protection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t noted with satisfaction the strong commitment to combat human trafficking. It made recommendations.
80. 루마니아는 난민과 망명 신청자 보호에 있어서의 진전과, 사회 모든 구성원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보장을 위한 진일보를 치하했다. 지금까지의 성과와 대한민국 정부의 의지는 인권보호증진에 대학 정치적 의지를 확실히 보여주었다. 루마니아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80. Romania commended progress in protecting refugees and asylum seekers, and extensive steps to ensure enjoyment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for all members of society. Steps taken so far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commitments clearly showed the political will to ensure protection of human rights. Romania made a recommendation.
81. 르완다는 이전 심의 때 나온 권고안 이행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가 기울인 인상적인 상당한 노력에 만족감을 표했다. 르완다는 개발원조의 근본 원칙으로 여성과 아동 인권의 증진, 양성평등의 실현, 인도주의 증진 등을 명시한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제정을 환영했다. 르완다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1. Rwanda noted with satisfaction the impressive and significant efforts in implementing the recommendations of the previous review. It welcomed the adoption of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ich recognized the promotion of the human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the fulfilment of gender equality and the promotion of humanitarianism as fundamental principles of development assistance. It made recommendations.
82. 세네갈은 국가보고서에 제시된 여러 방안, 즉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발간, 국가인권위원회 권한 범위 확대, 아동 성학대 예방을 위한 입법적 조치 및 장애 아동 및 소외계층 아동에 대한 교육 접근성 증대 등을 언급했다. 세네갈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2. Senegal noted that the national report cited several initiatives, such as: the publication of the second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broadening the scope of competence of the NHRC; and legislative measures for protecting children against sexual abuse and strengthening access to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and those from disadvantaged families. It made recommendations.
83. 슬로바키아는 대한민국의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채택 및 개발원조의 근본 원칙으로 여성과 아동 인권의 증진, 양성평등의 실현, 인도주의 증진 등을 목표로 한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제정을 환영했다. 슬로바키아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3. Slovakia welcomed the adoption by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on human rights and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imed at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fulfilling gender equality and promoting humanitarianism as fundamental principles of i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Slovakia made recommendations.
84. 슬로베니아는 제1차 UPR 주기 이후 대한민국이 「장애인권리협약」을 비준하고 「아동권리협약」 유보조항 중 하나를 철회했다는 사실을 환영했다. 그러나 몇몇 인권조약은 아직 비준이 안된 상태이고 유보조항도 여럿 남아있다. 슬로베니아는 여성차별에 대한 보고에 우려를 표하고, 이와 관련한 인식 제고 캠페인을 계획했는지 질문했다. 슬로베니아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4. Slovenia welcomed the fact that since the first cycle of the UPR, the Republic of Korea had ratified CRPD and had withdrawn one of its reservations to CRC. However, several human rights instruments had not been ratified and several reservations remained. Slovenia was concerned about report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asked whether any awareness-raising campaign was planned in that connection. Slovenia made recommendations.
85. 남아프리카는 그 동안의 진전, 특히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법률 제정을 언급했다. 남아프리카는 차별금지법을 조속히 논의해서 제정할 확실한 방안들에 대해 질문했다. 남아프리카는 여성 차별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여성의 대표성 부족 등에 우려를 표했다. 남아프리카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5. South Africa noted progress made, particularly in the promulgation of laws aimed at enhancing the practical enjoyment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t asked about measures to ensure the early consideration and promulgation of the anti-discrimination act. It expressed concern about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their inadequate representation in decision-making positions. It made recommendations.
86. 스페인은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과 1997년 이후 사형집행이 실질적으로 유예된 것을 축하했다. 스페인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6. Spain congratulated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launching of its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and celebrated the de facto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since 1997. Spain made recommendations.
87. 스리랑카는 아동 권리 보호 및 증짂, 그리고 양성평등 및 성 형평성에 있어서의 진보를 치하했다. 스리랑카는 또한 이주 노동자들을 지원하고 조언해주기 위한 상담센터와 여러 지원센터를 설립함으로써 이주노동자들의 노동관련 불만을 다루고 그들의 권리에 대한 규정을 이행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질 것을 치하했다. 스리랑카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87. Sri Lanka commended progress in promoting and protecting children’s rights and in achieving gender equality and equity. It also commended the efforts to address work-related grievances of migrant work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gulations with respect to their righ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ounselling centre and support centres for workers’ assistance and advice. It made a recommendation.
88. 수단은 교육분야에서 교육권을 보장하고 장애아동을 포함해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인정했다. 수단은 이주민을 포함한 모든 이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법적 행정적 조치에 대해 질문했다. 수단은 폭력과 차별을 겪는 여성 이주 노동자 등 취약 계층의 인권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강조했다. 수단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8. The Sudan appreciated efforts to ensure the right to education and equal opportunities in the area of education, includ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enquired about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measures to guarantee education for all, including migrants. Sudan highlighted challenges regarding the human rights of vulnerable groups, including women migrant workers, who suffered from violence and discrimination. It made recommendations.
89. 스위스는 사형집행이 사실상 유예되어 수년간 지켜져 온 것을 높이 평가했다. 대한민국은2008년부터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에 대한 법 조항을 더 제한적으로 해석해 온 것으로 보인다. 스위스는 출생 등록제도에 있어서의 결함을 언급했다. 스위스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89. Switzerland commended the de facto death penalty moratorium, which had been established for many years. It would seem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subjected legislative provisions on freedom of opinion and of the press to more restrictive interpretations since 2008. Switzerland noted deficiencies in the birth registration system. It made recommendations.
90. 태국은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 여성들을 위해 여성가족부가 긴급지원센터들을 설립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이들 센터에 통역관들을 추가로 배치해 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태국은 이주 노동자들의 복지 증진을 언급했으나, 여행 문서를 압수하고 원치 않는 재배치를 하는 등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부당한 처우에 우려를 표했다. 태국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0. Thailand commended the establishment,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f Emergency Support Centres for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 men. Additional interpreters would hopefully be provided at those centres. Thailand noted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 welfare of migrant workers, but was concerned by the withholding of travel documents and involuntary relocation of migrant workers, who were frequently subjected to unfair treatment. It made recommendations.
91. 동티모르는 대한민국이 여성대상 맞춘 일자리 창출 정책을 채택함으로써 고용 평등을 가져오는 대신 남녀간 구별을 더 심화시킬 위험에 대해 어떻게 보는지 질문했다. 18대 국회에 상정된 2개의 차별금지법 법안들이 이번 회기 말에 만료되었는데, 다시 법안이 상정되도록 계획이 잡혀있는지 질문했다.
91. Timor-Leste asked how the Republic of Korea viewed the risk that the policy of creating jobs tailored to women would entrench differentiation between women and men, instead of promoting employment equality. Noting that two draft anti-discrimination bills submitted to the eighteenth National Assembly had expired at the end of its term, Timor- Leste asked if their processing had been rescheduled.
92. 튀니지는 소외계층 자녀 및 장애아동들을 포함, 아동의 교육권 보장 조치를 언급했다. 또한 가정폭력을 퇴치하고 아동과 이주민들의 인권을 보호, 증진하기 위한 대책을 언급했다. 튀니지는 대한민국이 차별금지법을 도입할 것을 독려했다. 튀니지는 「국제개발협력기본법」의 도입을 환영했다. 튀니지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2. Tunisia noted measures to guarantee the right of children to education, including those from less favoured backgrounds and disabled children. It also noted initiatives to combat domestic violence and to promote and protect the rights of children and migrants.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adopt a general anti-discrimination law. It commended the adoption of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t made recommendations.
93. 터키는 2012년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을 치하했다. 터키는 국제개발원조프로그램 이행을 통한 대한민국의 인권보호 노력을 독려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제도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에 주목했다. 터키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93. Turkey commended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2012. It encouraged the human rights efforts made by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me. It drew attention to the endeavours of the Republic of Korea to expand the coverag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urkey made a recommendation.
94. 영국은 대한민국이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을 촉구하며, 비준 시한을 정할 의향이 있냐고 질문했다. 여전히 사형제도가 합법인 것에 영국은 우려를 표했다. 영국은 대한민국이 「국가보안법」을 국제 기준에 맞추도록 촉구했다. 영국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4. The United Kingdom urged the Republic of Korea to ratify OP-CAT and asked if it would be willing to set a timeline to that end. It was concerned that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was still permitted. It urged the Republic of Korea to bring the National Security Act into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t made recommendations.
95. 미국은 대한민국이 「국가보안법」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은 알겠으나, 법이 모호하고, 어떤 경우 인터넷 자유를 포함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대한민국이 병역거부자에 대해 대체복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우려했다. 미국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o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but remained concerned that it was vague and, in some cases, restricted freedom of expression, including Internet freedom. It was also concern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did not provide alternatives to military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It made recommendations.
96. 우루과이는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 국제인권조약 유보 일부 철회, 「인신보호법」 제정, 조약감시기구에 보고서의 기한 내 제출 및 인권이사회 특별 절차와의 협력 등을 강조했다. 우루과이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6. Uruguay highlighted the launching of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the withdrawal of some reservations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the enactment of the Habeas Corpus Act, the presentation of due reports to treaty monitoring bodies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special procedures of the Human Rights Council. Uruguay made recommendations.
97. 베트남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 국내 법체계의 강화 및 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대한민국의 실질적인 노력과 성과를 인정했다. 취약계층의 인권 보장에 따르는 어려움에 공감하면서, 이주노동자들이 대한민국의 경제 사회 발전에 상당히 기여했음을 언급했다. 베트남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7. Viet Nam commended the progress made by the Republic of Korea in ensuring a better life for its citizens, and the practical steps taken in strengthening the domestic legal system and in improving social welfare. While referring to shared difficulties encountered in ensuring the rights of vulnerable groups, Viet Nam noted the considerable contribution of migrant workers to the country’s economic and social dynamism. It made recommendations.
98. 알제리는 2012-2016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을 언급했다. 알제리는 상담지원센터가 설치되어 돕고 있는 이주 노동자 문제에 우려를 표했다. 알제리는 「장애인권리협약」의 비준을 환영했다. 알제리는 아동 및 노년층의 인권 증진과 건강권, 교육권 및 주거권 보장을 위핚 노력에 만족감을 표했다. 알제리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8. Algeria noted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on human rights. It was concerned about migrant workers, for whom advisory support centres had been established. It welcomed the ratification of CRPD. It noted with satisfaction the efforts in promoting the rights of children and the elderly and realizing the rights to health, education and housing. It made recommendations.
99. 아르헨티나는 2012-2016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시행 및 「인신보호법」과 「난민법」의 제정을 축하했다. 아르헨티나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99. Argentina congratulated the Republic of Korea for launching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12-2016) and the enactment of the Habeas Corpus Act and the Refugee Act. Argentina made recommendations.
100. 호주는 사형제도가 여전히 적용되고 있으며, 사형집행 유예가 공식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호주는 대한민국이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것을 독려했다. 또한 남녀간 상당한 소득 격차가 존재하며, 동성애, 양성애, 성전환 그룹들에 대한 차별과 괴롭힘을 방지할 포괄적인 법이 없다는 사실을 얶급했다. 호주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100. Australia noted that the death penalty remained applicable and that no formal moratorium had been decided. It encouraged the Republic of Korea to reach a social consensus for abolition. It noted that there remained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men’s and women’s salaries and that there was no broad anti-discrimination and harassment legislation protecting homosexual, bisexual and transgender social groups. It made recommendations.
101. 바레인은 모든 아동의 교육권 보장, 특히 저소득층 및 장애 아동들의 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지닌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에 감사를 표했다. 또한 장애인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과 수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요청했다. 바레인은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101. Bahrain appreciated efforts to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for all children, with special attention being paid to children of low income familie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ished to receive more information on ways and means to meet the nee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made a recommendation.
102. 방글라데시는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해 여러 법률을 개정한 것을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출입국관리법」이 재차 개정된 것을 환영했으며, 이 법의 개정으로 이주민들이 당연한 권리로 구제를 신청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했다. 또한 이주민의 착취 문제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방글라데시는 권고안을 하나 제시했다.
102. Bangladesh took positive note of amendments to various laws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It welcomed further amendments to the Immigration Control Act and hoped that those would encourage migrants to seek remedies to which they were entitled. It recognized the noteworthy progress in addressing migrant exploitation. It made a recommendation.
103. 벨라루스는 대한민국에 다양한 범위의 긍정적 발전이 있었음을 언급했다. 그러나 또한 제도적 문제들, 즉 여성 폭력, 성차별, 이주민 및 난민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 아동 체벌, 여성에 대한 노동착취 및 성적 착취, 인신 매매, 표현의 자유 제한 등을 언급했다. 벨라루스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103. Belarus noted the broad range of positive developm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it also noted systemic problems, including in regard to: violence against women, gender discrimination, legislative and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and refugees, corporal punishment of children, labour and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and human trafficking, as well as excessive force against workers and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It made recommendations.
104. 벨기에는 2012-2016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및 양성평등에 대한 국가 보고서 발간 등을 환영했다. 그러나 사형수들의 운명에 우려를 표했으며, 사형제도의 폐지를 촉구했다. 벨기에는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104. Belgium welcomed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12-2016), and the publication of the national report on gender equality. It remained concerned about the fate of prisoners on death row. It urged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t made recommendations.
105. 우즈베키스탄은 여성과 아동의 인권 보호를 개선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노력과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갱신을 언급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인종차별, 종교의 자유 제한 및 인신매매 등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우즈베키스탄은 권고안들을 제시했다.
105. Uzbekistan noted the efforts by the Republic of Korea to improve the protection of women’s and children’s rights and the renewal of its national plan of action for human rights. Uzbekistan noted concerns involving racial discrimination, restriction of freedom of religion, and human trafficking. It made recommendations.
106. 대한민국은 사실상 사형제도를 폐지한 국가라고 발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계속해서 사형제도 폐지를 면밀히 검토해 나갈 예정인 바, 공공 여론 및 법적 인식, 사회 현실뿐만 아니라 형사정책에서의 사형제도의 기능 등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할 것이다. 현재로서는 사형제도 폐지를 규정하고 있는 『자유권규약 제2선택의정서』의 비준은 어려운 상황이다.
106. The Republic of Korea stated that it was a de facto abolitionist State. The Government would continue to examine carefully the need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taking into consideration such factors as public opinion, legal perception and social realities,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death penalty in criminal policy. Currently, it was difficult to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107. 법무부는 인신매매 방지 및 퇴치 방안을 위한 부처간 연례 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인신매매의 효과적인 처벌과 그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 정부부처간 협력 및 정보 공유를 강화하고 있다. 대한민국정부는 인신매매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를 포함해 형법 개정안을 발의해 놓은 상태다. 이 개정안은 현재 국회에서 심의 중이며, 입법 절차가 끝나는 대로 『유엔국제조직범죄방지협약을 보충하는 인신매매, 특히여성과 아동의 매매 예방, 억제 및 처벌을 위한 의정서』(팔레모 의정서)의 비준 절차가 진행될 것이다.
107. The Ministry of Justice held the annual inter-agency meeting on countermeasures to prevent and eliminate human trafficking and was strengthening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Government agencies for the effective punishment of human trafficking and the understanding of its trends. The Government had put forward a amendment to the Criminal Act which contained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human trafficking. The amendment was currently under consideration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ratification process of the Protocol to Prevent, Suppress and Punish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sup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Palermo Protocol) would be carried out as soon as legislative procedures had been completed.
108. 대한민국 정부는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사업장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강화하였다. 외국인노동자가 차별이나 착취, 임금 체불 등을 당했을 시에는 아무런 제약 없이 해당 사업장을 떠나 다른 곳에 취업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 지원센터 34개소와 상담센터 1개소를 설립, 운영 중이다.
108. The Government had strengthened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business sites that employed foreign workers. In cases of discrimination, exploitation or delay in payment, the foreign worker could leave the site of employment and go to a different employment. The Government had established and operated 34 support centres and a counselling centre for foreign workers.
109. 정부는 정책적으로 다문화 가정의 자녀와 이주민 자녀들의 문제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오고 있다. 정부는 2010년 10월에 관련 법과 규정을 개정해, 부모의 체류 지위와 상관없이 모든 자녀가 초등, 중등교육을 중학교까지 무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불법체류로 인해 건강보험이나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들도 외국인 노동자와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서비스 지원 프로젝트를 통해 의료지원을 받도록 하고 있다.
109. The Government had been supporting and taking a special interes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igrant children in terms of policymaking. The Government had revised the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in December 2010 to allow any child to receive fre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up to middle school regardless of the parents’ status of stay. Children of foreign workers who were not eligible for legal medical assurance services, such as health insurance or medical benefits, due to illegal stay were also granted medical support through the medical services support project for foreign workers and the marginalized class.
110. 2013년 7월 「민법」 개정안이 발효될 예정이므로, 정부는 「아동권리협약」 제21조 (a)항에 대한 유보를 그때 철회할 계획이다.
110. The revised Civil Act was to take effect in July 2013; the Government planned to withdraw, at that time, the reservation to article 21 (a) of CRC.
111. 집회와 시위 시 발생된 폭력 행위 및 타인에 대한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해서는 경찰력 동원에 있어 국제 인권기준에 맞추어 왔다. 법 집행에 있어 과도한 무력을 사용한 경찰관에 대해서는 사건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정부는 집회 및 시위의 자유와 공공 질서간의 조화에 지속적 관심을 기울일 예정이다.
111. Regarding acts of violence and acts to obstruct other persons’ rights during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the police force was mobilized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s for police officers who had used excessive force in law enforcement, cases were investigated thoroughly. The Government would continue to harmonize the rights to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public order.
112. 취업여성의 불이익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육아휴직 제도 확충, 보육비 지원, 자녀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경력 단절을 막기 위한 유연 귺무제 확대 등을 시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정부는 여성들도 기업 내에서 승진할 수 있도록 우대조치들을 시행해오고 있다. 정부는 취업에 있어 양성평등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해 "남녀고용평등강조주간”(4월 1-7일)을 지정했다. 또한 고용상의 양성 평등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상을 수여하고 있다.
112. To reduce disadvantages faced by women in employment, the Government was promoting childcare leave, providing childcare support and expanding the flexible work system to prevent career breaks caused by child-bearing and child-rearing. It was also implementing affirmative action to help women ascend the corporate ladder. The Government designated the Equal Employment Promotion Week (1-7 April) to raise public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It also awarded a prize to those who made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equal employment.
113. 「군형법」 제92조의 5항에 따라, 계간 및 추행죄는 처벌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2 건의 판결에서 상기 조항은 군대의 기강 및 전투력 유지를 위한 것임을 고려할 때 합헌이며, 막사 내에서 부대원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행위일 때만 인정된다고 판결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상기 조항을 폐기 혹은 개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한편, 정부는 군내 동성애자의 권리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113. According to article 92-5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sodomy and acts of sexual molestation were to be punished.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wo occasions had decided that such a provision was constitutional considering that it was meant for military discipline and sustenance of combat capabilities and only valid in the case of an act taking place between military personnel within a barrack. Therefore, it was inappropriate to repeal or revise such a provision at that time. Meanwhile, the Government was making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homosexuals in the military.
114. 아동 학대를 보고할 의무가 있는 자들의 범위가 최근 확대되었다. 정부는 현재 「아동학대범죄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정을 추진 중으로, 이 법에 따르면 성인 대상 범죄보다 더 엄중한 처벌과 갱생 규정의 적용을 받게 될 것이다.
114. The scope of those with the duty to report child abuse had recently been expanded. The Government was working on enacting an act on special cases of punishment for child abuse crimes, according to which the perpetrator would be subject to stricter punishment and reformation rules than those applied when adults were the target.
115. 아동 인권 모니터링 센터 기능을 공동으로 수행한 NGO 가 선정되었다. 옴부즈맨과 옴부즈아동을 선정해 8개 지역에서 아동 인권을 모니터링하고, 아동 인권을 침해하는 현행 법과 정책들에 대한 제도적 개선을 시행하게 될 것이다. 정부는 법적 공식화를 통해 아동인권 모니터링 센터의 업무안정화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 중에 있다.
115. A Korean NGO had been assigned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Centre for Children’s Rights. Ombudspersons and Ombudskids for children’s rights were appointed to monitor children’s rights in eight areas and provide inputs on possible institutional improvements regarding current laws and policies that violate children’s rights. The Government was working on stabilizing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Centre for Children’s Rights through legal formalization.
116. 정부는 주요 ILO 협약의 비준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해 왔다. 「가사노동자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에 관한 ILO 협약」을 비준하기 위해서는 규정을 일치시켜야 할 것이다. 정부는 국민 여론과 상황을 고려해 가면서 계속해서 비준여부를 검토해 나갈 것이다.
116. The Government had continuously reviewed the feasibility of the ratification of the cor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conventions. The harmonization of regulations would be required for the ratification of ILO Convention No. 189 (2011) concerning Decent Work for Domestic Workers. The Government would continue to work on the ratifi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public opinion and circumstances.
117. 사회 내 성차별적 관념과 관행을 해결하려고 할 때 봉착하는 어려움을 인식하면서, 정부는 양성평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의 증진과 교육, 홍보 및 캠페인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성차별적 관행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다. 정부는 2011년 9월 「성별영향평가분석법」을 제정하여, 2012년 3월부터 성별영향평가는 국가가 입안하는 모든 정책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법률의 제정과 개정, 중장기 국가 정책의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117. Recognizing challenges in tackling gender discriminatory ideas and practices in society, the Government would continue to work to promote a deeper understanding of gender equality, and to address gender discriminatory practices in day-to-day life through education, promotion and campaigns. The Government had enacted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Act in September 2011, and starting in March 2012,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had been applied to the drafting and amendment of laws and the development of mid- to long-term national policies, as a critical component of all policies formulated at the national level.
118.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국가간 결혼 중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인신 매매의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결혼중개업소의 비자 발급 절차를 강화하였다.
118. The Marriage Brokerage Business Management Act had been amended to reinforce control of intercountry marriage brokerages and to strengthen the visa issuance process for those agencies to eliminate any potential elements of human trafficking.
119. 이주 자녀를 비롯해서 학교에서의 왕따 문제를 다루기 위해 관련 부처들이 함께 2012년2월 "학교 왕따 퇴치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119. To tackle the problem of school bullying, including of migrant children, relevant ministries joined together and came up with the Comprehensive Plan to Eliminate School Bullying in February 2012.
120. 등록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정부 보조금과 장학금, 소득 연계형 학자금대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소득 계층 하위 70%에 속하는 학생들은 등록금의 25%까지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120. To relieve the tuition burden, the Government established national grants and scholarships, as well as the Income Contingent Loan system. Students in the bottom 70 per cent of the income scale received financial support that amounted to 25 per cent of their tuition.
121. 특히 여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신매매 특별보고관을 초청하라는 권고안에 대해서는, 인권이사회의 모든 특별 절차들에게 상시 초청이 발부되어 있는 상태인 점을 국가대표들이 상기하도록 하였다.
121. Regarding recommendations to extend an invitation to the Special Rapporteur on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in women and children, among others, delegates were reminded that a standing invitation had been extended to all special procedures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22. 장애 아동에 대한 차별과 관련해서는, 2012년 8월부터 아동 보호 재활 서비스가 제공되어 장애 아동들이 자기 집에서 보살핌을 받고, 교육도 무상으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22. With regard to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rting August 2012, childcare and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being provided so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uld be cared for in their homes, and education was provided free of charge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123. 대표단은 대한민국에 대한 평가 의견과 권고안들을 제시해준 회원국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정부는 각국의 권고안들을 면밀히 검토할 것이다. 또한 상기 권고안들이 제2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다.
123. The delegation expressed appreciation to Member States for preparing their evaluation of and recommendations to the Republic of Korea. The Government would conduct a thorough review of those recommendations. The delegation would also push for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dialogue to be reflected in the second national plan of action for human rights.
II. 결론 및/또는 권고
II.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124. 다음 권고안들은 대한민국 정부가 검토 후 정해진 기간 내에, 적어도 2013년 3월 제22차 인권이사회 회기가 개최되기 전에는 답변을 제출할 것이다. 다음 권고안들에 대한 대한민국 정부의 답변은 제22차 인권이사회에서 채택될 결과 보고서에 포함될 것이다.
124.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ill be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ill provide responses in due time, but no later than the twenty-second se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in March 2013. The response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se recommendations will be included in the outcome report adopted by the Council at its twenty-second session.
124.1.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 선택의정서」,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의 비준 가능성을 연구하라. (아르헨티나)
124.1. Study the possibility of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ICRMW),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OP2)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the Optional Protocol to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OP-CAT) (Argentina);
124.2.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하라. (스페인));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에 서명 및 비준을 고려하라. (팔레스타인);
124.2.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OP-ICESCR) (Spain); Consider signing and ratifying OP-ICESCR (Palestine);
124.3.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하라. (스페인);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에 우선적으로 서명, 비준하고 그에 따른 전국적 예방 체제를 수립하라. (체코 공화국); 「고문방지협약선택의정서」에 가입하고 고문 혹은 굴욕적 대우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국가 체제를 확립하라. (불가리아);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에 가입하고 그에 따라 수용소 방문을 시행할 국가 체제를 확립하라. (코스타리카);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의 비준을 고려하라. (슬로베니아); 「고문방지협약 선택의정서」 비준을 고려하는 과정을 신속히 완료하라. (튀니지);
124.3. Ratify OP-CAT (Spain); Sign and ratify OP-CAT as a matter of priority and found the national preventive mechanism accordingly (Czech Republic); Accede to OP-CAT and establish an effective national mechanism to prevent torture or degrading treatment (Bulgaria); Adhere to OP-CAT and consequently establish a national mechanism responsible to conduct visits to detention centres (Costa Rica); Consider ratifying OP-CAT (Slovenia); Rapidly complete the process of considering ratifying OP-CAT (Tunisia);
124.4. 개인통보 절차에 관한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제3선택의정서」의 조기 비준을 고려하라. (슬로바키아);
124.4. Consider an early ratification of the third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a communications procedure (OP- CRC-IC) (Slovakia);
124.5. 국내 사법처리과정에 따라 관련 협약, 특히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가입할 것을 고려하라. (캄보디아); 「이주노동자권리협약」 비준을 고려하라. (필리핀); 「이주노동자권리협약」비준을 고려하라. (르완다); 「이주노동자권리협약」 비준을 위해 법률 개정 가능성을고려하라. (알제리); 「이주노동자권리협약」 가입을 고려하라. (모로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가입하라. (수단);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비준하라. (칠레); 미등록 이주 노동자를 포함, 모든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을 보다 잘 보호하기 위해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비준하라. (인도네시아);
124.5. Further consider acceding to the relevant Conventions, especially the ICRMW in line with its domestic legislative process (Cambodia); Consider ratifying the ICRMW (Philippines); Consider ratifying ICRMW (Rwanda);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dapting national legislation in order to allow for the ratification of ICRMW (Algeria); Consider acceding to the ICRMW (Morocco); Accede to ICRMW (Sudan); Ratify the ICRMW (Chile); Ratify the ICRMW, in order to better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including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ndonesia);
124.6. 「강제실종보호협약」을 비준하라. (스페인); 「강제실종보호협약」 비준 가능성을 연구하라. (아르헨티나); 「강제 실종보호협약」에 서명하고 비준하라. (이라크);
124.6.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CPED) (Spain); Study the possibility of ratifying the CPED (Argentina); Sign and ratify the CPED (Iraq);
124.7. 가사노동자의 적절한 노동에 관한 최근 ILO 협약 No. 189를 포함해서 ILO 주요협약 비준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더 한층 기울이라. (필리핀);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장에 관한 ILO 협약(협약 87); 단결권 및 단체 교섭권의 원칙 적용에 관한 ILO 협약(협약 98); 강제노동에 관한 ILO 협약(협약 29); 강제 노동 철폐에 관한 ILO 협약(협약 105)을 비준하고 이행하라. (우루과이);
124.7. Continue to exert its utmost efforts to ratify ILO core Conventions, including the recent ILO C. No 189 on Decent work for domestic workers (Philippines); Ratify and implement the ILO Convention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87); ILO Convention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Right to Organise and to Bargain Collectively (Convention 98); ILO Convention concerning Forced or Compulsory Labour (Convention 29); and ILO Convention concerning the Abolition of Forced Labour (Convention 105) (Uruguay);
124.8. UNESCO 교육상 차별 금지 협약에 서명하고 비준하라. (이라크);
124.8. Sign and ratify the UNESCO Convention on Discrimination in Education (Iraq);
124.9. 「국가간 입양에 관한 아동의 보호와 협력에 대한 헤이그 협약」에 가입하라. (프랑스); 「국가간 입양에 관한 아동의 보호와 협력에 대한 헤이그 협약」을 비준하라. (온두라스); 「국가간 입양에 관한 아동의 보호와 협력에 대한 헤이그 협약」에 가입하라. (아일랜드);
124.9. Adhere to 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 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France); Ratify the Hagu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Honduras); Accede to the Hagu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Ireland);
124.10. 가입한 국제 인권 조약 중 나머지 유보 조항 (특히 『아동권리협약』, 『자유권규약』, 『아동매매, 아동성매매 및 아동 포르노그래피에 관한 선택의정서』, 『여성차별철폐협약』에 있어서)의 철회를 고려하라. (슬로베니아);
124.10. Consider withdrawing the remaining reservations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to which it is a party (namely to the CRC, ICCPR, OP-CRC-SC, CEDAW) (Slovenia);
124.11. 「아동권리협약」 제21조 (a)항에 대한 유보를 철회하라. (독일); 「아동권리협약」제21 조(a) 항에 대한 유보를 없애라. (아일랜드);
124.11. Withdraw its reservations on Article 21(a)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Germany); Lift its reservation to article 21 (a) of the CRC (Ireland);
124.12. 장애인의 생명 보험 가입을 제한하는 「상법」 제732조를 개정하라. (코스타리카);
124.12. Amend article 732 of the Commercial Law that restricts the possi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obtain life insurance (Costa Rica);
124.13. 「고문방지협약」 제1조에 따라 고문죄를 형법에 포함하라. (멕시코); 고문의 정의와 관련해 국내법을 「고문방지협약」에 부합하도록 개정하는 과정을 조속히 완료하라. (튀니지)
124.13. Include in the Penal Code the crime of torture, in line with article 1 of CAT (Mexico); rapidly complete the process of harmonizing national legislation with CAT with respect to the definition of torture (Tunisia);
124.14. 국가인권기구를 강화하고 그 독립성을 강화하라. (스페인); 국가인권위원회의 독립성 증진 및 자원 증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라. (튀니지); 인권보호에 대한 감시 기능을 부여 받은 국가인권위원회와 같은 기구들에게 충분한 권한과 자원을 부여하라. (호주);
124.14. Strengthen the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 and strengthen its independence (Spain); Continue its efforts to provid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with more independence and resources (Tunisia); Take steps to ensure that bodies entrusted with overseeing the protection of rights, such a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re fully mandated and resourced (Australia);
124.15. 국가인권위원회와 시민사회단체들이 UPR 및 조약 기구들로부터 제시된 권고안의 이행을 위한 국가인권정책협의회의 업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채널을 구축하라. (불가리아); 시민사회의 제안 사항들을 고려해 UPR의 결과들을 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 반영하고, 본 UPR에서 제시된 권고안들의 이행에 대해 인권이사회에 중기 평가 보고서를 제출하라. (헝가리);
124.15. Establish a channel for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the work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Council on the implementation of recommendations from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and treaty bodies (Bulgaria); Incorporate the results of the UPR into its current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taking into account the proposals of the civil society and present a mid-term evaluation report to the Council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commendations of this UPR (Hungary);
124.16. 고문문제 특별보고관을 초청하라. (벨라루스); 인종 차별, 종교와 신념의 자유 제한, 인신 매매 등의 분야에 있어서 해당 UN 인권 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라. (우즈베키스탄);
124.16. Extend an invitation to the Special Rapporteur on Torture (Belarus); Strengthen cooperation with the relevant UN human rights mechanisms in area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the restriction on the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human trafficking (Uzbekistan);
124.17. 독립적 아동 인권 모니터링 기관의 법적 지위를 규정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취하고, 아동 학대 및 가정 폭력 사례와 관련해 인권 교육에 더 노력하라. (이란);
124.17. Take necessary actions to define the legal status for an independent child rights monitoring body and increase its efforts for human rights training relevant to child abuse and domestic violence cases (Iran (Islamic Republic of));
124.18. 한국 국가인권위원회 내에 아동인권 소위원회의 설치를 고려하라. (팔레스타인);
124.18. Consider establishing a child rights sub-commission within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Palestine);
124.19. 아동 인권의 보호와 증진을 위해 국가전략을 이행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고 적정한 자원을 배분하라. (말레이시아); 모든 분야에서의 아동 보호를 위해 조치를 취하고, 법률의 발전과 정책 증진을 가져올 수 있는 적절한 체제를 확립하라. (오만); 아동 인권 보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라. (일본); 아동, 특히 가장 취약 계층인 장애아동들을 위해 적절한 시설과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법적 대책을 마련하라. (이란);
124.19. Continue giving priority and allocating adequate resourc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strategies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rights of children (Malaysia); Take measures and establish appropriate mechanisms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legislation and promotion of policie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in all areas (Oman); Continue to further its efforts to guarantee the rights of the child (Japan); Take legal measures to provide appropriate facilities and support for children, particularly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he most vulnerable group of children (Iran (Islamic Republic of));
124.20. 「아동의 무력분쟁 관여에 관한 선택의정서」 조항과의 완전한 조화를 위한 조치를 마련하라. (남아프리카);
124.20. Take measures to ensure the full harmoniz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the involvement of children in armed conflict (South Africa);
124.21. 소수 인종 및 여성과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 계층을 차별로부터 보호하고 피해자를 법적으로 구제할 수 있도록 법률을 제정하라. (캐나다);
124.21. Work towards passing legislation that provides ethnic minorities and vulnerable groups, including women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protection from discrimination and legal recourse for victims of discrimination (Canada);
124.22. 여성과 여타 소외 계층의 인권 보호를 위한 조치를 계속하라. (네팔);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를 위한 노력, 특히 국내 사법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증진하라. (알제리);
124.22. Take continuous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women and other marginalized groups (Nepal); Intensify the efforts aimed at fighting all forms of discrimination, especially by strengthening the national legislative framework (Algeria);
124.23. 차별금지에 관한 일반법에 관해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라. (인도네시아); 차별금지법 도입을 위한 노력과 조치를 강화하라. (팔레스타인); 차별금지법 제정 노력을 가속화하라. (칠레); 종합적 차별금지법안을 관련 국제 인권 조약에 부합하도록 제정하는 노력을 배가하라. (슬로베니아); 2008년 5월 폐기된 법안을 대체할 차별금지법을 도입하라.(차드); 차별금지법을 확실히 제정하라. (인도);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라. (호주);
124.23. Continue its ongoing efforts to arrive at a national consensus on a general act on anti-discrimination (Indonesia); Strengthen efforts and take measures towards adoption of the law to fight discrimination (Palestine); Accelerate efforts to adopt an Anti-Discrimination Law (Chile); Step up efforts to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Bill in line with the releva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Slovenia); Adopt an anti- discrimination law to replace the law that was suspended in May 2008 (Chad); Ensure the passage of the Anti-Discrimination Act (India); Adopt a comprehensive and broad-based anti-discrimination law (Australia);
124.24. 성적 지향을 근거로 한 차별까지를 반영하여 차별금지법을 우선적으로 제정하라. (체코 공화국); 차별금지법에 성적 지향을 근거로 한 차별 금지를 구체적으로 포함시켜라. (스페인);
124.24. Adopt the Anti-discrimination Act as a matter of priority while encompassing also grounds for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Czech Republic); Include in the Anti-discrimination Law a specific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Spain);
124.25. 사법적 검토를 시행하여 모든 분야에서 양성평등을 법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하라. (팔레스타인); 종합적인 사법적 검토를 실시하여 법적, 실질적 양성평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라. (남아프리카);
124.25. Continue the legislative review with a view to ensuring 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in law and practice in all areas of life (Palestine); Undertake a comprehensive review of legislation with a view to ensuring de jure and de facto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South Africa);
124.26. 양성평등 증진을 위한 국가 전략을 마련하여 여성의 지위를 신장하고 여성 폭력 및 차별을 철폐하라. (중국); 정부 정책 내에 효과적 양성평등을 보장하라. (몰도바 공화국);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을 철폐하고, 모든 국가 기관 내에 여성의 지위와 참여를 강화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마련하라. (오만); 여성, 특히 독신모들이, 남성과 똑같이 차별 없이 고용과 보수, 그리고 상속이나 이혼에 있어 동등한 결혼상의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정부의 노력을 증진하라. (벨기에);
124.26. Formulate a national strategy to promote gender equality so as to advance the status of women, combat violence and eliminat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hina); Further ensure effective gender equality into government policies (Republic of Moldova); Take additional measures aimed at eliminating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at strengthening their situation and participation in all State institutions (Oman); Increase governmental efforts to ensure that women, in particular single mothers, can have access, as men do, without any discrimination, to employment, equal pay and matrimonial rights, especially following an inheritance or a divorce (Belgium);
124.27. 가정 내 공동 책임에 대한 인식과 가정 폭력 방지를 위한 교육 및 인식 제고를 고려하라. (폴란드);
124.27. Consider undertaking educational and awareness-raising actions promoting co-responsibility in the domestic sphere and preventing domestic violence (Poland);
124.28. 독신모 및 그 자녀들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라. (브라질); 독신모에 대한 법률상, 사실상의 차별 철폐를 위해 전국적인 인식 제고 캠페인을 실시하라. (멕시코); 독신모와 그 자녀들을 지원하고 상담해 줄 정부 기구를 설립하라. (독일);
124.28. Combat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Brazil); Conduct national awareness campaigns to eradicate the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mothers, in law and in practice (Mexico); Establish a governmental authority to support and advise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Germany);
124.29. 아동 등록제도를 개선해서 아동이 무국적이 되는 것을 방지하라. (남아프리카); 「한부모가족지원법」을 개정하고 법을 제정해서, 부모의 법적 신분이나 출신에 상관없이, 아이가 태어나면 자동적으로 법률상 즉시 등록될 수 있도록 하라. (노르웨이); 부모의 신분이나 국적과 별개로 출생시 즉시 등록될 수 있도록 출생등록제를 시행하라. (프랑스); 부모의 국적이나 신분과 상관없이 출생 즉시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여 전면적인 보편적 출생등록제도를 마련하라. (아일랜드); 국내에서 출생한 아동은 부모의 국적이나 신분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등록되는 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고려하라. (이탈리아); 부모의 이주 상황이나 국적과 별개로 모든 이가 출생과 동시에 등록될 수 있도록 국내법을 개정하라. (멕시코); 인신매매의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출생시 민법상 등록이 되도록 법적 조치를 마련하라. (루마니아); 사법적 검토를 실시하여 출생시 자동적으로 법적으로 등록이 되도록 하되, 동시에 개인 정보 보호, 특히 그러한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보호하라. (스위스); 출생 등록제를 검토하여 미혼모와 그 자녀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의 조치를 취하라. (i) 부모의 법적 신분과 상관없이 모든 아동이 출생 즉시 등록이 확정되도록 할 것; (ii) 출생 등록시 아동의 생물학적 부모를 정확히 표시할 것; (iii) 아동의 출생등록이 입양 부모처럼 제3자에 의해 이루어져, 적절한 법적 감독이 부재한 상황에서 사실상 입양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또한 아동이 인신매매될 가능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방안을 마련할 것(캐나다);
124.29. Improve the registration of children with a view to ensuring that the statelessness of children is prevented (South Africa); Revise the single parent family support law and introduce legislation to ensure that all children are automatically and legally registered immediately after birth, regardless of parents’ legal status and origin (Norway);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a birth registration system to allow immediate registration at birth, independently of the status or nationality of parents (France); Provide for a full system of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including immediate registration upon birth regardless of the parent’s nationality or status in the country (Ireland); Consider the possibility to introduce a system of automatic registration of children born in the country, regardless of the parents’ nationality or status (Italy); Revise the national legislation with a view to guarantee that all persons are registered at birth, independently of their migrant condition or the nationality of their parents (Mexico); Enact measures regarding the civil registration of children at birth in order to fight the possible traffic in human beings (Romania); Carry out a legislative review so as to ensure an automatic and legal registration at birth, while guarantee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nd especially the right to access such data (Switzerland); Review its birth registration system to safeguard the human rights of unwed mothers and children by (i) ensuring immediate birth registration is available to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 parents legal status; (ii) ensuring that the birth registration accurately indicates the biological parent(s) of the child; and (iii) taking steps to prevent birth registration of children by third parties, such as adoptive parents, that could result in the occurrence of de facto adoptions in the absence of proper judicial oversight, which could also put children at risk of being trafficked (Canada);
124.30. 인종주의와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증의 퇴치와 방지 및 균등한 기회 보장을 위한 조치를 계속 시행하라. (쿠바);
124.30. Continue implementing measures to combat and prevent racism,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nd to guarantee equality of opportunities (Cuba);
124.31. 차별, 특히 여성 이주 노동자에 대한 차별 방지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계속 시행하라. (모로코); 이주 노동자, 특히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과 학대를 퇴치하라. (스페인);
124.31. Continue implementing policies aimed at intensifying the combat against discrimination, especially with respect to female migrant workers (Morocco); Fight agains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abuse of migrant workers, particularly women (Spain);
124.32. 여성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을 막고 그 자녀들이 교육권과 건강권을 누릴 수 있도록 적합한 정책과 법을 지속적으로 도입하라. (수단); 이주 여성과 아동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폭력을 막고 그들에게 교육권과 건강권을 보장하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입법적 조치를 시행하라. (이란);
124.32. Continue to adopt appropriate policies and laws to counter discrimination of women migrant workers and ensure that their children can enjoy rights to education and health (Sudan); Take further legislative measures to formulate policies on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migrant women and child workers and also guarantee their right to education and health (Iran (Islamic Republic of));
124.33.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을 근거로 한 모든 차별적 대우를 철폐하기 위한 방안을 강화할 가능성을 연구하라. (아르헨티나);
124.33. Study the possibility of intensifying measures aiming at eliminating all discriminatory treatment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Argentina);
124.34. 군 내 성적 지향을 근거로 처벌하는 법률의 폐기 가능성을 연구하라. (미국);
124.34. Review the possibility of repealing laws that criminalize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within the military (United States of America);
124.35. 사형제도 폐지를 목표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ICCPR-OP2) 비준을 고려하라. (르완다); 사형제도 폐지를 목표로 ICCPR-OP2 를비준하라. (스위스); 사형제도 폐지를 목표로 ICCPR-OP2 비준을 고려하라. (슬로베니아); 사형제도의 완전한 폐지를 지향하면서 사형제도의 적용을 규정하고 있는 형법을 개정하고, 사형제도 폐지를목표로 ICCPR-OP2 를 비준하라. (우루과이); 1997년 이래 시행된 적이 없는 사형집행에 대해 공식적인 유예 제도를 확립하라. (칠레); 현재의 사실상의 사형제도 유예를 공식적 유예로 전환하라. (독일); 사형집행의 사실상의 유예를 처형과 언도에 있어서 법률상의 유예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강구하라. (스위스); 모든 처형을 유예하고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법률을 도입하라. (영국); 사형제도에 대한 사실상의 유예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라. (벨기에); 대한민국이 사형제도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국제적 최소기준을 준수하라. (벨기에); 사형제도 폐지를 고려하라. (온두라스); 법적으로 사형제도를 폐지할 가능성을 고려하라. (우즈베키스탄); 사형제도폐지의 가능성을 고려하라. (이탈리아); 사형제도를 폐지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라. (노르웨이);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조치를 강구하고, 현재의 형량을 무기징역으로 전환하라. (슬로바키아); 10년 넘게 사실상 유예되어 온 사형제도를 폐지하기 위한 법적 절차를 완결하라. (터키); 법률상의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모든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라. (프랑스); 사형제도를 완전히 폐지하라. (스페인); 사형제도를 폐지하고 ICCPR-OP2를 비준하라. (호주);
124.35. Consider ratifying ICCPR-OP2,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Rwanda); Ratify ICCPR-OP2,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Switzerland); Consider ratifying the ICCPR-OP2,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Slovenia); Modify the penal provisions that provide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ath penalty with a view to a total prohibition and ratify ICCPR-OP2,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Uruguay); Consider the possible establishment of an official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since it is not applied since 1997 (Chile); Convert the present de facto moratorium on executions into a formal moratorium (Germany); Take concrete measures in order to transform the de facto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into a de jure moratorium on execution and sentencing (Switzerland); Introduce a moratorium on all executions and introduce legislation to abolish the death penalty (United Kingdom); Maintain effectively the de facto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Belgium); Respect international minimum standards on the death penalty, if the Republic of Korea will maintain it (Belgium); Consider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Hondura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by the law (Uzbekistan);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abolishing the death penalty (Italy); Take steps towards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Norway); Take steps towards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while commuting the existing sentences to life imprisonment terms (Slovakia); Complete the legislative process in order to abolish capital punishment, which as a matter of fact, has been suspended for more than a decade (Turkey); Take all necessary measures in order to abolish de jure the death penalty (France); Abolish definitively the death penalty (Spain);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ratify ICCPR-OP 2 (Australia);
124.36. 치안병력이 특히 평화적 시위자들에 대해 과도하거나 정당하지 못한 무력사용을 방지할 체제를 마련하라. (폴란드);
124.36. Consider establishing mechanisms preventing security forces from using force in an excessive or unjustified manner, especially against peaceful protesters (Poland);
124.37. 고문 및 부당한 처우를 방지할 조치를 강화하라. (체코 공화국); 경찰에 의한 모든 고문 의혹을 조사하고 범죄자를 처벌하라. (벨라루스);
124.37. Further strengthen measures against torture and ill-treatment (Czech Republic); Investigate all allegations of torture by the police and prosecute the perpetrators (Belarus);
124.38. 체벌을 완전히 금지할 방안을 강구하라. (팔레스타인); 아동에 대한 잘못된 처우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대중 인식 제고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처벌에 대한 대안적 조치로 긍정적이고 비폭력적인 훈육방식을 증진하라. (우루과이); 어떤 상황에서든 체벌을 분명히 금지하라. (헝가리);
124.38. Consider establishing the total prohibition of corporal punishment (Palestine); Carry out public awareness campaigns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ill-treatment of children to promote positive and non- violent forms of discipline in schools and at home as alternative measures to these punishments (Uruguay); Expressly prohibit corporal punishment in all settings (Hungary);
124.39. 가정 폭력을 예방하고 방지하려는 노력을 지속하라. (몰도바 공화국); 가정폭력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노력을 강화하여, 여성 경찰관의 숫자를 늘리고, 피해자를 위한 보호소와 재활 서비스를 개선하며, 관련 정보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라. (헝가리); 가정 폭력범이 적절한 처벌을 받도록 하고 부부 강간의 피해자를 포함하여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적절히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라. (슬로바키아);
124.39. Continue its efforts to prevent and combat domestic violence (Republic of Moldova); Enhance protection against domestic violence, hiring more female police inspectors, improving shelter an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victims and strengthening data protection in this regard (Hungary); Ensure that domestic violence is properly punished and victims, including those of marital rape, are properly protected (Slovakia);
124.40. 아동과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모든 절차를 이행하라. (이라크); 아동에 대한 폭력 금지를 위한 정부의 역량과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라. (키르기스탄); 아동에 대한 폭력 금지 방안을 강화 하라. (세네갈);
124.40. Take all procedures to prevent all forms of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women (Iraq); Continue strengthening its capacity and its efforts to combat violence against children (Kyrgyzstan); Strengthen measures to combat violence against children (Senegal);
124.41. 아동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고, 아동에 대한 성착취를 효과적으로 처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라. (보츠와나); 아동 성착취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적 책임을 더 엄격히 하라. (벨라루스);
124.41.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sexual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make more efforts to effectively prosecute the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Botswana); Tighten the criminal responsibility for the crimes related to the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Belarus);
124.42. 여성과 아동의 인신매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라. (말레이시아); 인신매매 퇴치에 있어 성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강제 노동 목적을 동등하게 다루어 국내 및 국제 차원 모두 협력을 강화하라. (몰도바 공화국);
124.42. Step up its efforts to address the issue of trafficking of women and children (Malaysia); Strengthen the cooperation both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n fighting against human trafficking equally for the purposes of sexual exploitation and forced labour (Republic of Moldova);
124.43. 『유엔 국제조직범죄방지협약을 보충하는 인신매매 특히 여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신매매의 예방과 억제, 처벌을 위한 의정서」(팔레모 의정서)를 비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라. (필리핀); 팔레모 의정서를 비준하라. (브라질); 팔레모 의정서를 비준하라. (네덜란드); 팔레모 의정서를 비준하라. (영국); 팔레모 의정서 가입과 인신매매, 특히 여성과 아동 인신매매특별보고관 초청 등을 통해 인신매매를 방지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을 마련하라. (벨라루스); 성매매목적의 인신매매 피해자를 식별해내고 보호할 보다 적극적 대책을 특히 팔레모 의정서 비준을 통해 강구하라. (벨기에);
124.43. Consider stepping up its efforts towards ratification of the Protocol to Prevent, Suppress and Punish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Sup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Palermo Protocol) (Philippines); Ratify the Palermo Protocol (Brazil); Ratify the Palermo Protocol (The Netherlands); Ratify the Palermo Protocol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Take comprehensive measures in combatting trafficking in persons including by the accession to the Palermo Protocol and by extending an invitation to the Special Rapporteur on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Belarus); Take more proactive measures to identify and look after victims of human sex trafficking, especially by ratifying the Palermo Protocol (Belgium);
124.44. 지뢰 피해자에게 심리사회적, 의학적, 경제적 보조 등의 지원을 제공할 방안과 프로그램을 이행할 것을 고려하라. (태국);
124.44. Give consider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and programmes to provide assistance to landmine victims such as psycho-social, medical and financial support (Thailand);
124.45. 사법체제에 아동친화적 절차규정을 도입하라. (헝가리);
124.45 Adopt child friendly procedural rules in the justice system (Hungary);
124.46. 법치와 사회적 결속 조성 노력을 지속하라. (베트남);
124.46. Continue its endeavours in fostering the rule of law and social cohesion (Viet Nam);
124.47. 국제입양제도를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관련 법률을 개정하고 「아동권리협약」에 완전히 부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십대 미혼모의 동의를 의무화하며, 모든 입양이 사법감시 및 규제의 권한과 책임을 지닌 중앙 당국의 승인을 받도록 조치하라. (온두라스); 국가입양센터를 설립하고 출생 직후 등록을 의무화하라. (독일);
124.47. Continue the review of its international adoption system with a view to reform relevant legislation, and to bring it fully in line with the CRC; make the consent of teenage single mothers in the process mandatory; and adopt measures for all adoptions to be subject to the approval of a central authority with a clear mandate and responsibilities for the judicial supervision and the regulation (Honduras); Establish a national adoption centre and an obligation to register right after birth (Germany);
124.48. 여성의 고용 기회를 늘리고 여성의 고용 상황을 개선하며, 여성의 권리를 신장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라. (일본); 노동 시장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남녀간의 지속적인 소득 격차를 극복하는 것을 포함해서 마련하라. (슬로베니아);
124.48. Continue efforts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mprove the employment situation for women and to promote women’s rights (Japan); Take effective measures against disadvantages faced by women in the labour market, including to overcome the persisting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Slovenia);
124.49. 직장내 성희롱을 법적으로 형사 처벌하도록 하고, 해당 법률에 대한 모니터링체제를 마련하라. (네덜란드);
124.49. Implement legislation criminalizing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nd set up mechanisms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legislation (The Netherlands);
124.50.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를, 정부의 입장과 다른 의견까지 포함해서 보장할 수 있도록 조치를 강화하라. (일본) 표현의 자유에 관한 국제인권 의무들을 완전히 이행하도록 보장하라. (폴란드); 표현의 자유 및 언론의 자유에 관한 법률을 국제 기준에 부합되게 적용하라. (스위스);
124.50. Take further actions to ensure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including opin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Japan); Ensure ful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obligations regarding freedom of expression (Poland); Ensure that laws on freedom of expression and freedom of the press are applied in conformit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Switzerland);
124.51. 언론과 표현의 자유 행사를 보장하는 특별법을 도입하라. (남아프리카);
124.51. Adopt specific legislation to guarantee the exercise of the rights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South Africa);
124.52. 한국방송통신위원회의 기능을 독립적인 위원회로 전환하라. (스위스);
124.52. Transfer the functions of the Korean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to an independent commission (Switzerland);
124.53. 양심적 병역 거부와 관련해, 현재의 법을 개정하여 군복무에 대한 대체복무가 민간적 성격을 갖추는 효과를 보도록 하고 이를 행정 당국의 감독하에 두도록 하라. (프랑스); 양심적 병역 거부자에 대한 구금을 폐지하고, 비군사적인 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라. (독일);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라. (폴란드); 양심적 병역 거부권을 인정하고, 국제 기준에 맞는 대체복무를 도입하라. (슬로바키아); 양심적 병역 거부를 권리로 인정하고, 군복무 대신 진정으로 민간적 성격의 지역사회 복무로 대체하도록 하고, 현재 구금중인 모든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석방하라. (스페인); 양심적 거부자들을 위해 즉시 대체 군복무 옵션을 도입하고, 그것이 비전투적 혹은 민간적인 성격을 갖추도록 하고, 또한 징벌적 성격이 없도록 하라. (미국);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을 위해 대체복무를 도입하라. (호주);
124.53. With regard to conscientious objection, adapt existing national legislation so that alternative services to military service effectively have a civil nature and that they are placed under the monitoring of civil authorities (France); Abolish imprisonment and establish a non-military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Germany); Ensure that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is observed (Poland); Recognize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nd introduce alternative service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Slovakia); Recognize conscientious objection as a right, guaranteeing an alternative community service to the military service of a truly civilian character, and free all conscientious objectors currently imprisoned (Spain); Immediately introduce an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option for conscientious objectors, ensuring it has a non-combatant or civilian character and is not of a punitive nature (United States of America); Introduce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Australia);
124.54. 사법 담당관들에게 「국가보안법」의 올바른 집행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조사, 구금, 기소 및 그로 인한 자기 검열의 분위기 조성을 막도록 하라. (미국);
124.54. Provide training to law enforcement officers on proper enforce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o avoid investigations, detentions, and charges that restrict freedom of expression and result in a climate of self-censorship (United States of America);
124.55. 「국가보안법」에 의거해 부당하게 체포되고 투옥된 통일 지지 애국자들을 석방하라. (북한);
124.55. Release all persons including pro-reunification patriots who were unjustly arrested and impriso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Security Law”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24.56. 「국가보안법」의 적용을 정기적으로 심의하여 인권 원칙들과 일치되도록 보장하라. (호주); 「국가보안법」 이행 양식을 특정화하여 동 법이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및 평화적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라. (프랑스);
124.56. Review regularly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to ensure its consistency with human rights principles (Australia); Specify modalit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so that this law cannot be used against freedoms of expression, association and peaceful assembly (France);
124.57. 「국가보안법」의 규정들을 더 명확히 정의하라. (독일); 자의적인 적용 및 법해석의 남용을 막기 위해 「국가보안법」을 개정할 것을 고려하라. (노르웨이); 「국가보안법」 적용시 표현의 자유를 완전히 존중하도록 개정하라. (스페인); 「국가보안법」이 명확하여 남용적 해석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개정하라. (미국); 형법으로서의 「국가보안법」을 철폐하라. (북한);
124.57. Define more clearly the regulation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Germany); Consider amending the National Security Law to prevent arbitrary application and abusive interpretation of the law (Norway); Amend the National Security Law to guarantee that its application respects fully the freedom of expression (Spain); Amend the National Security Law to provide clarity and prevent abusive interpretations of the law (United States of America); Abolish the criminal laws as the “National Security Law”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24.58. 전 정치범 및 양심범의 자유를 제한하는 「보안관찰법」을 철폐하라. (북한);
124.58. Abolish the “Security Surveillance Law”, which restricts freedoms of former political prisoners and prisoners of conscienc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24.59. 대한민국의 빈곤퇴치전략에 충분한 자금을 배정하라. (남아프리카); 심화되는 소득 양극화로 인해 약화된 사회 통합을 해결하기 위해 저소득 계층에 대한 보호 및 지원을 증대하라. (이란); 빈곤층에게 건강권과 주거권을 효과적으로 보장하는 사회보장체제를 강화함으로써 경제 발전의 혜택이 전체 인구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하라. (중국);
124.59. Allocate sufficient funding to the poverty eradication strategy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Africa); Increase its efforts to expand protection and support for low-income groups to solve weakening social integration due to intensifying income polarization (Iran (Islamic Republic of)); Strengthen its social security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guarantee the poor population the right to health care and housing so that the results of economic development will benefit the entire population (China);
124.60.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특히 보건, 교육, 식량 분야에 있어서의 권리를 증진, 보호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대책을 지속하라. (쿠바); 양질의 교육과 보건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력을 특히 사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강화하라. (바레인);
124.60. Continue programmes and actions to promote and protect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health, education and food (Cuba); Continue efforts to strengthen access to quality education and health services, especially for the vulnerable segments of society (Bahrain);
124.61. 2018년까지 저소득층에게 튼튼하고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인 "보금자리주택"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행하라. (쿠웨이트);
124.61. Continue to implement the “Bogeumjari Housing” project which ensures solid and affordable housing to low income families by 2018 (Kuwait);
124.62.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국민건강보험의 보장 범위를 확대하는 노력을 지속하라. (쿠웨이트);
124.62. Continue to expand the framework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so as to guarantee the right to health (Kuwait);
124.63. 계속 인상되는 등록금과 교육 수준을 맞추는 적절한 방안을 마련하라. (이란);
124.63.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reconcile growing tuition fees with the level of education (Iran (Islamic Republic of));
124.64. 난민, 망명 신청자, 인도주의적 지위 보유자들에게 다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해서 그들이 지역사회에 통합되도록 하라. (보츠와나);
124.64. Promote the local integration of refugees, asylum seekers, and humanitarian status holders by extending multi-cultural programmes to them (Botswana);
124.65. 이주 노동자들의 이동에 대한 제한을 철폐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강구하라. (프랑스);
124.65. Take all measures to eliminate restrictions to the mobility of migrant workers (France);
124.66. 미등록 이주민의 자녀들이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 (아일랜드);
124.66. Take measures to ensure that the children of undocumented migrants are provided with access to medical services (Ireland);
124.67. 이주 노동자들, 특히 여성들에게, 인신매매와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를 포함해서, 모든 인권과 복지를 보장하는 종합적인 정책과 구체적인 계획을 강화하라. (베트남); 이주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라. (네팔); 이주민과 그 가족들의 권리를 보호할 방안을 이행하라. (세네갈); 이주 노동자들의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할 조치를 지속하라. (스리랑카); 적절한 복지와 생활수준을 보장함으로써 모든 이주 노동자들의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할 방안을 더욱 강화하라. (태국);
124.67. Intensify its comprehensive policies and concrete plans to guarantee the full enjoyment of rights and welfare of migrant workers, especially women, including combating human trafficking and discrimination in all forms (Viet Nam); Continue its effort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Nepal); Carry out actions to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s and their families (Senegal); Continue to take measures to promote and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Sri Lanka); Further strengthen measures to promote and protect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by ensuring their appropriate welfare and standard of living (Thailand);
124.68. 난민, 이주 노동자 및 그 가족들에 대한 사회 보호를 강화하라. (벨라루스);
124.68. Strengthen measures aimed at social protection of refugees,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Belarus);
124.69. 비정규 이주 문제를 온정적으로 다루고, 더 나아가 그들의 기본적 인권을 법적으로 보호할 것을 고려하라. (방글라데시);
124.69. Deal with the issue of irregular migration sympathetically and consider further legislative protection of their fundamental human rights (Bangladesh);
124.70. 공적개발원조의 기본 원칙으로서 인권 증진과 보호에 초점을 둔 국제 협력체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라. (파라과이).
124.70. Continue strengthening the mechanisms to promote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a focus on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as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araguay).
125. 본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결론 및/또는 권고안은 제출 국가(들) 및/또는 심의 대상 국가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실무그룹 전체가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25. All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the present report reflect the position of the submitting State(s) and/or the State under review.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dorsed by the Working Group as a whole.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