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와 이사회 권고 효과 - 보고서 번호 371, 2014년 3월
Effect given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committee and the Governing Body - Report No 371, March 2014
참고/링크 자료 :
위원회와 이사회 권고 효과 - 보고서 번호 371, 2014년 3월
Effect given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committee and the Governing Body - Report No 371, March 2014
사건 번호 1865 (대한민국) - 진정일: 1995년 12월 14일 – Closed
Case No 1865 (Republic of Korea) - Complaint date: 14-DEC-95 – Closed
위원회와 이사회 권고 효과
Effect given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committee and the Governing Body
44. 위원회는 본 진정사건에 대해 1996년 5~6월 회의부터 심의를 진행하였고, 마지막 심의는 2012년 3월 회의였다. [제310차 국제노동기구 이사회가 승인한 363차 보고서, paras 42–133 참조] 해당 회의에서, 본위원회는 본 사건에서 눈에 띄는 법제적 쟁점은 한편으로는 공무원에게만 적용되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공무원노조법)에 관련되며 다른 한편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 및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한 다른 법령들과 관련된다는 점을 상기했다. 위원회는 많은 중요한 법개정을 인식했지만, 또한 정부에 다음을 비롯한 많은 추가적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였다: 노조 전임자 급여 지급 조항 폐지 및 전임자 급여 지급 문제는 입법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당사자간 자유롭고 임의적 교섭에 맡길 것; 개정 노동조합법 및 시행령 사본 및 근로시간 면제한도 매뉴얼 사본을 가능한 빨리 제출할 것; 및 위 규정을 위반한 사용자와 노동자에 대해 제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설명할 것. 나아가 위원회는 사업장에서 단체교섭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i) 교섭대표 요건 비율을 충족하는 노조가 없을 시 해당 단위 내에서 최소한 자기 조합원을 대표하도록 모든 노조에 단체교섭권이 부여되도록 할 것, (ii) 단체교섭권을 인정받지 못하는 노조가 자체 활동을 수행하고 조합원을 대변하고 개별 고충처리에 있어서 조합원을 대표할 수 있도록 할 것; 및 (iii) 창구단일화제도 도입 이후 부당노동행위로 계류 중인 사건에 대해 정부가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것과 이러한 행위를 예방 또는 제재하기 위해 취한 조치에 관해 계속 알려줄 것. 정부는 노조와 사용자간 교섭에 개입이 있었다는 주장에 관한 온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받았고, 코레일, 국민연금 및 한국가스공사를 비롯하여 다수 사업장에서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가 발생한 이유에 관한 설명을 요청받았다. 또한 위원회는 파업이 단체협약 체결을 목적으로 하는 노동분쟁에 국한된 문제를 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하고, 필수유지업무가 결사의 자유 원칙에 부합하도록 합의되며, 형법 제314조(업무방해)를 결사의 자유 원칙에 부합하도록 개정하고, 파업의 합법성이 해당 노조의 교섭대표로서의 지위에 좌우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정부에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원회는 정부에 다음을 요구하였다: 해고자 및 실업자의 노동조합 조합원 자격 유지 및 조합원 자격이 없는 자가 노동조합을 대표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 라목 및 제23조 제1조)을 폐기할 것 및 공무원에 관하여는, 정부와 전공노 간 화해를 이루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여, 전공노가 존속하고 궁극적으로는 설립신고가 수리되도록 할 것; 선거관리위원회와 법원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 자신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자신들의 단체를 조직할 권리를 갖도록 보장하고, 공무원의 노동조합이 그들의 조합원들의 권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보다 광범위한 경제.사회 정책에 대해 회의, 출판 및 다른 노동조합 활동 속에서 그들의 견해를 표현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 및 전국 집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또는 노조 통합을 위한 조합원 투표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해고되거나 징계를 받은 공무원의 상황에 관해 계속 알려줄 것.
44. The Committee has been examining this case since its May–June 1996 meeting and on the last occasion at its March 2012 meeting [see 363rd Report, paras 42–133, approved by the Governing Body at its 310th Session]. On that occasion, the Committee recalled that the outstanding legislative issues in this case concerned, on the one h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Labor Unions (AEOPOLU), which concerns the public sector only, and, on the other hand,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TULRAA) and other legislation which is generally applicable. The Committee observed a number of important amendments to the legislation, but also requested the Government to take a number of additional measures, including: to repeal the outstanding ban on payment of full-time union officers and to ensure that the overall determination of wage payment to full-time union officers would be left to free and voluntary negotiations between the parties, without legislative interference; to provide a copy of the adopted revised TULRAA and its enforcement decrees, as well as a copy of the Manual on the application of maximum time-off limits as soon as possible; and to indicate whether any sanctions have been taken against employers or unions for violations of the above provisions. The Committee further requested the Government to take all the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that for collective bargaining at the workplace: (i) when there is no union representing the required percentage to be designated on a representative body,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are granted to all the unions in this unit, at least on behalf of their own members; (ii) minority trade unions that have been denied the right to negotiate collectively are permitted to perform their activities, to speak on behalf of their members and represent them in individual grievances; and (iii) to keep the Committee informed of pending cases of unfair labour practices upon the introduction of the unified bargaining channel system and to take measures for the prevention and sanctioning of any such acts. The Government was requested to provide full observations on the allegations of interference in the negotiations between unions and employers and to indicate the reasons for the unilateral termination of binding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s that took place in several workplaces, including Korea Railroad,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Korea Gas Corporation. The Committee also requested the Government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that strike action may be carried out beyond the limited question of industrial disputes for the signing of a collective agreement and that the establishment of minimum services be agre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to bring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obstruction of business) into line with these principles, and to ensure that the legality of such action not be dependent upon the representative status of the organization. Finally, the Committee requested the Government to: repeal the provisions prohibiting dismissed and unemployed workers from keeping their union membership and making non-union members ineligible to stand for trade union office (sections 2(4)(d) and 23(1) of TULRAA) and as regards public employees, to take all possible measures with a view to achieving concil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KGEU) so that the latter may continue to exist and ultimately to register; ensure that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the Election Commission and the courts have the right to form their own associations so as to defend their interests and that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have the possibility to express their views publicly on the wider economic and social policy question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members’ interests, including during their meetings, in their publications and in the course of other trade union activities; and to keep it informed of the situation of the public employees who were dismissed or disciplined for participating in national rallies or for involvement in a union ballot on integration of the unions.
45. 2013. 1. 30. 자 제출된 서면에서, 정부는 대한민국에서 “노동조합 전임자”란 다른 국가들의 노조 지도부와 중대한 차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대한민국에서 노조 전임자는 근무 의무가 면제되어 오직 노조 관련 업무만 수행하는 사업장의 근로자를 가리킨다. 다른 국가에서는 그러한 노조 간부들이 종종 조합비에서 급여를 받는 반면에, 대한민국에서는 노조 전임자의 급여는 사용자가 지급하는 것이 관행이므로, 사용자가 노조의 자주성을 침해할 위험이 존재한다. 노조 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은 1997년 개정 노조법에서 금지되었지만 그 시행은 노조 활동을 약화시킬 우려로 인해 연기되었다. 노조의 재정적 자주성을 독려하면서 노조 전임자의 숫자를 점차적으로 줄여갈 의도였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반대 상황이 발생하여 노조 전임자의 숫자는 실제로는 증가하였다. 2010. 1. 1. 노조법 개정으로, 13년간 유예됐던 금지가 2010년 7월부터 시행되었다. 동시에, 사용자가 노조 활동에 필요한 시간을 일정 한도 내에서 유급으로 하는 것을 허용하는 근로시간 면제제도가 도입되었다. 근로시간 면제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은 노조 간부로 제한되지 않고 노조 간부가 아닌 노동자도 단체협약으로 합의된다면 자유롭게 노조 활동을 할 수 있다. 유급 타임오프는 거의 모든 조합활동에 적용될 수 있으며, 파업과 같은 일정한 활동만 예외가 된다. 노조 전임자에 대한 급여 지급은 부당노동행위의 하나로 간주되며, 처벌을 받는 자는 노조 간부가 아니라 사용자이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요청되었던 시행령과 매뉴얼을 제공하고, 다른 국가에서 노조 간부의 임금에 대한 사용자의 재정적 지원은 부당노동행위가 된다고 덧붙인다.
45. In its communication dated 30 January 2013, the Government indicates that the term “full time union official” in the Republic of Korea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leadership of trade unions in other countries. The Government recalls that in the Republic of Korea, a full-time union official refers to an employee at a workplace who is exempted from the obligation to work and performs only union-related duties. While in other countries, such officials are often paid from union du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ractice is that the wages of full-time union officials are paid by the employer, thus placing a risk of the employer infringing on the autonomy of the union. The payment of wages to full-time union officials was prohibit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TULRAA in 1997 but its implementation was delayed out of concern that its enforcement would weaken trade union activity. The intention was to progressively reduce the number of full-time union officials while the financial autonomy of trade unions was bolstered, yet over the years the opposite occurred and there was actual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ull-time union officials. With the revision of the TULRAA on 1 January 2010, the ban that had been suspended for 13 years was implemented from July 2010. At the same time, the paid time-off system was introduced to allow employers to pay for the time necessary for union activities within certain limits. The persons eligible for paid time off are not limited to the union leadership and workers who are not union officials subject to paid time off may also freely carry out union activities if agreed under the collective agreements. The paid time off can be applied to almost all union activities, with the exception of certain activities, such as strikes. The payment of wages to a full time union official is considered to be an unfair labour practice and it is the employer who is penalized, not the union official. Finally, the Government provides the requested Enforcement Decree and Manual and adds that other countries make the financial support of employers for union officials’ wages an unfair labour practice.
46. 대한민국에서 교섭창구단일화 제도에 관해, 정부는 그 제도는 일단 교섭창구단일화를 위한 절차가 진행되면 반드시 교섭대표노조가 결정되도록 설계되었고, 설령 다수 노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공동교섭단을 조직하는 것을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는 교섭대표노조가 되지 못한 노조도 자기 조합원을 대변하고 고충을 처리하는 등 개별적 노조 활동의 권리를 보장받는다고 확인하였다.
46. As regards the bargaining representative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Government explains that it is designed to ensure that a bargaining representative union must be selected once the process is under way for unifying the bargaining channel and that the system requires the organizing of a joint bargaining team even in the absence of a majority trade union. The Government also confirms that trade unions that do not have the representative function are guaranteed the right to perform individual trade union activities including speaking on behalf of their members and handling grievances.
47. 위원회는 개정 노동조합법의 시행에 관해 정부가 제공한 정보를 주목한다. 대한민국에서 유급 노조 전임자의 역사적 맥락에 관한 설명을 충분히 주목하면서, 본위원회는 설령 급여 지급이 사용자로부터 나오는 그러한 경우라도 노조 전임자의 급여 문제는 당사자간 교섭 사안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상황에서 노조의 자주성에 관련된 정부의 우려에 관하여는, 만약 사용자가 노조를 자신의 지배 하에 둘 목적으로 조합원에게 재정적 지원을 하는 방식으로 노조 내부 사안에 개입하는 구체적 경우라면, 그러한 행위는 증거에 입각하여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본위원회는 생각한다. 위원회는 정부가 곧 금지를 없애고 이에 관해 단체협약을 체결했다는 이유로 어떤 사람도 제재를 받지 않도록 하는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때까지 위원회는 정부가 근로시간 면제제도가 실제 적용되는 방식과 접수된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한다.
47. The Committee takes due note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with respect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mendments made to the TULRAA. While duly noting the explanations as to the historic context of paid full-time union office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Committee is bound once again to reiterate that, even where the payment in such cases may come from the employer, the payment of full-time union officers should be a matter for negotiation between the parties. As regards the Government’s concerns relating to the autonomy of the trade union in such circumstances,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should it be found in a specific case that the employer is interfering in the internal affairs of the trade union by financing its members so as to bring it under the employer’s domination or control, such action should be sanctioned on the basis of the evidence. The Committee trusts that the Government will soon be in a position to lift the ban and to ensure that no one is sanctioned for having entered into an agreement in this regard. In the meantime,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anner in which the maximum time-off limits are applied in practice and any complaints of unfair labour practices received.
48. 공무원의 결사의 자유와 관련하여 정부는 선관위와 법원의 6급 또는 이하의 공무원은 현행법에 따라 자유롭게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으며 그들은 가입이 금지되어 있는 특정분야에 종사하는 공무원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확인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과 관련하여 정부는 다시 한번 이 조직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불법적인 활동으로 인해, 그리고 합법적인 노동조합 설립 신고 절차를 거부하였으므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조직이라고 상기하고 있다. 정부는 현행 노조법에 명시되어있는 보호를 받기 위해 노동조합이 갖추어야 할 모든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노동조합에 대한 승인 거부는 과잉 제한 금지 규정과 법적 권익 사이의 균형에 부합한다고 단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노조법과 공무원노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한의 요건은 노동조합의 민주적이고 자주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하여 불가피하며 최소한의 장치라고 서술하고 있다. 정부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규약ㆍ규정에 해고자와 업무총괄자의 조합원 자격을 허용하고 있음에 따라 설립신고를 거부한 것이고 서울행정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은 이를 정당한 조치로 인정했고, 현재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한 반노조적 차별 주장에 대해서 정부는 공무원이 정치적 집회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는 대규모 집회에 참여하지 말라고 권고를 내린 것은 사실이지만 신고된 합법적인 집회에 참여를 금지하지는 않았다고 적시하고 있다. 또한 모든 정부부처와 기관에 업무시간 중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홈페이지 접속을 차단하라고 협조를 요청한 것은 사실이나 직장 밖에서의 접속이나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성명 배포를 금지한 적은 없다고 했다. 결론적으로 정부는 공무원 노동조합은 정치화 될 경우 업무의 공정성과 국민에 대한 신의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정치적 중립을 지킬 의무를 지니지만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신고가 이것 때문에 거절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정부는 다시 한번 공무원노동조합에 조합원의 권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경제ㆍ사회 정책 문제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표현하는 권리는 보장되어 있지만, 정부는 2012년 4월 대법원판결에 준거하여 정부의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 행사를 위한 특정한 정치세력과 관련하여 정치적 입장을 표현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민주노동당 사건에 대하여 정부는 정당의 소요비용에 기부금/후원금을 제공한 행위에 대해 법원은 정치자금법위반으로 30~50만원의 벌금을 부과했음을 적시하고 있다.
48. As regards the freedom of association of public officials, the Government confirmed that public officials of Grade VI or lower in rank at the Election Commission and the courts are permitted to freely join unions according to the current Act and do not fall under special service public officers prohibited from joining trade unions. As regards the KGEU, the Government once again recalls that this organization no longer exists due to illegitimate activities and their refusal to legitimately register a trade union. The Government affirms that refusing to grant organizations that fail to fulfil all conditions required of a trade union for the protection entitled under the TULRAA is in conformity with both the rule against excessive restriction and the balance between legal interests. The minimum requirements set out in the TULRAA and the AEOPOLU, as confirm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represent an inevitable and minimal measure to ensure the democratic and autonomous operation of trade unions. Given that the KGEU by-laws allow dismissed workers and managerial officials among its trade union members, the Government accordingly refused registration, a decision that was upheld at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Seoul High Court and is currently pending before the Supreme Court. As regards the allegations of anti-union discrimination against the KGEU, the Government indicates that, while it did recommend that public officials avoid attending a large-scale rally that could turn into a political rally, it did not ban participation in a registered and legitimate rally. In addition, while it requested the cooperation of all government institutions and agencies to prohibit access to the KGEU website during official service hours, it did not ban access to the site outside of the workplace, nor did it block the release of a KGEU statement. Finally, the Government states that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are required to be politically impartial as their politicization would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airness of duties and the trust of the people, but confirms that the KGEU’s registration was not refused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reaffirms the right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o express their views on economic and social policy issues that directly impact on their members’ interests, but asserts that, in conformity with a Supreme Court decision in April 2012, the expression of political views related to a specific political power in order to exercise influence on the government’s policy making process is prohibited. As regards the Democratic Labour Party case, the Government indicates that the court issued a penalty of 300,000–500,000 South Korean won per person for the act of providing funds and contributions towards party expenditures by public officials as a violation of the Political Fund Act.
49. 2013년 8월 11일자 서신을 통해 국제노총(ITUC)은 정부의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설립신고의 4번째 반려 상황에 대해 ILO의 긴급개입을 요청했고, 관련 자료에 대해 위원회가 주목할 것을 요청했다. 국제노총은 정부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과 노동조합이 취할 수 있는 조치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긴밀하게 논의했고 그 결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으로부터의 제안으로 규약 중 조합원 자격을 담고 있는 조항에 “관계 법령에 따라” 라는 문구를 삽입하는 것으로 규약을 개정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고 알려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조합 설립신고서는 규약이 여전히 해고자의 조합원 자격을 허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소지가 있다는 이유를 근거로 다시 한번 반려됐다. 2013년 8월 20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은 장기간 지체된 설립신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고용노동부와의 대화에 대한 세부사항을,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결국 성공적이지 못했다는 점을 제출했다.
49. In a communication dated 11 August 2013, the 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ITUC) requested an urgent intervention and brought to the Committee’s attention information concerning the Government’s refusal, for the fourth time, to register the KGEU. The ITUC informed that the KGEU and the Government discussed intensively the measures that the union could take, concluding with a proposal from the KGEU to amend its constitution to insert the following clause in relation to membership, “according to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Nevertheless, the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was once again denied on the basis that its constitution could still be interpreted to allow dismissed workers to retain membership. On 20 August 2013, the KGEU submitted details on the efforts made and the dialogue with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aimed at resolving this long outstanding issue which were regrettably, unsuccessful.
50. 2013년 10월 4일, 정부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신고문제는 대한민국 헌법 및 노동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만 한다고 설명한다. 노조법에서는 단체교섭권을 포함하여 여러 권리를 부여하기 위하여 노조의 합법성과 그에 따른 불필요한 충돌을 막기 위해 설립신고제도가 필요하다고 한다. 또한 공무원노조법은 공무원의 노동조합활동을 보장을 목표로 하고 있고 따라서 현직공무원이 아닌 자 (방출되거나 해고되거나 퇴직하거나) 들은 노동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상실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신고 요구는 2013년 7월 22일 개정된 규약 중 제2장에 규정되어 있는 해고되었거나 해고의 효력을 다투고 있는 조합원의 경우 관련법에 따라 유지하지만 조합원 적격에 대한 해석은 중앙집행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는 단서조항을 달고 있다 (제27조 제2항 ⑦). 정부는 규약이 대한민국의 헌법 또는 관련법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설립신고요청이 거부되었음을 적시했고, 관련법에 따라 노동조합 활동을 진행하고 법에 따라 설립신고서를 다시 제출하기를 희망한다고 표현했다.
50. In a communication dated 4 October 2013, the Government explains that the matt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KGEU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public of Korea Constitution and labour laws. Given that the TULRAA bestows a number of rights, including the entitlement to collective bargaining, a registration system wa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labour unions are legitimate so as to prevent unnecessary conflict. In addition, the AEOPOLU aims to guarantee trade union activities of public officials and therefore stipulates that public officials who are not in office (that is, have been removed, dismissed, or discharged) are not eligible to retain membership in a labour union. The KGEU’s request for registration was denied because article 2 of its by-laws, as amended on 22 July 2013, provided that, in case a union member is dismissed or the effectiveness of his/her dismissal is in dispute, he/she may keep union membership according to related laws, with the proviso that determination of his/her eligibility to join the union depends on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article 27(2)(G)). The Government indicated that it rejected the registration request because the by-laws did not comply with the Republic of Korea Constitution or related laws and expressed its wish that the KGEU resubmit a request and that it conduct trade un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related laws.
51. 2013년 12월 1일자 서한에서 국제노총(ITUC), 국제교원노련(EI),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한 노동기본권 침해에 대한 새로운 진정 내용을 제출했다. 특히 제소단체들은 정부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대해 해고자와 실업자의 조합원 자격 유지를 금지하도록 규약을 개정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2013년 10월 24일 해당 노조의 설립신고를 무효화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제소단체들은 이전 정부하에서 60여명의 전국교직원노조 조합원들이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의견 표명, 진보정당에 대한 1회성 후원 등의 활동을 이유로 해고되었다. 이 중 39명은 재판을 통해 복직되었고, 21명은 여전히 해고 상태다. 2013년 9월 전국교직원노조는 해고자 조합원 자격 유지를 금지하도록 규약을 개정할 것인가를 놓고 조합원 총투표에 부치기로 결정했다. 정부가 규약을 개정하지 않으면 설립신고를 취소하겠다고 통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약 6만명의 조합원이 투표에 참여했고 68.59%가 규약 개정에 반대표를 던졌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정부의 노조설립신고 취소 결정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을 청구했고, 2013년 11월 13일 서울행정법원은 이를 인용했다. 본안 소송 첫 심리가 6개월 내에 열릴 것이다. 정부는 가처분에 대해 서울고등법원에 즉시항고했다. 더 나아가 제소단체들에 따르면, 교육부는 2013년 9월 고용노동부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설립신고를 취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진행중인 단체교섭을 중단했다. 제소단체들은 또한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했다는 혐의로 정부가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 대해 실시한 서버 압수수색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대해서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는 점을 제기했다. 제소단체들은 이러한 압수수색이 오직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지도부와 조합원들을 위협하려는 의도에서 그리고, 정부의 반노조 정책에 반대하는 모든 노동조합, 특히 공공부문 노동조합에 대해서 결사의 자유 행사를 금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하겠다는 의도에서 시행된 것으로 여긴다.
51. In a communication dated 1 December 2013, the ITUC, Education International (EI),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and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submitted new allegations of trade union rights violations affecting the KTU and the KGEU. In particular, the complainants refer to the Government’s decertification of the KTU on 24 October 2013 because it did not amend its Constitution to ban dismissed and unemployed workers from its membership. The complainants recall that around 60 KTU members were dismissed during the previous Government for their activities, including expressing their opinion on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or for one-off donations to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While 39 were reinstated through court procedures, 21 teachers remained dismissed. In September 2013, the KTU decided to put the question of amending its by-laws to exclude dismissed teachers to a vote of its general membership. Almost 60,000 members voted across the nation with 68.59 per cent voting against, despite the Government’s ultimatum that the union would be deregistered if its by laws were not amended. The KTU requested an injunction for the suspension of the Government’s decision to cancel its registration, which was accepted by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on 13 November 2013. The first ruling on the merits is expected within six months. In the meantime, the Government filed an immediate appeal against the injunction with the Seoul High Court. Moreover, according to the complaina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drew from the ongoing collective bargaining negotiation with the KTU in September 2013 on the ground that the legal status of the KTU would be challeng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The complainants also allege that the Government carried out a search and seizure of the KGEU servers and announced its intention to do the same to the KTU due to the alleged lack of political neutrality of these organizations. The complainants consider that these acts were undertaken with the sole intention of intimidating KGEU leaders and members and sending a clear message that the Government will take any and all steps necessary to prohibit the exercise of freedom of association of any union, particularly in the public sector, that opposes the anti-un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52. 2013년 12월 19일자 서한에서 정부는 교사들의 단결권은 1999년 7월 발효된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보장되고 있으며 이에 띠라 11개의 노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다고 진술했다. 노동조합이 설립되면 단체교섭권을 부여 받고 노동위원회에 분쟁해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혜택과 법적 권리 및 보호를 보장받기 위해서 정부는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자신의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단체교섭을 필요로 하는 노동자인지 확인한 것과 더불어 노동조합이 법적 요건을 갖추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교원노조법은 교사들의 특별한 지위를 염두에 두고, 교사들의 의무를 고려하여 제정되었고 적용된다. 교원노조법 2조는 교원노조의 조합원 자격을 규정하고 있는데 현직 교사이거나 해직되어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하고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교사만 교원 노조의 조합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규약이 해고자가 조합원이 되고 노조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10년까지 정부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이러한 법 위반을 시정하고 법을 준수할 것을 촉구하였다. 2012년 1월 12일 대법원은 정부의 이러한 시정명령이 합법이라고 판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지속적으로 법을 위반하였으므로 정부는 2013년 9월 23일 다시 한번 규약을 시정할 것을 명하였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조합원 총투표를 통해 시정명령을 거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정부는 해당 노조가 법적 지위를 상실했음을 통보해야 했다. 그러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언제든지 규약을 변경하여 해고자를 배제함으로써 불법을 시정하면 다시금 법적 지위를 복원할 수 있다. 정부는 관련 법 개정은 국내 광범위한 이해 당사자 집단 사이에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
52. In a communication dated 19 December 2013, the Government states that the right to organize of teachers is guaranteed by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rade Unions for Teachers (AEOTUT) enacted in July 1999 and which gave rise to the operation of 11 trade unions. Establishment of a trade union accords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possibility that a union request the settlement of a labour dispute by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LRC). In order to be granted these benefits and legal rights and protection, the Government follows procedures of confirming whether a trade union meets legal requirements in addition to confirming if members of the union are workers in need of barg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ing conditions. The AEOTUT was enacted and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duty of teachers, keeping in mi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ir status. Article 2 of the AEOTUT provides that, in order to be a member of a teacher’s union, one must be a current teacher or a dismissed teacher who has made an application to remedy unfair labour practices to the LRC and who is awaiting the review decision. It has, however, been confirmed that the KTU’s by-laws allow dismissed persons to be members and be involved in the union’s activities. Since March 2010, the Government has urged and guided the KTU to rectify these violations and abide by the laws. On 12 January 2012,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corrective orders issued by the Government were legitimate. Nonetheless, as the KTU continued to violate the laws, the Government issued another corrective order on 23 September 2013 advising the KTU to correct its status. As the KTU decided to decline the corrective orders through a vote of all its members, the Government was obliged to give it notification of its loss of union status. The KTU can however restore its legal status at any time when the union voluntarily corrects its illegality by amending its by-laws and by excluding dismissed workers from the union. The Government concludes that any amendments to related laws should only be made after social consensus has been built among a wide range of stakeholder groups in the Republic of Korea.
53. 위원회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법외노조화,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네 번째 설립신고 반려, 그리고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버 압수수색을 깊은 우려를 가지고 주목한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설립신고 반려와 전교조 법외노조화에 대해, 위원회는 지금껏 일관되게 해고 노동자의 조합원 자격을 금지하는 법 조항은 결사의 자유 원칙에 위배된다고 보아 왔다. 위원회는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이 제정된 1997년부터 줄곧 이 법의 관련 조항을 개정하거나 폐기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해왔고,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도 유사한 조항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위원회는 이런 제약 때문에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 여전히 법적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할 뿐 아니라 나아가 이러한 제약이 교사들에게도 적용되어 정부에 의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설립신고 취소로 귀결되었다는 사실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 1999년 7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법적 지위가 인정되었을 때 위원회는 이를 한국 내 결사의 자유 보장에 관한 중대한 진전이라고 보았다. 위원회는 정부가 이렇게 노동조합 조합원 자격을 제한하는 법 조항을 개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 이 중대한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한 고용노동부의 노력이 결국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점을 보고 위원회는 정부가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신고 수리를 촉진하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법내노조로서의 재인정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조치를 지체없이 취하고 이를 위원회에 보고할 것을 촉구한다. 진행 중인 법정 소송에 대해 위원회는 노동자 단체 및 사용자 단체가 스스로 규약을 제정할 권리에 관해 위원회가 수년 동안 분명히 밝혀왔던 결사의 자유 원칙과 법원의 결정이 정부 기관의 방해 없이 이뤄져야 한다는 원칙을 법원이 충분히 고려할 것이며 교육 부문의 중요한 노동조합이 소수의 해고 노동자들이 가입했다는 이유로 법적 지위가 부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정부는 조합원이 노동조건의 개선을 위한 단체교섭이 필요한 노동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위원회는 이러한 정부의 입장을 충분히 검토하였고 60,000명의 교사들이 [단체교섭에서] 전교조가 자신을 대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점 역시 확인한다. 위원회는 제소단체들이 진술한 것처럼 2013년 9월로 중단된 단체교섭을 포함하여 정부가 전적으로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협의할 것이라고 믿는다. 위원회는 정부가 노조법, 교원노조법, 공무원노조법상의 해고자 조합원 자격 금지 조항을 폐지할 것을 촉구하며 2013년 12월 1일 제기된 제소 내용에 대해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촉구하다. 마지막으로, 위원회는 이전 제소 중 다시 한 번 코레일, 국민연금공단, 한국가스공사에서 발생한 단체교섭에 대한 정부의 개입에 관한 한국정부의 견해를 제출하고 위의 사업장에서 발생한 일방적 단체협약 해지의 사유를 적시할 것, 형법 314조 [업무방해죄]를 결사의 자유 원칙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 취한 조치를 적시할 것을 요청한다.
53. The Committee takes note with deep concern of the decertification of the KTU, the refusal to register the KGEU for the fourth time and the allegations relating to the searches and seizures of KGEU servers. As regards both the refusal to register the KGEU and the decertification of the KTU, the Committee recalls that it has consistently considered that a legislative provision prohibiting dismissed workers from being union members is contrary to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The Committee has requested the Government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amend or repeal the provisions in the TULRAA to this effect ever since they were first enacted in 1997 and observes that the AEOTUT and the AEOPOLU contain similar provisions. The Committee deeply regrets not only that the KGEU has yet to obtain legal recognition due to this restriction, but moreover expresses its deep concern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restriction to teachers has now resulted in a governmental act to deregister the KTU whose registration in July 1999 had been hailed by the Committee a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ensuring freedom of association in the country.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amend the provisions restricting trade union membership in this regard. Observing that the efforts made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MOEL) to find a solution to this important matter did not in the end bear fruit,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to pursue its efforts and to keep it informed of all steps taken to facilitate the registration of the KGEU and ensure the re-certification of the KTU without delay. As regards the pending court cases, the Committee firmly trusts that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it has enunciated over the years concerning the right of workers’ and employers’ organizations to draw up their Constitutions and rules without interference by the public authorities will be duly taken into account by the courts and that the legal recognition of a major trade union organiz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will not be dissolved on the basis of the membership of a handful of dismissed teachers. Indeed, the Committee takes due note of the Governmen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nfirming if members of the union are workers in need of barg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observes that nearly 60,000 teachers are expecting representation from the KTU on their behalf. While awaiting the court judgments on this matter, the Committee trusts that the Government will fully engage with the KTU, including on the collective bargaining negotiations which the complainant states were forestalled in September 2013.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to repeal the provisions in the TULRAA, the AEOTUT and the AEOPOLU which prohibits dismissal workers from being members of the trade union and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in reply to all the allegations set out in the 1 December 2013 communication. Finally,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provide full observations on the previous allegations of interference in the negotiations between unions and employers and to indicate the reasons for the unilateral termination of binding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s that took place at Korea Railroad,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Korea Gas Corporation and to indicate the steps taken to bring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into line with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