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가 지속해서 진행 상황을 요청한 보고서 - 보고서 번호 353, 2009년 3월
Report in which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 - Report No 353, March 2009
참고/링크 자료 :
위원회가 지속해서 진행 상황을 요청한 보고서 - 보고서 번호 353, 2009년 3월
Report in which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 - Report No 353, March 2009
사건 번호 1865 (대한민국) - 진정일: 1995년 12월 14일 – Closed
Case No 1865 (Republic of Korea) - Complaint date: 14-DEC-95 - Closed
D. 위원회의 결론
D. The Committee’s conclusions
694. 본 위원회는 입법과 사실상의 문제를 모두 다루는 이 사건을 1996년부터 심의해왔음을 상기한다. 입법 측면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나, 해당 국가 내에 안정적이고 건설적인 노사관계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발전의 여지가 여전히 있음을 이전의 결론과 제공된 정보를 통해 주목하였다.
694. The Committee recalls that it has been examining this case, which concerns both legislative and factual issues, since 1996. The Committee observes from its previous conclusions and the information before it that although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achieved in terms of legislation, there is still room for progress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and constructiv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in the country.
법제적 쟁점
Legislative issues
695. 본 위원회는 주요 법제적 쟁점이 한편으로는 공공부문에만 관련된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과,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과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타 법률과 관련이 있다고 회고한다.
695. The Committee recalls that the outstanding legislative issues concern, on the one h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which concerns the public sector only, and, on the other hand,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mendment Act (TULRAA) and other legislation which is generally applicable.
공무원
Public officials
696.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본 위원회는 이전에 제기된 쟁점들이 (a) 소방관, 교도관, 교육 관련 공공서비스 노동자나 지방 공무원, 근로감독관 등 모든 직급의 공무원에 대한 단결권을 예외 없이, 그리고 업무나 역할에 관계없이 인정할 필요성; (b) 파업권의 제한은 국가의 이름으로 권한을 행사하거나 엄격한 의미의 필수서비스를 수행하는 공무원에 대해서만 한정; (c) 노조 전임자의 노동조합 활동을 무급휴직으로 처리할지 여부를 공무원 노동조합과 공공부문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할 것; (d)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적용하는 틀에서 다음 사항들을 고려할 필요성에 관한 것이라고 본다. 해당 사항들은: (i) 국가 행정에 관여하지 않는 공무원의 노동조합과 교섭하는 경우 교섭 당사자들의 자치권이 완전히 보장되며, 입법 당국이 예산 권한을 보유하는 것이 단체협약 준수를 방해하는 효과가 없다는 점; 보다 일반적으로는 예산 제한이 존재하는 문제에 관한 교섭의 경우 단체교섭에 중요한 역할이 부여되어 단체협약이 성실히 교섭되고 이행되도록 한다는 점; (ii) 공무원의 고용조건과 관련된 정책 및 경영결정의 결과가 공무원 노동조합과의 협상에서 배제되지 않는 것; (iii) 설령 순수한 정치적 성격의 파업은 제87호 협약 및 제98호 협약의 보호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하면서도, 공무원 노동조합은 구성원들의 이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경제 및 사회 정책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견해를 표명할 수 있다는 점이다.
696. With regard to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issues previously raised concern the need to: (a) recognize the right to organize for all public servants at all grades without exception and regardless of their tasks or functions, including firefighters, prison guards, public service workers in education-related offices,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s and labour inspectors; (b) limit any restrictions of the right to strike to public servants exercising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State and essential services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c) leave to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and public employers to determine on their own whether trade union activities by full-time union officials should be treated as unpaid leave; (d)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in the framework of the application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i) that in the case of negotiations with trade unions of public servants who are not engag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e autonomy of the bargaining parties is fully guaranteed and the reservation of budgetary powers to the legislative authority does not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compliance with collective agreements; more generally, as regards negotiations on matters for which budgetary restrictions pertain, to ensure that a significant role is given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hat agreements are negotiated and implemented in good faith; (ii) that the consequences of policy and management decisions as they relate to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of public employees are not excluded from negotiations with public employees’ trade unions; and (iii) that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have the possibility to express their views publicly on the wider economic and social policy question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members’ interests, noting though that strikes of a purely political nature do not fall within the protection of Conventions Nos 87 and 98.
697. 공무원들의 단결할 권리와 관련하여 본 위원회는 정부에 따르면 5급 이상의 공무원에 대한 단결권 배제는 그들 대부분은 관리자 지위를 가진다는 사실에 따라 정당화되고, 제151호 협약에 따라 허용되며, 5급 이하의 지위(5급부터 10급)의 공무원 중 일부에 대하여도 노동조합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단결권을 배제할 수 있다고 본다.
697. With regard to the right to organize of public officials,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 exclusion from the right to organize of public officials at grade V or higher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m hold a managerial position and their exclusion from the right to organize is allowed under Convention No. 151; certain public officials with hierarchical authority below grade 5 (grade 5 to 10) can also be excluded from the right to organize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rade unions.
698. 본 위원회는 공무원은 다른 모든 노동자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구별도 없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사전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자신의 직업적 권익을 증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체를 설립하고 가입할 권리가 있음을 상기한다[결사의 자유 위원회 결정례집, 제5판, 2006, para. 219]. 모든 공공부문 노동자가 민간부문 노동자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직업적 권익을 증진, 방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신의 선택에 따라 단체를 설립하고 가입할 수 있어야 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 220]. 협약 제151호에서 정한 예외는 제87호 협약으로 보장되는 단결권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리자 직급 또는 정책결정의 책임을 지는 공무원에 관하여는, 본 위원회는 이러한 공무원은 여타의 공무원들을 대표하는 노조에 가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지만, 그러한 제한은 위에서 언급한 범주의 공무원에 엄격히 한정되어야 하며 그들 자신의 노조를 설립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진다. 관리직 또는 감독직 노동자가 다른 노동자들과 동일한 노동조합에 가입할 권리를 제한하는 것은 다음 두 가지 조건에 부합하는 한 제87호 협약 제2조 규정과 반드시 양립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첫째, 그러한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자신들의 독자적 단체를 설립할 권리를 가진다, 둘째, 여타 노동자단체의 현재 또는 잠재적 조합원의 상당 부분이 조합 가입자격이 부정되어 해당 기업 또는 부문의 노동조합을 약화시킬 정도로, 관리직/감독직 노동자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규정되어서는 아니된다[앞의 결정례집, paras. 253 및 247]. 나아가 위원회는 소방관이 수행하는 직무는 그들의 단결권을 박탈시킬 정당한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상기한다. 따라서 그들 역시 단결권을 누려야 한다. 교도관은 단결권을 누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근로감독관의 단결권을 박탈하는 것은 제87호 협약 제2조 위반에 해당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s. 231, 232 및 234]. 그러므로 위원회는, 소방관, 교도관, 교육관련 공무원, 지방자치단체의 노동자 및 근로감독관을 비롯하여 5급 이상 공무원을 비롯한 모든 직급의 공무원이 그 역할 및 직무에 관계없이, 자신들의 권익을 지키기 위하여 자신이 선택한 단체를 조직할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공무원노조법 및 시행령의 적용제외 규정들을 정부가 재검토할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
698. The Committee is bound to recall once again that public servants, like all other workers, without distinction whatsoever, have the right to establish and join organizations of their own choosing, without previous authorization, for the promotion and defence of their occupational interests [Digest, fifth edition, 2006, para. 219]. All public employees (with the sole possible exception of the armed forces and the police, by virtue of Article 9 of Convention No. 87), regardless of the grade, should, like workers in the private sector, be able to establish organizations of their own choosing to further and defend the interests of their members [Digest, op. cit., para. 220]. The exclusion in Convention No. 151 cannot be seen as restricting in any way, the right to organize, as guaranteed under Convention No. 87. Nevertheless, as concerns persons exercising senior managerial or policy-making responsibilities, the Committee is of the opinion that while these public servants may be barred from joining trade unions which represent other public servants, such restrictions should be strictly limited to this category of workers and they should, nevertheless, be entitled to establish their own organizations to defend their interests as workers. The Committee recalls that it is not necessarily incompatible with the requirements of Article 2 of Convention No. 87 to deny managerial or supervisory employees the right to belong to the same trade unions as other workers, on condition that two requirement are met: first, that such workers have the right to establish their own associations to defend their interests and, second, that the categories of such staff are not defined so broadly as to weaken the organizations of other workers in the enterprise or branch of activity by depriving them of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ir present or potential membership [Digest, op. cit., paras 253 and 247]. The Committee further recalls that the functions exercised by firefighters do not justify their exclusion from the right to organize and they, as well as prison staff should enjoy this right. Finally, the denial of the right to organize to workers in the labour inspectorate constitutes a violation of Article 2 of Convention No. 87 [Digest, op. cit., paras 231, 232 and 234]. The Committee therefor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review the exclusions from the right to organize in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as well as its Enforcement Decree so as to ensure that public servants at all grades, regardless of their tasks or functions, including firefighters, prison guards, those working in education-related offices,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s and labour inspectors, have the right to form their own associations so as to defend their interests.
699. 파업권과 관련하여, 정부에 따르면 모든 공무원은 국가의 명의로 권한을 행사하므로 단체행동에 대한 권리는 불가피하게 제한된다. 본 위원회는 국가 명의로 권한을 행사하지 않는, 예컨대 운전자와 위생감독자와 같은 공립학교 공무원이나 지방 당국의 직원 등의 공무원에 대하여도 형사제재와 과태료와 함께 공무원의 단체행동을 전면 금지하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대한 본위원회의 이전의 견해를 상기한다 [346차 보고서, paras 750 및 772]. 이에 본 위원회는 국가의 명의로 권한을 행사하는 공무원과 엄격한 의미의 필수서비스에 종사하는 공무원에 대해서만 파업권 제한이 적용될 수 있도록 정부에 다시 한 번 요청한다.
699. With regard to the right to strike,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all public officials exercise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State and therefore their right to collective action is inevitably restricted. The Committee recalls that its previous comments related to section 18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which establishes a blanket prohibition of collective action by public officials in conjunction with penal sanctions and fines, even with regard to certain public sector workers who do not exercise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State including for instance, public officials in state public schools, such as drivers or sanitation supervisors, those working in education-related offices and employees of local authorities [346th Report, paras 750 and 772]. The Committee therefor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the restrictions on the right to strike in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may only be applicable in respect of public servants exercising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State and public servants who are involved in essential services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700. 나아가 파업권과 관련해, 본 위원회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제42조에 따라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필수유지업무에 대한 민주노총의 의견 및 그에 관련하여 아래 검토할 정부의 답변에 주목한다.
700.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right to strike, the Committee takes note of the comments made by the KCTU with regard to minimum services to be ensured in case of “public services” under section 42 of the TULRAA as well as the Government’s reply which will be examined below.
701. 노조전임자의 노동조합 활동을 무급휴가로 처리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본 위원회는 정부가 노동조합의 경제적 독립성 보장을 위해 노조전임자에 대한 임금 지급은 노동조합의 책임이라고 주장하는 점에 주목한다. 본 위원회는 이 사안이 당사자들의 결정에 달렸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노조 전임자의 노조 활동을 무급휴직으로 처리할지 여부에 대한 교섭을 허용하기 위한 추가 방안을 고려할 것을 해당 정부에 재차 요청한다.
701. With regard to whether trade union activities by full-time union officials should be treated as unpaid leave,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 payment of wages to full-time union officials should rest with the union concerned so as to ensur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rade unions. The Committee once again emphasizes that this issue should be up to the parties to determine and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consider further measures aimed at allowing negotiation on the issue of whether trade union activity by full-time union officials should be treated as unpaid leave.
702. 공무원과의 단체교섭과 관련하여 본 위원회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공무원의 단체협약 체결권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정부측 교섭대표자로 하여금 단체협약을 성실히 이행할 의무도 부과하고 있다는 정부의 보고서에 주목한다. 동 보고서는 정부가 총 118개 사업장과 성실히 교섭하였으며 2008년 4월까지 총 69개의 단체협약이 체결되었음을 시사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702. With regard to the issue of collective bargaining with public officials the Committee notes from the Government’s report that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not only recognized public officials’ right to conclude collective agreements but also imposes an obligation on the Government’s bargaining representative to make efforts to implement the collective agreements in good faith. It notes the Government’s indication that it has engaged in good faith bargaining with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in a total of 118 workplaces and 69 workplace collective agreements had been concluded as of April 2008. Central-level negotiations were concluded on 14 December 2007 with regard to the terms and conditions affecting all public officials, such as remuneration, retirement age, etc. The Government adds that it has implemented the agreements in good faith.
703. 본 위원회는 이 정보를 충분히 주목하면서도, 정부의 답변이 국가 행정에 관여하지 않는 공무원들에게 적용되는 법률조항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본 위원회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0조 제1항에 따라 단체협약의 내용중 법령ㆍ조례 또는 예산에 의하여 규정되는 내용과 법령 또는 조례에 의한 위임을 받아 규정되는 내용은 단체협약으로서의 효력을 가지지 않음을 상기하며, 국가 행정의 주체로서의 권한을 갖지 않은 공무원 및 공공부문 노동자(예를 들면, 공기업 또는 자치적 공공기관)는 자신의 사용자와 자유롭고 임의로 교섭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 경우, 당사자간 교섭 자치가 우위의 효력을 가져야 하며 법령ㆍ조례 또는 예산 조건에 유보되어서는 아니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입법 당국이 갖는 예산 권한은 당국이 체결하거나 시행되고 있는 단체협약 준수를 방해하는 효과를 가져서는 아니된다는 점이다. 공공 당국이 갖는 재정 권한을 공공기관이 체결한 단체협약의 준수를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방식으로 행사하는 것은 자유로운 단체교섭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앞의 결정례집, paras. 1033 및 1034]. 본 위원회는 국가 행정에 관여하지 않는 공무원의 노동조합과 교섭할 경우 교섭 당사자들의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도록 하고, 입법권자에게 보유된 예산권이 단체협약의 준수를 막는 효과가 없도록 할 것을 정부에 다시 한 번 요청한다.
703. While taking due note of this information, the Committee notes that it does not address the issue of the legal provisions applicable to those public servants who are not engag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e Committee recalls that under section 10(1)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provisions on matters stipulated by laws, by-laws or the budget or stipulated by authority delegated by laws or by-laws, shall not have binding effect when included in collective agreements, and once again emphasizes that those public employees and officials who are not acting in the capacity of agents of the state administration (for example, those working in public undertakings or autonomous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able to engage in free and voluntary negotiations with their employers; in that case, the bargaining autonomy of the parties should prevail and not be conditional upon the provisions of laws, by-laws or the budget. Most importantly, the reservation of budgetary powers to the legislative authority should not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compliance with collective agreements entered into by, or on behalf of, that authority; the exercise of financial powers by the public authorities in a manner that prevents or limits compliance with collective agreements already entered into by public bodies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free collective bargaining [Digest, op. cit., paras 1033 and 1034].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in the case of negotiations with trade unions of public servants who are not engag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e autonomy of the bargaining parties is fully guaranteed and the reservation of budgetary powers to the legislative authority does not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compliance with collective agreements.
704.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그 권한으로 행하는 “정책결정에 관한 사항”, “임용권의 행사 등 그 기관의 관리ㆍ운영에 관한 사항으로서 근무조건과 직접 관련되지 아니하는 사항”은 단체교섭 대상사항에서 제외하는 것에 관하여, 정부의 주장에 따르면 정책 결정 혹은 인사권에 관한 사항은 정부의 관리 권한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단체교섭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본 위원회는 공공부문에서 일정한 사안에 대해 단체교섭을 거부하였다는 진정이 제기된 이전 사건에서, “주로 또는 핵심적으로 정부 업무의 관리 및 운영에 명백히 관련된 일정 사안이 있다; 이러한 사안들은 교섭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합리적으로 볼 수 있다”고 한 결사의 자유에 대한 사실조사 및 알선 위원회의 견해를 다시 한번 상기한다. 여타의 사안들은 주로 또는 핵심적으로 고용조건에 관련된 것이며 이러한 사안들은 상호간 신의성실하게 단체교섭이 이루어져야 하는 사항 밖에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된다는 점도 마찬가지로 명백하다[앞의 결정례집, para. 920]. 무엇이 “정책결정에 관한 사항”, “그 기관의 관리ㆍ운영에 관한 사항”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명백한 정의 규정이 없는 점 및 공무원노조법이 이러한 사안에 대한 교섭을 전반적으로 금지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본 위원회는 국가 행정에 종사하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공무원에게 공무원노조법을 적용하는 것에 관한 한, 그러한 정책결정 및 관리운영의 결과는 공무원의 고용 조건에 관련된 사안이므로 이러한 사안들이 공무원노조와의 단체교섭 사항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정부가 보장할 것을 본 위원회는 또 한번 요청한다.
704. With regard to the exclusion from the scope of collective bargaining, by virtue of section 8, paragraph 1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of “matters concerning policy decisions”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and “matters concern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public] organization, such as exercising the right to appointment, but not directly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matters concerning policy decisions or personnel appointments are excluded from those subject to collective bargaining because they constitute the Government’s managerial prerogatives. The Committee once again recalls that, in a previous case on allegations concerning the refusal to bargain collectively on certain matters in the public sector, the Committee had recalled the view of the Fact-Finding and Conciliation Commission on Freedom of Association that “there are certain matters which clearly appertain primarily or essentially to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government business; these can reasonably be regarded as outside the scope of negotiation”. It is equally clear that certain other matters are primarily or essentially questions relating to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that such matters should not be regarded as falling outside the scope of collective bargaining conducted in an atmosphere of mutual good faith and trust [Digest, op. cit., para. 920]. In the absence of a clear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policy decisions of the State” and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government business”, and in the light of the blanket prohibition of negotiations over these matters introduced in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in so far as concerns the application of the Act to public servants who cannot be properly considered as engag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e consequences of policy and management decisions as they relate to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of public employees, are not excluded from negotiations with public employees’ trade unions.
705. 공무원 노동조합의 정치활동을 금지하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4조와 관련하여, 위원회는 정부가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음을 지적해두고자 한다. 해당 조항에 대한 본위원회의 이전의 심의에서, 정부는 공무원의 지위의 성격상 순수하게 정치적인 활동은 공무원에게 부여되는 행동강령에 반하고, 노동조합은 남용적인 방식으로 정치활동에 참여해서는 안 되며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이해관계에 관여함으로써 노동조합의 진정한 기능 범위를 넘어서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보고 있는바, 위원회는 다시 한 번 한국 정부가 공무원 노동조합이 보다 광범위한, 조합원의 이해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제ㆍ사회적 정책에 대하여 그 견해를 표명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을 요청한다. 다만 순수하게 정치적인 성격의 파업은 제87호 및 98호 협약의 보호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는 점을 함께 지적해 둔다.
705. With regard to section 4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which prohibits political activities by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While duly noting from its previous examination of this provision that the status of public servants is such that certain purely political activity can be considered contrary to the code of conduct that is expected of these servants and that trade union organizations should not engage in political activities in an abusive manner and go beyond their true functions by promoting essentially political interests –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have the possibility to express their views publicly on the wider economic and social policy question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members’ interests, noting though that strikes of a purely political nature do not fall within the protection of Conventions Nos 87 and 98.
706. 위원회는 이상의 모든 사항과 관련하여 계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706.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respect of all the above.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법률
Generally applicable legislation
707.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및 기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법률과 관련하여, 위원회는 계류 중인 주제들은 이하와 같은 문제를 포함한다는 점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i) 기업단위 복수 노동조합의 합법화; (ii)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한 임금 지급 문제를 결사의 자유의 원칙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해결; (iii) 노동조합법의 긴급조정 조항(제76조 내지 제80조)이 모든 당사자의 신뢰를 받는 독립적 기관에 의해서만 부과되며 결사의 자유의 원칙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파업이 제한되는 경우에만 적용되도록 개정; (iv) 해고 노동자 및 실업자가 조합원 지위를 유지하는 것 및 비조합원이 노동조합의 임원이 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노동조합법 제2조 제4항 라목 및 제23조 제1항) 폐지; (v) 업무방해죄에 대한 형법 제314조를 결사의 자유의 원칙에 부합하도록 개정.
707. With regard to the TULRAA and other generally applicable legislation, the Committee recalls that the pending issues concern the need to: (i) legalize trade union pluralism at the enterprise level; (ii) resolve the issue of payment of wages to full-time union officers in a manner consistent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iii) amend the emergency arbitration provisions of the TULRAA (sections 76–80) so that it can be imposed only be an independent to body which has the confidence of all parties concerned and only in cases in which strikes can be restricted in conformity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iv) repeal the provisions prohibiting dismissed and unemployed workers from keeping their union membership and making non-union members ineligible to stand for trade union office (sections 2(4)(d) and 23(1) of the TULRAA) and (v) amend section 314 of the Criminal Code concerning obstruction of business to bring it into line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708. 위원회는 본 사건의 이전 심의과정에서, 노동조합법 개정안이 필수공익사업에서의 노동 분쟁에 대한 직권중재 조항을 폐지하고, 필수유지업무 요건 및 필수공익사업에서의 파업의 경우 대체근로(파업 노동자의 50%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을 신설한 점을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였다. 새로운 “공익사업” 범주에는 기존에 “필수공익사업”이라고 불린 사업들(철도사업, 도시철도사업, 수도사업, 전기사업, 가스사업, 석유정제사업 및 석유공급사업, 병원사업, 통신사업, 한국은행사업)뿐만 아니라, 난방 공급, 항만하역, 철도, 화물운수사업, 항공운수사업 및 사회보험사업이 포함된다; 확대된 “공익사업”에는 그 업무가 정지되거나 폐지되는 경우 공중의 “일상생활”을 현저히 위태롭게 하는 업무에 대하여 필수유지업무 준수 의무가 추가되고, 필수유지업무의 범위에 관한 쟁점은 직권중재제도 절차에서 다루도록 하였다는 진정내용에 주목하였다.
708. The Committee had noted with interest during the previous examination of this case that draft amendments to the TULRAA would abolish compulsory arbitration for disputes in essential public services and introduce a requirement to maintain minimum services and use of replacement workers (not exceeding 50 per cent of striking workers) in the event of a strike in essential public services. It had also noted allegations according to which the new “public services” category would include what was formerly called “essential public services” (railroad services, inter-city railways, water, electricity, gas supply, oil refinery and supply services, hospital services,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the Bank of Korea) as well as: supply of heat and steam, harbour loading and unloading, railway, freight transport, airborne freight transport and social insurance providers; a minimum services obligation would be added to the expanded list of “public services” in case where the “normal life” of the public was acutely endangered and compulsory arbitration machinery would be introduced to resolve the crucial issue of the scope of the minimum service.
709. 위원회는 노동조합법 개정안이 2006. 12. 30. 통과되어 결국 직권중재 폐지의 잠재적 효과를 종국에는 완전히 없앨 수 있는 파업권에 여러 단계의 제한을 도입했다는 민주노총의 새로운 주장에 주목한다. 이러한 제한은 긴급조정의 가능성, 필수유지업무 및 대체근로이다. 민주노총은 이미 사용자(서울메트로, 코레일, 한국전력 및 기타)들이 필수유지업무를 결정하는 교섭을 회피하고 있으며, 필수유지업무를 과도하게 인정하여 모든 파업을 무력화하는 결정을 내린 바 있는 노동위원회의 결정을 선호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서울교통공사 사건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2008. 1. 31. 결정에서 노동위원회는 필수유지업무를 러시아워 동안은 100%, 토요일 및 주말에는 79.8%, 일요일에는 50%로 결정하였으며, 반드시 유지되어야 할 업무에는 청소와 발권을 제외한 거의 모든 업무가 포함된다고 보았다. 민주노총은 나아가 이러한 상황에서 대체근로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적하였으며, 노동위원회가 필수공익사업에 대한 필수유지업무는 대체근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50%,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100%로 결정하였다고 주장하였다(부산지방노동위원회, 2008. 5. 14.). 그 결과, 민주노총에 따르면 노동조합은 효과가 없는 합법적 파업을 계속하거나 필수유지업무를 하지 않음으로써 불법파업을 감행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달리 말하면, 새로운 법률은 노동조합으로 하여금 기본적인 노동권을 포기하거나 불법 파업을 감행하는 것 중에 선택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몰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법률은 필수유지업무를 수행하기를 거부한 노동자 개인이 형사책임 및 민사책임을 부담하도록 한다.
709. The Committee notes from the KCTU’s new allegations that the amendment to the TULRAA was passed into law on 30 December 2006 so as to introduce several levels of limitations to the right to strike which in the end all but wipe out the potential effect of abolishing compulsory arbitration. These limitations are the possibility of emergency arbitration, minimum services and replacement workers. According to the KCTU, instead of guaranteeing negotiations over minimum services, the Government enumerates these services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TULRAA in a way which negates negotiations over the issue. In a context where any agreement between workers and employers is nearly impossible,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has the power to reach a decision on the scope of minimum services through compulsory arbitration. The KCTU alleges that already employers (e.g. the Seoul Metro, Korea Railways, Korea Power Plants and others) have preferred to avoid negotiations on determining the minimum service and apply to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which has issued decisions establishing an excessively high minimum service, thus rendering any strike ineffecti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determined on 31 January 2008 the minimum service as 100 per cent of operation during rush hour, 79.8 per cent during Saturdays and weekdays and 50 per cent on Sundays; also, jobs that must be maintained include almost all jobs except cleaning and ticketing. The KCTU further objects to the possibility of using replacement labour in these circumstances and specifies that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has decided that 50 per cent is the minimum service for public services when replacement labour can be introduced and 100 per cent when such workers cannot be introduced (Busan Labour Relations Commission, 14 May 2008).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KCTU, trade unions are faced with a dilemma of either continuing an ineffective lawful strike or resorting to an illegal strike by refusing to provide the required minimum service. In other words, the new law forces upon trade unions a decision between giving up basic labour rights or proceeding with an illegal strike. Finally, the law introduces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and civil liability of the workers who refuse to provide the minimum service.
710. 본위원회는 개정된 법률이 발효한 2008. 1. 1.부터 2008. 12. 31.까지 총 113개 사업장이 필수유지업무에 대한 합의를 신고하였고 25개 사업장만이 노동위원회의 결정에 따랐다는 정부의 답변을 주목한다. 서울교통공사가 운영을 유지해야 할 단계에 대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결정은 주중에는 전체 노동조합원의 최소한 38.6%가, 주말에는 37.1%가 필수유지업무를 제공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주중에는 전체 노동조합원의 61.4%가, 주말에는 62.9%가 쟁의행위에 참여할 수 있다.
710. The Committee takes note of the Government’s reply according to which, since 1 January 2008 when the amendment entered into force until 31 December 2008, a total of 113 workplaces had signed an agreement on minimum services and only 25 relied on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s decisions. The decision of the Seoul Regional Labour Relations Commission on the level at which the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port Corporation should maintain operations indicated that at least 38.6 per cent of total union members on weekdays and 37.1 per cent on weekends should provide minimum services. Thus, 61.4 per cent of total union members on weekdays and 62.9 per cent on weekends could stage industrial action.
711. 본위원회는 여객 및 화물운수사업은 쟁의행위시 최소 서비스 요건을 부과할 수 있는 중요한 공공서비스이며, 조폐, 은행사업 및 석유사업은 쟁의행위시 서비스이용자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노사가 합의한 최소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는 사업이라는 점을 상기한다 [앞의 결정례집, paras. 621 및 624]. 그러나, 위원회는 최소 서비스는 국민의 생명 또는 인구의 전체 내지 일부의 정상적 생활조건을 위태롭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엄격하게 필요한 업무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 또한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위원회는 당사자들이 필수유지업무의 수준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결정과 관련하여 상반된 의견을 제출하였음을 밝힌다. 대체근로를 활용할 가능성과 관련하여,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파업이 합법적일 경우,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을 대체하기 위해 사업체 외부의 노동자를 확정되지 않은 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은 파업권, 나아가 노동조합의 자유를 침해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한다 [앞의 결정례집, para. 633]. 따라서 위원회는 한국 정부가 필수유지업무를 결정하는 판단을 내림에 있어서, 노동위원회가 필수유지업무가 국민의 생명 또는 인구의 전체 내지 일부의 정상적 생활조건을 위태롭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엄격하게 필요한 업무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충분히 고려하도록 하고, 필수유지업무에 대한 필요가 인정된 구체적인 예, 필수유지업무의 정도 및 이러한 필수유지업무가 결정되는 절차 (교섭 또는 중재)에 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보고할 것을 요청한다.
711. The Committee recalls in the first place, that th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and commercial goods is a public service of primary importance where the requirement of a minimum service in the event of a strike can be justified. Similarly, the Mint, banking services and the petroleum sector are services where a minimum negotiated service could be maintained in the event of a strike so as to ensure that the basic needs of the users of these services are satisfied [Digest, op. cit., paras 621 and 624]. The Committee also notes, however, that a minimum service should be confined to operations that are strictly necessary to avoid endangering the life or normal living conditions of the whole or part of the population. In this regard,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parties communicate contradictory information as to the decisions of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on the minimum level of service.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having recourse to replacement labour, the Committee recalls in general that, if a strike is legal, recourse to the use of labour drawn from outside the undertaking to replace the strikers for an indeterminate period entails a risk of derogation from the right to strike, which may affect the free exercise of trade union rights [Digest, op. cit., para. 633]. The Committee therefore request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in issuing decisions determining the minimum service,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takes due account of the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a minimum service should be confined to operations that are strictly necessary to avoid endangering the life or normal living conditions of the whole or part of the population and to continue to keep it informed of the specific instances in which minimum service requirements have been introduced, the level of minimum service provided and the procedure through which such minimum service was determined (negotiations or arbitration).
712. 대체근로를 활용할 가능성과 함께, 쟁의행위가 공익사업에 “관한” 것이거나 그 규모가 크거나 그 성질이 “특별”한 것으로서 현저히 국민경제를 “해”하거나 국민의 “일상생활”을 위태롭게 할 “위험”이 현존하는 경우 부과할 수 있는 “긴급조정” (노조법 제76조-제80조)에 관하여는, 쟁의행위가 공익사업에 “관한” 것이거나, 정부에 따르면 “엄격한 의미에서 최소서비스가 무엇을 의미하는가는 어떤 국가의 특정한 상황에 크게 의존”[앞의 결정례집, para. 582]하는 것이고, 그러한 긴급조정은 결사의 자유의 원칙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긴급조정은 대한민국에서 규칙이 아닌 예외로 매우 드물게 발생하였고, 1969년, 1993년, 2005년에만 적용되었다. 정부는 결사의 자유의 원칙을 존중하기 위해 국민의 안전에 대한 위험을 형량한 후 긴급조정을 계속해서 신중하게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즉 정부는 현행 제도를 수정할 계획이 없는 것이다.
712.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imposing “emergency arbitration”, with the possibility of hiring replacement labour, if a dispute “relates to” any public services, or if the dispute is large in scale, has a “special” character such that the Labour Minister thinks the dispute is “likely” to make the economy “worse” or disrupt “normal life” (sections 76–80, TULRAA),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uch arbitration is in conformity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according to which “what is meant by essential services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depends to a large extent on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prevailing in a country” [Digest, op. cit., para. 582]. Emergency arbitration is invoked very rarely, as an exception rather than the rul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was applied only in 1969, 1993 and 2005. The Government states that it will continue to apply emergency arbitration carefully, after weighing the risks to people’s safety, so as to respect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thus, the Government has no plan to revise the current system.
713. 본 위원회는 노동당국을 통한 강제적 중재 시스템은, 만약 노동분쟁이 여타의 수단을 통해 해결되지 않는다면, 노동자단체가 자신의 활동을 조직할 권리에 대한 상당한 정도의 제한이 되며, 결사의 자유 원칙에 위배되는, 파업의 절대적 금지에도 해당될 수 있음을 상기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 568]. 위원회는 집단적 노동분쟁 및 파업을 종결시키기 위해 강제적 중재를 하는 것은, 해당 분쟁의 양 당사자가 모두 요청하거나, 국가의 이름으로 권한을 행사하는 공무원 또는 엄격한 의미에서의 필수서비스, 즉 그 중단이 생명, 개인의 안전 또는 일부 내지 전체 인구의 보건을 위태롭게 하는 공공부문에서의 노동분쟁의 경우에 해당 파업이 제한되거나 심지어 금지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 564]. 나아가, 국가 안전 또는 공중보건을 근거로 파업을 중단시킬 수 있는 책임은 정부가 가져서는 아니되며, 모든 관련 당사자들의 신뢰를 받는 독립적 기구가 가져야 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 571]. 따라서 위원회는 정부가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제76~제80조)의 긴급조정 조항을 개정하는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여 모든 사람의 신뢰를 받는 독립 기관에 의하여만, 그리고 결사의 자유 원칙에 따라 파업이 제한될 수 있는 경우에만 이것이 부과될 수 있게 하도록 다시 요청한다.
713. The Committee once again recalls that a system of compulsory arbitration through the labour authorities, if a dispute is not settled by other means, can result in a considerable restriction of the right of workers’ organizations to organize their activities and may even involve an absolute prohibition of strikes, contrary to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Digest, op. cit., para. 568]. The Committee once again emphasizes that compulsory arbitration to end a collective labour dispute and a strike is acceptable if it is at the request of both parties involved in a dispute or, if the strike in question may be restricted, even banned, i.e. in the case of disputes in the public service involving public servants exercising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State or in essential services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namely those services whose interruption would endanger the life, personal safety or health of the whole or part of the population [Digest, op. cit., para. 564]. Furthermore, responsibility for suspending a strike on the grounds of national security or public health should not lie with the Government, but with an independent body which has the confidence of all parties concerned [Digest, op. cit., para. 571]. The Committee therefor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amend the emergency arbitration provisions in the TULRAA (sections 76–80) so as to ensure that such a measure can only be imposed by an independent body which has the confidence of all parties concerned and only in cases in which strikes can be restricted in conformity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714. 형법 제314조 업무방해 조항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전에 진정인들이 주장했던 바와 같이 이는 파업권을 행사한 노동조합원을 징역형과 무거운 벌금형을 통해 조직적으로 희생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고, 위원회는 2000년부터 형법 제314조를 결사의 자유 원칙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 이를 재검토하는 조치를 취하라고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를 전혀 이행하지 않았음을 다시 한 번 유감스럽게 주목한다. 반대로 정부는 이 조항이 쟁의행위 자체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불법행위가 사용자의 경제활동을 방해하여 피해를 입힌 경우 이를 처벌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714. With regard to the issue of obstruction of business provisions in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which as previously alleged by the complainants, have served systematically as a means to victimize trade unionists for exercising their right to strike, through prison sentences and heavy fines, the Committee notes with regret that once again, the Government’s reply does not indicate any steps taken to review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so as to bring it into conformity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despite requests that this Committee has been making to this effect since 2000; on the contrary, the Government indicates that this provision is not intended to regulate industrial action itself, but to punish illegal action in case it causes damage by interfering with an employer’s economic activity.
715. 본 위원회는 누구도 단지 평화적인 파업에 참가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그 자유가 박탈되거나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 672 참조]. 본 위원회는 ‘파업권 제한을 거래 및 사업에 대한 방해와 연계하는 경우 정당한 파업이 광범위하게 제약될 수 있다. 파업의 경제적 영향, 거래 및 사업에 미치는 효과는 유감스러울 수 있지만, 이런 결과 그 자체가 저절로 어떤 서비스를 “필수서비스”로 만드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파업권은 보장되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앞의 결정례집, para. 592 참조]. 이러한 원칙은 사용자의 경제적 활동을 제한하였다는 이유로 법이 파업에 대해 형사처벌과 무거운 벌금형을 부과한 본 사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715. The Committee emphasizes that no one should be deprived of their freedom of be subject to penal sanctions for the mere fact of organizing or participating in a peaceful strike [Digest, op. cit., para. 672]. The Committee has found in another case concerning limitations on strikes based on interference with trade or commerce, that by linking restrictions on strike action to interference with trade and commerce, a broad range of legitimate strike action could be impeded. While the economic impact of industrial action and its effect on trade and commerce may be regrettable, such consequences in and of themselves do not render a service “essential”, and thus the right to strike should be maintained [Digest, op. cit., para. 592]. The same applies in this case where the law imposes criminal punishment and heavy fines for strikes on the ground that they limit economic activities.
716.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많은 파업이 사업장 접근을 막거나, 강제적인 점거, 시설의 파괴, 경찰관 및 관리자들에 대한 신체적인 폭력과 같은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는 정부의 답변에 주목하면서, 파업의 틀 내에서 인명 및 재산에 대한 폭력 또는 기타 일반 형법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형벌이 부과되어야 하며, 이는 그러한 행위를 처벌하는 법률 및 규정에 근거해야 한다고 설시한다. 특히 위원회는 파업권의 행사가 법률에 의해 규정된 파업 불참 노동자의 노동의 자유를 기업 내에 들어갈 수 있는 경영진의 자유와 마찬가지로 존중해야 함을 상기시킨다. 피켓팅에 참여하면서 단호하지만 평화롭게 다른 노동자들에게 사업장을 떠나도록 선동하는 것은 불법으로 간주될 수 없다. 그러나 피켓팅에 파업 불참 노동자의 노동의 자유를 방해하려는 폭력이나 강압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 이러한 행위는 많은 국가에서 범죄를 구성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s 651 and 652].
716. Nevertheless, noting from the Government’s reply that many strikes in the Republic of Korea involve illegal and violent means such as blocking access to the workplace, forceful occupation, destruction of facilities and physical abuse of policemen and managers, the Committee notes that penal sanctions should only be imposed if, in the framework of a strike, violence against persons and property or other serious violations of the ordinary criminal law are committed, and this, on the basis of the laws and regulations punishing such acts. In particular, the Committee recalls that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strike should respect the freedom of work of non-strikers, as established by the legislation, as well as the right of the management to enter the premises of the enterprise. Taking part in picketing and firmly but peacefully inciting other workers to keep away from their workplace cannot be considered unlawful. The case is different, however, when picketing is accompanied by violence or coercion of non-strikers in an attempt to interfere with their freedom to work; such acts constitute criminal offences in many countries [Digest, op. cit., paras 651 and 652].
717.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위원회는 형법 제314조(업무방해)가 결사의 자유의 원칙에 완전히 부합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해줄 것을 정부에 다시 한 번 요청한다.
717. In light of the above,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take measures so as to bring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obstruction of business) fully in line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718. 위원회는 2009년 12월 31일까지 두 차례 연기된 사업장별 복수노조 허용 조치와 관련하여, 정부가 관련 조항 시행일을 더이상 연기하지 않도록 교섭창구 단일화 방안에 대한 입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한 점을 다시금 주목한다. 노사정위원회는 노사정 및 공익위원인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지금까지의 논의 및 연구 결과를 공유하였다(2007년 10월~2008년 3월). 위원회는 노동자의 자유로운 조직 설립과 가입 선택이 결사의 자유에 매우 기본적인 것으로 더 이상 지연이라는 타협이 될 수 없는 사항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앞의 결정례집, para. 312]. 위원회는 다시 한 번 노동자가 스스로 선택한 조직을 설립하고 가입할 권리가 모든 수준(level)에서 인정될 수 있도록 사업장별 차원에서 복수노동조합 합법화를 위해 모든 사회적 파트너와 조속히 협의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
718. The Committee notes with regard to steps to introduce trade union pluralism at the enterprise level, which has been postponed, for the second time, until 31 December 2009, that the Government will actively push for legislation concerning measures to establish a single bargaining channel so as not to postpone the enforcement date of the related provisions any further. The Tripartite Commission organized a group of experts from labour, management the Government and public interest groups, in order to share the results of discussions and research conducted so far (October 2007–March 2008). The Committee once again emphasizes that the free choice of workers to establish and join organizations is so fundamental to freedom of association as a whole that it cannot be compromised by delays [Digest, op. cit., para. 312].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take rapid steps to continue and undertake full consultations with all social partners with a view to the legalization of trade union pluralism at the enterprise level so as to ensure that the right of workers to establish and join the organization of their own choosing is recognized at all levels.
719. 1997년 도입되었지만 아직 시행되지 않은 노조 전임자 급여지급 금지 규정(도입은 두차례 연기되었고 복수노조 인정과 연계됨)을 철폐에 대한 위원회의 요구에 대해, 정부의 입장은 사용자에 반대하는 행위를 하면서 그들로부터 급여를 받는 것은 모순적이란 점에서 이러한 지급 금지는 노동조합 운동의 독립을 보호하고 사용자와 노동조합 사이의 관계를 합리화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위원회는 노조 전임자에 대한 임금 지급이 입법적인 관여 사항이 아니며 당사자들 간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협상에 맡겨야 한다고 한 본 진정사건의 이전 검토에서 다시 확인한다. 이에 따라 노동자와 사용자가 자유롭고 임의적인 협상을 할 수 있도록 결사의 자유 원칙에 입각하여 이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
719. With regard to the Committee’s request for the Government to lift the prohibition of wage payment to full time union officials which was introduced in 1997 but has not yet entered into force (its implementation has been postponed twice and linked to the issue of recognition of trade union pluralism)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 prohibition of such payments will safeguard the independence of the trade union movement and ration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rs and trade unions, as it is contradictory to operate in opposition to employers and yet receive payments from them. The Committee recalls from the previous examination of this case that the question of wage payment to full-time union officers should not be subject to legislative interference and should be left to free and voluntary negotiations between the parties. It therefore requests the Government to expedite the resolution of this matter, in accordance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so as to enable workers and employers to conduct free and voluntary negotiations in this regard.
720. 실업자가 노동조합에 자유롭게 가입하고 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위원회는 2006년 노사정 대표들이 이 문제를 법 개정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 동안 노동조합이 사업장 수준 이상으로(예를 들어, 산업, 부문 또는 지역 수준, 그리고 실업자 또는 해고된 노동자들이 그들 중 일부에 합류하여 그들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조직되어 왔다고 정부가 답함을 확인한다. 정부는 이 모든 요소들을 고려할 때, 현재로서는 가까운 미래에 제도적 개선을 할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진전을 관심 있게 확인하면서 위원회는 노동자의 조합원 자격을 박탈하는 조항은 당사자의 단체 가입을 제한하기에 결사의 자유 원칙과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이러한 조항으로 인해 노조 활동가를 해고하여 노동조합 활동을 조직 내에서 지속할 수 없도록 하는 반노조적 차별행위가 수반될 위험이 있다[앞의 결정례집, para. 268]. 이에 해고자 또는 실업자의 조합원 자격 유지와 비조합원의 노동조합 임원 선출을 금지하는 조항을((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 라목 및 제23조 제1항) 폐지할 것을 정부에 다시 한번 요청한다.
720. With regard to the issue of allowing the unemployed to freely join a trade union and engage in its activity, the Committee notes from the Government’s reply that even though the tripartite representatives decided in 2006 to exclude this issue from the legislative reform, in recent years, trade unions have been organized above the enterprise level, e.g. at the industry, sector or regional levels, and unemployed or dismissed workers were able to join some of them and engage in their activities. The Government adds that given all these elements, at present it has no specific plan to make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the near future. While noting this development with interest, the Committee once again notes that a provision depriving workers of the right to union membership is incompatible with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since it deprives the persons concerned of joining the organization of their choice. Such a provision entails a risk of acts of anti-union discrimination being carried out to the extent that the dismissal of trade union activists would prevent them from continuing their trade union activities within their organization [Digest, op. cit., para. 268]. It therefor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repeal the provisions prohibiting dismissed and unemployed workers from keeping their union membership and making non-union members ineligible to stand for trade union office (sections 2(4)(d) and 23(1) of the TULRAA).
721. 위원회는 한국에서 건설적인 노사관계 풍토 확립을 위해 현재 노사정위원회에서 대표되지 않은 모든 사회적 파트너들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위에서 언급한 나머지 입법 사항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모든 노력을 지속할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 위원회는 상기 사항에 대하여 계속하여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721.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in the interests of establishing a constructive industrial relations climate in the country, to continue all efforts to find solutions to the remaining legislative matters noted above, in full consultation with all the social partners concerned, including those not presently represented on the Tripartite Commission.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respect of all the above.
사실에 대한 쟁점들
Factual issues
722. 위원회는 본 사건은 다음의 사실관계와 관련된 것임을 확인한다. (i) 권영길 전 민주노총 위원장의 체포 및 구금 (ii)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지도부와 조합원 해임 (iii) 김영길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과 안병순 사무총장의 체포 및 유죄 판결 (iv) 민주노총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집회에 대한 폭력적인 경찰 개입 (v) 2004년 말 “신풍 운동”을 통한 행정자치부의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내부 간섭 (vi)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건설연맹) 간부의 형사 기소 및 구속, 건설부문 하청노동자 단체협약 제한 (vii) 2명의 노동조합원 사망 (vii) 전국 251개 전공노 사무실 중 125개의 강제 폐쇄, 노동조합과 경찰 간의 폭력적인 충돌 (ix) 최저임금 위원회 심의 중 노조 대표자에 대한 괴롭힘
722. The Committee recalls that the pending factual issues in this case concern: (i) the arrest and detention of Mr Kwon Young-kil, former president of the KCTU; (ii) the dismissal of leaders and members of the KAGEWC; (iii) the arrest and conviction of the KGEU President Kim Young-Gil and General Secretary Ahn Byeon-Soon; (iv) violent police intervention in KCTU and KGEU rallies; (v) interference by MOGAHA in the internal affairs of the KGEU through the initiation of a “New Wind Campaign” at the end of 2004; (vi) the criminal prosecution and imprisonment of officials of the Korean Feder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Trade Unions (KFCITU) and restrictions over collective agreements concerning subcontracted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ector; (vii) the death of two trade unionists; (viii) the forced closure of 125 out of 251 KGEU offices nationwide and violent clashes between trade unionists and the police; (ix) and harassment of union representatives during minimum wage negotiations.
723. 2006년 1월 11일 권영길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벌금 1500만 원을 선고받은 것과 관련해, 상고심이 대법원에 계류 중이며 그는 꾸준히 정치활동을 해왔다고 정부는 답변했고, 2008년 권영길이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위원회는 정부가 권영길에 대한 상고심 진행 상황을 계속 알려 줄 것을 요청한다.
723. With regard to the sentencing of Kwon Young-kil, former president of the KCTU, to a fine of 15 million won on 11 January 2006, the Committee notes from the Government’s report that an appeal is pending before the Supreme Court and that having steadily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Kwon Young-kil was elec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08.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keep it informed of the progress of the appeal proceedings concerning Kwon Young-kil.
724. 전공노의 전신인 전공련에 관여한 8명의 공무원(김상걸, 오명남, 고광식, 민점기의 해고는 확정됨, 강동진, 김종윤의 해고는 계류 중, 한석우, 김영길은 항소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이 불법적 활동(불법 장외집회를 개최하고, 행정자치부의 사무실에 침입해 손해를 끼쳤고, 총파업 돌입이라는 불법적 결정을 했고, 파업을 하기 위해 허가 없이 연가를 사용하는 등 노조를 설립하려 하였음)을 했다는 이유로 해직된 점에 관하여, 정부에 따르면 이들의 사건은 국내법에 따라 다루어졌으며 그들의 복직을 고려할 가능성은 없다고 한 점을 위원회는 주목한다. 현재 발효된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 보장하여야 할, 공무원의 결사의 자유 기본권, 특히 자신의 선택에 따른 단체를 설립하거나 가입할 권리를 보장하는 법령이 없으므로 인해 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에 관하여 위원회는 또 한번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 위원회는 또한 이러한 취지의 이전 요청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들 노동자들 중 오직 두 명(김상걸, 고광식)에 대해서만 관련 결정문 사본을 제공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따라서 위원회는 김상걸, 오명남, 민점기, 고광식, 한석우, 김영길, 강동진, 김종윤에 대한 파면을 재고하고 새로운 법의 제정에 비추어 이와 관한 진전상황에 대한 정보를 계속 알려 줄 것을 정부에 다시 한번 요청한다.
724. As regards the dismissals of eight public servants connected to the precursor of the KGEU, KAGEWC (the dismissals of Kim Sang-kul, Oh Myeong-nam, Koh Kwang-sik and Min Jum-ki were final, those of Kang Dong-jin and Kim Jong-yun were pending examination while Han Seok-woo, Kim Young-kil did not appear to have lodged an appeal) for having committed illegal activities (attempt to establish a trade union, holding of illegal outdoor assemblies, break-in at the offices of MOGAHA and consequent damage, illegal decision to go on a general strike and taking of annual leave and absences, without permission, so as to wage that strike)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ir cases were handled in accordance with the law in force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nsidering their reinstatement. The Committee once again expresses its deep regret at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se public servants, which appear to have been due to the absence of legislation ensuring their basic rights of freedom of association, in particular the right to form and join organizations of one’s own choosing, respect for which should now be guaranteed by the entry into force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he Committee also deeply regrets that the Government has provided copies of the relevant decisions only for two of these workers (Kim Sang-kul and Koh Kwang-sik), despite previous requests to this effect. The Committee therefor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reconsider the dismissals of Kim Sang-kul, Oh Myeong-nam, Min Jum-ki and Koh Kwang-sik Han Seok-woo, Kim Young-kil, Kang Dong-jin and Kim Jong-yun in the light of the adoption of the new Act and to keep it informed of any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725. 위원회는 정부가 답변을 제공하지 않은 업무방해 혐의에 대한 수많은 체포 및 구금에 관한 이전의 권고들을 상기한다. 이들 진정에 따르면 2006년 3월 진행했다가 직권중재를 통해 중단된 파업을 이유로 최소 401명의 전국철도노조 조합원들이 전투경찰에게 체포됐다. 파업은 평화적이었지만, 경찰은 그 자체로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로 간주했다. 또한 2006년 4월 6일 김영훈 전국철도노조 위원장 등 29명의 노조 임원들이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되어 2006년 6월 22일까지 구속되었고, 이후 전국철도노조 미조직비정규직특별위원회 대표 이철의, 서울지방본부장 김정민이 구속되었다. 2006년 9월 1일 소청인측과 연락이 닿았을 당시에도 후자는 감옥에 남아 있었다. 게다가, 사용자인 코레일은 1,350만 달러의 손해를 주장하면서(노조는 최근까지 2003년의 파업에 대해 244만 달러를 지불하여야만 하였다) 노조 간부 198명을 상대로 "업무방해"와 "노동조합법 위반" 혐의로 고소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더군다나, 대한항공조종사노조의 26명의 임원들은 정부가 노조의 파업을 끝내기 위해 긴급중재를 가한 후, 그들의 사용자인 대한항공에 의해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되었다. 주장에 따르면, 파업에 돌입하기로 한 노동조합원들을 희생시키고 겁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직적으로 업무방해에 의지한다는 것이다.
725. The Committee recalls its previous recommendations concerning numerous arrests and detentions under obstruction of business charges to which the Government had not provided a reply. According to these allegations, pursuant to a strike staged in March 2006, which was stopped through compulsory arbitration, at least 401 members of the KRWU were arrested by riot police. Although the strike was peaceful, it was considered by the police to constitute in and of itself an “obstruction of business using threat of force”. Moreover, 29 union leaders were arrested and detained on 6 April 2006 on obstruction of business charges for the above incident, including KRWU president Kim Young-hoon who remained in custody until 22 June 2006; later on, Lee Chul Yee, chairperson of irregular workers of the KRWU and Kim Jeong-min, Seoul provincial president, were arrested. The latter remained in jail at the time of the complainant’s communication (1 September 2006). Furthermore, the employer KORAIL was preparing to lodge charges of “obstruction of business” and infraction of the TULRAA against 198 union officers, claiming damages of about US$13,500,000 (the union had been recently forced to pay US$2,440,000 for a strike staged in 2003). Furthermore, 26 officers of the KALFCU were prosecuted on obstruction of business charges by their employer, Korean Airlines, after the Government imposed emergency arbitration to end a strike by the union. According to the allegations, obstruction of business is systematically resorted to in an effort to victimize and intimidate trade unionists who decide to go on strike.
726. 정부에 따르면 전국철도노조 서울지방본부장 김정민은 2006년 9월 20일 2심 재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는 점에 위원회는 주목한다. 증거불충분으로 대한항공조종사노조에 대한 고소는 불기소 처리되었다. 업무방해 혐의로 체포된 노동자들의 새로운 진정사건과 관련하여, 정부는 정갑득 및 다른 두 명의 노동자들이 2007년 12월 10일 업무방해로 기소되어 2008년 1월 8일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고 밝혔다.
726.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Kim Jeong-min, President of the Seoul Regional Chapter of the KRWU was sentenced to ten months’ imprisonment with two years’ probation in the second instance court on 20 September 2006. The charges against 26 KALFCU officers were dropped due to insufficient evidence. With regard to new cases of workers arrested for obstruction of business, the Government indicates that Chung Gapdeuk and two other workers were prosecuted for obstruction of business on 10 December 2007 and sentenced to two years’ imprisonment with three years’ probation on 8 January 2008.
727. 위원회는 정부가 198명의 전국철도노조 임원을 형사소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앞서 요구했던 대로 관련 법원 판결들을 첨부하지 못한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위원회는 2006년 3월 파업에 가담한 혐의로 해고된 전국철도노조 조합원 대다수가 법원 결정의 취지에 따라 복직됐지만 김정민 서울지방본부장은 2심에서 2007년 9월 20일 업무방해 혐의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의 유죄판결을 선고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위원회는 정부 보고서에 첨부된 법원 판결에서 법원이 해당 파업 조치가 비교적 평화적인 것으로 판단했으며, 이후 당사자들이 합의에 도달했다고 언급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위원회는 또한 금속노조 위원장 정갑득 및 두 명의 다른 노동자들이 2008년 1월 8일 업무방해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의 유죄판결을 선고받은 새로운 진정사건과 관련하여서도 정부 보고서에 첨부된 법원 판결에 따르면 그들의 활동에 폭력행위는 없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727. The Committee regrets to note that the Government fail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grounds for the criminal prosecution of 198 KRWU officers and to attach relevant court decisions as previously requested. The Committee observes that although the large majority of KRWU members who were dismissed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strike of March 2006 were reinstated following court rulings to this effect, Kim Jeong-min, President of the Seoul Regional Chapter of the KRWU, was convicted for obstruction of business and sentenced to ten months imprisonment with two years probation in the second instance court on 20 September 2007. The Committee notes however from that court decision, which was attached to the Government’s report, that the court found the strike action in question to be relatively peaceful and that the parties subsequently reached an agreement. It also notes with regard to the new case of conviction of Chung Gap-deuk, President of a metal workers’ union, and two other workers to two years imprisonment with three years’ probation for obstruction of business on 8 January 2008, that according to the court decision, which was attached in the Government’s report, no violence had been involved in their activities.
728. 위원회는 노조 조합원들을 위협하기 위해 업무방해죄를 조직적으로 활용한다는 진정에 대한 답변에서, 법적 테두리를 벗어나 전적으로 사용자의 사업 운영의 자유에 대한 침해를 구성하는 단체행동은 신중하게 심사되어 업무방해 혐의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정부가 시사한 것에 대하여 유감을 표하며 주목한다. 위원회는 이번 설명이 폭력사태를 수반하지 않는 파업의 경우 불법파업 시에도 구속을 자제해 업무방해죄 형사처벌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는 정부의 기존 공언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 보고서는 당국이 평화적 파업의 조직이나 참여와 관련하여 체포와 투옥에 의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조치는 심각한 남용의 위험이 수반되며 결사의 자유에 심대한 위협이 된다는 점을 상기한다 [앞의 결정례집, para. 671]. 위원회는 본 사건의 이전 심의에서 노사관계의 범죄화가 조화롭고 평화로운 노사관계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음을 상기한다[346차 보고서, para. 774]. 위원회는 또한, 본사건에 대한 이전의 심의에서, 폭력이나 파괴 행위를 하지 않는 한, 현행 노동법을 위반한 노동자들에 대해 불구속 조사 관행을 확립할 것이라는 정부의 지난 일반적인 진술을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였던 점을 상기한다. 특히 특정 범주의 노동자에 대한 노동조합 기본권이 아직 인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리고 합법 파업의 개념이 근로조건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사 간의 자발적 교섭의 맥락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맥락 속에서 위 진술은 가장 중요하다[331차 보고서, para. 348; 335차 보고서, para. 832 참조].
728. The Committee finally notes with regret that in reply to the allegations concerning the systematic resort to obstruction of business charges to intimidate trade unionists, the Government indicates that collective action falling outside the legal confines, exclusively consisting of acts seriously violating an employer’s freedom to operate a business, is carefully assessed and becomes subject to obstruction of business charges. The Committee notes that this statement constitutes a departure from the Government’s previous assurances that it is making efforts to minimize criminal punishment for obstruction of business by refraining from making arrests even in the case of an illegal strike if the strike does not entail any violence. It recalls that the authorities should not resort to arrests and imprisonment in connection with the organization of or participation in a peaceful strike; such measures entail serious risks of abuse and are a grave threat to freedom of association [Digest, op. cit., para. 671]. The Committee recalls from the previous examination of this case its statement that the criminalization of industrial relations is in no way conducive to harmonious and peaceful industrial relations [346th Report, para.774]. The Committee further recalls that, in previous examinations of this case, it had noted with interest the Government’s previous general indication that it would establish a practice of investigation without detention for workers who violated current labour laws, unless they committed an act of violence or destruction – a statement considered to be of paramount importance, particularly in a context where certain basic trade union rights have yet to be recognized for certain categories of workers and where the notion of a legal strike has been seen as restricted to a context of voluntary bargaining between labour and management uniquely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see 331st Report, para. 348; 335th Report, para. 832].
729. 상기 사항에 비추어 볼 때, 위원회는 업무방해에 관한 형법 제314조가 수년 동안 선택, 적용되어 온 것처럼 단체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행위에 대하여 그것이 아무런 폭력을 수반하지 않은 경우에도 중대한 징역형과 벌금형의 처벌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에 대한 깊은 우려를 다시 한 번 표명하여야 한다. 위원회는 다시 한 번 정부가 관련된 사회적 파트너들과 협의하여, 노동자들을 불구속 수사하는 일반적인 관행으로 되돌아가고, 불법 파업의 경우에도 폭력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체포를 자제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한다.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현행 형법 제314조의 규정에 따라 업무방해로 체포된 노동자들의 모든 새로운 사건들에 대한 법원 판결문 사본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계속해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한다.
729. In the light of the above, the Committee must once again express its deep concern that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concerning obstruction of business, as drafted and applied over the years, has given rise to the punishment of a variety of acts relating to collective action, even without any implication of violence, with significant prison terms and fines. The Committee once again urges the Government to consider all possible measures, in consultation with the social partners concerned, so as to revert to a general practice of investigation without detention of workers and of refraining from making arrests, even in the case of an illegal strike, if the latter does not entail any violence.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this regard, including by providing copies of court judgements on any new cases of workers arrested for obstruction of business under the terms of the present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730. 위원회는 앞서 이번 사건을 심사하면서 강제 또는 긴급조정에 의해 파업이 중단된 노동자들에 대한 수많은 정직, 전보 및 징계조치들에 대해 주목했음을 상기한다(코레일에 의해 2,680명의 전국철도노조 조합원들이 정직되었고, 진행 중인 징계 절차들은 노조활동에 대한 해로운 위협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대한항공조종사노조 조합원들은 대한항공에 의해 대기발령을 받았고, 이는 이 새로운 노조에 해를 끼친다). 위원회는, 정부에 따르면 2006년 3월 1일 전국철도노조에 의한 파업 후 2,823명의 노동자가 직위해제당하였는데, 그중 2,754명이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한 결과 1,498명은 구제명령을 받았으나 1,256명은 기각당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총 2,730명이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신청되었다. 그중 2,540명의 노동자는 승소하였지만, 189명은 기한을 지키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각하되었다. 당해 사건에서 승소한 노동자들은 모두 복직되었다. 2005년 대한항공조종사노조 조합원에 대한 정직 등 징계조치와 관련해 사내 규정에 따라 조합원 26명에 대한 징계조치가 내려졌다. 이 조치에 대한 소송이 제기되지 않아 사건은 종결됐다. 다만 유일하게 해고된 조합원 최성진이 해고에 대한 소를 제기하여 현재 항소심 계속 중이다. 위원회는 2005년의 대한항공조종사노조 파업에 참여하였다는 이유로 해고된 최성진의 해고무효소송 항소심 결과에 대해 알려줄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
730. The Committee recalls that during the previous examination of this case it had noted allegations of numerous suspensions, transfers and disciplinary measures against workers staging strikes which had been interrupted by compulsory or emergency arbitration (2,680 KRWU members suspended by the Korean Railroad Corporation and undergoing disciplinary procedures causing a climate of intimidation prejudicial to trade union activity; KALFCU members transferred to standby by Korean Airlines causing harm to this young union).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of the 2,823 workers relieved of duties following a strike by the KRWU on 1 March 2006, 2,754 filed a request seeking remedy with the Regional Labour Relations Commission which ruled in favour of 1,498 but against 1,256. A total of 2,730 filed an appeal with the National Labour Relations Commission. Out of them 2,540 won their case but 189 were turned down because of the deadline. The workers who won the case were all reinstated. Regarding disciplinary measures such as suspension, against KALFCU members in 2005, these were taken against 26 union members according to the company’s regulations. The case was closed as no suit was brought against these measures. However, Choi Seong-jin, the only dismissed union member, filed a suit seeking to invalidate the dismissal which is now before the court of appeal.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keep it informed of the outcome of the appeal filed by Choi Seong-jin against his dismissal for having participated in a strike staged by KALFCU in 2005.
731. 위원회는 행정자치부의 지침들에 근거하여 전국공무원노조 활동에 대한 광범위한 간섭 행위에 관한 종전의 권고들을 상기한다. 위원회는 정부에 전국공무원노조에 대한 모든 간섭 행위, 특히 전국의 사무실 강제 폐쇄, 조합비 공제 편의 중단, 단체교섭 불허, 조합원들에 대한 노조 탈퇴 압력 및 정부 지침들을 따르지 않은 지방자치정부들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제재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정부에게 행정자치부 지침들을 폐기하고 정부(특히 행정자치부)와 전국공무원노조 사이에 화해를 이루어 전국공무원노조가 계속 존속하고 결사의 자유의 원칙에 부합하는 법령 내에서 최종적으로 설립신고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였다.
731. The Committee recalls that its previous recommendations concerned widespread acts of interference with the activities of the KGEU based on directives issued by the MOGAHA. The Committee had requested the Government to immediately cease all acts of interference against the KGEU, in particular the forced closure of its offices nationwide, the discontinuance of the check-off facility, the disallowance of collective bargaining, the pressure on KGEU members to resign from the union as well a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anctions against local governments which failed to comply with the Government’s directives. It further called upon the Government to abandon the MOGAHA directives and to take all possible measures with a view to achieving concil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MOGAHA) and the KGEU so that the latter might continue to exist and ultimately to register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egislation which should be in line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732. 정부의 보고서에서는 행정자치부 지침이 근거한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공무원노조법)의 시행 이후 2008년 4월까지, 노조에 가입할 수 있는 공무원 중 199,613명 또는 68퍼센트의 공무원이 자신이 선택한 노조에 가입하였고, 노조 활동에 참여하였다고 한 점에 위원회는 주목한다. 전국공무원연맹(KFGE, 2006년 9월 4일 설립신고 하였고 조합원수는 58,184명이다), 전국민주공무원노조(KDGEU, 2007년 10월 17일 설립신고 하였고 조합원수는 50,542명이다), 전국공무원노조(KGEU, 2007년 10월 17일 설립신고 하였고 조합원수는 42,490명이다)를 비롯하여 이제는 99개의 공무원 노조가 있으며, 그 노조들은 합법적으로 설립신고 하여 법적 테두리 내에서 노조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국공무원노조는 2007년 10월 17일 설립신고한 이후 전국 지부들에 교섭 권한을 위임하여 왔다. 정부의 개입이나 제한 없이 그들은 노조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단체협약을 체결하였다.
732. The Committee notes from the Government’s report that by April 2008,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Functioning of Public Official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MOGAHA directives, 199,613 or 68 per cent of public officials eligible to join a trade union joined a trade union of their own choosing and have engaged in trade union activities. There are now 99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including the Korean Federation of Government Employees (KFGE, registered on 4 September 2006 with a membership of 58,184), the Korea Democracy Government Employee Union (KDGEU registered on 10 July 2007 with a membership of 50,542) and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KGEU registered on 17 October 2007 with a membership of 42,490), which are registered legitimately and are carrying out union activities within the legal boundaries. In particular, since its registration on 17 October 2007, the KGEU has delegated bargaining authority to its local chapters across the nation. These local chapters have conducted collective bargaining with over 70 local governments. With no intervention or restriction by the Government, they are actively engaging in union activities and some of them have already concluded collective agreements.
733. 위원회는 전국공무원노조를 포함해 2008년 4월까지 3개 공무원 노동조합이 설립신고 돼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면서도, 전국공무원노조가 공무원노조법상 가입자격이 없는 조합원을 제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무원노조법에 따른 설립신고를 종전에 거부하였던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위원회는 특히 광범위한 간섭행위 및 철판이나 쇠막대로 용접한 사례를 포함하여 125개의 전국공무원노조 사무실을 강제로 폐쇄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733. While noting with interest that three trade unions of public servants had been registered until April 2008, including the KGEU, the Committee regrets the manner in which the KGEU’s previous refusal to register under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Functioning of Public Servants’ Trade Unions so as to avoid expelling members who did not qualify for trade union membership under the Act has been handled. The Committee deeply regrets in particular the extensive acts of interference and the forceful closing down of 125 KGEU offices which were sealed off, in some cases even welded with iron plates or bars.
734. 위원회가 이전에 이주노조 안와르 후세인 위원장의 투옥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 것에 관하여는, 위원회는 정부가 이주노동자에 초점을 맞춘 결사의 자유 위원회 2620호 사건 틀 내에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위원회는 해당 진정사건에서 이 정보를 추가로 검토할 것이다.
734. With regard to the Committee’s previous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imprisonment of the president of the Migrants’ Trade Union (MTU), Anwar Hossain,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Government provides information which is also furnished in the framework of Case No. 2620 which focuses on migrant workers. The Committee will further examine this information in that framework.
735. 2005년 6월 14일 사조 레미콘 시멘트 공장 앞 피켓라인에서 한국노총 충주지역지부 의장 김태환씨가 레미콘트럭에 치여 사망한 사건에 대한 독립적 수사를 본위원회가 이전에 요청한 것에 관하여는, 정부가 이 사고에 대한 유감의 뜻을 표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독립적 정부기관의 조사를 거쳐 보상 합의를 통해 종결되었다고 일반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위원회는 김태환의 사망이 노사분쟁의 맥락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상기하며 정부에 관련 수사보고서 사본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735. With regard to the Committee’s previous request for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into the death of Kim Tae Hwan, president of the FKTU Chungju regional chapter, who was run over by a cement truck on 14 June 2005 while on the picket line in front of the Sajo Remicon cement factory, the Committee notes that although the Government expresses its regret at the accident, it makes a general reference to an investigation by an independent government agency which was concluded through an agreement on compensation. Recalling that the death of Kim Tae Hwan took place in the context of an industrial dispute,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provide a copy of the relevant investigation report.
736. 위원회가 2006년 8월 발생한 건설연맹 포항건설노조 하중근 조합원 사망에 대한 수사결과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 것에 관하여는, 정부에 따르면 이 사건이 아직 대구지방검찰청에서 수사가 진행 중이고, 위원회는 진행상황을 통보받을 것이다. 위원회는 특히 진정인(국제건설목공노조, BWI)의 주장과 정부의 답변 간에 이 노동조합원의 죽음을 초래한 사건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가 있음을 나타내고 해당 사안의 진상을 밝히는 것이 이런 상황에서 중요한 만큼, 하중근의 사망을 둘러싼 정황에 대한 수사가 지연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경찰에 의한 대중집회의 해산으로 인명피해나 중상이 발생한 경우 위원회는 독립적인 조사를 통해 즉시 충분한 수사를 하고 그 정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정규적 법적 절차를 진행하는 것에 특별한 중요성을 두었음을 다시 한 번 상기한다 [앞의 결정례집, para. 49]. 위원회는 하중근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진행 중인 수사가 더 이상 지체 없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책임 소재를 규명해 가해자를 처벌하고 유사한 사건이 반복되지 않도록 할 것을 촉구한다.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다.
736. With regard to the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outcome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ath of Ha Jeung Koon, member of the Pohang local union of the KFCITU in August 2006,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is case is still under investigation at the Daegu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the Committee will be informed of developments, if any. The Committee deeply regrets the delay in investigating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death of Ha Jeung Koon especially as the complainant’s (BWI) allegations and the Government’s reply demonstrate that there are differing views on the events which led to the death of this trade unionist and it is important in such circumstances to shed full light into the matter. It once again recalls that in cases in which the dispersal of public meetings by the police has involved loss of life or serious injury, the Committee has attached special importance to the circumstances being fully investigated immediately through an independent inquiry and to a regular legal procedure being followed to determine the justification for the action taken by the police and to determine responsibilities [Digest, op. cit., para. 49].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that the investigation under way concerning the death of Ha Jeung Koon is concluded without further delay so as to determine where responsibilities lie, allowing for the guilty parties to be punished and the repetition of similar events to be prevented.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this respect.
737. 한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건설연맹) 지역노조 조합원 및 관계자의 형사기소 및 투옥, 건설산업의 하청노동자와의 단체협약 제한 등에 관한 IFBWW(현 BWI)의 주장과 정부의 답변과 관련하여, 위원회는 이전 심의에서 (i) 정부의 답변과 진정인의 주장이 사실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나타내며, 증거들을 온전히 판단할 수 있을 정도로 법원 판결문들을 입수하지 못한 점을 주목했으며; (ii) 정부가 이에 관하여 관련 판결문을 비롯한 모든 추가적 정보를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하며, 항소심의 결과에 대해 계속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했음을 상기한다; (iii) 진정인에게 정부가 제출한 정보에 대한 답변으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추가적 정보를 전달해 줄 것을 권고하였으며; (iv) 건설산업에서, 특히 취약한 “일용”노동자의 노동조건에 대한 자유롭고 임의적인 단체교섭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더욱 노력할 것을 요구하였다. 특히 위원회는 정부가 건설산업의 사용자와 노동조합이 교섭역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요구했다.
737. With regard to the allegations by the IFBWW (now BWI) and the Government’s reply concerning the criminal prosecution and imprisonment of members and officials of the regional branches of the Korea Feder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Trade Unions (KFCITU) and restrictions over collective agreements with subcontracted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ector, the Committee recalls that during its previous examination it (i) noted that the Government’s reply and the complainant’s allegations represented divergent views of the facts and that it did not have at its disposal the text of the relevant court judgements so as to have full knowledge of the evidence; (ii) requested the Government to transmit all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ing relevant court judgements, and to keep the Committee informed of the outcome of the appeal in this case; (iii) invited the complainant to transmit any further information it considered appropriate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v) requested the Government to undertake further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free and voluntary collective bargaining over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in the construction sector covering, in particular, the vulnerable “daily” workers; in particular, the Committee requested the Government to provide support to construction sector employers and trade unions with a view to building negotiating capacity.
738. 위원회는 BWI가 정부가 이전에 제공한 정보에 대응하기 위한 세부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BWI에 따르면, 정부는 건설연맹에 대해 사실을 왜곡하고 근거 없는 주장을 펼쳤다. 해당 노조 간부들에 대한 기소는 지역건설 노조의 활동, 특히 파업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지 정부가 설명한 것처럼 범죄행위를 다루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전반적 절차가, 정부 보고서에서 사용자가 단체협약 체결을 거절했다는 표현 대신 사용자가 “금품 지급"을 거부했다고 설명하는 것처럼, 노조 활동이 그 자체로 “갈취” 및 “공갈”이라는 전제에 근거하였다. 수사 자체가 조직범죄 수사 및 기소 담당 부서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이 사건에 적용된 심리적 틀을 보여준다. 더욱이 수사와 기소는 문제의 노동조합 간부들에 대한 허위 고발을 목적으로 한 수많은 부정행위로 오염되었다. BWI는 증거가 없고 검찰측 증인에 의해 확인되지 않아 재판 중에 포기해야 했던 기소 및 혐의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예: 노조가 현장 관리자를 위협하여 단체협약 체결을 강요; 노조 간부 급여를 사적인 용도로 사용; 해당 지역에 노조 소속 조합원이 없음; 노조가 폭력행위를 함; 단체협약 체결 후 노조 활동을 하지 않음). BWI에 따르면, 몇몇 현장 관리자들은 재판정에서, 실제 진술이 검찰이 제출한 내용과 다르거나 경찰의 압력을 받아 준비된 진술에 서명해야 한다고 느꼈다고 밝혔다. 검찰이 피의자로 지목한 조합원 1명은 혐의 기간 동안 공사현장에서 조합원으로 활동하지 않아 법원은 구속영장을 취소해야 했고, 검찰 측 증인 여러 명이 해당 기간 공사 현장에서 일조차 하지 않았다. BWI는 다음 사항을 추가로 명시하고 있다:
738.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BWI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imed at countering the information previously provided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BWI, the Government distorted the facts and made unfounded allegations against the KFCITU. The prosecutions against the trade union officers in question were aimed at obstructing the activities of regional construction unions, in particular strikes, and not at addressing criminal activity as indicated by the Government; the whole process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trade union activities were in themselves illegal “extortion” and “coercion” as illustrated in the language used in the Government’s report, e.g. instead of saying that the employer refused to conclude a collective agreement, indicating that the employer refused “money payments”; the investigation itself was carried out by departments charged with investigating and prosecuting organized crime which shows the mind frame applied to the case. Moreover,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were tainted with numerous irregularities aimed at fabricating false charges against the trade union officials in question. The BWI provides details on prosecution statements and charges which had to be abandoned during the trials as they were unsubstantiated and were not confirmed by prosecution witnesses (e.g. that the union threatened site managers and forced them into concluding collective agreements; that union officials’ wages were used for personal purposes; that the union had no affiliated members in the region; that the union committed violent acts and that it was inactive after the conclus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According to the BWI, several site managers indicated at the trial either that their actual statements were different from what was being presented by the prosecution or that they had felt compelled to sign prepared statements under pressure from the police; several witnesses for the prosecution were not even working at the construction sites during the relevant period while one organizer identified by the police as a suspect was not active as an organizer at the construction site during the time frame of the allegations and the court had to revoke his arrest warrant The BWI further indicates the following:
(i) 어떤 회사에도 고용되지 않은 노동조합 간부가 노동조합 간부의 급여를 포함하는 단체협약을 요구했다는 정부의 진술과 관련하여, 건설 노동자의 단기 계약으로 인해 건설노동자는 지역 단위의 산별노조로 조직되고 이러한 형태의 노조가 정부로부터 법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BWI는 설명한다. 노동법에는 노동조합 간부가 되기 위해 특정 사업장에 고용되어야 한다는 규정이 없다. 노조 간부의 급여 지급이 고용 관계를 전제로 하지 않고 단체협약을 통해 결정할 수 있으며, 누가 유급 노조 간부가 되는지에 대한 문제는 노조가 결정할 몫이라는 법원 판결도 나왔습니다. 또한 해당 단체협약은 “안전교육, 노사협의, 고용보험, 연금공제” 등 다양한 사항을 언급하고 있으나, 정부는 협약의 다른 요소를 의도적으로 누락시키면서 급여 지급만을 따로 떼어내 건설 노조의 노력을 왜곡하고 있다.
(i)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union officials who were not employed by any company demanded collective agreements that contained payments of wages for trade union officials, the BWI indicates that due to the short-term contracts of construction workers, the latter are organized into regional level industrial unions, and have been legall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in such form. There is no regulation in the labour law that requires one to be employed in a specific worksite in order to be a union official. Court rulings have also found that payment of wages for union officials do not presuppose employment relations and can be decided through collective agreement, and that the question of who becomes a paid union official is up to the union to decide. Also, the collective agreements in question refer to a variety of issues like “safety education, employer-employee consultations, employment insurance, pension deduction schemes”, but the Government singles out the wage payments, intentionally omitting the other elements of the agreements and thereby distorting the efforts of the construction union.
(ii) 노동조합은 현장에 조합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합원 명단 제출 요구에 응하지 않고 단체협약에 따른 급여 지급을 요구하며 회사가 이를 거부하면 민원을 제기하겠다고 위협했다는 정부의 진술에 대하여는, BWI는 조합원 명단을 제출하는 것이 단체협약 체결의 전제 조건이 아니며, 조합원 명단 제출을 거부하는 것이 어떠한 법령에도 위배되지 않음을 밝힌다. 이러한 거부는 건설산업에서 노조가입으로 인한 정리해고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반노조적 차별로부터 조합원을 보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체협약의 대부분의 조항은 법률에 의해 모든 노동자에게 보장된 기본적 노동권을 반영하기 때문에 조합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노동자에게 적용된다. 건설산업의 기본권 준수 수준이 낮기 때문에 단체협약이 법률 준수를 보장하는 수단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정부의 보고서는 이러한 현실을 왜곡하고 건설 노조를 도적단으로 보이게 하고 있다.
(ii)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the union did not respond to requests to furnish the union member list and demanded payments under the collective agreement although it did not have any members on site, threatening to file complaints if the company refused, the BWI indicates that presenting the list of members is not a precondition for the conclus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and that the refusal to produce a list of members does not run counter to any legal provision. This refusal is due to the need to protect members from anti-union discrimination as in the construction sector layoffs due to union membership are common. Furthermore, most of the provisions of a collective agreement do not apply only to members but to the entire staff as they reflect basic labour rights guaranteed to all workers by law; low levels of compliance with basic righ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led to collective agreements functioning as a vehicle for ensuring adherence with the law. The Government’s report distorts this reality and presents the construction union as a group of common thieves.
(iii) 건설 노조 간부의 유일한 목적이 사용자로부터 금전을 받는 것이지 단체협약 체결이 아니라는 정부의 진술과 관련하여, BWI는 이 진술이 어떠한 증거로도 뒷받침되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많은 건설현장 관리자들이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않는 대가로 노동조합에 금품을 제의하자 거센 항의와 거절을 당했다고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증언했다.
(iii)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the sole objective of the construction union officials was to receive money from employers and not the conclusion of a collective agreement, the BWI indicates that this statement is not supported by any evidence. According to trial records many construction site managers testified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trial that when they offered money to the union in exchange for not entering into a collective agreement, they met with fierce protests and refusals.
(iv) 단체협약이 체결되고 금품이 송금된 후 노동조합 간부들이 건설현장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정부의 진술와 관련하여, BWI는 이것이 심각한 사실 왜곡임을 지적한다. 재판기록에 따르면 건설 현장 관리자는 단체협약 체결 후 '정규직 노동자 – 사용자 간 작업현장에 관한 협의, 산업재해 예방, 월례 안전교육”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다고 증언하였다. 대전지역건설노조의 활동이 산업재해 예방의 모범사례로 선정되었다. 경기서부노조는 조합원 직접투표와 단체교섭을 통해 월 2일의 휴일을 쟁취했다. 경기도노조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건설현장에 총 60개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했으며, 1∼3개월마다 모여 산업재해 예방을 논의하고 시행하는 이들 위원회는 300명의 노동자가 위원으로 선출됐다. 이 노조는 조합원들의 임금도 인상하고 노동조건 개선에도 적극 나섰다. 지역노조는 화장실 설치, 안전대책 점검, 조합원을 위한 고용보험 관리까지 전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왔다. 위의 모든 활동은 언론에 보도되었다.
(iv)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union officials ceased to appear at construction sites after collective agreements were concluded and the money was sent, the BWI indicates that this is a serious misrepresentation of the fact. According to trial records, construction site managers testified that after the conclusion of the collective agreement, activities such as “regular worker-employer consultations on problems at the work sit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monthly safety education” took place. The activities of the Daejon regional construction union have been selected as a model-case of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he Kyonggi Subu union has, through direct vote by its members and collective bargaining, obtained two days off a month. The Kyonggido union has formed a total of 60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s at its construction sites from 2002 to 2006, and 300 workers have been elected as members to these committees which meet every one to three months to discuss and implement projects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his union has also raised wages for its members, and has been active in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Regional unions in general have been active at the construction sites, in areas ranging from installing bathrooms and checking safety measures, to managing employment insurance for members. All the above activit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press.
(v) 금품지급이 거절된 건설 현장에서 연좌농성이 벌어졌다는 정부의 진술과 관련하여, BWI는 이것이 단체협약의 조항을 이행하지 않는 것과 금전 지급을 거부하는 것을 동일시함으로써 노동조합 활동을 오해한 것임을 밝힌다. 연좌농성은 사용자가 노동법 준수를 보장하는 단체협약의 내용을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v)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sit-ins took place at building sites where payments were refused, the BWI indicates that this is a misrepresentation of trade union activities by equating refusal to make money payments to refusal to implement the provisions of a collective agreement. The sit-ins were due to a failure of the employers to implement the contents of a collective agreement which aimed to ensure adherence to labour laws.
(vi) 금전 지급을 거절한 회사들은 안전모에 관련된 허위 고발에 직면하여 노조가 명예훼손 혐의로 처벌 받았다는 정부의 진술과 관련하여, BWI는 단체협약이 체결된 현장에서는 안전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조와 협력할 의사가 있어 노조가 회사 차원에서 먼저 시정을 요구한 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고발하는 등 법 위반에 대응했다고 밝혔다; 다만 회사가 단체협약 교섭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노동조합을 인정하지 않는 것과 다름 없다; 개선 요청에 대하여 답변이 없으므로 유일한 선택지는 고발을 하는 것이다. 정부 보고서는 현장의 문제점(안전모, 장화 등 기본적인 보호장비 부족, 높은 수준의 산업재해)에 대해 설명하지 않고, 조합원들이 자신들의 무책임한 행위로 발생한 [문제에 관련된-역주] 고발을 제기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또한 노동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문서를 기반으로 산업안전보건 위반에 대한 고발이 제기된 기업들에게 무분별하게 무혐의 결정을 내렸다. 이로 인해 기본적인 안전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산업재해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연간 3,000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한편, 10명의 사용자만이 구속되었다. 노동부는 노동조합이 명예훼손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조합이 허위 고발장을 제출했다는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충남지역건설노조는 여전히 이 혐의를 받고 있지만 재판은 진행 중이다. 심지어 이 사건에서도 노동부는 산업안전법 위반 사실을 확인했다.
(vi)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those companies that refused payments would face false complaints regarding safety helmets for which the union has been punished on libel charges, the BWI indicates that in sites where a collective agreement was concluded there was a willingness to work together with the union to address safety and health issues, and therefore the union reacted to violations of the law by first requesting redress at the company level and then filing a complaint if the request was not met; however, when the company refuses to negotiate a collective agreement, this is tantamount to not recognizing the union; requests for changes go unanswered, and therefore the only option is to file a complaint. The Government’s report does not describe the problems on the ground (lack of basic protective equipment such a safety helmets and boots, high level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has given the impression that the unionists were filing complaints for their own irresponsible acts. Also, the Ministry of Labour, based on fabricated documents from employers, has recklessly issued no-fault decisions to companies that have faced complaints on OSH violations. This has resulted in an abnormally high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due to the absence of basic safety measures: 3,000 workers die from industrial accidents a year in the Republic of Korea, while only ten employers have been arrested. The Ministry needs to present proof that the unions have filed false complaints, since the union has not been found guilty of libel charges. The Choongnam union still faces this charge but the trial is underway. Even in this case the Ministry of Labour confirmed that the industrial safety law had been violated.
(vii) 급여가 노동조합 간부들의 개인 계좌로 수령되었고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정부의 진술과 관련하여, BWI는 이것이 건설현장의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월 500~1,000달러만 지급받으며 수년 동안 조직화 및 단체 교섭에 참여해 온 활동가들에 대한 모욕이며, 이러한 모욕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질 것임으로 밝힌다 (참고: 최저임금은 시간당 약 3.8달러). 급여 사용 문제는 이미 국내 법원에서 해결됐다. 노조 간부들의 급여를 개인 계좌로 송금한 것은 현장 관리자들이 노조 계좌로 송금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계좌와 관계 없이 급여는 노조에서 관리했고 이는 법원의 판결로도 확인됐다. 노동부는 "임금의 절반가량은 노조 활동과 무관한 개인적 용도로 사용됐고, 나머지 절반은 노조를 위해서가 아니라 노조 간부들이 나눠 가져 임의로 사용했다"는 주장에 대한 정확한 증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vii) With regard to the Government’s statement that wages were received by union officials in their personal accounts and used for personal purposes, the BWI indicates that this constitutes an insult to the activists who have engaged in organizing and collective bargaining over the years, receiving only US$500–1,000 a month in order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at construction sites and measures will be taken to counter such insults (Note: The minimum wage is approximately US$3.8 per hour). The issue of the use of wages has already been cleared by the domestic courts. Wiring wages for union officials to personal accounts was due to the fact that site managers would refuse to send the money to the union account. Regardless of the account, the wages were managed by the union and this has been confirmed in court decisions. The Ministry of Labour needs to provide exact proof of the assertion that “about half of the wages were used for personal purposes, unrelated to union activities, and the other half was shared among union officials and used at their discretion, not for the union”.
739. 위원회는 또한 BWI에 따르면 대구고법이 항소심에서 조기현 대구경북지역건설노조 전 위원장과 기타 조합원 3명이 갈취, 공갈, 뇌물수수 혐의가 없다고 판결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산업안전보건 위반과 같은 원청의 불법행위가 노동자를 위험에 빠뜨리는 경우 고발하는 것은 정당한 활동이다. 이러한 고발은 통상적 노동조합활동 범위에 속하며, 설령 단체교섭 과정에서 이런 고발을 하더라도 공갈이나 갈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법원은 또한, 원수급인이 사업장에서 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 국민연금 등의 문제를 통제하기 때문에 교섭의 당사자로 인정해야 한다는 1심 판결도 확정했다. 노조 전임자가 원청의 근로자일 필요는 없으며 당사자 간에 합의된 경우 노동조합 간부로서 급여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경기서부지역노조와 천안지역건설노조와 관련하여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BWI는 덧붙였다. 후자와 관련하여 BWI는 비록 본위원회의 권고가 법원에 제출되었고, 단체협약 및 노조 간부 급여 지급이 적법하다고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간부들이 여전히 갈취로 유죄 선고를 받고 있다고 설명한다.
739. The Committee also notes that according to the BWI, the Daegu High Court found on appeal that Cho Ki Hyun, former President of the Daegu/Kyungbuk regional construction union and three other union members were not guilty of extortion or blackmail and bribery and that furthermore, it is legitimate to report illegal actions by the principal contractors, lik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violations, if these endanger the workers; the making of such reports falls within the scope of ordinary trade union activities and does not constitute coercion or extortion even if it takes place during the collective bargaining process. The Court also confirmed the first instance decision that the principal contractor should be recognized as a party to negotiations because it controls the issues of compensation, safety and health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ension contributions etc. at the worksite, and that full-time union officials do not have to be employees of the contractor and may receive wages as trade union officials if this is agreed between the parties. The BWI adds however, that trials are ongoing with regard to the Kyunggi Subu and Chunan regional construction unions. In respect of the latter, the BWI indicates that although the Committee’s recommendations were submitted to the courts, and the collective agreements and payment of wages for union officials were recognized as lawful, the officials have still been found guilty of extortion.
740. 게다가, BWI는 정부가 경기, 충남, 대구/경북 지역건설노조의 노동조합 간부를 계속 체포하여 총 18명의 조합원을 구속했다고 설명한다. 대구/경북의 여러 노조 간부, 경기와 충남 지역건설노조는 재판을 받고 있었습니다. 노동조합에 대한 이러한 공격의 결과로 노동조합의 활동이 심각하게 해를 입었다.
740. Furthermore, the BWI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to arrest trade union officials of Kyonggi, Chungnam and Daegu/Kyungbuk regional construction unions, arresting in total 18 trade unionists; several union officers from the Daegu/Kyungbuk, Kyonggi and Chungnam construction unions were undergoing trials. As a result of these attacks on the trade unions, their activities have been seriously impaired.
741. 정부에 따르면 건설노동자의 노조와 관련된 형사사건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741.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 current status of the court cases involving construction workers’ unions is as follows:
- 1심,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대구건설노동조합 조합원 및 간부(위원회는 이들이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으면서도 갈취 혐의는 무죄로 판단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는 3심 법원에서 무죄판결이 뒤집혔습니다. 이들의 사건은 2심 법원으로 다시 환송되어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습니다. 이들의 사건은 3심 법원에 계류 중입니다.
– The members and officials of the Daegu Construction Workers’ Union who were initially found not guilty by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 courts (the Committee understands that they were found not guilty of the charges of extortion while they were convicted for obstruction of business to three years’ imprisonment), had their not guilty verdict reversed by the third-instance court. Their case was remanded to the second instance court which convicted them to eight months’ imprisonment with two years of probation. Their case is pending before the third-instance court.
- 대전·충청건설노조 조합원 및 간부들은 최종심에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선고받았다.
– The members and officials of the Daejeon/Chungcheong Construction Workers’ Union were sentenced at the final instance to ten months’ imprisonment with two years of probation.
- 천안·아산건설노조 조합원 및 간부들은 최종심에서 징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The members and officials of the Cheonan/Asan Construction Workers’ Union were sentenced at the final instance to one-and-a-half years in prison with two years of probation.
- 경기서부건설노조 조합원 및 간부들은 최종심에서 징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The members and officials of the Western Gyeonggi Construction Workers’ Union were sentenced to one-and-a-half years in prison with two years of probation at the final instance.
742. 위원회는 정부가 대전/충청, 천안/아산, 경기서부 및 대구 지역건설노동조합에 관한 법원 판결을 보고서에 첨부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위원회는 이러한 법원 판결로부터, 문제가 된 모든 노동조합 간부가 작업장에서 노동안전보건 위반을 당국에 고발하겠다고 위협함으로써 사용자/원수급인에게 단체협약을 체결하도록 압력을 가했기 때문에 갈취, 공갈 및 관련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문제의 단체협약에는 합의할 법적 의무가 없는 노동조합 (전임자) 급여 지급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노동조합 활동의 일부일 수 있고, 단체협약을 체결하려는 노력의 틀에서 수행되었으며, 범죄 동기가 없었으며, 갈취가 "상습적"이 아니라는 점을 인정했다. 법원은 또한 노동조합 전임자 급여 지급이 노조 간부의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노동조합의 이익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인정했다. 지불한 금전은 미화 200달러에서 1,000달러 사이였다. 예를 들어 대구건설노동조합의 경우 1심 판결은 해당 사건 별첨에 따르면 37개 회사로부터 약 20만 달러, 즉 단체협약에 따르면 약 200~700달러(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약 3.8달러)의 액수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받은 피고인들에게 유죄판결을 내렸다. 법원은 이것이 "중대한" 범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비록 2심 법원이 이 결정을 뒤집고, 이러한 행위가 통상적인 노동조합 활동으로서 부당취득이 아니라고 판단했지만, 상고심은 2심 법원이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의 개념을 오해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1심 법원의 판결 법리로 되돌아갔다. 이에 해당 노동조합 간부 전원은 6개월에서 3년에 이르는 징역과 최대 4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정부에 따르면 그들의 사건은 최종심에 계류 중이다.
742.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Government attaches to its report the court decisions concerning the construction trade unions in Daejeon/Chungcheong, Cheonan/Asan, Western Gyeonggi and Daegu. The Committee notes from these court decisions that all the trade union officers in question have been convicted of extortion, blackmail and related crimes, because they put pressure on employers/contractors to conclude collective agreements by threatening to denounce to the authoritie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violations at the worksite; the collective agreements in question contained clauses on the payment of trade union wages over which there is no legal obligation to agree. The Courts accepted that these acts could be part of trade union activities, that they were carried out in the framework of efforts to conclude collective agreements, that there was probably no criminal motivation and that the extortion was not “habitual”. The courts also accepted that the payment of trade union wages was not carried out in seeking the individual interest of the officials, but rather, in the interests of the trade union. The amounts paid ranged from US$200 to US$1,000. In the case of the Daegu Construction Workers’ Union for instance, the court of first instance convicted the defendants for being paid about US$200,000 from 37 companies, which according to the annex to the case, corresponded to payments of about US$200–700 under collective agreements (the minimum wage in the Republic of Korea is approxrimately US$3.8 per hour). The Court found this to constitute a “severe” crime. Even though the court of second instance reversed this decision, ruling that these activities were ordinary trade union activities and did not constitute extortion, the court of third instance ruled that the second instance court had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legitimate trade union activities and reverted to the decision of the first instance court. Thus, all the trade union officials in question were sentenced to prison sentences ranging from six months to three years with periods of probation of up to four years.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ir case is pending at the final instance.
743. 이러한 상황에서, 위원회는 이 사건에 대한 이전 심의에서, 건설연맹이 단체교섭을 포함한 건설현장 노동자들을 방어하기 위한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이 범죄 활동으로 인식되어 대규모 수사와 경찰의 개입을 야기하였다는 점에 깊은 우려를 재확인한다. 다시 한번 위원회는 작업장의 산업안전보건 관행이 단체협약에 포함되도록 요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문제를 관할 당국에 보고하는 것이 정당한 노동조합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원청이 단체협약에 따라 노조 전임자에게 지급하는 '활동비'와 관련해 위원회는, 법원이 이 금전이 피소된 노조 간부의 개인적 용도가 아닌 조직적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였다고 본다. 위원회는 그러한 지급이 범죄 행위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점을 깊이 우려하고 있다. 위원회는 국제건설목공노련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건설연맹 간부가 수행한 행위가 결사의 자유라는 기본 개념에 부합하는 정규적 노동조합 활동이며, 건설 산업에서 특히 취약한 범주의 노동자의 직업상의 이익을 대변하고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정당한 조합활동에 따른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활동은 경찰과 검찰의 개입으로 더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도록 막기 전까지 상당한 성공(단체협약 체결, 산업재해 감소, 노동조합원 증가 등)을 달성했다[340차 보고서, paras 774–777 참조]. 위원회는 또한 대한민국에 관한 결사의 자유 위원회 2602호 사건 및 2620호 사건을 통해 이주 노동자와 하청 노동자 등 다양한 범주의 취약한 노동자들이 노조를 조직하고 단체교섭을 하는데 장애물에 직면해 있음을 상기한다.
743. In these conditions, the Committee reiterates its deep concern noted in its previous examination of this case that the exercise by the KFCITU of legitimate trade union activities in the defence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including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has been perceived as criminal activity and given rise to the institution of a massive investigation and police intervention. Again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it is a legitimate trade union activity to request that OSH practices at the workplace be included in a collective agreement, and if not, the matter will be reported to the competent authorities. As regards to the payment of money by the main contractor as “activity payment” to full-time unionists under the collective agreement, the Committee had observed that this payment was found by the courts to be carried out for organizational purposes and not for the personal use of the accused trade union officials. The Committee remains deeply concerned that such paymen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criminal act. The Committee had observed the acts carried out by the KFCITU officials,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IFBWW, appeared to be regular union activities in conformity with basic notions of freedom of association and in the pursuit of the legitimate trade union objective of ensuring the representation and defence of the occupational interests of a particularly vulnerable category of workers in the building industry. These activities had met with considerable success (signature of collective agreements, reduc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increase in trade union membership, etc.), before the intervention of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prevented it from having any further effect [see 340th Report, paras 774–777]. The Committee also recalls from Cases Nos 2602 and 2620 concerning the Republic of Korea, that various additional categories of vulnerable workers, i.e. migrants and subcontracted workers, also face obstacles in their efforts to organize and engage in collective bargaining.
744. 위원회는, 노동자들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한 활동과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노조 지도자들이나 노조원들을 구금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시민적 자유는 물론 특히 노동조합의 권리를 심각히 침해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앞의 결정례집, para. 71]. 노조 조합원들의 구속은 정상적인 노조 활동의 발전에 불리한 위협적이고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앞의 결정례집, para. 64 참조]. 이러한 위협 효과는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을 이제 막 행사하기 시작한 불안정하며 특히 취약한 노동자들에게 훨씬 강력할 수 있다. 위원회는, 노조 활동을 하거나 노조 간부직을 맡은 사람이 일반 형법 적용에 관한 면책을 주장할 수 없지만, 노조 활동 자체가 공공 당국에 의해 자의적 체포 혹은 구금을 위한 구실로 활용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앞의 결정례집, para. 72].
744. The Committee emphasizes once again that the detention of trade union leaders or members for reasons connected with their activities in defence of the interests of workers constitutes a serious interference with civil liberties in general and with trade union rights in particular [Digest, op. cit., para. 64]. The arrest of trade unionists may create an atmosphere of intimidation and fear prejudicial to the normal development of trade union activities [Digest, op. cit., para. 67]. This intimidating effect is likely to be even stronger in the case of precarious, and therefore particularly vulnerable, workers who had just recently exercised their right to organize and bargain collectively. The Committee recalls that while persons engaged in trade union activities or holding trade union office cannot claim immunity in respect of the ordinary criminal law, trade union activities should not in themselves be used by the public authorities as a pretext for the arbitrary arrest or detention of trade unionists [Digest, op. cit., para. 72].
745. 위원회는 정부가 건설 부문의 취약한 "일용직" 노동자를 단결권을 효과적으로 인정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특히 해당 노동자를 대표하는 건설연맹 소속 노조의 활동에 대한 더 이상의 간섭 행위를 자제할 것을 요구하며, 대구건설노조에 대한 최종심 결과를 알려주며, 조합원 및 노조 간부들의 통상적인 노동조합 활동으로 보이는 행위에 대하여 갈취, 공갈 및 관련 범죄를 인정한 판결을 재검토할 것을 요청한다.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745.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for the effectiv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organize of vulnerable “daily”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ector, notably by refraining from any further acts of interference in the activities of KCFITU affiliates representing such workers, to keep it informed of the outcome of proceedings pending at the final instance with regard to the Daegu Construction Workers’ Union and to review the convictions of the members and officials on grounds of extortion, blackmail and related crimes, for what appears to be ordinary trade union activities.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746. 또한 정부는 특히 취약한 "일용직" 노동자의 고용 조건과 관련하여 건설 부문 사용자와 노동조합 간의 단체교섭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에 대한 위원회의 이전 요청에 대한 답변에서 아무런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음을 주목한다. 위원회는 특히 취약한 “일용직” 노동자를 포함하는 건설 부문 고용 조건에 대한 자유롭고 자발적인 단체 교섭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에 다시 한 번 더 노력할 것을 요청한다. 특히, 위원회는 교섭 역량을 구축하기 위해 건설 산업 사용자와 노동조합에 지원을 제공할 것을 정부에 요청하고, 이와 관련하여 ILO 사무국의 기술 지원을 원할 경우 이용할 수 있음을 상기한다.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746. Noting moreover that the Government has provided no substantive information in reply to the Committee’s previous request for measures to promote collective bargaining between construction sector employers and trade unions,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of vulnerable “daily” workers,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undertake further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free and voluntary collective bargaining over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in the construction sector covering, in particular, the vulnerable “daily” workers. In particular,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provide support to construction sector employers and trade unions with a view to building negotiating capacity and reminds the Government that it may avail itself of the technical assistance of the Office in this regard if it so wishes.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747. 2005년 6월 최저임금 심의가 진행되던 장소에 경찰이 주둔하게 된 경위에 대한 세부사항에 대한 위원회의 이전 요청과 관련하여, 정부에 따르면, 2005년 6월 28일 오후 1시 20분경, 법정 최저임금 논의 마감일 전날, 25명의 조합원이 논의 과정에 불만을 품고 최저임금위원회가 회의를 열고 있는 방에 난입했다. 그들은 그 자리를 점거하고 밤새 농성 시위를 벌였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위원회는 심의 마지막 날인 6월 29일 회의를 진행하게 되었다. 일부 조합원들은 회의실 앞 복도에서 농성을 이어가고, 조합원 300여명이 건물 밖에서 집회를 하는 가운데 최저임금위원회는 비상시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경찰을 불러야 했다. 경찰은 집회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고 회의실 주변을 경계하고 있을 뿐이었다. 위원회는 이 정보에 주목하고 혼란 행위가 질서 있는 노사 관계 시스템과 부합하지 않으며 신뢰를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한다.
747. With regard to the Committee’s previous request for details on the circumstances which gave rise to the presence of the police force in close proximity to the room where minimum wage negotiations were taking place in June 2005, the Committee notes tha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at around 1.20 p.m. on 28 June 2005, the day before the statutory deadline for closing discussions on the minimum wage, 25 union members, discontented with the discussion process, broke into the room where the Minimum Wage Committee was holding the meeting. They occupied the place and staged an overnight sit-in protest. As a result, the Minimum Wage Committee had to proceed with the meeting on 29 June, the last day of the discussion period. With some union members continuing their sit-in in the corridor in front of the meeting room and over 300 union members holding a rally outside of the building, the Minimum Wage Committee inevitably had to call the police to protect its facilities in case of emergency. The police forces just stood guard in the vicinity of the meeting room, having no influence on the meeting. The Committee takes note of this information and recalls that acts of disruption are inconsistent with and do not engender confidence in an orderly system of industrial relations.
748. 1998년에 방한 ILO 고위급 노사정 조사단에게 한 제87호 협약 및 제98호 협약을 비준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을 상기시키는 위원회의 이전 서술과 관련하여(document GB.271/9 참조), 위원회는 document GB.271/9의 159항이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는 정부의 설명을 주목한다. “[결사의 자유] 위원회는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원회 구성원들이 가까운 시일 내에 ILO 협약 제87호 협약 및 제98호 협약을 비준할 의향을 표명했다는 점에 관심을 가지고 주목한다”; 정부에 따르면 이 사건에 대한 마지막 심의에서 위원회가 인용한 형식은 (위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수정해야 한다. 정부는 또한 이 문제가 결사의 자유를 침해를 주장하는 진정에 대한 심사규칙 13항과 16항에 따라 이 사안은 위원회의 권한을 벗어난다고 덧붙였다[앞의 결정례집, annex I, paras 13 및 16]. 위원회는 결사의 자유와 개인의 보호에 관한 국제노동기구의 기능은 평화와 사회정의의 일차적 보호 수단 중 하나로서 결사의 자유라는 일반 원칙의 실효성을 갖도록 기여하는 것임을 상기한다 [앞의 결정례집, para. 1]. 위원회는 정부가 1998년 ILO 고위급 노사정 조사단에 제87호 및 제98호 협약을 가까운 장래에 비준할 의향을 내비친 것을 상기시킨 것은 이러한 정신에 따른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진전된 사항에 대해 계속 알려줄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
748. With regard to the Committee’s previous statement reminding the Government of its commitment to ratify Conventions Nos 87 and 98 made to the ILO High-Level Tripartite Mission which visited the country in 1998 (see document GB.271/9), the Committee notes the Government’s indication that paragraph 159 of document GB.271/9 reads: “[t]he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notes with interest the willingness expressed by the members of the President-elect’s transition team to ratify ILO Conventions Nos 87 and 98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e formulation made by the Committee in its last examination of this case does not correspond and therefore needs to be modified. The Government further adds that the issue is beyond the Committee’s competence according to paragraphs 13 and 16 of the Procedure for the examination of complaints alleging violations of freedom of association [Digest, op. cit., Annex I, paras 13 and 16]. The Committee recalls that the func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n regard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the protection of the individual i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freedom of association, as one of the primary safeguards of peace and social justice [Digest, op. cit., para. 1]. It was within this spirit that the Committee recalled the Government’s indication of its willingness to ratify Conventions Nos 87 and 98 in the near future which it made to the ILO High-level Tripartite Mission in 1998 and requests the Government to keep it informed of any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위원회의 권고
The Committee's recommendations
749. 위원회는 전술한 결론들에 비추어, 이사회에 다음과 같은 권고를 승인해줄 것을 요청한다.
749. In light of its foregoing conclusions,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ing Body to approv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 공무원노조법 및 그 시행령과 관련하여, 위원회는 정부가 다음을 통해 공무원의 완전한 권리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추가적인 조치를 고려해 줄 것을 요청한다.
(a) With regard to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and its Enforcement Decree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give consideration to further measures aimed at ensuring that the rights of public employees are fully guaranteed by:
(i) 소방관과 교도관, 교육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이들, 지방 공공서비스 종사자, 그리고 근로감독관 등을 포함하여, 모든 직급의 공무원이 자신들의 직무와 직능에 관계없이 자신들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조직을 결성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할 것.
(i) ensuring that public servants at all grades, regardless of their tasks or functions, including firefighters, prison guards, those working in education-related offices, local public service employees and labour inspectors, have the right to form their own associations to defend their interests;
(ii) 파업권에 대한 그 어떤 제한도 국가의 이름으로 공권력을 행사하는 공무원들과 엄격한 의미에서의 필수 서비스 종사자들에게만 적용될 수 있도록 할 것.
(ii) ensuring that any restrictions of the right to strike may only be applicable in respect of public servants exercising authority in the name of the State and essential services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and
(iii) 노조 전임자들의 노조 활동이 무급 휴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교섭을 허용할 것.
(iii) allowing negotiation on the issue of whether trade union activity by fulltime union officials should be treated as unpaid leave.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취해지거나 고려되는 모든 조치를 계속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any measures taken or contemplated in this respect.
(b) 위원회는 정부에 공무원노조법의 적용틀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이 존중될 수 있도록 할 것을 요청한다.
(b)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the following principles are respected in the framework of the application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i) 국가 행정에 관여하지 않고 있는 공무원 노동조합과 교섭에 있어서, 교섭 당사자들의 자율성이 완전히 보장되어야 하며, 입법기관의 예산 권한 보유가 단체협약 준수를 방해하는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예산 관련 제약이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단체교섭에 실질적인 역할을 부여하고 신의성실한 협상과 이행을 보장해야 한다.
(i) that in the case of negotiations with trade unions of public servants who are not engage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e autonomy of the bargaining parties is fully guaranteed and the reservation of budgetary powers to the legislative authority does not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compliance with collective agreements; more generally, as regards negotiations on matters for which budgetary restrictions pertain, to ensure that a significant role is given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hat agreements are negotiated and implemented in good faith;
(ii) 공무원의 고용조건과 관련된 정책과 운영 관련 결정의 결과들이 공무원 노동조합과의 교섭에서 제외되지 않아야 한다.
(ii) that the consequences of policy and management decisions as they relate to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of public employees are not excluded from negotiations with public employees’ trade unions; and
(iii) 순전히 정치적인 성격의 파업은 협약 제87호와 98호의 보호 범위 내에 있지 않음을 인지하더라도, 공무원 노동조합은 조합원들의 권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폭넓은 경제적, 사회적 정책 문제들에 대해 공공연하게 자신들의 견해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iii) that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have the possibility to express their views publicly on the wider economic and social policy question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their members’ interests, noting though that strikes of a purely political nature do not fall within the protection of Conventions Nos 87 and 98.
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this respect.
(c) 본 제소 건의 여타 법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위원회는 정부에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c) As regards the other legislative aspects of this case,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i) 노동자가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조직을 결성하고 가입할 권리를 모든 수준에서 보장하도록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의 합법화를 위하여, 관련된 모든 사회적 파트너와 충분히 지속적으로 협의하기 위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것.
(i) to take rapid steps to continue and undertake full consultations with all social partners concerned with a view to the legalization of trade union pluralism at the enterprise level, so as to ensure that the right of workers to establish and join the organization of their own choosing is recognized at all levels;
(ii) 노조 전임자에게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는데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여, 이 문제에 법적인 간섭이 없도록 할 것. 이를 통해 노동자와 사용자가 이 문제에 관해 자유롭고 자발적인 교섭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것.
(ii) to expedite the resolution of the payment of wages by employers to fulltime union officials so that this matter is not subject to legislative interference, thus enabling workers and employers to conduct free and voluntary negotiations in this regard;
(iii) 필수유지업무를 정하는 결정을 내림에 있어서 노동위원회가 다음과 같은 원칙을 마땅히 고려할 것. 이 원칙에 따르면 필수유지업무는 국민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생명이나 정상적인 생활 상태를 위험에 처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엄격히 필요한 업무로 제한되어야 하며, 필수유지업무 요건이 도입되는 구체적 상황과 필수유지업무의 수준, 필수유지업무가 결정되는 절차(교섭 혹은 중재)에 대해 지속적으로 알려줄 것
(iii) to ensure that, in issuing decisions determining the minimum service, the Labour Relations Commission takes due account of the principle according to which a minimum service should be confined to operations that are strictly necessary to avoid endangering the life or normal living conditions of the whole or part of the population and to continue to keep it informed of the specific instances in which minimum service requirements have been introduced, the level of minimum service provided and the procedure through which such minimum service was determined (negotiations or arbitration).
(iv) 노동조합법(제76-80조)의 긴급조정 조항을 수정할 것. 이를 통해 긴급조정은 모든 관련 당사자들이 신뢰하는 독립적 기구에 의해서만이, 그리고 파업의 제한이 결사의 자유 원칙과 부합될 때만이 부과될 수 있도록 할 것.
(iv) to amend the emergency arbitration provisions of the TULRAA (sections 76–80) so that emergency arbitration can only be imposed by an independent body which has the confidence of all parties concerned and only in cases in which strikes can be restricted in conformity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v) 해고노동자와 실업자의 노조 가입 자격 유지를 금지하고, 비조합원이 노조 임원으로 선출되는 것을 막는 조항들(노동조합법 제2조 제4항 라목과 제23조 1항)을 철폐할 것.
(v) to repeal the provisions prohibiting dismissed and unemployed workers from keeping their union membership and making non-union members ineligible to stand for trade union office (sections 2(4)(d) and 23(1) of the TULRAA); and
(vi) 형법 제314조(업무방해)를 결사의 자유 원칙에 부합하도록 할 것.
(vi) to bring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obstruction of business) in line with freedom of association principles.
위원회는 상기 언급된 모든 사항에 있어서 진전 상황을 계속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the progress made in respect of all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d) 위원회는 정부에 권영길의 항소절차 진행에 대해 계속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d)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keep it informed of the progress of the appeal proceedings in respect of Kwon Young-kil.
(e) 위원회는 김상걸, 오명남, 민점기, 고광식, 한석우, 김영길, 강동진, 김종연의 해고에 대해 그 이후 공무원노조법이 통과된 것에 비추어 재고할 것을 다시한번 정부에 요청한다. 위원회는 이에 대해 계속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e)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reconsider the dismissals of Kim Sang-kul, Oh Myeong-nam, Min Jum-ki and Koh Kwangsik Han Seok-woo, Kim Young-kil, Kang Dong-jin and Kim Jongyun in the light of the subsequent adoption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this respect.
(f) 업무방해에 관한 형법 제314조와 관련하여, 위원회는 사회적 파트너들과의 협의를 통해, 심지어는 불법 파업의 경우라도, 폭력행위가 수반되지 않은 한, 노동자를 구금하고 체포하는 것을 삼간 채 조사하는 일반적 관행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모든 가능한 조치들을 고려할 것을 다시 한번 정부에 요청한다. 위원회는 현재의 형법 제314조의 규정으로 인해 업무방해로 체포된 노동자에 대한 새로운 사건이 있다면 관련한 법원의 판결 사본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 문제에 관해 지속적으로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f) With regard to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on obstruction of business, the Committee once again urges the Government to consider all possible measures, in consultation with the social partners concerned, so as to revert to a general practice of investigation without detention of workers and of refraining from making arrests, even in the case of an illegal strike, if the latter does not entail any violence.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this regard, including by providing copies of court judgements on any new cases of workers arrested for obstruction of business under the terms of the present section 314 of the Penal Code.
(g) 위원회는 정부에 2005년 대한항공조종사노조가 진행한 파업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해고된 최성진의 항소 건의 결과를 계속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g)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keep it informed of the outcome of the appeal filed by Choi Seong-jin against his dismissal for having participated in a strike staged by KALFCU in 2005.
(h) 노동쟁의 와중에 벌어진 한국노총 충주지역본부 김태환 의장의 죽음을 상기하면서, 위원회는 정부에 관련된 수사 기록 사본을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다.
(h) Recalling that the death of Kim Tae Hwan, President of the FKTU Chungju regional chapter, took place in the context of an industrial dispute,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provide a copy of the relevant investigation report.
(i) 위원회는 정부에 건설산업연맹 포항건설노조 조합원 하중근의 죽음과 관련하여 진행되고 있는 수사가 더 이상의 지체 없이 결론 맺을 수 있도록 하여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고, 관련하여 유죄인 당사자가 처벌받을 수 있도록, 그리고 유사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한다.
(i) The Committee urges the Government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that the investigation under way concerning the death of Ha Jeung Koon, member of the Pohang local union of the KFCITU, is concluded without further delay so as to determine where responsibilities lie, allowing for the guilty parties to be punished and the repetition of similar events to be prevented.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in this respect.
(j) 위원회는 정부에 건설 부문의 취약한 “일용” 노동자들의 단결권의 유효한 인정을 위한, 특히 이러한 노동자들을 대표하고 있는 건설산업연맹 산하조직들의 활동에 더 이상의 개입을 삼가함으로써, 모든 필요한 조치들을 취할 것을 요청한다. 또한 대구건설노조와 관련하여 최종심에 계류 중인 재판절차의 결과를 계속 알려줄 것과, 정상적인 노동조합 활동으로 보이는 것들에 대해 갈취와 협박 및 이와 관련된 범죄로 규정하여 노조 조합원과 간부들에게 유죄판결을 내린 것을 재검토할 것을 요청한다.
(j)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for the effectiv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organize of vulnerable “daily” workers in the construction sector, notably by refraining from any further acts of interference in the activities of KCFITU affiliates representing such workers, to keep it informed of the outcome of proceedings pending at the final instance with regard to the Daegu Construction Workers Union, and to review the convictions of the members and officials on grounds of extortion, blackmail and related crimes, for what appears to be ordinary trade union activities.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k) 위원회는 다시 한번 정부에 건설 산업, 특히, 취약한 “일용” 노동자들의 고용 조건에 대해 자유롭고 자발적인 단체교섭을 촉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요청한다. 특히, 위원회는 정부에 건설 부문의 사용자와 노조에게 교섭 역량을 구축하기 위한 목적의 지원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또한 정부에 만약 원한다면, 이 점에 있어서 ILO 사무국의 기술 지원을 요청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k) The Committee once again requests the Government to undertake further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free and voluntary collective bargaining over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in the construction sector covering, in particular, the vulnerable “daily” workers. In particular, the Committee requests the Government to provide support to construction sector employers and trade unions with a view to building negotiating capacity and reminds the Government that it may avail itself of the technical assistance of the Office in this regard if it so wishes. The Committee requests to be kept informed of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l) 위원회는 1998년 ILO의 고위급 노사정 조사단에게 약속했으며, 1998년 3월 이사회에 보고되었던 바 (GB.271/9 참조), 제87호 협약 및 제98호 협약을 가까운 장래에 비준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명시적으로 표현해줄 것을 요청한다. 또한 이 문제에 대해 진전 상황을 계속 알려줄 것을 요청한다.
(l) The Committee recalls the Government’s indication of its willingness to ratify Conventions Nos 87 and 98, in the near future, which it made to the ILO High-level Tripartite Mission in 1998 and which was reported to the Governing Body in March 1998 (see document GB.271/9) and requests the Government to keep it informed of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m) 위원회는 심각하고 긴급한 본 제소 건에 대하여 이사회가 주목해줄 것을 요청한다.
(m) The Committee calls the Governing Body’s attention to this serious and urgent case.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