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 상태, 노예 거래 및 노예 상태와 유사한 제도 및 실행의 폐지에 관한 보충 협약
Supplementary Convention on the Abolition of Slavery, the Slave Trade, and Institutions and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채택일 1956. 4. 30.
/ 발효일 1957. 4. 30.
노예 상태, 노예 거래 및 노예 상태와 유사한 제도 및 실행의 폐지에 관한 보충 협약
Supplementary Convention on the Abolition of Slavery, the Slave Trade, and Institutions and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1956년 4월 30일 자 경제사회이사회 결의 제608(XXI)호로 소집된 전권대표 회의에서 채택하고 1956년 9월 7일 제네바에서 작성
Adopted by a Conference of Plenipotentiaries convened by Economic and Social Council resolution 608(XXI) of 30 April 1956 and done at Geneva on 7 September 1956
발효: 제13조에 따라 1957년 4월 30일
Entry into force: 30 April 1957, in accordance with article 13
전문
Preamble
이 협약의 당사국은,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Convention,
자유는 모든 인간의 천부적 권리라는 점을 고려하며,
Considering that freedom is the birthright of every human being,
국제연합의 국민들이 「헌장」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했음을 유념하고,
Mindful that the peoples of the United Nations reaffirmed in the Charter their faith in the dignity and worth of the human person,
모든 사람과 모든 국가가 달성해야 할 공동의 기준으로 국제연합 총회가 선포한 「세계인권선언」이 누구도 노예 상태 또는 예속 상태에 놓이지 않으며 모든 형태의 노예 상태와 노예 거래가 금지된다고 명시하고 있음을 고려하며,
Considering that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proclaim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as a common standard of achievement for all peoples and all nations, states that no one shall be held in slavery or servitude and that slavery and the slave trade shall be prohibited in all their forms,
노예 상태와 노예 거래의 폐지를 보장하기 위해 기획되어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된 「노예협약」의 체결 이래 이를 위한 추가적인 진전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하고,
Recognizing that, since the conclusion of the Slavery Convention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which was designed to secure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of the slave trade, further progress has been made towards this end,
1930 「강제노동협약」과 강제 또는 의무 노동에 관하여 국제노동기구에서 취한 후속 조치를 유념하며,
Having regard to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of 1930 and to subsequent action by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in regard to forced or compulsory labour,
그러나 노예 상태, 노예 거래 및 노예 상태와 유사한 제도와 실행이 아직 전 세계 모든 부분에서 철폐되지 않았음을 인식하고,
Being aware, however, that slavery, the slave trade and institutions and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have not yet been eliminated in all parts of the world,
따라서 여전히 유효한 1926년 협약이 이제는 노예 상태, 노예 거래 및 노예 상태와 유사한 제도와 실행의 폐지를 위한 국내적 및 국제적 노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획된 보충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보강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면서,
Having decided, therefore, that the Convention of 1926, which remains operative, should now be augmented by the conclusion of a supplementary convention designed to intensify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efforts towards the abolition of slavery, the slave trade and institutions and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Have agreed as follows:
제1부 – 노예 상태와 유사한 제도 및 실행
Section I. - Institutions and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제1조
Article 1
이 협약의 당사국은 다음의 제도와 실행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된 「노예협약」 제1조에 포함된 노예 상태에 대한 정의에 포함되는지에 관계없이 그러한 제도와 실행의 완전한 폐지 또는 폐기를 점진적으로, 그리고 가능한 한 조속히 실현하기 위해 실행 가능하고 필요한 모든 입법 및 그 밖의 조치를 한다.
Each of the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shall take all practicable and necessary legislative and other measures to bring about progressively and as soon as possible the complete abolition or abandonment of the following institutions and practices, where they still exist and whether or not they are covered by the definition of slavery contained in article 1 of the Slavery Convention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가) 채무 노예. 채무자가 자기 개인 역무 또는 자기 통제 아래 있는 사람의 개인 역무를 채무에 대한 담보로 약속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위 또는 상태로 합리적으로 산정된 이러한 역무의 가치가 채무의 청산에 적용되지 않거나 이러한 역무의 기간 및 성격이 각각 제한되고 정의되지 않은 경우.
(a) Debt bondage, that is to say, the status or condition arising from a pledge by a debtor of his personal services or of those of a person under his control as security for a debt, if the value of those services as reasonably assessed is not applied towards the liquidation of the debt or the length and nature of those services are not respectively limited and defined;
(나) 농노. 법률, 관습 또는 계약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속한 토지에서 거주하고 노동하며 보수 여부와 관계없이 그러한 다른 사람에게 확정적인 역무를 제공할 의무가 있으며 자신의 지위를 변경할 자유가 없는 소작인의 상태 또는 지위
(b) Serfdom, that is to say, the condition or status of a tenant who is by law, custom or agreement bound to live and labour on land belonging to another person and to render some determinate service to such other person, whether for reward or not, and is not free to change his status;
(다) 다음의 모든 제도 또는 실행
(c) Any institution or practice whereby:
(ㄱ) 여성에게는 거부권이 없이 부모, 후견인, 가족 또는 그 밖의 모든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한 금전 또는 현물의 지급으로 여성과의 혼인이 약속되거나 이루어지는 제도 또는 실행
(i) A woman, without the right to refuse, is promised or given in marriage on payment of a consideration in money or in kind to her parents, guardian, family or any other person or group; or
(ㄴ) 남편 또는 남편의 가족이나 일족이 대가를 받거나 다른 방식으로 다른 사람에게 여성을 양도할 권리를 갖는 제도와 실행
(ii) The husband of a woman, his family, or his clan, has the right to transfer her to another person for value received or otherwise; or
(ㄷ) 남편의 사망 시 다른 사람에게 여성이 상속될 수 있는 제도 또는 실행
(iii) A woman on the death of her husband is liable to be inherited by another person;
(라) 아동 또는 18세 미만 청소년이 대가 여부와 관계없이 친부모 한쪽이나 양쪽에 의해 또는 후견인에 의해 착취 또는 노동력을 목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인도되는 모든 제도 또는 실행
(d) Any institution or practice whereby a child or young person under the age of 18 years, is delivered by either or both of his natural parents or by his guardian to another person, whether for reward or not, with a view to the exploitation of the child or young person or of his labour.
제2조
Article 2
당사국은 이 협약 제1조 (다)항에 언급된 제도 및 실행을 종식하기 위하여 적절한 경우 혼인의 적합한 최저 연령을 규정하고, 혼인에 대한 양 당사자의 동의가 권한 있는 민간 또는 종교 당국 앞에서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시설의 이용을 장려하며, 혼인 등록을 장려하기로 약속한다.
With a view to bringing to an end the institutions and practices mentioned in article 1 (c) of this Convention, the States Parties undertake to prescribe, where appropriate, suitable minimum ages of marriage, to encourage the use of facilities whereby the consent of both parties to a marriage may be freely expressed in the presence of a competent civil or religious authority, and to encourage the registration of marriages.
제2부 – 노예 거래
Section II. - The slave trade
제3조
Article 3
1. 운송 수단의 종류와 관계없이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노예를 운송하거나 운송을 시도하는 행위 또는 이를 방조하는 행위는 이 협약의 당사국의 법에 따른 형사 범죄이며 이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매우 중한 처벌을 받는다.
1. The act of conveying or attempting to convey slaves from one country to another by whatever means of transport, or of being accessory thereto, shall be a criminal offence under the laws of the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and persons convicted thereof shall be liable to very severe penalties.
2. (가) 당사국은 자국 국기를 게양할 수 있도록 허가한 선박와 항공기가 노예를 운송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행위를 범하거나 그 목적으로 국기를 사용한 사람을 처벌하기 위한 모든 효과적인 조치를 한다.
2. (a) The States Parties shall take all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ships and aircraft authorized to fly their flags from conveying slaves and to punish persons guilty of such acts or of using national flags for that purpose.
(나) 당사국은 자국 항구, 비행장 및 해안이 노예 운송을 위해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모든 효과적인 조치를 한다.
(b) The States Parties shall take all effective measures to ensure that their ports, airfields and coasts are not used for the conveyance of slaves.
3. 이 협약의 당사국은 노예 거래 퇴치에서 당사국이 취한 조치의 실질적인 조정을 보장하기 위해 정보를 교환하며 노예 거래의 모든 사례 및 자국에서 인지한 이러한 범죄의 모든 시도에 대해 서로 통지한다.
3. The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shall exchange information in order to ensure the practical co-ordination of the measures taken by them in combating the slave trade and shall inform each other of every case of the slave trade, and of every attempt to commit this criminal offence, which comes to their notice.
제4조
Article 4
이 협약 당사국의 선박에 승선하여 피난한 모든 노예는 바로 이 사실 때문에 자유이다.
Any slave who takes refuge on board any vessel of a State Party to this Convention shall ipso facto be free.
제3부 – 노예 상태 및 노예 상태와 유사한 제도 및 실행
Section III. - Slavery and institutions and practices similar to slavery
제5조
Article 5
노예 상태 또는 이 협약 제1조에 언급된 제도나 실행의 폐지 또는 폐기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국가에서, 노예 또는 노예와 같은 신분에 있는 사람을 그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해서 또는 형벌 또는 그 밖의 어떤 이유로든 그 사람에게 절단, 낙인 또는 그 밖의 표시를 하는 행위나 그 행위에 방조하는 행위는 이 협약의 당사국의 법에 따른 형사 범죄이며 이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처벌받는다.
In a country where the abolition or abandonment of slavery, or of the institutions or practices mentioned in article 1 of this Convention, is not yet complete, the act of mutilating, branding or otherwise marking a slave or a person of servile status in order to indicate his status, or as a punishment, or for any other reason, or of being accessory thereto, shall be a criminal offence under the laws of the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and persons convicted thereof shall be liable to punishment.
제6조
Article 6
1. 다른 사람을 노예로 만드는 행위, 다른 사람을 유인하여 그 사람 또는 그 사람에게 의존하는 사람이 노예 상태에 놓이게 하는 행위, 이 행위를 시도하는 행위, 이 행위를 방조하는 행위, 또는 그 행위를 달성하는 공모의 당사자가 되는 행위는 이 협약의 당사국의 법에 따른 형사 범죄이며 이 행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처벌받는다.
1. The act of enslaving another person or of inducing another person to give himself or a person dependent upon him into slavery, or of attempting these acts, or being accessory thereto, or being a party to a conspiracy to accomplish any such acts, shall be a criminal offence under the laws of the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and persons convicted thereof shall be liable to punishment.
2. 이 협약 제1조의 전단 규정을 조건으로, 이 조 제1항의 규정은 다른 사람을 유인하여 그 사람 또는 그 사람에게 의존하는 사람이 제1조에 언급된 제도 또는 실행에서 기인하는 노예적 지위에 놓이도록 하는 행위, 이 행위를 수행하려는 시도, 이 행위에 방조하는 행위 및 이 행위를 달성하려는 공모의 당사자가 되는 행위에도 역시 적용된다.
2.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introductory paragraph of article 1 of this Convention,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of the present article shall also apply to the act of inducing another person to place himself or a person dependent upon him into the servile status resulting from any of the institutions or practices mentioned in article 1, to any attempt to perform such acts, to being accessory thereto, and to being a party to a conspiracy to accomplish any such acts.
제4부 - 정의
Section IV. - Definitions
제7조
Article 7
이 협약의 목적상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Convention:
(가) "노예 상태"는 1926년 「노예협약」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어떤 사람에 대해서 소유권에 수반되는 권한의 일부 또는 전부가 행사되는 지위 또는 상태를 의미하며, "노예"는 이러한 상태 또는 지위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a) "Slavery" means, as defined in the Slavery Convention of 1926, the status or condition of a person over whom any or all of the powers attaching to the right of ownership are exercised, and "slave" means a person in such condition or status;
(나) "노예적 지위의 사람"은 이 협약 제1조에 언급된 제도 또는 실행에서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지위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b) "A person of servile status" means a person in the condition or status resulting from any of the institutions or practices mentioned in article 1 of this Convention;
(다) "노예 거래"는 어떤 사람을 노예 상태로 격하시킬 의도로 사람을 포획, 취득 또는 처분하는 데에 관여하는 모든 행위, 판매 또는 교환을 목적으로 노예를 취득하는 데에 관여하는 모든 행위, 판매 또는 교환할 목적으로 취득한 노예를 판매 또는 교환을 통해 처분하는 모든 행위, 그리고 일반적으로 운송 수단과 관계없이 노예를 거래하거나 이송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포함한다.
(c) "Slave trade" means and includes all acts involved in the capture, acquisition or disposal of a person with intent to reduce him to slavery; all acts involved in the acquisition of a slave with a view to selling or exchanging him; all acts of disposal by sale or exchange of a person acquired with a view to being sold or exchanged; and, in general, every act of trade or transport in slaves by whatever means of conveyance.
제5부 - 당사국 간 협력 및 정보 전달
Section V. - Cooperation between States Parties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제8조
Article 8
1. 이 협약의 당사국은 위 규정들을 이행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고 국제연합과 협력하기로 약속한다.
1. The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undertak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United Nations to give effect to the foregoing provisions.
2. 당사국은 이 협약 규정의 이행을 위해 제정되거나 시행된 모든 법률, 규정 및 행정조치의 사본을 국제연합사무총장에 통보하기로 약속한다.
2. The Parties undertake to communicate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copies of any laws,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measures enacted or put into effect to implement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3. 사무총장은 이 조 제2항에 따라 접수된 정보를 노예 상태, 노예 거래 또는 이 협약의 대상인 제도 및 실행의 폐지를 위한 추가 권고를 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제사회이사회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논의를 위한 문서의 일부로 다른 당사자들과 경제사회이사회에 통보한다.
3. The Secretary-General shall communicate the information received under paragraph 2 of this article to the other Parties and to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s part of the documentation for any discussion which the Council might undertake with a view to making further recommendations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the slave trade or the institutions and practices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Convention.
제6부 - 최종 조항
Section VI. - Final clauses
제9조
Article 9
이 협약에 대한 유보는 허용되지 않는다.
No reservations may be made to this Convention.
제10조
Article 10
이 협약의 해석 또는 적용에 관한 이 협약 당사국 간의 모든 분쟁은 교섭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다른 해결 방식에 관련 당사자들이 합의하지 않는 한, 분쟁의 당사자 일방의 요청에 따라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된다.
Any dispute between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relating to its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which is not settled by negotiation, shall be referred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t the request of any one of the parties to the dispute, unless the parties concerned agree on another mode of settlement.
제11조
Article 11
1. 국제연합 또는 전문기구의 모든 회원국은 1957년 7월 1일까지 이 협약에 가입할 수 있다. 이 협약은 서명국의 비준 대상이며 비준서는 국제연합사무총장에 기탁되고, 사무총장은 각 서명국과 가입국에 통지한다.
1. This Convention shall be open until 1 July 1957 for signature by any State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or of a specialized agency. It shall be subject to ratification by the signatory States, and the instruments of ratification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who shall inform each signatory and acceding State.
2. 1957년 7월 1일 이후에는 국제연합 또는 전문기구의 회원국 또는 국제연합사무총장으로부터 가입 초청을 받은 그 밖의 국가는 누구든지 이 협약에 가입할 수 있다. 가입은 국제연합사무총장에 공식 문서를 기탁함으로써 발효하며 사무총장은 각 서명국 및 가입국에 통지한다.
2. After 1 July 1957 this Convention shall be open for accession by any State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or of a specialized agency, or by any other State to which an invitation to accede has been address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Accession shall be effected by the deposit of a formal instrument with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who shall inform each signatory and acceding State.
제12조
Article 12
1. 이 협약은 당사국이 국제관계에서 책임을 지는 모든 비자치 신탁, 식민지 및 그 밖의 본국이 아닌 영역에 적용된다. 관련 당사국은 이 조 제2항의 규정을 조건으로, 서명, 비준 또는 가입 시 바로 이러한 서명, 비준 또는 가입의 결과로 이 협약이 적용되는 본국이 아닌 영역 또는 영역들을 선언한다.
1.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all non-self-governing trust, colonial and other non-metropolitan territories fo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which any State Party is responsible; the Party concerned shall,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paragraph 2 of this article, at the time of signature, ratification or accession declare the non-metropolitan territory or territories to which the Convention shall apply ipso facto as a result of such signature, ratification or accession.
2. 당사국 또는 본국이 아닌 영역의 입헌적 법이나 실행에 따라 본국이 아닌 영역의 사전 동의가 요구되는 경우, 관련 당사국은 본국이 이 협약에 서명한 날 후 12개월 이내에 본국이 아닌 영역의 필요한 동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며, 이 동의가 확보되면 당사국은 사무총장에게 통고한다. 이 협약은 사무총장이 이러한 통고를 접수한 날로부터 여기에 명시된 영역 또는 영역들에 적용된다.
2. In any case in which the previous consent of a non-metropolitan territory is required by the constitutional laws or practices of the Party or of the non-metropolitan territory, the Party concerned shall endeavour to secure the needed consent of the non-metropolitan territory within the period of twelve months from the date of signature of the Convention by the metropolitan State, and when such consent has been obtained the Party shall notify the Secretary- General.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the territory or territories named in such notification from the date of its receipt by the Secretary-General.
3. 위 항에 언급된 12개월의 기간이 만료된 후, 관련 당사국은 자국이 국제관계를 책임지며 이 협약 적용에 대한 동의가 보류되었을 수 있는 이러한 본국이 아닌 영역들과의 협의 결과를 사무총장에게 통지한다.
3. After the expiry of the twelve-month period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the States Parties concerned shall inform the Secretary-General of the results of the consultations with those non-metropolitan territories for whose international relations they are responsible and whose consent to the application of this Convention may have been withheld.
제13조
Article 13
1. 이 협약은 두 국가가 당사국이 된 날 발효한다.
1. This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on the date on which two States have become Parties thereto.
2. 그 이후로는 각 국가 및 영역에 대하여 해당 국가의 비준서 또는 가입서나 해당 영역에 대한 적용 통고가 기탁된 날 발효한다.
2. It shall thereafter enter into force with respect to each State and territory on the date of deposit of the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of that State or notification of application to that territory.
제14조
Article 14
1. 이 협약의 적용은 3년 단위의 연속적인 기간으로 구분되며, 그 첫 번째 기간은 제13조제1항에 따라 이 협약이 발효되는 날 시작한다.
1. The application of this Convention shall be divided into successive periods of three years, of which the first shall begin on the date of entry into force of the Convent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of article 13.
2. 모든 당사국은 현행 3년의 기간 종료 6개월 전까지 해당 국가가 사무총장에게 제출한 통고를 통해 이 협약을 폐기할 수 있다. 사무총장은 다른 모든 당사국에 이러한 각각의 통고 및 그 접수 날짜를 통고한다.
2. Any State Party may denounce this Convention by a notice addressed by that State to the Secretary-General not less than six months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current three-year period. The Secretary-General shall notify all other Parties of each such notice and the date of the receipt thereof.
3. 폐기는 현행 3년의 기간 종료 시 발효한다.
3. Denunciations shall take effect at the expiration of the current three-year period.
4. 제12조의 규정에 따라, 이 협약이 한 당사국의 본국이 아닌 영역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이 당사국은 그 이후 언제든지 해당 영역의 동의를 받아 별도로 이 영역에 관한 협약의 폐기를 국제연합사무총장에 통고할 수 있다. 이 폐기는 사무총장이 이러한 통고를 접수한 날 이후 1년이 지난 후 발효하며 사무총장은 이러한 통고와 접수일을 다른 모든 당사자에게 통고한다.
4. In cases wher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12, this Convention has become applicable to a non- metropolitan territory of a Party, that Party may at any time thereafter, with the consent of the territory concerned, give notice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denouncing this Convention separately in respect of that territory. The denunciation shall take effect one year after the date of the receipt of such notice by the Secretary- General, who shall notify all other Parties of such notice and the date of the receipt thereof.
제15조
Article 15
이 협약은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및 스페인어본이 동등하게 정본이며 국제연합 사무국 문서보존소에 기탁된다. 사무총장은 이 협약의 당사국과 국제연합 및 전문기구의 다른 모든 회원국에 통보하기 위해 그 인증등본을 준비한다.
This Convention, of which the Chinese, English, French, Russian and Spanish texts are equally authentic, shall be deposited in the archives of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The Secretary-General shall prepare a certified copy thereof for communication to States Parties to this Convention, as well as to all other States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and of the specialized agencies.
이상의 증거로, 아래 서명자들은 각자의 정부로부터 정당하게 권한을 위임받아 각자의 서명 맞은 편에 적힌 날짜에 이 협약에 서명하였다.
In witness whereof the undersigned, being duly authorized thereto by their respective Governments, have signed this Convention on the date appearing opposite their respective signatures.
1956년 9월 7일 제네바 국제연합 유럽 사무소에서 작성되었다.
Done at the European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at Geneva, this seventh day of September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fifty-six.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