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병의 고용, 사용, 자금지원 및 훈련의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against the Recruitment, Use, Financing and Training of Mercenaries
채택일 1989. 12. 4.
/ 발효일 2001. 10. 20.
참고/링크 자료 :
용병의 고용, 사용, 자금지원 및 훈련의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against the Recruitment, Use, Financing and Training of Mercenaries
이 협약 당사국은,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Convention ,
유엔헌장과 유엔헌장에 의한 국가간 우호관계 및 협력에 관한 국제법 원칙에 대한 선언문에 담긴 취지와 원칙을 재확인하고,
Reaffirming the purposes and principles enshrined in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nd in the Declaration on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Friendly Relations and Co-operation among Stat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국가의 주권평등, 정치적 독립, 영토보전 및 국민의 자결권과 같은 국제법상의 원칙에 위배되는 활동에 용병을 고용, 사용, 자금지원 및 훈련하는 것을 주지하며,
Being aware of the recruitment, use, financing and training of mercenaries for activities which violat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such as those of sovereign equality, political independence, territorial integrity of States and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용병의 고용, 사용, 자금지원 및 훈련을 모든 국가가 심각히 우려할 만한 범죄 행위로 간주하고 이 같은 범죄행위를 자행하는 자는 처벌 또는 추방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며,
Affirming that the recruitment, use, financing and training of mercenaries should be considered as offences of grave concern to all States and that any person committing any of these offences should be either prosecuted or extradited,
그와 같은 범죄 행위를 예방, 기소 및 처벌하는 데 국가간 협력관계를 발전, 증진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신하고,
Convinced of the necessity to develop and enhance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States for the prevention,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such offences,
헌정 질서를 저해하는 폭력행위를 자행하는 데 있어서 마약거래자와 용병을 연계하는 새로운 국제적 불법행위에 우려를 표명하고,
Expressing concern at new unlawful international activities linking drug traffickers and mercenaries in the perpetration of violent actions which undermine the constitutional order of States,
또한, 용병의 고용, 사용, 자금지원, 훈련의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을 채택할 경우 이과 같은 새로운 극악 행위를 근절함으로써 유엔헌장에 담긴 취지와 원칙을 준수하는 데 기여할 것임을 확인하며,
Also convinced that the adoption of a convention against the recruitment, use, financing and training of mercenaries would contribute to the eradication of these nefarious activities and thereby to the observance of the purposes and principles enshrined in the Charter,
그와 같은 협약으로 규제할 수 없는 문제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국제법상의 규칙과 원칙에 의거한다는 점을 주지하면서,
Cognizant that matters not regulated by such a convention continue to be governed by the rules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Have agreed as follows :
제1조
Article 1
이 협약에서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Convention,
1. 용병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사람을 말한다.
1. A mercenary is any person who:
(a) 무력충돌에서 싸우게 할 목적으로 국내외에서 특별히 고용한 자
a. Is specially recruited locally or abroad in order to fight in an armed conflict;
(b) 기본적으로 개인의 이득을 위한 욕망이 동기가 되어 전쟁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로, 실제로 분쟁당사자로부터 또는 분쟁 당사자를 대신하여, 해당 국가의 정규 군인 중 비슷한 계급에서 비슷한 임무를 수행하는 전투병에게 약속 또는 지급되는 금액이상의 물질적 보상을 약속받은 자
b. Is motivated to take part in the hostilities essentially by the desire for private gain and, in fact, is promised, by or on behalf of a party to the conflict, material compensation substantially in excess of that promised or paid to combatants of similar rank and functions in the armed forces of that party;
(c) 분쟁 당사국 일방의 국민이거나 분쟁 당사국 일방이 통제하는 영토에 거주하는 자가 아닌 자
c. Is neither a national of a party to the conflict nor a resident of territory controlled by a party to the conflict;
(d) 분쟁 당사국의 정규 군인이 아닌 자
d. Is not a member of the armed forces of a party to the conflict; and
(e) 분쟁 당사국이 아닌 국가가 자국의 정규군인으로서 공식 파견하지 않은 자
e. Has not been sent by a State which is not a party to the conflict on official duty as a member of its armed forces.
2. 용병이라 함은 이밖에도 다음과 같은 사람을 말한다:
2. A mercenary is also any person who, in any other situation:
(a)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자행되는 계획된 폭력행위에 참여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특별히 고용된 자:
a. Is specially recruited locally or abroad for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a concerted act of violence aimed at :
(i) 정부를 전복하거나 한 국가의 헌정질서를 달리 파괴하려는 목적
i. Overthrowing a Government or otherwise undermining the constitutional order of a State; or
(ii) 국가의 영토 보전을 저해하려는 목적
ii. Undermining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a State;
(b) 기본적으로 자신의 상당한 이득을 위하여, 물질적 보상에 대한 약속이나 지급을 받아 참여하게 된 자
b. Is motivated to take part therein essentially by the desire for significant private gain and is prompted by the promise or payment of material compensation;
(c) 용병 해우이의 대상이 된 국가의 국민이나 거주인이 아닌 자
c. Is neither a national nor a resident of the State against which such an act is directed;
(d) 국가가 공식적으로 파견하지 않은 자
d. Has not been sent by a State on official duty; and
(e) 용병행위가 수행된 영토를 관할하는 국가의 정규 군인이 아닌 자.
e. Is not a member of the armed forces of the State on whose territory the act is undertaken.
제2조
Article 2
이 협약 제1조에 규정된 바와 같이 용병을 고용, 활용, 자금지원 또는 훈련하는 자는 이 협약에 의하여 범죄행위를 자행하는 자가 된다.
Any person who recruits, uses, finances or trains mercenaries, as defined in article 1 of the present Convention, commits an offence for the purposes of the Convention.
제3조
Article 3
1. 이 협약 제1조에 규정된 용병이 전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계획된 폭력행위에 참여하는 경우, 협약에 의하여 범죄행위를 자행하게 된다.
1. A mercenary, as defined in article 1 of the present Convention, who participates directly in hostilities or in a concerted act of violence, as the case may be, commits an offence for the purposes of the Convention.
2. 이 조항의 어떤 규정도 이 협약 제4조의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2. Nothing in this article limit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4 of the present Convention.
제4조
Article 4
다음의 경우, 범죄행위가 성립된다;
An offence is committed by any person who:
(a)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 행위 중 한가지라도 시도하는 경우
a. Attempts to commit one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b)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행위 중 한가지라도 자행하거나 시도한자와 연루된 자.
b. Is the accomplice of a person who commits or attempts to commit any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제5조
Article 5
1. 협약 당사국은 이 협약 규정에 의하여 용병을 고용, 사용, 자금지원, 또는 훈련할 수 없으며 그와 같은 행위를 금지하여야 한다.
1. States Parties shall not recruit, use, finance or train mercenaries and shall prohibit such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present Convention.
2. 협약 당사국은 국제법에서 인정하는, 양도할 수 없는 국민의 자결권을 합법적으로 행사하는 것을 저지할 목적으로 용병을 고용, 사용, 자금지원, 또는 훈련할 수 없으며, 국제법에 의하여 그와 같은 목적으로 용병을 고용, 사용, 자금지원 또는 훈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히 조치하여야 한다.
2. States Parties shall not recruit, use, finance or train mercenaries for the purpose of opposing the legitimate exercise of the inalienable right of peoples to self-determination, as recognized by international law, and shall take, in conformity with international law, the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the recruitment, use, financing or training of mercenaries for that purpose.
3. 그와 같은 범죄행위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행위를 적절히 처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They shall make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punishable by appropriate penalties which take into account the grave nature of those offences.
제6조
Article 6
협약 당사국은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행위를 예방하는 데, 특히 다음과 같이 협력한다:
States Parties shall co-operate in the prevention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particularly by :
(a) 개인, 단체 및 조직이 그와 같은 범죄 행위를 조장, 선동, 조직 또는 관여하는 등의 불법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등, 해당 국가 영토 안팎에서 범죄를 자행하기 위해 준비 작업을 예방하는 데 모든 가능한 조치를 취한다.
a. Taking all practicable measures to prevent preparations in their respective territories for the commission of those offences within or outside their territories, including the prohibition of illegal activities of persons,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encourage, instigate, organize or engage in the perpetration of such offences;
(b) 그와 같은 범죄행위를 예방하는 데 필요한 행정 및 기타 조치를 취하는 데 공조한다.
b. Co-ordinating the taking of administrative and other measures as appropriate to prevent the commission of those offences.
제7조
Article 7
협약 당사국은 이 협약 시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데 상호 협력한다.
States Parties shall co-operate in taking the necessary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Convention.
제8조
Article 8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 행위 중 하나라도 자행되었거나, 현재 자행되고 있거나, 앞으로 자행될 것이라는 충분한 근거를 확신하는 경우, 그 협약 당사국은 국내법에 의하여 이 사실을 알게 된 즉시 관련정보를 해당 당사국에게 직접 또는 유엔 사무총장을 통하여 전달한다.
Any State Party having reason to believe that one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has been, is being or will be committed shall, in accordance with its national law, communicate the relevant information, as soon as it comes to its knowledge, directly or throug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to the States Parties affected.
제9조
Article 9
1. 각 협약 당사국은,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행위가 다음과 같이 자행된 경우 이에 대한 관할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1. Each State Party shall take such measures as may be necessary to establish its jurisdiction over any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which are committed :
(a) 해당국가의 영토 내에서, 또는 해당국가에 등록된 선박이나 비행기 안에서 자행된 경우;
a. In its territory or on board a ship or aircraft registered in that State;
(b) 해당국가의 국적을 가진 자가 자행한 경우, 또는 해당국가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국적은 없지만, 그 영토 내에 장기간 거주한 자가 자행한 경우;
b. By any of its nationals or, if that State considers it appropriate, by those stateless persons who have their habitual residence in that territory.
2. 마찬가지로, 개별 당사국은 범죄 혐의자가 자국의 영토 내에 있으나 상기 제1항에 언급된 국가로 추방하지 않는 경우, 이 협약 제2, 3, 4조에 규정된 범죄행위에 대하여 관할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2. Each State Party shall likewise take such measures as may be necessary to establish its jurisdiction over the offences set forth in articles 2, 3 and 4 of the present Convention in cases where the alleged offender is present in its territory and it does note extradite him to any of the States mentioned in paragraph 1 of this article.
3. 이 협약은 국내법에 의한 형사 관할권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3. The present Convention does not exclude any criminal jurisdiction exercis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law.
제10조
Article 10
1. 필요한 상황이라고 확신하는 즉시, 범죄혐의자가 머무르고 있는 국가는 국내법에 따라 그를 구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기소 또는 추방조치를 취하는 데 필요한 시간동안 그의 거취를 확보해야 한다. 해당 당사국은 즉시 예비 사실 조사를 시작하여야 한다.
1. Upon being satisfied that the circumstances so warrant, any State Party in whose territory the alleged offender is present shall, in accordance with its laws, take him into custody or take such other measures to ensure his presence for such time as is necessary to enable any criminal or extradition proceedings to be instituted. The State Party shall immediately make a preliminary inquiry into the facts.
2. 이 조에 의거하여 한 당사국이 어느 한 사람을 구금하거나 제1항에 언급된 기타 조치를 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당사국에게 직접 또는 유엔사무총장을 통하여 즉시 통보한다;
2. When a State Party, pursuant to this article, has taken a person into custody or has taken such other measures referred to in paragraph 1 of this article, it shall notify without delay either directly or throug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a) 범죄행위가 자행된 당사국
a. The State Party where the offence was committed;
(b) 범죄행위 또는 그 시도의 대상이 된 당사국
b. The State Party against which the offence has been directed or attempted;
(c) 범죄행위 또는 그 시도의 대상이 된 자연인 또는 법인이 국적을 가지고 있는 당사국
c. The State Party of which the natural or juridical person against whom the offence has been directed or attempted is a national;
(d) 범죄혐의자가 국적을 가지고 있는 당사국, 또는 무국적자인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당사국
d. The State Party of which the alleged offender is a national or, if he is a stateless person, in whose territory he has his habitual residence;
(e) 그 외, 통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기타 관련 당사국
e. Any other interested State Party which it considers it appropriate to notify.
3. 제1항에서 언급된 대상자는 다음과 같은 권리를 가진다;
3. Any person regarding whom the measures referred to in paragraph 1 of this article are being taken shall be entitled:
(a) 국적국 또는 달리 해당인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국가, 또는 해당인이 무국적자인 경우에는 상시 거주하고 있는 국가의 가장 가까운 대리인에게 청원할 수 있다.
a. To communicate without delay with the nearest appropriate representative of the State of which he is a national or which is otherwise entitled to protect his rights or, if he is a stateless person, the State in whose territory he has his habitual residence;
(b) 해당 국가의 대리인으로부터 접견을 받을 수 있다.
b. To be visited by a representative of that State.
4. 상기 제3항의 규정은 제9조 1(b)항에 의거하여 관할권을 가지는 당사국이 국제적십자위원회를 초청하여 범죄혐의자와 대화 및 접견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하지 아니한다.
4. The provisions of paragraph 3 of this article shall be without prejudice to the right of any State Party having a claim to jurisdic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paragraph 1 (b), to invite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to communicate with and visit the alleged offender.
5. 상기 제1항에 언급된 예비 사실 조사를 하는 국가는 그 결과를 제2항에 언급된 국가에게 즉시 보고하고 관할권 행사 의향 여부를 표시해야 한다.
5. The State which makes the preliminary inquiry contemplated in paragraph 1 of this article shall promptly report its findings to the States referred to in paragraph 2 of this article and indicate whether it intends to exercise jurisdiction.
제11조
Article 11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행위와 관련하여 소송이 진행 중인 당사자는 소송절차 전 과정을 통해 해당국 국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정한 대우, 권리, 보장 사항이 모두 보장된다. 국제법상의 해당 규범이 고려되어야 한다.
Any person regarding whom proceedings are being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any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be guaranteed at all stages of the proceedings fair treatment and all the rights and guarantees provided for in the law of the State in question. Applicable norms of international law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제12조
Article 12
범죄혐의자가 발견된 국가는 국외로 추방하지 않는 한, 예외없이 그리고 문제의 범죄행위가 자국의 영토 내에서 자행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국내법 규정 절차에 따라 관할 당국에 이 사건을 회부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외부 받은 관할당국은 국내법 상의 중대 범죄 행위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 사건에 대하여 결정한다.
The State Party in whose territory the alleged offender is found shall, if it does not extradite him, be obliged, without exception whatsoever and whether or not the offence was committed in its territory, to submit the case to its competent authorities for the purpose of prosecution, through proceeding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that State. Those authorities shall take their decis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any other offence of a grave nature under the law of that State.
제13조
Article 13
1. 당사국은 이 협약에 규정된 범죄 행위에 대하여 제기된 형사소송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증거자료 중 소송에 필요한 자료를 모두 제공하는 등, 상호간에 최대한으로 지원해야 한다. 모든 사건에서 지원요청을 받은 국가의 법이 적용된다.
1. States Parties shall afford one another the greatest measure of assistance in connection with criminal proceedings brought in respect of the offences set forth in the present Convention, including the supply of all evidence at their disposal necessary for the proceedings. The law of the State whose assistance is requested shall apply in all cases.
2. 위의 제1항 규정은 다른 조약에 포함된 사법상의 상호지원에 관한 의무규정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2.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of this article shall not affect obligations concerning mutual judicial assistance embodied in any other treaty.
제14조
Article 14
범죄혐의자를 처벌한 당사국은 국내법에 의거하여 사건의 최종결과를 유엔사무총장에게 보고해야 하며, 유엔사무총장은 이를 기타 관련 국가에게 제공한다.
The State Party where the alleged offender is prosecuted shall in accordance with its laws communicate the final outcome of the proceedings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who shall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other States concerned.
제15조
Article 15
1. 이 협약 제2, 3, 4조에 규정된 범죄는 추방가능한 범죄로 당사국간 추방조약에 포함된다고 본다. 협약 당사국은 추후 체결될 모든 추방 조약에 이 같은 범죄를 추방가능한 범죄로 포함시키기로 한다.
1. The offences set forth in articles 2, 3 and 4 of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be deemed to be included as extraditable offences in any extradition treaty existing between States Parties. States Parties undertake to include such offences as extraditable offences in every extradition treaty to be concluded between them.
2. 관련조약의 존재를 추방의 조건으로 하는 경우, 추방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다른 당사국으로부터 추방요청을 받으면 이 협약 해당 범죄행위자 추방에 대한 법적 근거로 대체 사용할 수 있다.
2. If a State Party which makes extradition conditional on the existence of a treaty receives a request for extradition from another State Party with which it has no extradition treaty, it may at its option consider the present Convention as the legal basis for extradition in respect of those offences. Extradition shall be subject to the other conditions provided by the law of the requested State.
3. 관련조약의 존재를 추방의 조건으로 하지 않는 당사국은 이 같은 범죄를 상호간 추방이 가능한 범죄로 간주하며, 추방 요청을 받은 국가의 국내법에서 규정하는 조건에 따라 추방한다.
3. States Parties which do not make extradition conditional on the existence of a treaty shall recognize those offences as extraditable offences between themselves, subject to the conditions provided by the law of the requested State.
4. 해당국간 추방에 있어서 실제 발생 지역뿐만 아니라, 이 협약 제9조에 의하여 관할권을 확보하는 국가도 실제 발생 지역과 같이 취급하여야 한다.
4. The offences shall be treated, for the purpose of extradition between States Parties, as if they had been committed not only in the place in which they occurred but also in the territories of the State required to establish their jurisdic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of the present Convention.
제16조
Article 16
이 협약을 적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규정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아니한다;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be applied without prejudice to:
(a) 각국의 국제적 책임에 관한 규정
a. The rules relating to the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of States;
(b) 전투원이나 전쟁 포로의 지위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는 무력충돌법 및 국제인도법
b. The law of armed conflict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cluding the provisions relating to the status of combatant or of prisoner of war.
제17조
Article 17
1. 이 협약의 해석이나 적용을 두고 당사국간에 분쟁이 발생하였으나 협의를 통하여 해결하지 못한 경우, 당사국 일방의 요청에 따라 중재에 부친다. 중재 요청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당사국이 중재에 실패하는 경우, 해당 당사국 중 일방이 재판소 규정에 따라 이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회부할 수 있다.
1. Any dispute between two or more States Parties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Convention which is not settled by negotiation shall, at the request of one of them, be submitted to arbitration. If, within six months from the date of the request for arbitration, the parties are unable to agree on the organization of the arbitration, any one of those parties may refer the dispute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by a request in conformity with the Statute of the Court.
2. 각 당사국은 이 협약이나 협약가입에 서명 또는 비준하면서 상기 제1항 규정을 적용하지 않을 것임을 선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용을 유보한 당사국과 관련하여, 다른 당사국은 상기 제1항의 규정으로 구속을 받지 아니한다.
2. Each State may, at the time of signature or ratification of the present Convention or accession thereto, declare that it does not consider itself bound by paragraph 1 of this article. The other States Parties shall not be bound by paragraph 1 of this article with respect to any State party which has made such a reservation.
3. 상기 제2항에 의하여 적용을 유보한 당사국은 유엔사무총장에 통보하여 언제라도 그 유보를 철회할 수 있다.
3. Any State Party which has made a reservation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of this article may at any time withdraw that reservation by notification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제18조
Article 18
1. 이 협약은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1990년 12월 31일까지 모든 회원국으로부터 서명을 받는다.
1.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be open for signature by all States until 31 December 1990 at United Nations Headquarters in New York.
2. 이 협약은 비준을 받아야 하며, 비준서는 유엔 사무총장에 기탁한다.
2.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be subject to ratification. The instruments of ratification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3. 이 협약은 앞으로도 어느 회원국이라도 가입할 수 있다. 가입서는 유엔 사무총장에게 기탁한다.
3.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remain open for accession by any State. The instruments of accession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제19조
Article 19
1. 이 협약은 스물 두번째 비준서 또는 가입서가 유엔 사무총장에게 기탁된 날로부터 13일째 되는 날, 발효한다.
1. The present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on the thirtieth day following the date of deposit of the twenty-second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2. 스물 두번째 비준서 또는 가입서가 기탁된 이후 이 협약에 비준 또는 가입한 국가에 대해서는, 해당 비준서 또는 가입서를 기탁한 날로부터 30일째 되는 날 협약이 발효된다.
2. For each State ratifying or acceding to the Convention after the deposit of the twenty-second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the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on the thirtieth day after deposit by such State of its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제20조
Article 20
1. 당사국은 유엔 사무총장에 서면통지하여 이 협약에 대한 가입을 파기할 수 있다.
1. Any State Party may denounce the present Convention by written notification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2. 가입파기는 유엔 사무총장이 해당통지서를 수령한 날로부터 1년 후 발효된다.
2. Denunciation shall take effect one year after the date on which the notification is received by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제21조
Article 21
이 협약 원본은 아랍어, 중국어, 영어, 불어, 러시아어, 스페인어로 작성하고 모두 원본으로서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이를 유엔 사무총장에 기탁하고 유엔 사무총장은 공증된 사본을 모든 회원국에게 배포한다.
The original of the present Convention, of which the Arabic, Chinese, English, French, Russian and Spanish texts are equally authentic,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who shall send certified copies thereof to all States.
상기 내용을 확인하며, 해당 각국 정부가 적법하게 승인한 아래 서명자는 이 협약에 서명한다.
In witness whereof the undersigned, being duly authorized thereto by their respective Governments, have signed the present Convention.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