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에 대한 공소시효 부적용에 관한 협약
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채택일 1968. 11. 26.
/ 발효일 1970. 11. 11.
참고/링크 자료 :
Convention on the Non-Applicability of Statutory Limitations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부적용에 관한 협약
Preamble
전문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Convention,
이 협약의 당사국들은
Recalling resolutions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3 (I) of 13 February 1946 and 170(II) of 31 October 1947 on the extradition and punishment of war criminals, resolution 95 (I) of 11 December 1946 affirming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recognized by the Charter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Nürnberg, and the judgement of the Tribunal, and resolutions 2184(XXI) of 12 December 1966 and 2202 (XXI) of 16 December 1966 which expressly condemned as crimes against humanity the violation of the economic and political rights of the indigenous population on the one hand and the policies of apartheid on the other,
국제연합 총회의 전쟁범죄자의 인도 및 처벌에 관한 1946년 2월 13일자 결의 3(I) 및 1947년 10월 31일자 결의 170(II),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소 설립헌장과 동 재판소의 판결에서 승인한 국제법상의 원칙을 확인한 1946년 12월 11일자 결의 95(I), 원주민의 경제적 및 정치적 권리의 침해와 인종차별정책을 인도에 반하는 죄로 명백히 규탄한 1966년 12월 12일자 결의 2184(XXI)와 1966년 12월 16일자 결의 2202(XXI)를 상기하고,
Recalling resolutions of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of the United Nations 1074 D (XXXIX) of 28 July 1965 and 1158 (XLI) of 5 August 1966 on the punishment of war criminals and of persons who have committed crimes against humanity,
전쟁범죄자 및 인도에 반하는 범죄를 저지른 자의 처벌에 관한 1965년 7월 28일자 국제연합 경제사회이사회 결의 1074D(XXXIX) 및 1966년 8월 5일자 결의 1158(XLI)을 상기하고,
Noting that none of the solemn declarations, instruments or conventions relating to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made provision for a period of limitation,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의 소추 및 처벌과 관련된 중요 선언, 문서 또는 협약의 어디에도 시효 기간에 관한 규정이 없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Considering that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re among the gravest crimes in international law,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가 국제법상 가장 중대한 범죄의 하나라는 점을 고려하고,
Convinced that the effective punishment of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prevention of such crimes,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the encouragement of confidence, the furtherance of co-operation among peoples and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의 효과적인 처벌은 그러한 범죄의 방지와 인권 및 기본적 자유의 보호, 신뢰의 고취, 국민간 협력 촉진 및 국제 평화와 안전의 증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확신하고,
Noting that the application to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of the rules of municipal law relating to the period of limitation for ordinary crimes is a matter of serious concern to world public opinion, since it prevents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persons responsible for those crimes,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에 대하여 일반 범죄의 시효기간에 관한 국내법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이러한 범죄에 책임 있는 사람에 대한 기소 및 처벌을 저지시키므로, 이것이 세계 여론의 지대한 관심사라는 점에 유의하고,
Recognizing that it is necessary and timely to affirm in international law, through this Conventi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no period of limitation for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nd to secure its universal application,
이 협약을 통하여 전쟁범죄 및 인도에 반하는 죄에 대하여는 공소시효의 기한이 없다는 국제법상의 원칙을 확인하고, 이의 보편적 적용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며 시의적절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Have agreed as follows: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Article I
제1조
No statutory limitation shall apply to the following crimes, irrespective of the date of their commission:
다음과 같은 범죄에 대하여는 범행 시기와 상관없이 공소시효의 제한이 적용되지 아니한다.
(a) War crimes as they are defined in the Charter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Nürnberg, of 8 August 1945 and confirmed by resolutions 3 (I) of 13 February 1946 and 95 (I) of 11 December 1946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particularly the "grave breaches" enumerated in the Geneva Conventions of 12 August 1949 for the protection of war victims;
(a) 1945년 8월 8일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소 설립헌장에 규정되고, 1946년 2월 13일자 국제연합 총회 결의 3(I) 및 1946년 12월 11일자 결의 95(I)에서 확인된 전쟁범죄, 특히 1949년 8월 12일 전쟁 희생자 보호를 위한 제네바 협약에 열거된 “중대한 위반.”
(b) Crimes against humanity whether committed in time of war or in time of peace as they are defined in the Charter of the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 Nürnberg, of 8 August 1945 and confirmed by resolutions 3 (I) of 13 February 1946 and 95 (I) of 11 December 1946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eviction by armed attack or occupation and inhuman acts resulting from the policy of apartheid, and the crime of genocide as defined in the 1948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 of Genocide, even if such acts do not constitute a violation of the domestic law of the country in which they were committed.
(b) 다음과 같은 행위가 범행지국의 국내법 위반을 구성하지 아니한다 할지라도, 1945년 8월 8일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소 헌장에 규정되고 1946년 2월 13일자 국제연합 총회 결의 3(I) 및 1946년 12월 11일자 결의 95(I)에서 확인된 전시 또는 평시를 불문하고 저질러진 인도에 반하는 죄, 군사적 공격이나 점령 그리고 인종차별정책에 따른 비인도적 행위에 의한 추방, 1948년 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에 규정된 집단살해죄.
Article II
제2조
If any of the crimes mentioned in article I is committed, the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representatives of the State authority and private individuals who, as principals or accomplices, participate in or who directly incite others to the commission of any of those crimes, or who conspire to commit them, irrespective of the degree of completion, and to representatives of the State authority who tolerate their commission.
제1조에 언급된 범죄가 행하여진 경우, 이 협약 규정은 범행의 완성단계와 관계없이 정범 또는 공범으로 가담하였거나, 그러한 범죄행위를 하도록 타인을 직접 교사하였거나, 그러한 범행을 공모한 국가기관의 대표와 사인 그리고 이들의 행위를 묵인한 국가기관의 대표에게 적용된다.
Article III
제3조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Convention undertake to adopt all necessary domestic measures, legislative or otherwise, with a view to making possible the extradition,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persons referred to in article II of this Convention.
이 협약의 당사국은 협약 제2조에 규정된 자의 인도가 국제법에 따라 가능하도록 입법 또는 기타의 조치 등 필요한 모든 국내조치를 채택할 것을 약속한다.
Article IV
제4조
The States Parties to the present Convention undertake to adopt,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constitutional processes, any legislative or other measures necessary to ensure that statutory or other limitations shall not apply to the prosecution and punishment of the crimes referred to in articles I and II of this Convention and that, where they exist, such limitations shall be abolished.
이 협약의 당사국은 각국의 헌법적 절차에 따라 시효제한 또는 다른 제한들이 협약 제1조 및 제2조상의 범죄의 기소 및 처벌에 적용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입법 또는 기타의 조치를 채택할 것과 그러한 제한이 있을 경우 제한을 폐지할 것을 약속한다.
Article V
제5조
This Convention shall, until 31 December 1969, be open for signature by any State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or member of any of its specialized agencies or of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by any State Party to th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nd by any other State which has been invit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to become a Party to this Convention.
이 협약은 국제연합 회원국들과, 국제연합 전문기구 및 국제원자력기구의 회원국, 국제사법재판소 규정당사국, 국제연합 총회로부터 이 협약의 당사국이 되도록 초청된 국가의 서명을 위하여 1969년 12월 31일까지 개방된다.
Article VI
제6조
This Convention is subject to ratification. Instruments of ratification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이 협약은 비준을 받아야 한다. 비준서는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기탁된다.
Article VII
제7조
This Convention shall be open to accession by any State referred to in article V. Instruments of accession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이 협약은 제5조에 규정된 국가들에 의한 가입을 위하여 개방된다. 가입서는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기탁된다.
Article VIII
제8조
1. This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on the ninetieth day after the date of the deposit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of the tenth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1. 이 협약은 10번째 비준서 또는 가입서가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기탁되는 날로부터 90일 후에 발효한다.
2. For each State ratifying this Convention or acceding to it after the deposit of the tenth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the Convention shall enter into force on the ninetieth day after the date of the deposit of its own instrument of ratification or accession.
2. 10번째 비준서 또는 가입서의 기탁 후 이 협약을 비준하거나 가입하는 국가에 대하여 이 협약은 비준서 또는 가입서가 기탁된 날로부터 90일 후에 발효한다.
Article IX
제9조
1. After the expiry of a period of ten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this Convention enters into force, a request for the revision of the Convention may be made at any time by any Contracting Party by means of a notification in writing addressed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1. 이 협약의 발효일로부터 10년 이후 체약국은 국제연합 사무총장에 대한 서면통고로써 이 협약의 개정을 언제든지 요청할 수 있다.
2.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shall decide upon the steps, if any, to be taken in respect of such a request.
2. 국제연합 총회는 이러한 개정 요청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 취할 조치를 결정한다.
Article X
제10조
1. This Convention shall be deposited with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1. 이 협약은 국제연합 사무총장에게 기탁된다.
2.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shall transmit certified copies of this Convention to all States referred to in article V.
2.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제5조상의 모든 국가들에게 이 협약의 인증등본을 송부한다.
3.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shall inform all States referred to in article V of the following particulars:
3.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제5조상의 모든 국가들에게 특히 다음 사항을 통지한다.
(a) Signatures of this Convention, and instruments of ratification and accession deposited under articles V, VI and VII;
(a) 협약의 서명 및 제5조, 제6조, 제7조에 따라 기탁된 비준서 및 가입서.
(b) The date of entry into force of this Conven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VIII;
(b) 제8조에 따른 협약의 발효일.
(c) Communications received under article IX.
(c) 제9조에 따라 접수된 통고.
Article XI
제11조
This Convention, of which the Chinese, English, French, Russian and Spanish texts are equally authentic, shall bear the date of 26 November 1968.
1968년 11월 26일 작성된 이 협약은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본을 동등한 정본으로 한다. 이상의 증거로 서명을 위하여 정당하게 권한을 부여받은 서명자가 이 협약에 서명하였다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