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방문 조사 결과 보고서 (2019)
Mission to the Republic of Korea (2019)
/ 배포일 2019. 6. 11.
I. Introduction
I. 서론
1. The Special Rapporteur on adequate housing as a component of the right to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and on the right to non-discrimination in this context, Leilani Farha, visited the Republic of Korea from 14 to 23 May 2018, at the invitation of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her visit was to identify positive outcomes and existing challeng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in the country. In that context, the Special Rapporteur considered to what extent vulnerable groups are enjoying the right to housing and the right to non-discrimination in that context.
1. 레일라니 파르하 적정 주거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정부의 초청을 받아 2018년 5월 14일부터 23일까지 대한민국을 방문했다. 특별보고관의 방문 목적은 한국 내 주거권 실현에 관한 긍정적 성과와 현존하는 도전과제를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특별고관은 취약계층이 어느 수준까지 주거권을 누리며, 해당 맥락에서 차별받지 않고 있는지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2. The Special Rapporteur thank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invitation and its full cooperation during the visit. She also thanks all her interlocutors, including senior government officials, municipal officials of Seoul and Busan, judges, lawyer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civil society representatives. A special warm thanks is extended to the individuals and families living in various degrees of inadequate housing or in situations of homelessness who shared their personal experiences with her.
2.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정부의 초청과 한국 방문 당시 철저한 협력을 해준 것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표한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국가 고위 공직자,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의 공무원, 판사, 변호사, 국가인권위원회, 시민사회 대표를 포함한 모든 대화 상대에게도 감사를 전한다. 특별보고관은 자신들의 개인적인 경험을 직접 만나 공유해 준, 다양한 수준의 비적정 주거에서 살고 있거나 홈리스 상태에 있는 개인 및 가족들에게 특히 감사하는 마음을 표한다.
3. The Special Rapporteur had fruitful meetings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he also met with the Supreme Cour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relevant State-owned enterprises, such as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the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and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ail). She was grateful for having the opportunity to meet with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Realtors.
3.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외교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노동부, 여성가족부와 유익한 만남을 가졌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대법원, 국가인권위원회, 경찰청을 방문했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주택금융공사(HF), 코레일 등 관련 국영기업과의 만남도 가졌다. 특별보고관은 국민연금공단, 국토연구원 그리고 한국공인중개사협회와 만남의 기회를 가진 것에 대해서도 감사를 전한다.
4. The Republic of Korea has in many ways embraced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and has made substantial efforts towards its progressive realization. The city of Seoul and its Mayor have shown particular commitment to human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housing, and have joined the Shift, an international global movement of diverse stakeholders who are reclaiming and realizing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4. 대한민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주거권을 추구해왔으며 주거권의 점진적 실현을 향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서울특별시와 서울시장은 주거권을 포함한 인권 실현을 위해 특히 헌신해왔으며, 전 세계에서 주거권을 주장하고 주거권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국제적 운동인 시프트(SHIFT)에 참여했다.
5. According to the 2017 census, the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reached 51.4 million people, nearly half (25.5 million people) of whom liv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the past four decades, urbanization has taken hold, with 82.7 per cent of the population currently living in towns and cities.
5. 2017년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인구는 5,140만 명을 기록했으며, 거의 절반인 2,550만 명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한다. 도시화는 지난 40년간 이어졌으며 현재 인구의 82.7 퍼센트가 크고 작은 도시에 거주한다.
6. The Republic of Korea is one of the fastest ageing societies in the world owing to increased life expectancy – currently at 82.5 years – and a dramatic fall in the fertility rate, which reached an all-time low of 1.05 children per female adult in 2017. 1 ) At the same time, extended family and multigenerational living arrangements are on the decline, and the number of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00, only 34 per cent of all households were one- and two-person households, whereas by 2017 they accounted for 55.3 per cent. Households are also increasingly female-headed – their number doubled from 15.7 per cent in 1990 to 30.6 per cent in 2017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2 )
6. 현재 기대 수명이 82.5세까지 늘어나고 2017년 여성 한 명당 1.05의 출산율을 기록할 정도로 출산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대한민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국가 중 하나다. 1 ) 동시에 대가족, 다세대 가정은 줄어들고 있으며,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수는 상당히 증가했다. 2000년에는 1인과 2인 가구가 전체의 34퍼센트에 불과했는데, 이 수치는 2017년 55.3 퍼센트를 기록했다. 여성이 가장인 가구의 수도 점점 늘고 있으며, 그 비율은 1990년 15.7 퍼센트에서 2017년 30.6 퍼센트로 거의 두 배 증가했는데 이 수치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 )
7. In the past 50 years, the Republic of Korea has experienced massive and relatively rapid economic growth, having gone from a developing country to the eleven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Over the past decade, however, the rate of economic growth has slowed, and income distribution is becoming more concentrated, affecting the accessibility of housing for many.
7.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은 대규모의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제성장을 경험하며 개발도상국에서 현재 세계 11위 경제국으로 발돋움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고 소득 분배는 점점 더 한쪽에 집중되었는데, 이는 많은 이들의 주거에 대한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8. The impressive economic growth resulted in an overall decline in poverty, although 13.1 per cent of the population still lives below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poverty line. 3 ) The Republic of Korea has the highest old-age poverty rate of the OECD countries. Nearly half (45.7 per cent) of the population above the age of 65 years lives in relative poverty and is therefo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inadequate housing conditions. 4 )
II. Legal framework
II. 법체계
9. The Republic of Korea has ratified a number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9. 대한민국은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하거나 비인도적 또는 굴욕적인 대우와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에 관한 협약,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인권조약을 비준했다.
10. The Republic of Korea has not yet ratifie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or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which would increase access to justice for individuals, group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laints procedure.
10. 대한민국은 아직 국제 진정 절차를 통해 개인, 단체, 비정부기구의 사법 절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과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하지 않았다.
11. According to article 6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reaties that have been “duly concluded and promulgated” are equal in effect to domestic laws.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can therefore be relied on by courts. Although the Constitution does not include an explicit “right to adequate housing”, it specifies, in article 34 (1), that “all citizens shall be entitled to a life worthy of a human being” and, in article 35 (3), that “the State shall endeavour to ensure comfortable housing for all citizens through housing development policies and the like”. Pursuant to article 23 (3), fair compensation shall be provided for any expropriation or restriction of property rights on the basis of public needs.
11. 대한민국 헌법 제6조는 “체결·공포된” 조약은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고 인정한다. 즉, 법원에서 국제인권조약을 근거로 하여 판결을 내릴 수 있다는 의미이다. 헌법에는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가 명확히 나와 있지는 않지만, 헌법 제34조 1항은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제35조 3항은 “국가는 주택개발정책 등을 통하여 모든 국민이 쾌적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언급한다. 헌법 제23조 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에 대해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명시한다.
12. The right to housing and its many dimensions is found in legislation. In article 2 of the Framework Act on Residence (2015), it states that “people have the right to live a decent residential life in a pleasant and stable dwelling environment, protected against any physical or social danger”. 5 ) It further specifies that people’s housing expenses shall be maintained at affordable levels through housing supply and subsidization according to income levels and life cycle, and that housing standards for low-income and other disadvantaged groups shall be elevated by giving them priority in supply and expense subsidization. In addition, it specifies that support shall b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housing nee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lder persons and other disadvantaged groups are met. There are also specific laws targeting those most in need, such as the Act on the Support for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Aged, the Housing Benefits Act and the Act on Support for Welfare and Self-Reliance of the Homeless. 6 )
12. 주거권 및 이와 관련한 다양한 사안은 법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제정된 주거기본법 2조는 “국민은 ... 물리적ㆍ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생활을 할 권리를 갖는다”고 규정한다. 5 ) 해당 법은 더 나아가 소득수준ㆍ생애주기 등에 따른 주택 공급 및 주거비 지원을 통하여 국민의 주거비가 부담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것과 임대주택의 우선공급 및 주거비의 우선지원을 통하여 저소득층 등 주거지원이 필요한 계층의 주거수준이 향상되도록 할 것을 명시한다. 이에 더해 해당 법은 장애인ㆍ고령자 등 주거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언급한다. 또한, 도움을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한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과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도 존재한다. 6 )
III. Right to adequate housing
III.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
13. According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States have an obligation to progressively realize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using maximum available resources.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narrow or restrictive sense, such as merely having a roof over one’s head; rather, it should be seen as the right to live somewhere in security, peace and dignity.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encompasses: (a) legal security of tenure; (b) availability of services, materials and infrastructure; (c) affordability; (d) habitability; (e) accessibility; (f) location; and (g) cultural adequacy. 7 )
13. 국제인권법에 따르면, 국가는 최대한의 가용 자원을 사용해 점진적으로 주거권을 실현할 의무가 있다. 주거권은 단순히 비를 피할 지붕이 있으면 된다는 식의 좁거나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주거권은 안전하고, 편리하며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곳에서 살 권리로 받아들여야 한다.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는 (a) 점유의 법적 보장, (b) 서비스, 시설 및 인프라에 대한 가용성, (c) 비용의 적정성, (d) 거주 가능성, (e) 접근성, (f) 적절한 위치, (g) 문화적 적절성을 포함한다. 7 )
14.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many efforts towards the progressiv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The establishment of public housing programmes substantially addressed the housing shortage in the early 2000s, and overall housing condition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decades. Enhancing housing affordability and quality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disadvantaged groups has, however, become a pressing issue.
14. 대한민국은 주거권을 점진적으로 실현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2000년대 초반 공공주택 프로그램의 시행으로 주택 부족 문제를 상당 수준 해결할 수 있었고, 전체적인 주거 환경은 지난 수십 년간 굉장히 개선되었다. 하지만 현재, 저소득 가정과 주거약자를 위해 시급히 주택비용과 주택의 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15.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States are required to adopt a comprehensive national housing strategy or plan. 8 ) While the Republic of Korea has adopted the Framework Act on Residence, it is unclear how the many housing-related laws and programmes interact and whether, taken together, they will lead to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Goal 11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commitments made under the New Urban Agenda.
15. 국제인권법은 국가가 포괄적인 국내 주거 전략 또는 계획을 채택할 것을 요구한다. 8 ) 비록 한국이 주거기본법을 제정했지만, 다양한 주거 관련 법률과 프로그램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고, 상호작용할 경우에도 이것이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 지속가능개발목표(SDG)의 11번 목표와 새로운 도시 의제의 효율적 실현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A. Overview of housing conditions
A. 주거 환경에 대한 개괄
16. After the Korean war (1950–1953), the Republic of Korea faced a significant housing shortage. Seoul still had many informal settlements in the early 1960s, formed by those who had lost their homes in the war, refugees and people from rural areas settling in the city. In 1966, Seoul had a population of 3.8 million, with approximately 720,000 households, but only 360,000 homes were available in the city. The country, still under military rule, embarked on what can be called a “bulldozer” approach to “slum” clearance that did not comply with human rights-based approaches to the upgrading of informal settlements (see A/73/310/Rev.1). It was at that time that the first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were erected in Seoul.
16.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이어진 한국전쟁 후, 대한민국은 중대한 주택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 서울에는 1960년대 초까지 전쟁 중 삶의 터전을 잃은 사람, 난민 그리고 도시로 이주한 농어촌 출신들이 형성한 임시 거주지가 다수 존재했다. 1966년 서울에는 380만 명의 인구와 약 72만 가구가 있었지만, 서울 시내 사용 가능한 주택은 단지 36만호뿐이었다. 당시 여전히 군사정권 아래 있던 한국은 “빈민가” 지역을 “불도저”로 밀어버린다고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정리했는데, 이는 인권기반의 임시 거주지 개선 방식과는 거리가 매우 멀었다(A/73/310/Rev.1 참고). 바로 그 당시 서울에 첫 번째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Accessibility
접근성
17. In 1981,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housing fund and began to provide public lands for the large-scale development of housing by private and public sector developers. Several years later, the Government went on a massive construction drive to create 2 million unit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creasing construction from about 200,000–250,000 units per annum during the 1980s to more than 500,000 units per year during the early 1990s. 9 ) Public housing stock for rent continued to increase, from about 825,500 units in 2007 to 1.36 million in 2016. 10 ) The Special Rapporteur welcomes the fact that the current Government is continuing its strong commitment to investment in public housing at a time when such investment is under threat in many countries. The Government aims to increase the ratio of public rental housing units to total housing units from 6.7 per cent to 9 per cent by 2022 and to supply 130,000 additional public housing units every year.
17. 1981년 한국 정부는 국민주택기금을 설치했고 민간 및 공공 부문 개발자의 대규모 주택 개발 용도로 공공택지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몇 년 후, 정부는 단기간에 주택 200만 호를 짓기 위한 대규모 건설 작업에 들어갔고, 1980년대에 연간 20만에서 25만 호이던 주택 건설은 1990년대 초에는 연간 50만 호 수준이 되었다. 9 ) 공공임대주택의 수는 2007년 약 82만 5천 5백 호에서 2016년 약 136만 호까지 꾸준히 늘었다. 10 ) 특별보고관은 수많은 국가가 공공주택에 대한 투자를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달리, 한국의 현 정부는 계속하여 굳은 의지로 공공주택에 투자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점을 환영한다. 한국 정부는 공공임대주택 비율을 2022년까지 6.7 퍼센트에서 9 퍼센트까지 높이고, 매년 13만 호의 추가적인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8. In 2007, the Government adopted a housing support policy that designated 15 per cent of public rental housing for vulnerable groups. However, between January 2013 and July 2017, only 3.5 per cent of such units were provided to persons considered vulnerable. 11 )
18. 2007년, 한국 정부는 공공임대주택의 15 퍼센트를 취약계층에 할당하는 주거 지원 정책을 채택했다. 하지만, 2013년에서 2017년 7월 사이, 공급된 전체 물량의 3.5 퍼센트만이 주거약자에게 제공되었다. 11 )
Habitability
거주가능성
19. In the 1980s, most Koreans lived in detached houses, but the current most typical form of housing is the apartment complex, representing 60 per cent of all housing units. Only 46.5 per cent of all housing units in the country are older than 20 years, as the prevailing policy has been to replace old housing stock with larger and taller apartment complexes. 12 )
19. 1980년대에 한국인 대부분은 단독주택에 거주했지만, 오늘날 가장 전형적인 주거형태는 아파트로, 전체 주택의 60 퍼센트를 차지한다. 한국 내 전체 주택 중 46.5 퍼센트만 20년 이상 되었는데, 이는 노후 주택을 더 크고 높은 아파트 단지로 대체하는 것이 주된 정책이었기 때문이다. 12 )
20. The Special Rapporteur welcomes the introduction by the Government of minimum housing standards in 2004 and the monitoring of the number of housing units that do not comply with them. These standards require a particular number of rooms and a particular floor size per household member and were updated in 2011. Over the past decade, the share of substandard housing according to the official minimum housing standards has plummeted, from 16.6 per cent in 2006 to 5.9 per cent in 2017. However, in absolute numbers, there are still more than 1 million substandard housing units.
20. 특별보고관은 한국 정부가 2004년 최저주거기준을 도입한 점과 해당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주택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행한 점을 환영한다. 해당 기준은 구성원 수에 따라 필요한 방의 개수, 면적 등의 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2011년에 개정되었다. 지난 10년간,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2006년 16.6 퍼센트에서 2017년 5.9 퍼센트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절대적인 수치를 보면 여전히 100만 가구 이상이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한다.
21. Overall, overcrowding in housing has been reduced substantially. Between 1980 and 2016, the average floor size per person tripled to 33 m². Many people, however, still reside in a jjokbang or goshiwon, which are on average just 3.3 m², as discussed below. There has been a marked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piped water, from just 56 per cent in 1980 to almost 98 per cent in 2010,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equipped with a modern toilet increased from just 18.4 to 97 per cent during the same time frame. 13 ) However, 5.3 per cent of households living below the poverty line still have no access to a private flushing toilet, which is above the OECD average. 14 )
21. 전체적인 주택 내 인구 과밀 문제도 상당히 줄어들었다. 1980년과 2016년 사이 1인당 평균 주거 면적은 세 배 늘어 33 제곱미터를 기록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아래에서 다룰 내용처럼 면적이 평균적으로 3.3 제곱미터 밖에 되지 않는 ‘쪽방’ 또는 ‘고시원’에 살고 있다. 수도 시설을 갖춘 주택 비율은 1980년 56 퍼센트에서 2010년 98 퍼센트까지 크게 증가했고, 현대식 화장실을 갖춘 주택 비율은 같은 기간 18.4 퍼센트에서 97 퍼센트까지 늘었다. 13 ) 하지만, 빈곤선 아래에 놓인 가구 중 5.3 퍼센트는 여전히 독립적인 수세식 화장실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데, 이 수치는 OECD 평균을 웃돈다. 14 )
B. Issues in focus
B. 주요 사안
1. Housing affordability
1. 주택의 경제적 부담 가능성
22. The lack of affordable housing in the Republic of Korea is a substantial barrier to adequate housing, in particular for those in the lowest income groups, which includes young people, older persons, single paren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Low-income households (bottom 20 per cent) tend to spend 26.3 per cent of their income on rent and can at times struggle to cover other necessities. Housing affordability is a particular problem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33.6 per cent of all households face an excessive housing cost burden. 15 )
22. 한국에서 적절한 가격대의 주택 부족 문제는 청소년, 노인, 한부모, 장애인 등 최저소득층에게 적정한 주거를 제공하는 데 심각한 장애물로 작용한다. 하위 20 퍼센트 저소득 가정은 소득의 26.3 퍼센트를 집세로 지출하고, 이로 인해 때때로 기타 생활필수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주택의 경제적 부담 가능성 문제는 특히 수도권에 두드러지는 현상으로, 수도권 가정의 33.6 퍼센트는 과도한 주택비용 부담 문제에 직면했다. 15 )
23. Buying a home has also become increasingly expensive. During the past 10 years, home prices in all metropolitan areas have increased on average by 3.8 per cent per annum. 16 ) The burden of buying a home in Seoul rose to a six-year high in the last quarter of 2017. 17 ) According to KB Kookmin Bank, average apartment prices in Seoul increased by 19.1 per cent between May 2017 and May 2018. While apartment prices soared, the monthly income of an average three-person household increased by only 1.5 per cent. 18 ) The main drivers of the price increases are real estate speculation and increased demand for housing in metropolitan areas.
24. The Government has tried to ensure affordable housing for low-income households through several public housing schemes and a social and housing benefit for persons living in poverty.
24. 정부는 다양한 공공주택 프로그램과 빈곤층을 위한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등을 통해 저소득층에게 적정 가격대의 집을 제공하고자 노력해왔다.
25.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is one of the largest public housing providers in the world and provides 70 per cent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stock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Corporation’s largest public housing programme is the national rental housing scheme, with about 600,000 units accessible to households earning below 70 per cent of the average median income. It provides rental accommodation at 60–80 per cent below market rate. The Government has also invested in a public permanent rental housing programme that targets low-income households. The programme is accessible to those in receipt of a basic living benefit. Rents are set at approximately 30 per cent of market price. However, there are only approximately 200,000 permanent rental housing units available. 19 )
25.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공주택 사업자 중 하나며,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70 퍼센트를 공급한다. 국민임대주택 계획은 LH 최대의 공공주택 프로그램으로, 평균 중위소득의 70 퍼센트 미만 소득 가정이 이용할 수 있는 60만 호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 국민임대주택 임대료는 시장 가격보다 60에서 80 퍼센트 저렴하다. 정부는 또한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영구임대주택에도 투자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기초수급자들이 이용 가능하다. 공공 영구임대주택의 임대료는 시세의 약 30 퍼센트로 정해져 있다. 하지만, 현재는 오직 약 20만 호의 공공 영구임대주택만이 있다. 19 )
26. These publicly funded programmes can be commended. The Special Rapporteur was pleased to hear that, after her visit,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vulnerable persons can now be exempted from providing a deposit for a public rental unit, which has proved to be a major access barrier for those in the lowest income bracket.
26. 격려의 의미로, 위의 공공 지원 프로그램들에 칭찬의 박수를 보낸다. 그동안 최저소득층에게 공공임대 보증금은 주요 장벽 역할을 했는데, 특별보고관이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간 후, 한국 정부가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공공임대 주택을 보증금 없이 이용 가능하도록 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 기뻤다.
27. In 1999, through the unifie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e Government introduced a rental allowance scheme for the lowest-income households. Under the Housing Benefits Act, people living in private rental accommodation can receive a monthly cash subsidy calculated on the basis of household income, rent level, family size and location. 20 )
27. 1999년 한국 정부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통해 최저소득 가구를 위한 주거급여를 제공했다. 주거급여법에 따라, 민간 임대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사람은 가구 소득, 임대료 수준, 가족 규모와 거주지 위치 등을 기준으로 책정된 임차료를 매달 지원받을 수 있다. 20 )
28. While the number of households receiving the housing benefit increased from 686,000 in 2015 to 940,000 in 2018, until very recently many applicants could not receive this benefit as their next of kin held assets or had income that would disqualify the applicant. In addition, only those with an income below 44 per cent of the median income would qualify. 21 ) The Special Rapporteur also learned that the housing benefit is inadequate to meet housing costs. A number of residents in receipt of livelihood and housing benefits reported that the housing benefit is insufficient to cover actual housing costs and that they must therefore use their livelihood benefit to pay their rent. Some residents pay more than $250 per month on rent for some of the smallest units with the most squalid conditions, which renders them exceptionally expensive on a per-square-metre basis. In 2016, the average housing benefit covered only 69.8 per cent of the actual average rents paid by the beneficiaries.
28. 주거급여 수급자 수가 2015년 68만 6천 가구에서 2018년 94만 가구로 늘었지만 아주 최근까지만 해도 가장 가까운 가족이 지원 자격 수준을 넘는 자산을 소유하거나 그 이상의 소득을 올렸다는 이유로 많은 신청자가 주거급여를 받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중위소득 44퍼센트 미만의 소득을 올리는 사람만이 지원 자격을 가진다. 21 ) 특별보고관은 또한 주거비용 수준을 고려했을 때 주거급여가 충분치 못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특별보고관이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를 지원받는 다수의 수급자와 만났을 때, 이들은 주거급여만으로는 실제 주거비용을 충당하기엔 부족하며, 그런 이유로 집세를 내기 위해 생계급여까지 사용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몇몇 사람들은 가장 비좁고 심각하게 열악한 거주지의 집세로 월 250달러 이상을 내고 있으며, 이는 제곱미터 당 비용으로 따졌을 땐 특히 비싼 수준이었다. 2016년 기준, 수급자들이 받는 평균 주거급여로는 실제 평균 집세의 69.8 퍼센트만을 충당할 수 있었다.
29. The Special Rapporteur is concerned by the fact that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social security and housing benefits are discriminatory and violate articles 2 (2), 9 and 11 (1)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s foreign residents and those without a fixed address who cannot provide proof of their previous permanent residence are excluded from receiving the benefits.
29. 특별보고관은 외국인 거주자와 영구 거주 사실을 입증할 수 없는 고정적인 주소가 없는 사람은 지원대상에서 배제된다는 점에서 사회보장과 주거급여 적격성 기준이 차별적이며, 이는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제2조 2항, 9조 그리고 11조 1항을 위반하고 있기에 우려를 표한다.
30. The Special Rapporteur was very pleased to learn that, after her visit, the Government abolished the regulations limiting access to the housing benefit for those with immediate family members in good economic standing.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that the income eligibility criteria for receiving the housing benefit will be relaxed over time. By 2020, income below 45 per cent of the median income will qualify for the benefit scheme. Although this will improve access to housing benefits, a large cohort of those living below the relative poverty rate will still be excluded.
30. 특별보고관이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간 후, 한국 정부가 주거급여의 부양의무자 규정을 폐지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 아주 기뻤다. 한국 정부는 또한 주거급여를 받기 위한 소득 적격성 기준을 향후 완화할 것이라 발표했다. 2020년에는 중위소득의 45 퍼센트 미만의 소득을 올리는 경우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통해 주거급여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더라도, 상대적 빈곤 아래에 살아가는 다수는 여전히 제외될 것이다.
2. Security of tenure: joensei and monthly rental
2. 점유의 안정성: ‘전세’와 월세
31. There are three main forms of tenure in the Republic of Korea: owner-occupied housing, joensei and monthly rental.
31. 한국에서 두드러지는 주거형태는 자가, ‘전세,’ 월세의 세 종류가 있다.
32. Given that close to 60 per cent of the population is in a homeownership situation,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can be said to have security of tenure, a cornerstone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However, this figure drops to 47 per cent for single parents and less than 30 per cent for single persons, making them increasingly dependent on the increasingly expensive and insecure rental housing market.
32. 전체 인구의 거의 60 퍼센트가 자가 소유자인 상황에서 대다수 한국인은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의 토대인 점유의 안정성을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수치는 한부모 가정의 경우 47 퍼센트, 1인 가구의 경우 30 퍼센트 아래로 떨어지며, 이들은 점점 비싸지고 불안정한 임대주택 시장에 의존하게 된다.
33. Traditionally, the most common rental regime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joensei. In this regime, a tenant is required to pay a large lump-sum deposit – 50 to 70 per cent of the total market price of the unit – for a specified rental contract period (usually two years). The homeowner then invests this money, and the return on the homeowner’s investment is in lieu of monthly rental payments. Upon termination of the lease, the tenant receives back their lump-sum deposit.
33.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가장 흔한 임대 형태는 ‘전세’였다. 전세 제도에서 세입자는 주로 2년 정도의 특정 계약 기간 동안 머물기 위해 해당 주택 총 시장 가격의 50에서 70 퍼센트에 이르는 큰 규모의 보증금을 일시에 지불해야 한다. 임대인은 이 보증금을 투자금으로 사용하고, 월세를 받는 대신 해당 투자로 인한 수익을 올리게 된다. 계약이 종료되면 세입자는 보증금을 돌려받는다.
34. Joensei is seen by many tenants as a step towards homeownership through a savings scheme of sorts. It also assisted i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it provided homeowners with liquid capital for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t a time when banking institutions were experiencing great instability. High interest rates in the 1980s and 1990s ensured that property owners received sufficient monthly interest returns and spared them from the collection of monthly rent and the possible risk of tenants defaulting on their monthly rent payments.
34. 많은 세입자가 ‘전세’를 다양한 저축 계획을 통해 주택 소유주로 한발 다가가는 기회로 생각한다. 또한, 금융 제도가 불안정했던 과거에 주택 소유주들은 전세금을 건설 또는 개발을 위한 유동자금으로 사용하며 한국의 급격한 성장에 이바지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고금리는 임대인들에게 충분한 월간 이자 소득을 보장했고, 이들은 월세를 걷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었으며, 세입자의 월세 연체 또는 미납과 같은 위험 요소에서도 벗어날 수 있었다.
35. Over the past decade, the proportion of joensei on the rental market has declined. In 2017, 22.5 per cent of all households were in monthly rental contracts, as compared with 15.2 per cent in joensei rental arrangements. 22 ) This is in part because the low interest earned through capital markets makes joensei contract arrangements less attractive to owners. To generate more profits, property owners have sharply increased the joensei deposits, to such an extent that they are outpacing inflation and household incomes, making this form of rental accommodation less affordable, including for medium-income households. 23 )
36. These developments would be less worrying if security of tenure were available for all, irrespective of type of tenancy.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security of tenure is truly guaranteed only for the homeowner. The lack of adequate protections for tenants (in both joensei and monthly rentals) has been the major cause of housing instability for those who do not own a home. Under article 4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24 ) lease terms must have a minimum duration of two years. Once the lease expires, however, the tenant does not have the right of renewal and the homeowner can increase upfront deposits at will and without restriction. The tenant is thus left either to accept the increase or to find another home.
36. 종류를 불문하고 모든 임대차 형태에 대하여 점유의 안정성이 보장되었다면 이러한 변화는 덜 우려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점유의 안정성은 자가 소유주에게만 진정으로 보장되어 있다. 전세와 월세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부족한 점은 자가 소유주가 아닌 사람이 겪는 주거 불안정성의 주요 원인이 되어왔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24 ) 에 따르면,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임대차 계약이 만료된 후, 임차인은 계약을 갱신할 권리가 없으며 임대인은 자유로이 그리고 제한 없이 전세금을 올릴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세입자는 오른 금액을 받아들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집을 찾아야 한다.
37. According to the latest figur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enants remain in rental units for only 3.4 years on average and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that stay in the same home for less than two years is as high as 35.9 per cent. 25 )
37. 국토교통부에서 가장 최근에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세입자들은 한 집에 3.4년을 머무르며, 같은 집에 2년 미만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이 현재 35.9 퍼센트까지 올라갔다고 한다. 25 )
38. During the visit, a tenant reported to the Special Rapporteur that he and his family had had to move 16 times in the past 20 years, as the cost to renew his existing rental contracts had exceeded his financial means. This causes a great deal of instability, as it is difficult to develop community ties and it disrupts schooling for children. The lack of security of tenure, together with the failure to put more stringent caps on rent increases year upon year, means that residents with joensei contracts must often continue to borrow funds every two years. It also contributed to the high average household debt at 163 per cent of net disposable income.
38. 한국 방문 기간 동안, 한 세입자는 특별보고관에게 임대차 계약 갱신 시점에 상승한 전세금이 자신의 경제력을 넘어서는 바람에 자신과 가족이 지난 20년간 열 여섯 번이나 이사를 다녀야 했다고 말했다. 이는 상당한 수준의 불안정성을 야기한다. 지역사회에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어려워지고, 자녀의 학교 교육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연간 임대료 인상에 대한 엄격한 상한선 설정 실패로 점유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결국 전세 거주자가 매 2년마다 자금 대출을 받아야 하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무려 실질 가처분소득의 163 퍼센트에 이르는 대한민국 평균 가계부채에 영향을 미쳤다.
39. The joensei system has remained popular because housing costs for apartments rented through this system are on average lower than for similar housing rented on a monthly basis. However, the initial capital needed for the lump-sum deposit creates a barrier, in particular for the young population and other low-income households, such as single-parent households. If a prospective tenant has a low income and inadequate savings or no family members who can provide a loan, only the monthly private rental market is accessible, which is more expensive and provides even less protection for tenants.
39. 같은 아파트에 월세로 들어가는 것보다 전세로 들어가는 것이 평균적으로 가격이 낮으므로 그동안 많은 사람이 전세 제도를 이용해왔다. 하지만, 전세금 마련에 상당량의 초기 자본이 필요한데, 이는 청년이나 한부모 등 저소득 가구에게는 걸림돌이 된다. 소득이 낮고, 저축액이 부족하거나 가족으로부터 돈을 빌릴 수 없는 세입자는 전세보다 더 비싸고 세입자에게 더 낮은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는 월세 시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40. Th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address some of these issues by, for example, developing a public loan scheme. In December 2017,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plan for the promotion of rental housing registration to encourage, through tax benefits, multi-unit homeowners to voluntarily register their homes as private rentals. Tenants benefit from this plan, as rent increases are capped and the right of renewal for four or eight years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registration period chosen by the homeowner. Currently, the registration rate is relatively low at 18 per cent of multi-unit homeowners.
40. 한국 정부는 공공대출 등으로 이러한 사안을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2017년 12월, 한국 정부는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세금 혜택을 주며 다주택자가 자발적으로 소유지를 임대주택으로 등록하도록 유도했다.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을 통해 임대료 상승률에 상한선이 정해지고, 임대인이 선택한 등록 기간에 따라 4년에서 8년 단위의 계약 갱신이 가능해짐으로써 세입자는 혜택을 받게 된다. 현재, 다주택자의 임대주택 등록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18 퍼센트를 기록하고 있다.
3. Informal settlements: goshiwon, jjokbang and vinyl greenhouses
3. 비공식 주거지: 고시원, 쪽방 그리고 비닐하우스
41. According to household population surveys, the number of households occupying informal settlements or substandard housing not intended for residency, including vinyl greenhouses, jjokbang, goshiwon and containers, has rapid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57,000 in 2005 to close to 394,000 in 2015. Overall, the housing conditions in these informal housing units are grossly inadequate: cramped, overcrowded, prone to flooding and fires and without adequate indoor sanitation facilities, placing women at particular risk.
41.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비닐하우스, 쪽방, 고시원 그리고 컨테이너 등 비공식 주거지나 주거 목적이 아닌 기준 미달의 시설에서 거주하는 가구의 수가 2005년 5만 7천 가구에서 2015년 39만 4천 가구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비공식 주거지의 전체적인 주거 환경은 극도로 열악한데, 비좁고, 과밀하며, 홍수나 화재에 취약하고, 실내 위생시설이 부재하여 특히 여성이 위험에 노출된다.
42.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residents living in both goshiwon and jjokbang units. Goshiwon were initially constructed as temporary student accommodation. They are, on average, small cubicles of around 3 m2, often without windows and with barely enough room for a single bed and a small table. The buildings, usually managed by a live-in caretaker, have a common kitchen and shared sanitation facilities. This substandard housing is no longer reserved exclusively for students. Instead, it is used as accommodation for people with low incomes, most of whom are older persons, either unemployed or retired. Rental costs are surprisingly steep notwithstanding the cramped and substandard conditions, ranging from 220,000 to 450,000 won per month ($220–$450).
42. 특별보고관은 고시원과 쪽방 거주자를 모두 만났다. 고시원은 초기에 학생을 위한 임시 숙박 시설로 지어졌다. 평균적으로 고시원은 3 제곱미터 남짓의 좁은 방으로, 방에 창문이 없는 경우가 많고, 1인용 침대와 작은 책상이 하나씩 들어가면 꽉 찰 정도로 좁다. 고시원은 주로 해당 건물에 입주한 관리자가 관리하며, 공용 주방과 공동 위생시설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이와 같은 기준 미달의 주거지에는 비단 학생만이 거주하지 않는다. 오히려 고시원에는 주로 실직하거나 은퇴한 노인 등 저소득층이 거주한다. 비좁은 면적과 기준 미달의 환경을 고려하면 고시원 월세는 터무니없이 비싸며, 그 비용은 한 달에 22만원에서 45만원(220에서 450 달러) 수준이다.
43. A jjokbang, originally built as temporary accommodation for construction workers and day labourers, is a one-room unit of from 2.5 to 5 m2, with common kitchen and sanitation facilities.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some of these residences and noted that some were so small that the tenants had to sleep sitting up or in a bent position. Only short-term leases (monthly, weekly or daily) are available for this type of accommodation. Despite the short-term nature of the rental contracts, 57 per cent of residents live in a jjokbang on a long-term basis (more than seven years). 26 )
43. 쪽방은 건설노동자나 일용직 근로자를 위한 임시 숙박 시설로, 2.5에서 5 제곱미터 남짓의 단칸방과 공동 주방 및 위생시설로 이루어졌다. 특별보고관은 이와 같은 주거지를 몇 군데 방문했고, 해당 방문을 통해 몇몇 쪽방은 앉아서 자거나 구부린 채 잠을 자야 할 정도로 비좁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쪽방은 월, 주 또는 일 단위의 단기 임대만 가능하다. 하지만 이렇게 단기 임대차 계약만 존재함에도 쪽방 거주자의 57 퍼센트는 장기적으로, 약 7년 이상 쪽방에 머문다. 26 )
44. For many persons living in poverty, these units are housing of last resort. Costs to reside in a jjokbang are from 7,000 to 8000 won ($6–$7) per day, or 250,000 won per month ($220). During her inspection of several jjokbang residences in downtown Seoul, the Special Rapporteur noted that many are not only small but also very poorly maintained. Rainwater poured into several rooms, and residents are in a weak position to demand repairs, as they risk losing their room and have no alternative accommodation.
44. 많은 빈곤층에게 이러한 주거형태는 최후의 보루이다. 쪽방에는 하루에 7천원에서 8천원 (약 6에서 7 달러) 또는 한 달에 25만원 (약 220 달러) 수준에서 머물 수 있다. 서울 시내 다수의 쪽방을 조사하던 중, 특별보고관은 쪽방이 대부분 비좁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 수준이 형편없다는 점을 발견했다. 몇몇 방에는 빗물이 새고 있었고, 거주자들은 대체 주거지 마련도 못한 채 쫓겨날 수 있으므로 수리를 요구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었다.
45. Residents living in these sorts of informal accommodation lack security of tenure and are thus at risk of being forcibly evicted, in particular by urban development projects. Residents also face the risk of fire breaking out because many of the units are made of highly flammable materials, such as plastic, scrap wood or cardboard. The largest informal settlement in Seoul is Guryong village, where several fires have occurred since 2010. Vinyl tents are also used to house migrant workers in agricultural areas in deplorable,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45. 이러한 비공식 주거 거주자들은 점유의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고, 그런 이유로 특히 도시 개발 프로젝트에 밀려 강제로 퇴거 될 위험에 놓여있다. 이러한 주거지는 주로 플라스틱, 나무판자, 판지 등 가연성 자재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 거주자들은 화재의 위험에도 직면한다. 구룡마을은 서울 시내 가장 큰 비공식 주거 지역으로, 2010년 이후 여러 차례의 화재가 발생한 지역이기도 하다. 낙후되거나 기준 미달의 농촌 지역에서 근무하는 외국인 노동자는 비닐하우스에서 묵기도 한다.
46. The Special Rapporteur notes with appreciation that government officials acknowledge that the goshiwon, jjokbang, vinyl greenhouses and other informal accommodation do not meet adequate housing standard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e urgency to address unsuitable living conditions and insufficient safety arrangements with immediate effect is underlined by a fire that broke out in Seoul on 9 November 2018 in a goshiwon that was home to 50 residents, killing 7 people and injuring 12. 27 )
46.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공무원들이 고시원, 쪽방, 비닐하우스 그리고 기타 비공식 주거가 국제인권법 하의 적정한 주거 기준에 미달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안도한다. 일곱 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열두 명의 부상자를 낳은 2018년 11월 9일 고시원 화재 사건을 보면 적절치 못한 주거 환경과 안전설비 미비 문제를 시급하게 해결해야 함을 알 수 있다. 27 )
47. The Special Rapporteur is concerned by the fact that the Government has yet to develop a plan to upgrade these types of informal accommodation and to ensure access to adequate housing for residents, in accordance with its commitments under target 11.1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its human rights obligations.
47. 특별보고관은 한국 정부가 아직 지속가능개발목표의 11번 목표, 11.1번 세부목표와 정부의 인권 의무에 따라 이러한 비공식 주거를 개선하고 거주자들의 적정한 주거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것을 우려한다.
4. Homelessness
4. 홈리스
48. According to article 2 of the Act on Support for Welfare and Self-Reliance of the Homeless, 28 ) persons living in homelessness are defined broadly to include those who have lived without a permanent abode or who have slept in a shelter for a substantial period, as well as persons who live in a dwelling that is considered uninhabitable. Despite this inclusive definition, statistics gathered in 2016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unted only those sleeping rough or in homeless shelters, amounting to 11,340 people. 29 )
49. According to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is number soars to 262,000 when those living in informal units, such as vinyl homes and huts, and those residing in substandard housing, such as goshiwon, jjokbang and containers, are included in the count.
49. 시민사회단체에 따르면, 이 수치는 비닐하우스와 움막뿐만 아니라 고시원, 쪽방 그리고 컨테이너 등 기준 미달의 비공식 주거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포함하면 26만 2천 명까지 치솟는다.
50. The factors leading to street homelessness includ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reduction of affordable small units such as jjokbang in central locations, as many are being converted into more profitable guest houses for tourists.
50. 거리 홈리스의 증가 요인으로는 아시아 금융위기뿐만 아니라 수익성이 좋은 게스트하우스로의 변경을 위해 시내 중심지에서 쪽방 같은 부담가능한 소형 주거지의 수가 감소한 것을 꼽을 수 있다.
51. The Special Rapporteur spoke with a number of homeless persons living in and around Seoul station. Each of them said that they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stigmatization and deep shame as a result of their housing status. Government policies to ensure long-term, adequate housing solutions for vulnerable groups living in substandard housing, such as jjokbang, goshiwon, inns or vinyl houses, in homeless shelters or on the street have been inadequate and inadequately implemented.
51. 특별보고관은 서울역과 그 주변에서 살아가는 다수의 홈리스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홈리스들은 주거가 없는 상황을 이유로 차별, 사회적 낙인, 강한 수치심 등을 느꼈다고 이야기했다. 쪽방, 고시원, 여관 또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기준 미달의 주택이나 홈리스 시설 또는 거리에서 살아가는 취약계층에게 장기적이고 적정한 주거 문제 해결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시행은 충분치 못했다.
52. While homelessness is generally not criminalized in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law prohibits begging in public space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force homeless people out of parks, citing public safety concerns. The Special Rapporteur witnessed hostile architecture under bridges designed to prevent people from sleeping there.
52. 한국에서 홈리스 상태가 일반적으로 범죄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지만, 한국 국내법은 공공장소에서의 구걸을 금지하며, 공공 안전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공원 등에서 노숙인들을 강제로 쫓아내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특별보고관은 다리 아래에서 사람들이 잠을 자는 것을 막으려는 목적으로 설계된 건축물 등을 직접 목격했다.
53. The Special Rapporteur remains concerned about the prohibition of sleeping in railway stations, enforced since 2011, as well as the hiring of security firms to remove persons living in homelessness from train stations. The Special Rapporteur is also concerned by the fact that, without a fixed address, access to the subsistence allowance and housing subsidy is denied.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for people sleeping rough to improve their living and housing conditions.
53. 특별보고관은 2011년부터 철도역에서 잠을 자는 것을 금지한 것 외에도 기차역의 홈리스들을 쫓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보안회사를 고용한 점에 대해 여전히 우려한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고정적인 주소 없이는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를 신청할 수 없다는 점을 우려한다. 이는 거리 홈리스들의 생활환경 및 주거 환경 개선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있다.
54. The Special Rapporteur encourages the national police to adopt a community policing approach towards homeless people. She welcomes the fact that, in 2012, Korail established a programme offering part-time employment to persons living in homelessness to assist their reintegration. She is also pleased that, since her visit, the programme has expanded from Seoul station to Busan, Daejeon and Cheongnyangni stations. Of the initial 240 participants in Seoul station, 20 were later employed by Korail and 65 in other public and private sector jobs. The part-time employment was paid, but monthly payments were below the basic social subsistence allowance rate.
54. 특별보고관은 경찰청이 홈리스에 대한 지역사회 경찰활동 방식을 채택할 것을 권장한다. 특별보고관은 2012년에 코레일이 홈리스의 사회 재통합을 지원하고자 시간제 일자리 프로그램을 마련한 것을 환영한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한국을 방문하고 돌아간 후, 해당 프로그램이 서울역뿐만 아니라 부산역, 대전역 그리고 청량리역까지 확대되었다는 소식을 들어 기뻤다. 서울역의 초기 참가자 240명 중 20명은 추후 코레일이 직접 고용했으며, 65명은 다른 공공 및 민간 부문 일자리를 찾았다. 하지만 시간제 고용인들의 월급은 기초 생계비보다 적었다.
55. Although the Government recognizes that homelessness is a significant issue, it does not appear to have a plan to identify and address the root causes of homelessness with a view to its elimination, in keeping with its international human rights obligations and its commitments unde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New Urban Agenda. The Special Rapporteur also did not hear of plans to ensure that long-term adequate housing options are available to those who are homeless.
55. 한국은 홈리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만, 정부에게 국제인권 의무, 지속가능개발목표 그리고 도시 의제에 기반을 두어 홈리스 근절을 목적으로 그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계획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홈리스에게 장기적으로 적정한 주거 선택지를 보장하기 위한 계획에 대해서도 듣지 못했다.
5. Urb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5. 도시 재개발 및 재건축
56. While large-scal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have been comm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Special Rapporteur welcomes the Government’s paradigm shift to move away from mass forced evictions, demolitions and reconstruction towards small-scale urban renewal projects, undertaken in consultation with residents, with minimal involuntary displacement and with the aim of improving living conditions in communities. This is consistent with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56. 한국에서는 그동안 재개발 및 재건축이 대규모로 자주 진행되어왔지만, 특별보고관은 강제퇴거와 철거, 재건축을 진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원치 않는 이주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거주자들과의 협의 후 소규모 도시 재생 사업에 집중하려는 정부의 패러다임 전환을 환영하는 바이다. 이러한 방식은 인권기반 접근 방식과 일치한다.
57. The previous policy of large-scale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has not been entirely phased out, however. The Special Rapporteur was informed that many projects throughout the country that had already been designated for 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continue to be executed under the previous policy. For example, as at April 2018, the city of Busan was committed to continuing 171 planned large-scale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The Special Rapporteur hopes that these planned or ongoing large-scale redevelopment projects will be re-evaluated and carried out in a manner that is fully compliant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57. 하지만 대규모 철거와 재건축을 진행하던 기존의 정책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특별보고관은 한국에서 이미 철거와 재건축이 예정되었던 다수의 프로젝트는 여전히 기존 정책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정보를 얻었다. 예를 들어, 2018년 4월, 부산시는 기존에 계획된 171개의 대규모 재개발 및 재건축 프로젝트를 계속하기로 했다.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기존에 계획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이것이 국제 인권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58. For a neighbourhood to be designated as a reconstruction zone, the consent of at least 75 per cent of all homeowners must be secured. These homeowners are guaranteed to receive priority access to housing units after the reconstruction is completed. Tenants, who often make up 70 per cent of the residents in the areas concerned, are not adequately consulted by the Government or by property owners, and some argue that compensation schemes are insufficient to secure a new rental home in a proximate location. The Special Rapporteur also heard disturbing reports of violence and intimidation of residents at the hands of private developers. Some individuals facing imminent forced eviction said that they feel helpless and voiceless, with no choice but to remain in their homes as a form of protest.
58. 어떤 지역이 재건축 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주택 소유주’의 75 퍼센트가 동의해야 한다. 주택 소유주들은 재건축이 완료되면 우선적인 주택 제공을 보장받는다. 하지만 재건축 관련 지역 인구의 약 70 퍼센트를 차지하는 ‘세입자’들에 대해서는 정부 또는 주택 소유주들이 충분히 협의하지 않고, 몇몇 세입자들은 기존 거주지에 근접한 위치에 새로 집을 구하기엔 보상이 충분치 못하다고 주장한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민간 개발업자가 거주자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위협을 가하기도 한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들었다. 강제퇴거가 임박한 몇몇 사람들은 집에 남아서 버티는 것 말고는 항의할 수 있는 방법이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라 무력감을 느낀다고 이야기했다.
59.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Ahyeon-dong, a neighbourhood in Seoul undergoing reconstruction, where residents have been forcibly evicted without prior consultation, compensation or adequate support for relocation. Local police allegedly failed to protect residents from the squads hired by the developers to demolish their houses. 30 ) The area was designated for redevelopment in 2003, but the plan stalled for more than 10 years before evictions and home demolitions began in 2018.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witnessed irregular methods used by private demolition companies to force out residents from their homes,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doors and windows of inhabited homes and the spreading of garbage in the streets to make the area uninhabitable.
59. 특별보고관은 재건축이 진행 중이며 사전 협의, 보상 또는 적절한 이주 지원 없이 강제퇴거 당한 거주자들이 있는 서울 아현동을 방문하였다. 경찰은 주택을 철거하라고 개발자가 고용한 사람들로부터 거주자들을 보호하는 데 실패했다고 추정된다. 30 ) 해당 지역은 2003년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되었지만 2018년 퇴거 및 철거가 시작되기 전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재개발 계획은 미뤄진 상태였다. 방문하는 동안 특별보고관은 민간 철거업체가 거주자들을 집에서 쫓아내기 위해 사람이 사는 집의 문과 창문을 부수고, 해당 지역에 사람이 살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거리에 쓰레기를 뿌리는 등 비정상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직접 목격했다.
60. After the Special Rapporteur’s visit, she received reports that one resident of Ahyeon-dong, who had experienced repeated evictions together with his mother, committed suicide on 3 December 2018 after he was evicted from his temporary shelter. 31 ) According to news reports, after the tragic incident, the developer decided to compensate the mother of the deceased and has offered support to her and three other households who have refused to vacate their homes. 32 )
61. The Special Rapporteur has been informed that the city of Seoul has launched an investigation to examine the legality of the forced evictions that took place in Ahyeon-dong. Such an investigation must include an analysis of any possible viol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61. 특별보고관은 서울시에서 아현동 강제퇴거의 적법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러한 조사를 할 때는 반드시 국제인권법을 위반한 사례가 하나라도 있었는지 분석해야 한다.
62. The Special Rapporteur is concerned by the fact that the current legal framework for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fails to comply fully with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general comment No. 7 (1997) on forced evictions of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the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n development-based evictions and displacement (see A/HRC/4/18, annex I). These human rights standards require that States explore every alternative to displacement; that all residents be consulted about and participate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urban renewal plans, regardless of their housing status as homeowners or tenants; that no individual be rendered homeless or vulnerable as a consequence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that alternative housing that meets all adequacy standards, including affordability, be provided; and that residents have access to legal recourse to challenge an eviction.
62. 특별보고관은 현재의 재개발과 재건축에 관한 법체계가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 강제퇴거에 대한 일반논평 7(E/1998/22), 개발로 인한 퇴거와 이주에 관한 기본 원칙과 지침 (A/HRC/4/18)에 완전히 부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한다. 이러한 인권 기준은 국가가 이주에 대해 모든 대안을 찾아보고, 재개발 계획의 기획 및 시행 단계에 주택 소유주 또는 세입자를 막론하고 모든 거주자가 협의하고 참여하며, 그 어떠한 개인도 재개발과 재건축 사업의 결과로 홈리스나 주거 취약 상태가 되어서는 안 되며, 경제적 부담 가능성을 포함해 모든 적정성 기준을 충족하는 대안적 주거가 제공되며, 거주자가 퇴거 관련 법적 청구권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63. The Special Rapporteur welcomes the fact that, in 2016,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and the Export-Import Bank of the Republic of Korea adopted a safeguards policy that includes improved regulations for involuntary resettlement. It is, however, perplexing that standards to protect affected communities and individuals in development projects abroad appear to be stronger and more in lin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than standards to protect those at home. In her view, that which is demanded of projects executed abroad to the benefit of people in foreign countries can and should also be demanded at home.
63. 특별보고관은 2016년에 한국 경제개발기금과 한국수출입은행이 비자발적 이주에 관해 개선된 규정을 포함하는 세이프가드 정책을 채택했음을 인지한다.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세이프가드 정책 채택을 환영한다. 하지만, 국내보다 국외 개발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은 지역사회와 개인을 보호하는 기준이 더 강력하고 국제인권기준에 더 부합한다는 사실은 당혹스럽다. 특별보고관의 의견으로는 해외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때문에 해외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지원하는 혜택은 국내에서도 지원할 수 있고, 지원해야 한다.
6. Financialization
6. 금융화
64. In the early 1990s, housing price stability was a top priority of the Government, which sought to suppress speculation by targeting supply to would-be qualifying owner-occupiers. Speculation was frequently regarded as the key driver of housing price increases, and foreign investment in land was strictly prohibited until 1994, when, owing to lower housing demand, the Government began to allow limited foreign acquisition of commercial real estate. 33 ) After joining OECD in 1996, the Republic of Korea was compelled to liberalize and do away with regulations that had preserved prices and suppressed speculation in the housing market. Property market liberalization was also a condition of the bailout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 1998. 34 ) Both these events led to policies that fuelled the financialization of housing, including lifting the ceiling on individual foreign ownership to 55 per cent and allowing foreign financial institutions to purchase equity in domestic banks without restriction.
64. 1990년대 초, 주택 가격 안정화는 정부의 최우선 과제였고, 정부는 주택을 집을 소유하는 동시에 그곳에 실제로 거주할 사람에게 공급하며 투기를 억제하려 했다. 투기가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는 시선이 많았고, 토지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1994년까지 엄격하게 금지되었지만 낮은 주택 수요로 인해 정부가 외국인의 상업용 부동산 소유를 제한적으로 허가하며 바뀌었다. 33 ) 1996년 OECD에 가입한 후, 대한민국은 규제 완화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고 주택 시장에서 집값을 유지하고 투기를 억제하는 역할을 했던 규제를 풀기 시작했다. 또한, 부동산 시장 규제 완화는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제공 조건 중 하나였다. 34 ) 이 두 사건으로 인해 55%로 제한되었던 외국인 소유 지분 상한선 폐지, 해외 금융기관의 제한 없는 국내 은행에서의 자본 구매 등 주택의 금융화로 이어진 정책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65. In 1998,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was passed. This Act further eased the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on investment by foreigners, while expanding tax incentives for their real estate purchases. 35 ) The Government also implemented foreigner-friendly policies, such as allowing city mayors to designate areas of the city as “foreign investment zones” to induce foreign investment. 36 )
66. The Special Rapporteur was pleased to hear that the current Government has tightened rules on mortgages and the resale of newly built housing units to restrict speculative investment in parts of Seoul and Busan. Rules on mortgages for second homes will also be tightened to prevent excessive borrowing, out of concern for the increase in household debt. 37 )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closely tracking and classifying the most heated markets in country, designating them appropriately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stabilize the housing prices therein.
66. 특별보고관은 현 정부가 서울과 부산의 몇몇 지역에서 투기를 제한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 규정과 신규 건물 전매제한을 강화했다는 소식을 듣고 기뻤다. 가계부채 증가를 우려하여 과도한 대출을 막고자 두 번째 주택 구매를 위한 담보대출 기준도 강화될 것이다. 37 ) 이에 더해, 정부는 현재 한국 내 가장 과열된 시장을 면밀하게 추적하고 분류하여 해당 지역을 적합하게 지정하고 그곳의 집값 안정화를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67.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joensei system, property owners can quickly become multiple homeowners, which also financializes the housing market and drives up prices. The Special Rapporteur was informed that a new law, which came into force in April 2018, would serve to regulate property owners who own multiple homes by encouraging them, through tax benefits, to register their units, with a view to reducing housing speculation.
67. 전세 제도의 성격상, 임대인들은 빠르게 다주택자가 될 수 있고, 이는 주택 시장 금융화로 이어지며 집값 상승의 원인이 된다. 특별보고관은 2018년 4월에 제정된 신규 법률이 다주택자가 제대로 주택을 등록하고 세금을 내도록 하여 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들었다.
68.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is the third largest in the world, valued at $596 billion. In the past 10 years, the Service has been increasing overseas investment, including in real estate overseas, to diversify its portfolio, lower its exposure to risk and ensure that it can perform adequately to provide security to its beneficiaries.
68. 한국의 국민연금공단은 5천 9백 60만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여 그 규모가 세계 3위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국민연금공단은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손실의 위험을 낮추고, 수급자에게 연금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해외 부동산 투자 등 해외 투자를 늘려왔다.
69. The rapidly age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ratio of beneficiaries to contributors has put pressure on the Service to ensure high returns. The Service is therefore under pressure to “diversify its portfolio in terms of geographical exposure” in order to achieve high investment incomes without relying exclusively on volatile stock markets or low interest bonds. 38 )
69.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뿐만 아니라 점점 늘어나는 연금 기여자 대비 수급자 비율로 인해 국민연금공단은 높은 수익률을 올리도록 압박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국민연금공단은 유동적 주식시장 또는 저금리 채권에만 의존하지 않고 높은 투자 수익을 올리기 위해 ‘지리적 위치를 고려한 부동산 분산 투자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38 )
70. Real estate investments make up the largest alternative asset class within the Service, and alternative investments have significantly grown, from 0.5 per cent in 2005 to 11.4 per cent in 2016. Although the Service indicated that only a small portion of its investments has, to its knowledge, gone into residential real estate, the Special Rapporteur is concerned as to whether due consideration is being given to possible adverse effects of investments in real estate on the enjoyment of the right to housing. The push of global investment into residential real estate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unaffordability of housing in many countries. Investment in real estate is not negative per se.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a public pension fund investing in social or public housing to promote a social goal and a public pension fund investing mainly in residential real estate in prime locations with the intention of maximizing profits,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whether such investments may have any adverse effect on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housing.
70. 국민연금공단의 대체 자산 목록 중 부동산 투자는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체투자 비율도 2005년 0.5 퍼센트에서 2016년 11.4 퍼센트까지 상당히 많이 증가했다. 비록 국민연금공단이 자신들이 아는 한 주거용 부동산에는 오직 작은 비율만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이야기했지만, 특별보고관은 부동산 투자가 주거권 실현에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충분히 숙고하지 않은 채 내린 결정은 아닌지 우려한다. 전 세계의 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 흐름은 수많은 국가에서 주택 가격의 심각한 상승에 기여했다. 부동산 투자는 그 자체로는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공공 연금 재단이 사회적 목표를 이루려는 목적에서 사회 또는 공공주택에 투자하는 것과, 투자로 인해 주거권 실현에 부작용이 있지 않을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의도로 주요 지역의 주거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
IV.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IV. 차별과 사회적 배제
A. Women, young people and older persons
A. 여성, 청년 그리고 노인
71. As stated above, the Republic of Korea has experienced a rapidly changing demographic, which demands distinct measures to meet the housing needs of women, older persons and young people.
71. 위에서 언급하였듯, 대한민국은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를 겪었고, 이런 맥락에서 여성, 노인뿐만 아니라 청년층의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별개의 조치가 필요하다.
72. Women face significant barriers in access to housing, in particular under the joensei rental system. The Republic of Korea has the widest gender pay gap among all OECD countries, at 35.4 per cent as at 2016. 39 ) Despite the entry into force in 2009 of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ct, the aim of which is to realize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discriminatory treatment persists with respect to wages and in employment. 40 ) This makes it increasingly difficult for women to pay a large lump-sum deposit or even a high monthly rent.
73. Women who are divorced, separated or widowed, in particular those with children, face increased discrimination in access to housing. The social stigma faced by single mothers makes them undesirable tenants. The Special Rapporteur welcomes the fact that, in 2019, the Government increased subsidies for children living in single-parent families in order to reduce the percentage of such families living in poverty. Women are considerably disadvantaged after a divorce, as the division of marital property is not equal but rather is based on each spouse’s relative contribution. In the case of the death of a spouse, the property cannot be inherited if it is under the name of the male spouse. 41 )
73. 이혼, 별거 또는 사별한 여성의 경우, 특히 아이가 있다면 더욱, 주거 진입에 있어서 더 심한 차별을 겪는다. 싱글맘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싱글맘을 기피 세입자로 만든다. 특별보고관은 한국 정부가 빈곤 속에 살아가는 한부모 가정을 줄이기 위해 2019년에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을 위한 지원금을 늘렸다는 소식을 환영한다. 이혼 후 재산이 동등하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배우자 각각의 상대적 기여도에 따라 분배되기 때문에 여성은 이혼 후 상당한 불이익을 겪는다. 이혼한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재산이 남성 배우자 명의로 되어있으면 여성 배우자는 상속을 받지 못한다. 41 )
74. Young people face significant barriers in access to affordable and adequate housing. Between 2005 and 2015, single-person households, almost half of which are made up of young people, increased fivefold in Seoul. 42 ) The Government’s housing policy, however, has remained focused on couples or family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represent only about 8.8 per cent of all tenants living in public housing supplied by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The rent and quality of rented apartments, in which most students and young people live, are not regulated by the Government, forcing young people to spend a large portion of their income on substandard housing.
74. 청년은 부담 가능하고 적정한 주거에 접근하는 데 심각한 장벽에 직면한다. 2005년과 2015년 사이, 서울의 1인 가구 수는 다섯 배 증가했는데, 이 중 거의 절반이 청년이다. 42 ) 하지만 정부의 주택정책은 여전히 부부 또는 가족으로 구성된 가구에 집중 되어있고, LH가 제공하는 공공주택 세입자 중 오직 8.8 퍼센트만이 1인 가구다. 대부분 학생과 청년으로 구성된 임대 아파트의 임대료와 품질에 대해서는 정부의 별다른 규정이 없으며, 이로 인해 청년은 소득의 많은 부분을 기준 미달의 주거에 소비하도록 강제된다.
75. Nearly half of older persons live in relative poverty and in poor living conditions, in particular when they are not homeowners. Owing to the changes in family support structures, older persons can no longer rely on children or relatives for care.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ged 65 years and above is rapidly growing and projected to reach 39.2 per cent by 2035. 43 ) Social security transfers are not commensurate with average rental prices, in particular for older women, who tend to receive lower pension entitlements.
75. 노인의 거의 절반이 상대적 빈곤과 가난한 생활환경에서 살아가며, 주택 소유주가 아닌 경우엔 특히 더 그렇다. 가족 구조의 변화로 인해, 노인들은 더 이상 자녀나 친척들이 돌봐 주는 것에 의존할 수 없고, 65세 이상 1인 가구 비율은 급격하게 늘고 있으며 2035년에는 39.2 퍼센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43 ) 사회보장연금은 항상 평균 임대료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낮은 액수의 연금을 받는다.
76. Older persons constitute one of the largest groups living in informal settlements, such as goshiwon and jjokbang. Their homes tend to be located in popular urban areas vulnerable to the consequence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In 2010, the Asian Human Rights Commission raised its concern over the forced eviction of hundreds of tenants, mostly older persons, in the Gocheok traditional business market. The Commission stated that the public administration failed to intervene, using the excuse that redevelopment projects are a “private matter”, resulting in a lack of protection of the right to housing for vulnerable persons. 44 )
76. 노인은 고시원과 쪽방 등 비공식 거주지에 사는 가장 큰 규모의 집단 중 하나다. 이들의 집은 주로 도심에 위치하여, 도시 재개발 사업의 영향에 취약한 경향이 있다. 2010년, 아시아인권위원회는 대부분 노인으로 구성된 고척 시장 세입자 수 백 명의 강제 퇴거 문제와 관련해 우려를 표했다. 위원회는 정부가 재개발 사업은 “민간 문제”라는 핑계를 대며 개입에 실패했고, 이 때문에 취약계층의 주거권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이야기했다. 44 )
77. While more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e barriers faced by older persons, the Special Rapporteur commends the Government for taking some positive steps in this regard. For example, the Bogeumjari programme aimed to provide 1.5 million public housing units with integrated social services for older persons between 2009 and 2018. In 2017,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had provided more than 105,770 public rental housing units over the past five years, including customized rental housing units for seniors living alone.
77. 물론 노인이 마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더 들여야 하지만, 특별보고관은 정부가 이와 관련해 몇몇 긍정적인 절차를 밟은 점에 대해 칭찬한다. 2009년과 2017년 사이 노인에게 통합 사회 서비스가 포함된 공공주택 150만 호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행된 보금자리 프로그램이 그 예이다. 2017년에는 서울특별시가 지난 5년간 독거노인을 위한 맞춤형 임대주택을 포함해 105,770호의 공공임대 주택을 제공했다고 발표했다.
B. Migrant workers
B. 이주 노동자
78. The foreign popul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owing to the demand for migrant workers in mining, manufacturing and agriculture. There were 2.18 million foreigners in the country as at 2017. 45 ) Migrant workers are largely excluded from the Government’s housing policy. Legislation such as the Labour Standards Act and the Act on the Employment, etc., of Foreign Workers has so far inadequately dealt with migrants’ access to adequate housing. Migrant workers are also excluded from having access to public rental housing and public housing benefits, constituting a clear violation of articles 2 (2), 9 and 11 (1)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78. 광산업, 제조업 그리고 농업 분야의 이주 노동자 수요가 늘어나며 한국 내 외국인 인구는 작년 한 해 동안 상당히 증가했다. 2017년 기준, 한국에는 218만 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45 ) 이주 노동자는 정부의 주거 정책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근로기준법 또는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은 현재까지 이주 노동자의 적정한 주거에 대한 접근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이주 노동자는 공공임대 주택과 공공주택 혜택에서도 배제되는데, 이는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제2조 2항, 제9조 그리고 제11조 1항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다.
79. Research conduct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evealed the poor liv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Dormitories provided by their employers are often makeshift buildings or structures such as vinyl greenhouses or containers, made of sheets and panels and lacking bathrooms and showers. 46 )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one such place. The Commission has, in 2013 and 2017,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improve the hous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79.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수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농업 분야에 종사하는 이주 노동자의 생활환경이 매우 좋지 못하다고 한다. 고용주가 제공하는 기숙사는 비닐하우스 또는 컨테이너 등의 가건물 또는 구조물이고, 천막이나 판자로 이루어졌으며, 화장실이나 샤워 시설이 미비한 경우가 많다. 46 ) 특별보고관은 실제로 한 곳을 방문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13년과 2017년에 각각 정부에 이주 노동자의 주거 환경을 개선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80.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recently issued a legislative notice allowing migrant workers to request a change of their place of employment if employers fail to provide adequate food or lodging. While it is necessary to abolish all restrictions prohibiting migrant workers from changing their employment (see E/C.12/KOR/CO/4, para. 37), this new regulation is a positive step forward.
80. 고용노동부는 최근에 고용주가 적절한 식사 또는 숙박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이주 노동자가 사업장 변경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입법예고를 했다. 물론 이주 노동자가 고용 상태를 조정하는 것을 막는 모든 제한을 철폐해야 하지만(CESCR, 최종 권고문, E/C.12/KOR/CO/4, 37항), 이 새로운 규정도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C. Persons with disabilities
C. 장애인
81. In 2008,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atifie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article 19 of the Convention, Governments should take active measures to help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Nevertheless, more than 30,000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institutionalized and 78,000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reside in psychiatric hospitals in the Republic of Korea. Because of the lack of strategy to facilitate and support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only those individuals who are fortunate to have personal or family assistance are able to live outside of an institution.
81. 2008년에 한국 정부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비준했고, 해당 협약 제19조는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조치를 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만 명 이상의 장애인이 장애인 시설에서 살아가며 정신장애를 가진 7만 8천 명의 사람들이 정신병원에서 지낸다고 한다. 장애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자립을 촉진하고 지원하기 위한 전략이 부족하므로 오직 개인적 또는 가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운이 좋은 개인들만 시설이 아닌 곳에서 살 수 있다.
82. While the Government has adopted legislation to protect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47 )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lack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ose acts. 48 ) The Special Rapporteur was pleased to hear that the Government has abolished its old contested system that determined, through the tallying of points, the level of assistan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he was informed that the system will be replaced in July 2019 with a more comprehensive assessment criteria to determine eligibility for living support. 49 ) The Special Rapporteur urges the Government to review her report on the right to housing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A/72/128) and to base eligibility for living support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circumstances and nee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82. 정부가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했지만, 47 )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는 이러한 법률이 효율적으로 이행되지 않는다는 우려를 표했다. 48 ) 특별보고관은 정부가 점수를 매겨 장애인의 지원 수준을 결정했던 기존의 장애등급제를 폐지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 기뻤다. 특별보고관은 장애등급제가 2019년 7월에 생활 지원 적격성을 결정하는 더 포괄적인 평가 기준으로 대체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49 ) 특별보고관은 정부가 특별보고관의 주거권과 장애인에 대한 보고서(A/72/128)를 검토할 것과 장애인 개인의 특성, 상황과 욕구에 따라 생활 지원 적격성 기준을 설정하길 촉구한다.
D.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D. 성소수자
83. The Special Rapporteur heard of various forms of discrimination suffered daily by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se include a series of discriminatory laws and practices that make it difficult for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to enjoy their right to housing. The Government has failed to recognize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couples in its rental housing policies, but has taken several measures to prioritize newly-wed heterosexual couples. In addition, neither the law relating to the inheritance of property nor the national tenant law provides security of tenure for partner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who have shared a home in the event of the death of one of the partners.
83. 특별보고관은 한국의 성소수자가 일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차별을 받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성소수자는 일련의 차별적인 법률과 관행 때문에 주거권을 제대로 누리기 힘들다. 같은 맥락에서 한국은 임대주택 정책 측면에서 신혼 이성애자 부부를 우선시하는 조치를 취한 반면 성소수자 부부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 한국의 상속법이나 임대차 관련 법 모두 동거하던 성소수자 부부 중 한 명이 사망했을 경우, 그 파트너에게 거주권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84. Transgender persons face enormous barriers in access to housing. Owing to the invasive requirements for gender recognition, including sterilization surgery, many transgender persons cannot change their gender marker on their government-issued identification. The Special Rapporteur heard of instances in which individuals whose gender identity did not match that on their identification cards faced significant difficulty in renting a home. Owing to suspicion and stigma, many property owners decline to rent to transgender people. In addition,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young people face domestic violence from their families and, when they flee their homes, have difficulty in gaining access to shelters, as many shelters are segregated by gender, ultimately leading them into homelessness.
84. 트랜스젠더는 주거에 접근할 때 거대한 장벽과 마주친다. 불임 수술을 포함해 성인지 측면에서 외과 수술을 받아야 하는 트랜스젠더는 정부 발행 신분증에서 성별 표시를 바꿀 수 없다. 특별보고관은 신분증에 적힌 성별과 성 정체성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이 주택임대와 관련해 큰 어려움에 직면했던 사례를 들었다. 의심과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많은 임대인들이 트랜스젠더에게는 집을 임대하기를 거부한다. 이에 더해, 트랜스젠더와 젠더 비순응 청소년이 가정폭력에 시달리고 가출할 경우, 일반적으로 성별을 구분해서 수용하는 쉼터에 접근하기 어려워 결국 홈리스가 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
85. In her meeting with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Special Rapporteur was dismayed to hear that the barriers faci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were “outside the policy focus” of the Ministry.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recommended, in its concluding observations, that the Republic of Korea take effective measures to eliminate de jure and de facto discrimination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and “revise legal and regulatory provisions that are discriminatory or have a discriminatory effect, such as those relating to social security, reproductive health and housing” (E/C.12/KOR/CO/4, para. 25 (b)). The Special Rapporteur was encouraged to hear that, in August 2017, the Supreme Court ordered the Government to allow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foundations to legally register as charities. 50 ) This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recognizi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as a vulnerable group in Korean society and empowering their representatives to advocate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housing rights.
85. 성소수자와의 만남 당시 특별보고관은 성소수자가 직면한 장벽이 여성가족부의 “정책적인 관심 밖”에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경악했다. UN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위원회는 최종견해에서 한국이 성소수자 차별에 대해 법률상 및 사실상의 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효율적인 조치를 취하고 “사회보장, 생식 건강, 주거와 관련된 차별적이거나 차별적인 영향이 있는 법 조항 또는 규정을 수정” 할 것을 권고했다(E/C.12/KOR/CO/4, 25 (b)항). 특별보고관은 2017년 8월에 대법원이 정부에게 성소수자 재단이 자선단체 법적 등록하는 것을 허가하라는 판결을 내렸다는 이야기를 듣고 고무되었다. 50 ) 이 판결은 성소수자가 한국 사회에서 취약계층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성소수자의 주거권을 옹호하기 위해 그들의 대표들에게 힘을 실어 준 중요한 발걸음이다.
V. Access to justice
V. 사법 절차에 대한 접근
86. Central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housing is the ability of rights holders to claim the right to housing, as the Special Rapporteur argued in her most recent thematic report (A/HRC/40/61).
86. 특별보고관이 가장 최근의 주제별 보고서에서 주장했듯, 주거권 실현을 위해서는 권리를 가진 자가 주거권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A/HRC/40/61).
87.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cludes a broad right to a life worthy of a human being.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dignity and life itself (see A/71/310),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could be read into this provision. To date, this provision has not been used for such claims. Furthermore, the Special Rapporteur was told that, because the Constitution gives only limited scope to the right to housing, there may be a reluctance by the judiciary more generally to review the conformity of domestic legislation with the right to housing. The Special Rapporteur learned that the judiciary was likely to accord deference to the Government if housing rights claims of a systematic nature challenging government policies were made. The Special Rapporteur learned of a case in which a utility company challenged its obligation to provide utility services to individuals. The court imposed on the company positive obligations, suggesting that the court might be open to other rights claims requiring the Government to provide particular services or goods and not only protect residents against violations related to national housing legislation, including in the field of the right to housing.
87. 대한민국 헌법은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넓은 범위의 권리를 담고 있다. 주거, 존엄성, 생명 그 자체의 관계에 있어서(A/71/310),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는 이 조항에 포함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현재까지 해당 조항은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더 나아가, 특별보고관은 헌법상 주거권은 그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법부가 국내법의 주거권 준수 여부 검토를 주저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특별보고관은 만약 주거급여의 도달 범위와 수준 등 정부 정책에 대하여 체계적인 주거권 주장 사례가 발생할 경우, 사법부가 정부의 손을 들어줄 확률이 높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특별보고관은 실제로 한 공익기업이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자신의 의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한 사례에 대해 들었다. 법원은 해당 기업에 적극적인 의무를 부과하며 사법 당국이 주거권을 포함해 기타 적극적인 권리 주장에 개방되어 있음을 시사했다.
88. The Korea Legal Aid Corporation provides free legal advice in its 113 offices, and around 5 per cent of all cases for which it provided support in 2018 relate to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Barriers to access to justice for the right to housing include the high costs associated with legal procedures, such as court stamp fees (see E/C.12/KOR/CO/4, paras. 7–10). In addition, there appears not to be a strong culture of claim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rough strategic litigation by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hile the Framework Act on Residence provides for the right to live a decent residential life, avenues and mechanisms for residents to claim the right to housing in the Republic of Korea could be further strengthened.
88. 대한법률구조공단은 113개의 사무소에서 무료 법률상담을 제공하고, 2018년 제공한 모든 상담 중 5 퍼센트가 주택임대차보호법 관련 사례였다. 주거권 주장을 위한 사법 절차에 대한 접근을 가로막는 장벽으로는 인지 수수료 등 법적 절차를 진행하는데 수반하는 높은 비용이 포함된다(E/C.12/KOR/CO/4, 7-10항 참조). 이에 더해, 한국에는 시민사회단체의 주도 아래 전략적인 소송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를 주장하는 문화가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물론 주거기본법에서 쾌적한 주거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에 대해 명시하지만, 한국에서 거주자가 주거권을 주장할 방안과 방법은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89.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can receive complaints by rights holders and undertake investigations. Its investigative mandate is, however, limited to articles 10 to 22 of the Constitution, thus largely exclud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lthough the Commission can investigate and receive complaints relating to discrimination and has used this mandate to undertake studies covering the right to housing. As at May 2017, complaints received by the Commission have related mainly to civil and political rights rather than discrimination. 51 ) Of the approximately 20,000 discrimination cases heard, 269 concerned discrimination in relation to residential facilities. 52 )
89. 국가인권위원회는 권리자들의 진정을 접수해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조사 권한은 헌법 제10조와 제22조 사이의 권리에 관련한 것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비록 위원회가 차별 관련 진정 사항을 접수하고 조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거권 관련 몇몇 연구를 진행하기는 했지만,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대한 조사는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2017년 5월 기준 위원회에 접수된 진정은 대부분 차별보다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것이었다. 51 ) 대략 2만 건의 차별 관련 사례 중, 269건만이 주거시설 차별과 관련이 있었다. 52 )
90. The Special Rapporteur notes that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ncludes provisions establishing dispute conciliation committees in each branch of the Korean Legal Aid Corporation. These committees can deliberate on and mediate disputes over increases in or the reduction of rents and deposits, lease periods and maintenance issues. 53 ) As the dispute conciliation committees were established in 2017, it is too early to assess whether they provide an effective mechanism for tenant protection in housing disputes.
90. 특별보고관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대한법률구조공단 각 지부에 분쟁조정위원회를 설립하는 조항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해당 위원회는 임대료 및 보증금 상승 또는 인하와 임대차 기간 및 유지보수 사안 등에 대해 심의하고 관련 분쟁을 중재할 수 있다. 53 ) 분쟁조정위원회가 2017년에서야 설치되었기에, 주거 분쟁 사례에서 위원회가 입주자 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해결방법을 제공하는지 평가하기엔 아직 매우 이르다.
91. The Special Rapporteur welcomes the fact tha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taken a leading role in implementing human rights policies at the city level. For example, it established the Committee against Human Rights Violations, a mechanism that receives and can investigate human rights complaints related to the city’s administration and its public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including welfare institutions that receiv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ity. Institutions and bodies that have received a recommendation from the Committee have two months to notify the Human Rights Division regarding follow-up measures taken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 The Committee can also give advice on municipal regulations and policies that influence human rights. As many housing issues fall under the scope of municipalities, this type of mechanism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providing full access to justice at the local level. 54 )
91. 특별보고관은 서울특별시가 한국 내에서 인권 정책을 시 수준에서 이행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왔다는 사실을 환영한다. 그 일환으로 설립한 시민인권침해구제위원회는 시 행정 차원과 시로부터 금전적인 지원을 받는 복지기관 등을 포함한 공공기관과 공기업 관련 인권 침해 진정을 접수하고 조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다. 위원회의 권고를 받은 기관과 단체는 두 달 내에 서울시 인권팀에 권고사항 이행을 위해 어떤 후속 조치를 취했는지 알려야 한다. 위원회는 또한 인권에 영향을 미치는 시 규정과 정책에 대한 권고를 할 수 있다. 많은 주거 관련 사안이 지방 당국의 업무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메커니즘은 지역 수준에서 사법 절차에 대한 완전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다. 54 )
92.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furthermore established a human rights protection group for demolition sites, which includes a member of the Seoul Bar Association. Its aim is to protect residents at demolition sites through human rights monitoring. The group currently focuses on persuading “residents to voluntarily and peacefully leave the property” and on overseeing “the process at the eviction site to prevent violence against residents”. 55 ) The group has conducted monitoring at more than 30 demolition sites, but it is not clear whether the group also assists in protecting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for homeowners and tenants facing eviction and relocation, for example in legal disputes relating to eviction or demolition orders.
92. 서울특별시는 더 나아가 서울지방변호사회의 회원이 포함된 철거 현장 인권지킴이단을 만들었다. 인권지킴이단은 인권 모니터링을 통해 철거 현장의 거주자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철거 현장 인권지킴이단의 주요 역할은 “거주자가 자발적으로 그리고 평화롭게 집을 떠나도록” 설득하고 “거주자에 대한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퇴거 현장에서 일어나는 절차”를 전체적으로 감시하는 것이다. 55 ) 인권지킴이단은 30곳 이상의 철거 현장에서 모니터링을 진행했지만, 지킴이단이 예를 들어 퇴거와 철거 명령에 대한 법적 분쟁 상황에서 퇴거와 이주에 직면해 있는 주택 소유주와 세입자의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의 보호까지 지원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VI.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VI. 결론 및 권고사항
93. The Republic of Korea has made significant efforts to progressively realize the right to housing. The Government has taken steps, including in the period since the visit of the Special Rapporteur, to provide a legislative and policy framework that both recognizes the right to housing and allows for its implementation. In the past 50 years,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with respect to the quality and supply of housing in the country. Access to water and sanitation and overcrowding have been addressed for many people. Perhaps most notably,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largest publicly funded housing programme in the world.
93. 대한민국은 점진적으로 주거권을 실현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해왔다. 한국 정부는 특별보고관의 방문 후에도 주거권을 인정하고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법안과 정책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은 한국 내 주택 품질 및 공급에 있어 커다란 발전을 거듭했다. 수자원과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 그리고 인구 과밀 문제가 많은 부분에서 해결되었다. 그리고 어쩌면 가장 두드러진 발전은 바로 정부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적자금을 지원하는 주택 프로그램을 실행했다는 점이다.
94. The Special Rapporteur is concerned that, despite this progress, some aspects of housing quality, security and affordability, in particular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disadvantaged groups, remain pressing issues.
94.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주택 품질, 안전 그리고 경제적 부담 가능성 등의 몇몇 요소가 특히 저소득 가구와 취약계층에게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95. More than 300,000 people continue to live in substandard accommodation or in informal settlements.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affecting housing in metropolitan areas are being implemented without consulting affected populations and are causing forced evictions and displacement. Homelessness, when broadly defined, is a significant problem affecting more than 260,000 people. Social security measures are denied to some vulnerable populations and are insufficient for those who are eligible. The joensei system must be further regulated to properly respond to the socioeconomic realities of the Republic of Korea.
95. 30만 명 이상이 계속해서 기준 미달의 시설 또는 비공식 거주지에 살고 있다. 수도권 지역의 재건축과 재개발 사업은 이에 영향을 받는 사람 들과의 협의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강제로 퇴거 되거나 이주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넓은 의미로 정의한 경우, 홈리스는 한국에서 26만 명 이상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다. 몇몇 취약계층은 사회보장 제도에서 제외되어 있고, 수급을 받는 경우에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경제적 현실에 제대로 대응하기 위해 전세 제도에 대한 추가적인 규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96. The Special Rapporteur regards the housing concerns outlined in the present report to be manageable and is confident that they can be addressed, especially in the light of the Government’s strong commitment to human rights and the right to housing. The Government also has the capacity, financial resources and planning skills to make further significant improvements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for all people living in the country.
96. 특별보고관은 본 보고서에 서술된 주거 문제는 해결 가능하다고 믿으며 특히 인권과 주거권 실현을 위한 정부의 굳은 의지를 고려하면 해결될 것이라 확신한다. 한국 정부는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이를 위해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를 실현하고 개선하기 위한 역량, 재정 자원, 계획 수립 능력을 갖추고 있다.
97.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earlier parts of the report, the Special Rapporteur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97. 본 보고서의 윗부분에서 언급된 권고사항에 더불어,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정부에 다음의 사항을 권고한다.
(a) The Framework Act on Residence (2015) should be amended to refer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s and standards and to ensure that it is consistent with the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rights-based housing strategies (A/HRC/37/53).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the Government must employ the standard of maximum available resources for the progressiv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housing. It should also ensur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is reviewed and updated as necessary, in consultation with relevant stakeholder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 주거기본법(2015)은 국제인권법과 국제인권기준을 반영하도록 개정되어야 하며 특별보고관의 주거 전략에 관한 보고서(A/HRC/37/53)의 내용과 그 방향이 일치해야 한다. 해당 법을 시행할 때, 정부는 주거권의 점진적 실현을 위해 반드시 최대한의 가용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필요시에 관련 이해관계자와 시민사회 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주거기본법 시행에 대해 검토하고 관련 정보를 갱신해야 한다.
(b) The Government should ensure that its various housing programmes and policies form a coherent national plan of action or strategy in keeping with the human rights principles laid out in the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rights-based housing strategies;
(b) 정부는 권리기반 주거 전략에 관한 특별보고관의 보고서(A/HRC/37/53)에 명시된 인권 원칙에 따라 다양한 주거 프로그램과 정책이 함께 어우러져 일관성 있는 국가 행동 계획 또는 전략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c)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a plan on an urgent basis to prevent, reduce and eliminate homelessness, as defined by the Act on Support for Welfare and Self-Reliance of the Homeless, by 2030, in keeping with its commitments unde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particular target 11.1. The Government must also ensure that persons living in homelessness have access to long-term housing options and are treated with dignity and respect and without violence by all government officials, their agents and third parties, including private security personnel;
(c) 정부는 2030년까지 지속가능개발목표, 그 중에서도 11번 목표와 11.1번 세부목표에 맞추어 노숙인복지법에 정의된 홈리스의 발생을 예방하고, 줄이고 근절하기 위한 계획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반드시 홈리스가 장기적 주거에 대한 선택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모든 공무원, 그 대리인, 민간 경비 인력을 포함한 제3자들이 폭력이 아닌 존엄과 존중으로 홈리스를 대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d) To address the growing unaffordability of housing,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following measures:
(d) 경제적으로 부담 불가능한 주택이 늘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
(i) Raise the housing benefits to a level that is commensurate with average rents and indexed to inflation;
(i) 평균 임대료에 상응하고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수준으로 주거급여를 인상해야 한다.
(ii) In compliance with the rights to non-discrimination and equality, ensure that social security and housing benefits are available to all who qualify in terms of level of income, includi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foreign residents and those who have no fixed address;
(ii)차별받지 않을 권리와 평등권에 따라 소득수준 등의 자격을 갖춘 성소수자, 외국인 거주자, 고정 주소가 없는 이들을 포함한 모든 이에게 사회보장과 주거급여를 보장해야 한다.
(iii) Consider taking steps to encourage residential property owners to phase out the joensei system. As a first incremental step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regi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Private Rental Housing – which places caps on rent increases and allows for longer tenancies – mandatory for multi-unit homeowners. This will also enhance the security of tenure of residents in rental accommodation;
(iii) 거주용 부동산 소유주가 전세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도록 장려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첫 번째로 정부는 임대료 인상 상한제와 더 오랜 기간 거주를 허락하는 민간임대주택 특별법에 따른 다주택자의 임대사업자 등록을 의무화해야 한다. 이런 조치는 임대주택 거주자의 거주 안정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iv) Ensure the adequat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ith long-term leases and maintain the deposit waiver to enhance access for those in the lowest income brackets;
(iv) 장기 임대가 가능한 공공임대주택을 충분히 제공하고 최저소득계층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접근성 강화를 위해 보증금 면제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
(v) Continue to promote the existing reverse mortgage scheme for older homeowners who face difficulties in meeting daily living expenses, so as to avoid their being forced out of their homes because of financial difficulties;
(v) 일상생활비용을 충당할 소득을 올리지 못하는 노인 주택 소유주가 금전적 어려움을 이유로 그들의 주택에서 나가게 되는 일이 없도록 역주택담보대출 제도를 계속해서 촉진해야 한다.
(e) To ensure the adequate supply of housing for vulnerable groups, including young people,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migrants, older person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Government should adjust the Act on the Support for Housing Disadvantaged Persons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Aged to ensure that the percentage of housing units reserved for these groups is commensurate with need;
(e) 청년, 성소수자, 이주민,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주택의 적정한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는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주거약자를 위해 할당된 주택 비율을 수요에 맞춰야 한다.
(f) Publicly funded rental housing and social security programmes must be non-discriminatory and accessible to those in need, including those without a fixed address, foreign residents, migrants and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f) 공공임대주택과 사회보장 프로그램은 반드시 차별이 금지되어야 하며, 고정된 주소가 없는 자, 외국인 거주자, 이주민 그리고 성소수자 등이 이에 접근 가능토록 해야 한다.
(g)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enacting regulations to ensure that a certain percentage of housing units newly built by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and developers is reserved for low-income residents through a rental or homeownership scheme;
(g) 정부는 민간 건설사와 개발자가 공급하는 신규 주택의 일정 비율은 임대 또는 소유의 방식으로 저소득 거주자에게 할당하도록 하는 규정을 제정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h) The Government must develop a national strategy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all homes that currently do not meet minimum housing adequacy standard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cluding goshiwon, jjokbang and vinyl homes, in consultation with residents, in keeping with commitments made under target 11.1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Government should ensure that the upgrading of substandard housing does not result in housing that is unaffordable, or an increase in rough sleeping 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ersons living in poverty;
(h) 정부는 거주자와 협의를 거치고 지속가능개발목표의 11번 목표와 11.1번 세부목표를 이루기 위해 전념하며 고시원, 쪽방, 비닐하우스 등 국제인권법 상의 최소 적정 주거 기준에 미달되는 모든 주거지의 품질과 안전 개선을 위한 국가 전략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기준 미달 주거지를 개선한 결과가 부담가능성의 감소, 홈리스의 증가, 가난한 사람들의 시설 수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i) Forced evictions are a gross violation of the right to housing and should never occur. The Government should bring its legal framework, policies and practices with respect to the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of urban areas into full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cluding general comment No. 7 (1997) of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the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n development-based evictions and displacement;
(i) 강제퇴거는 심각한 주거권 침해이며,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이다. 정부는 도시 지역의 재건축과 재개발에 관한 법체계, 정책, 관행이 경제적ㆍ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위원회의 일반논평 7, 개발로 인한 퇴거와 이주에 관한 기본 원칙과 지침 및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를 포함한 국제인권법을 완전히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j)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regulate financial investment in housing in order to curb speculation domestically and abroad, including by pension funds, and consider the reintroduction of regulations for foreign investment in real estate;
(j) 정부는 연금공단 등의 국내외 투기를 줄이기 위해 주택에 대한 금융 투자를 계속해서 규제하고 외국인의 부동산 투자에 대한 규제 재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k)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institutional and private inves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exercise human rights due diligence as recommended by the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Im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Protect, Respect and Remedy” Framework (A/HRC/17/31). Such due diligence should include an assessment of whether investments at home or abroad may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 to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forced evictions, and whether investments in real estate may cause adverse effects on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such a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social housing stock by private acquisitions or to gentrification resulting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affordable housing stock;
(k)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의 기관 및 민간 투자자는 UN 기업과 인권 이행 지침(A/HRC/17/31)의 권고에 맞춰 인권 실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강제퇴거 등 국내 또는 국외 투자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인권 침해 여부와 민간 매입으로 인한 공공주택 수 감소 또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부담가능한 주택 수의 상당한 감소 등 적정한 주거에 대한 권리에 대한 부동산 투자의 부작용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l) The Government must ensure protec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housing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cluding by taking the following steps:
(l) 정부는 국제인권법에 맞춰 주거에 대한 차별로부터의 보호를 보장해야 한다. 이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다.
(i) Enacting non-discrimination legislation applicable to all aspects of accommodation, including access to benefits, shelters and private rental accommodation. Such legislation must include equal protection of inheritance and property rights for women and partner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It should be overseen and implement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include a claiming mechanism;
(i) 주거 지원, 쉼터, 민간 임대 주거시설 등 모든 형태의 거처에 적용 가능한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 여기에는 여성과 동성 파트너십의 성소수자에 대한 상속권 및 재산권을 동등하게 보장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해당 법안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시행 및 감독하여야 하고,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포함해야 한다.
(ii) Developing education campaigns that serve to combat the social stigma and discrimination faced by women, in particular single mothers, and by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so as to ensure that these vulnerable groups do not face discrimination by property owners. Such campaigns could be execu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serve to reorient the Ministry’s policy focus to include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ii) 취약계층이 임대인으로부터 차별받지 않도록 여성, 특히 싱글맘과 성소수자가 겪는 사회적 낙인과 차별에 맞설 수 있는 교육 캠페인을 마련할 것. 이는 여성가족부가 시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성가족부는 정책에 성소수자를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정책 포커스를 재정립할 수 있다.
(iii) Adopting a national strateg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facilitate and support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rather than in institutions, as provided for in article 19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e CRPD/C/PRT/CO/1, paras. 38–39; and A/72/128).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dequate housing and social support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ensure that they can reside with their families or enjoy independent living in their communities;
(iii)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의 제19조에 명시되었듯, 장애인이 시설보다는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살 수 있도록 촉진하고 지원하는 국가 전략을 채택할 것 (CRPD/C/PRT/CO/1, 38-39항 및 특별보고관의 보고서, (A/72/128) 참고.).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는 장애인이 가족과 함께 거주하거나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적정한 주거와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iv)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iv)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을 비준할 것.
(m) To enhance access to justice for the right to housing, the following steps must be taken:
(m) 주거권 관련 사법 절차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
(i)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be open to hearing social and economic human rights claims and interpreting the Constitution in a manner that is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 헌법재판소는 사회권에 관한 주장들을 들어야 하며, 헌법을 국제인권법의 내용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해석해야 한다.
(ii)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private bar lawyers should bring before the courts appropriate right to housing claims;
(ii) 비정부기구와 변호사들은 주거권에 대한 청구가 적절한 사법 절차를 거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ii) The Government should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ii) 정부는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 의정서를 비준해야 한다.
(iv) The Government should enhance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providing legal advice and legal assistance to tenants;
(iv) 정부는 임차인에 대한 법률상담 및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
(v)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human rights complaint mechanism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following the model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enhance existing monitoring mechanisms to effectively protect tenants from forced evictions.
(v) 정부는 서울특별시의 모델을 따라 지역정부 차원에서 인권 관련 진정 처리 메커니즘을 마련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하며, 강제퇴거로부터 임차인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현재의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더 강화해야 한다.
FootNote
각주
1)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Social indicators in 2017”. Available at http://kostat.go.kr.
1)
통계청,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및 2017년 사회적 지표, http://kostat.go.kr.
3)
According to 2015 data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vailable at https://stats.oecd.org/index.aspx?queryid=58290.
3)
출처는 2015년 OECD 데이터, https://stats.oecd.org/index.aspx?queryid=58290
5)
Act No. 13378 of 22 June 2015, as amended by Act No. 15120 of 28 November 2017.
5)
2015년 6월 22일 13378번 법안 및 2017년 11월 28일 15120번 법안에 의해 개정
6)
All relevant national laws are available in English and Korean at elaw.klri.re.kr.
6)
모든 관련 국내법은 elaw.klri.re.kr에서 영어와 한국어로 확인 가능
7)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general comment No. 4 (1991) on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7)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위원회 일반논평 4
8)
Ibid., para. 12; and Act No. 13378 of 22 June 2015, art. 5.
8)
상동, 법률 제13378호 제5조 12항, 2015년 6월 22일.
9)
Kyung-Hwan Kim and Miseon Park, “Housing policy in the Republic of Korea”,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No. 570, April 2016, pp. 3–4.
9)
박경환, 박미선 저, “대한민국의 주거 정책”, 아시아개발은행 연구소, 조사 보고서 570번 시리즈, 2016년 4월, p. 3-4.
10)
Statistics provided to the Special Rapporteur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0)
국토교통부에서 특별보고관에게 제공한 통계
11)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response to a request by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Yoon So-ha.
11)
출처: 국회의원 윤소하의 요청에 따라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자료
13)
Kyung-Hwan Kim and Miseon Park, “Housing policy in the Republic of Korea”, p. 6.
13)
박경환, 박미선 저, “대한민국의 주거 정책,” (상기 10번 각주), p.6.
14)
OECD, Affordable Housing Database, indicator HC2.2. Available at www.oecd.org/social/affordable-housing-database.htm.
14)
OECD의 Affordable housing database, indicator HC2.2 참고. 다음 주소에서 확인 가능: http://www.oecd.org/social/affordable-housing-database.htm.
15)
Data provided to the Special Rapporteur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ay 2018.
15)
국토교통부에서 특별보고관에게 제공한 자료, 2018년 5월, p.6.
17)
Yonhap, “Burden of buying house in Seoul hits 6-year high”, Korea Herald, 19 March 2018.
17)
“Burden of buying a house in Seoul hits 6-year high”, 코리아 헤럴드, 2018년 3월 19일.
18)
Kim Bo-gyung, “Surging apartment prices frustrate Seoul residents”, Korea Herald, 10 January 2019.
18)
“Surging apartment prices frustrate Seoul residents”, 코리아 헤럴드, 2019년 1월 10일.
19)
For a more comprehensive overview, see OECD, Housing Dynamics in Korea: Building Inclusive and Smart Cities (Paris, OECD Publishing, 2018), pp. 81–85.
19)
더 포괄적인 정보는 OECD의 “Housing Dynamics in Korea: Building Inclusive and Smart Cities”, (OECD, 2018년 파리), pp. 81-85에서 확인 가능
20)
Act No. 12333 of 24 January 2014, as amended by Act No. 13805 of 18 January 2016.
20)
법률 제12333호, 2014년 1월 24일.
21)
This is below the relative poverty level of 50 per cent below the median income. See also Yonhap, “Govt. softens eligibility rules for welfare subsidies”, Korea Herald, 22 June 2018.
21)
이는 중위소득의 50퍼센트 미만인 상대적 빈곤 기준보다도 낮다. “Govt, softens eligibility rules for welfare subsidies”, 코리아 헤럴드, 2018년 6월 22일 기사도 참고.
2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 housing survey 2017: occupation type by administrative district”, Statistical Database. Available at: http://kosis.kr/eng/.
22)
통계청, 2017년 주거실태조사, http://kosis.kr/eng/ 이용 가능.
23)
Kyung-Hwan Kim and Miseon Park, “Housing policy in the Republic of Korea”, p. 8.
23)
김경환, 박미선 저, “대한민국의 주거 정책” (상기 10번 각주) p. 8.
24)
Act No. 3379 of 5 March 1981, as most recently amended by Act No. 14175 of 29 May 2016.
24)
법률 제3379호, 1981년 3월 5일. 법률 제14175호, 2016년 5월 29일, 일부개정.
25)
Lee Joo-hee, “6.8 years needed to own home in Korea”, Korea Herald, 9 May 2018.
25)
“6.8 years needed to own a home”, 코리아 헤럴드, 2018년 5월 9일
2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yor of Seoul, Housing Policy Division, Housing Seoul: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2016), p. 148.
26)
서울특별시, “Housing Seoul: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서울시장, 주택정책부, 2016년 10월 12일, p.148.
27)
Kim Jae-heun, “Fire at housing facility in Seoul kills seven”, Korea Times, 10 November 2018. Available at www.koreatimes.co.kr/www/nation/2018/11/281_258419.html.
27)
김재흔, “Fire at housing facility in Seoul kills seven”, 코리아타임즈, 2018년 11월 10일,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18/11/281_258419.html
28)
Act No. 10784 of 7 June 2011, as amended by Act No. 14882 of 19 September 2017.
28)
법률 제10784호, 2011년 6월 7일. 법률 제14882호, 2017년 9월 19일, 일부개정.
29)
Lee Tae-Jin and others, 2016 survey on the status of the homeles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at 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2148&page=1.
29)
이태진 외, 2016년 노숙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2148&page=1 참조
30)
See also the submission received on 10 December 2018 from sever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orking on the right to housing.
30)
주거권 관련 업무를 진행 중인 몇몇 한국 비정부기구가 2018년 12월 10일 제출한 자료 참고
31)
Lee So-jeong, “Death of evictee raises call for action on resettlement”, Korea Herald, 17 December 2018.
31)
이소정, “Death of evictee raises call for action on resettlement”, 코리아 헤럴드, 2018년 12월 17일 참고
32)
Park Ju-young, “Ahyeon redevelopment union to compensate mother of deceased evictee”, Korea Herald, 10 January 2019.
32)
박주영, “Ahyeon redevelopment union to compensate mother of deceased evictee”. 코리아 헤럴드, 2019년 1월 10일
33)
Kyung-Hwan Kim and Man Cho, “Structural changes, housing price dynamics and housing affordability in Korea”, Housing Studies, vol. 25, No. 6 (2010).
33)
김경환 및 조만, "구조적 변화, 주택가격의 역동성과 주택가격의 적정성", 주택학, 25권 제6호 (2010년)
35)
Act. No. 5559 of 16 September 1998, as most recently amended by Act No. 14839 of 26 July 2017.
35)
법률 제 5559호, 1998년 9월 16일. 법률 제14839호, 2017년 7월 26일, 일부개정.
37)
“South Korea to tighten mortgage rules for owners of multiple homes”, Reuters, 24 October 2017.
37)
로이터 통신, 2017년 10월 24일, "한국은 여러 주택 소유자를 위한 모기지 규칙을 강화할 것".
38)
PricewaterhouseCoopers, “Beyond their borders: evolution of foreign investment by pension funds”, 2015, p. 36. Available at www.pwc.lu/en/asset-management/docs/pwc-am-beyond-their-borders.pdf.
38)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Beyond their borders: evolution of foreign investment by pension funds”(2015년), p. 36에서 확인 가능, https://www.pwc.lu/en/asset-management/docs/pwc-am-beyond-their-borders.pdf 참조.
41)
Ibid., para. 47; and Korea Women’s Associations United, “Concerns and recommendations on the Republic of Kore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ubmission to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ixty-ninth session, 19 February–9 March 2018, p. 26, available at https://tbinternet.ohchr.org/Treaties/CEDAW/Shared%20Documents/KOR/INT_CEDAW_NGO_KOR_30063_E.pdf.
41)
CEDAW/C/KOR/CO/8, 47항과 한국여성단체연합: CEDAW에 대한 비정부기구 자료 제출, p. 26, https://tbinternet.ohchr.org/Treaties/CEDAW/Shared%20Documents/KOR/INT_CEDAW_NGO_KOR_30063_E.pdf
4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1990–2015)”, Statistical Database. Available at: http://kosis.kr/eng.
42)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1990-2015년), Available at: http://kosis.kr/eng.
43)
Miseon Park, Housing Support for Young Generation in Korea: Responding to Socioeconomic Chang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special report 2017, vol. 39, p. 12.
43)
박미선, “Housing support for Young Generation responding to socioeconomic changes”, KRIHS Special Report 2017, Vol 39, 국토연구원, p. 12.
44)
Asia Human Rights Commission, urgent appeal case AHRC-UAC-068-2010, 19 May 2010. Available at www.humanrights.asia/news/urgent-appeals/AHRC-UAC-068-2010/.
44)
아시아인권위원회, Urgent Appeal Case, AHRC-UAC-068-2010, 2010년 5월 19일, http://www.humanrights.asia/news/urgent-appeals/AHRC-UAC-068-2010/ 에서 확인 가능
46)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migrant workers in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2013.
46)
국가인권위원회, “농축산업 이주노동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3년
47)
Act on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on Welfare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47)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아동 복지지원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49)
Ho Kyeong Jang, “Let everyone shine: South Korea to abolish decades-long disability rating system”, Korea Exposé, 16 March 2018.
49)
장호경, "Let Everyone Shine: South Korea to Abolish Decades-Long Disability Rating System", Korea Exposé (2018년 3월 16일), 온라인: ˂www.koreaexpose˃.
50)
Human Rights Watch, “South Korea: Supreme Court affirms LGBT rights”, 4 August 2017.
50)
국제인권감시기구, "South Korea: Supreme Court Affirms LGBT Rights" 2017년 8월 4일.
51)
See www.humanrights.go.kr/site/program/link/statisticsEng?menuid=002003005.
51)
https://www.humanrights.go.kr/site/program/link/statisticsEng?menuid=002003005
52)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nual Report 2017 (Seoul, 2018), p. 88.
52)
국가인권위원회, 2017년 연간보고서, p. 88.
53)
Act No. 3379 from 5 March 1981 as amended by Act No. 14175 from 29 May 2016, arts. 14–31.
53)
법률 제3379호, 제14-31조, 1981년 3월 5일. 법률 제14175호, 2016년 5월 29일, 일부개정.
5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roduction to Seoul human rights governance”.
54)
서울특별시청, “서울 인권거버넌스에 대한 소개” 참고.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