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방문 조사 결과 보고서 (2013)
Mission to the Republic of Korea (2013)
/ 배포일 2013. 12. 23.
Summary
요약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conducted an official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from 29 May to 7 June 2013, during which she met with relevant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the Prime Minister, representativ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 human rights defenders and representatives of business enterprises.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은 2013년 5월 29일부터 6월 7일까지 대한민국에 공식 방문하여, 국무총리를 포함한 관련 정부 공무원, 국가인권위원회 대표, 인권옹호자 및 민간기업의 대표자들과 만남을 가졌다.
In the present report, the Special Rapporteur consider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xercise of public freedoms and the rol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
본 보고서에서 특별보고관은, 특히 공공의 자유 행사 및 국가인권기구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함께, 대한민국의 인권 보호 및 증진을 위한 법적 및 제도적 체계를 숙려 한다.
The Special Rapporteur then analyses the challenges faced by certain groups of human rights defenders in the country, including journalists and media workers, trade unionists and labour rights defenders, environmental rights defenders, migrants’ rights defenders, students’ rights defenders, whistle-blowers and those defending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rsons. The Special Rapporteur also briefly highlights other groups of defenders facing particular challenges.
이어서 특별보고관은 기자 및 언론종사자, 노동조합원 및 노동인권 옹호자, 환경권 옹호자, 이주민인권 옹호자, 학생인권 옹호자, 내부고발자, 그리고 성소수자(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인권 옹호자를 포함한 당국의 특정 인권옹호자 집단이 직면한 어려움을 분석한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특수한 어려움에 처한 다른 옹호자 집단을 간단히 언급한다.
The report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to all relevant stakeholders.
이 보고서는 모든 관련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권고사항을 결론으로 한다.
I. Introduction
I. 서론
1.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conducted an official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from 29 May to 7 June 2013, at the invitation of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e visit was to assess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light of the Declaration on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Groups and Organs of Society to Promote and Protect Universally Recognized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hereinafter,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An examination of the legal framework in the country, institutional policies and mechanisms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were of particular importance to this assessment.
1.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은 정부의 초청에 의해 2013년 5월 29일부터 6월 7일까지 대한민국에 공식 방문하였다. 이 방문의 목적은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인권 및 기본적 자유를 증진, 보호하기 위한 개인, 단체, 기관의 권리와 책임에 관한 선언」(이하 ‘인권옹호자 선언’)에 입각해 대한민국 인권옹호자들의 상황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이 평가에서 특정한 주안점은 당국의 법적 체계, 제도적 정책 및 인권의 증진 및 보호를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2.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met with the Prime Minister, Chung Hong-won, the Vice-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the Vice-Minister of Justice. She also met with officials from the Ministries of Foreign Affairs; Employment and Labour; Trade, Industry and Energy; National Defence; the Republic of Korea Nav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Moreover, the Special Rapporteur met with members of the Legislative and Judiciary Committee and the Environment and Labour Committee within Parliament, as well as with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and the Supreme Court. She also had meetings with representatives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cluding one of the Human Rights Ombudspersons. The Special Rapporteur also met with the Chairperson, one of the Commissioners and a team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2.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정홍원 국무총리, 외교부 차관, 법무부 차관과 만남을 가졌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외교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대한민국 해군, 그리고 경찰청의 관계자들과 만남을 가졌으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와 환경노동위원회의 구성원 및 대검찰청, 대법원과도 면담하였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방송통신위원회 및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인권 옴부즈만 1인을 포함한 서울특별시청 대표자들을 만났으며, 국가인권위원회(NHRCK)의 위원장, 위원 1인, 그리고 직원들과 면담하였다.
3. The Special Rapporteur also met with representatives of the Korean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nd the Hyundai Motor Company. She approached various other private companies for meetings but did not receive any other responses to her invitation. After the visit, she sent letters to these companies inviting them to submit information regarding general allegations and obtained a response from Samsung Electronics.
3. 특별보고관은 또한 한국전력공사(KEPCO)와 현대자동차의 대표들과 면담을 가졌다. 특별보고관은 다른 다양한 민간기업들과 면담하기 위해 접촉했으나, 초청에 대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 방문 이후 특별보고관은 해당 기업들에게 일반적인 주장에 대한 정보를 제출하도록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으며, 삼성전자로부터 답신을 받았다.
4.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Seoul, Ulsan, Miryang, Jeju Island and Gwangju and met with the Mayors of Miryang and Gwangju, as well as with the Gwangju regional office of NHRCK. She also met with the Head of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in the country, representatives of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and members of the diplomatic corps. The Special Rapporteur also had meetings with a wide range of defenders and activists.
4.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서울, 울산, 밀양, 제주도, 광주를 방문했으며 밀양과 광주 시장 및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지역사무소를 방문했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당국의 유엔개발계획과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 대표 그리고 외교단과 만남을 가졌다. 그리고 특별보고관은 다양한 영역의 인권옹호자 및 활동가들과 면담을 가졌다.
5. The Special Rapporteur thank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extending an invitation to her and for its excellent cooperation throughout the visit. She would like to thank everyone who took the time to meet with her and shared their valuable experiences and insights, as well as those who helped organize the visit.
5.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정부의 초청과 방문 중의 훌륭한 협조에 대해 감사한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시간을 들여 만나 귀한 경험과 통찰을 공유한 모든 사람들과 방문을 성사시키도록 도와준 모든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II. Background
II. 배경
6. This is the first visit of the mandate holder to the Republic of Korea, a country that has gone through significant and rapid changes over the past decades. The country has achieved impressive rates of economic growth and, at the same time, has established a democratic foundation after a long period of authoritarianism.
6. 이번 방문은 지난 몇 십 년간 중대하고 급격한 변화를 경험한 국가인 대한민국에 대한 위임수행자의 첫 번째 방문이다. 당국은 인상적인 경제성장률을 성취했으며, 동시에 오랜 독재 기간 후 민주주의적 기반을 구축했다.
7. The Republic of Korea was proclaimed in August 1948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nd peace agreements left the country divided from the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by drawing a line along the 38th parallel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ountry received United Nations-backed support after it was invaded by the latter two years later. The Korean War ended in 1953 without a peace agreement, leaving the Republic of Korea technically at war wit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r more than fifty years.
7. 대한민국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1948년 8월에 선포되었으며, 평화협정은 한반도에 38선을 따라 휴전선을 그음으로써 당국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분리했다. 당국은 2년 후 후자에 의해 침략을 당했을 때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한국전쟁은 1953년 평화협정 없이 끝났으며, 엄밀히 말해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50년이 넘도록 전쟁상태로 남겨졌다.
8. After a long period of authoritarian regimes, the country went through a democratization process in the late 1980s. At this time, the political situation was marked by significant, large-scale and occasionally violent pro-democracy protests that opposed the country’s long-standing authoritarian rule. As a result of these protests, the authoritarian establishment saw its position weakened, and this was seized on by opposition leaders demanding democratic reforms. In June 1987, the ruling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 proposed a far-reaching democratization plan that accepted all the opposition’s key demands. The Constitution was put to a popular referendum, where it was approved, and was formally adopted on 29 October 1987.
8. 오랜 기간의 독재 정권 이후, 당국은 1980년대 후반 민주화 과정을 거쳤다. 당시의 정치적 상황은 오랜 독재 집권에 반대하는 중대하고, 대규모이며, 때로 폭력적인 민주화 시위들로 특징지어졌다. 이러한 시위들의 결과로 독재정권의 기반이 약해졌고, 민주적 개혁을 요구하던 반대파 지도자들은 이 기회를 포착하였다. 1987년 6월, 집권당의 대통령 후보는 반대파의 주요 요구사항을 모두 받아들이는 광범위한 민주화 계획을 제안했다. 헌법은 국민투표에 부쳐졌으며 그를 통해 승인되었고, 1987년 10월 29일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9. Since the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a key player in the region. It is a member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nd of the Group of 20 (G-20). However,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in 1953, the strained relations wit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leg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country. The Cheonan incident in 2010 and the nuclear test conduct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early 2013 are examples of the latest tensions between the two neighbours.
9. 이후 대한민국은 지역의 핵심 활동국이 되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G-20의 구성원이 되었다. 그러나, 1953년 한국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긴장관계가 당국의 법적, 정치적, 제도적 체계의 구성에 있어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두 인접국간 긴장상태의 가장 최근 예로는 2010년 천안함 사건 및 2013년 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실험이 있다.
III.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III. 인권의 보호 및 증진에 있어서의 법적, 제도적 체계
A. International level
A. 국제적 수준
10. The Republic of Korea has a well-established legal,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framework and is a party to seven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conventions. Article 6 of the Constitution provides for the incorporation of treaties and rules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 following treaties have yet to be ratifie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and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a communications procedure; and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10. 대한민국은 안정적인 법적, 제도적, 행정적 체계를 갖고 있으며, 7개의 국제 인권조약의 당사국이다. 헌법 제 6조는 국제법상의 조약 및 규약의 통합을 명시한다. 그러나, 이하의 조약들은 아직 비준되지 않았다: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CMW)」, 「강제 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 협약(CED)」, 「사형제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대한 국제규약 제2 선택의정서」, 「고문방지협약(CAT) 선택의정서」, 「진정절차에 관한 아동권리협약(CRC) 선택의정서」, 「장애인권리협약(CRPD) 선택의정서」.
11. Mindful of the fact that the ratif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ay require certain degree of harmonization of the domestic legal framework, the Special Rapporteur encouraged the Government during her visit to ratify the United Nations treaties to which it is not yet a party, in particular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11. 국제인권조약의 비준이 국내 법적 체계와 일정 정도의 조화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특별보고관은 방문 중 당국 정부에 아직 당사국이 아닌 유엔 조약, 특히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비준할 것을 권고했다.
12. The Republic of Korea is currently a member of the Council and was reviewed under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in October 2012. During the review, 70 recommendations were made, of which the Government accepted 42. The remaining 28 recommendations were not rejected, but the Government took note of them. Relevant recommendations which were not accepted included those encouraging the Government to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to establish mechanisms specifically to monitor the use of force by security forces against peaceful protesters; and to amend or more clearly define provisions in the National Security Act. 1 )
12. 대한민국은 현재 인권이사회의 구성원이며, 2012년 10월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UPR)에 따라 검토를 받았다. 검토 중 70개의 권고사항이 나왔으며, 정부는 42개 사항을 받아들였다. 남은 28개 사항은 거부되지는 않았으며, 정부에서 참고하였다. 수용되지 않은 권고사항에는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비준할 것, 평화적 시위자들에 대한 경비업체들의 무력 사용을 감시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할 것, 국가보안법을 개정하거나 조항들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할 것이 포함되었다. 1 )
13. In March 2008, the Republic of Korea extended an open invitation to the Council’s special procedures. The country has received the visit of the Special Rapporteurs on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2006, A/HRC/4/24/Add.2) and on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1995, E/CN.4/1996/39/Add.1, and 2010, A/HRC/17/27/Add.2 and Corr.1). The Special Rapporteur encourages the Government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of the special procedures and use them to strengthen the legal, policy and administrative framework.
13. 2008년 3월, 대한민국은 이사회의 특별절차에 대한 상시초청을 도입하였다. 당국은 이주민의 권리에 관한 특별보고관(2006, A/HRC/4/24/Add.2)과 의사와 표현의 자유의 보호 및 증진에 관한 특별보고관(이하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 1995, E/CN.4/1996/39/Add.1, and 2010, A/HRC/17/27/Add.2 and Corr.1)의 방문을 받았다. 특별보고관은 특별절차의 권고사항들을 이행하고, 법적∙정책적∙행정적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B. National level
B. 국내적 수준
14. In this section, the Special Rapporteur provides observations on domestic legislation deemed to have an impact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in the Republic of Korea.
14. 이 부분에서,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의 인권옹호자들이 처한 상황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국내법에 대한 견해를 제공한다.
1. The Constitution
1. 헌법
15. The Constitution is a product of the country’s democratization process in the late 1980s and based on six basic principles: the people’s sovereignty;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pursuit of peaceful and democratic unifica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suit of international peace and cooperation; the rule of law; and the State’s responsibility to promote the welfare of its citizens. 2 )
15. 헌법은 1980년대 후반 당국의 민주화 과정의 산물이며, 여섯 개의 기본 원칙에 근거한다: 국민주권, 권력분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의 평화적이며 민주적인 통일 추구, 국제적 평화와 협력의 추구, 법치주의, 그리고 국민의 복지 증진에 대한 국가의 책임. 2 )
16. The Constitution provides for basic freedo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and of assembly and association (art. 21, para. 1); equality of all citizens before the law (art. 11, para. 1); the right to liberty of the person (art. 12, para. 1); the right to be free from torture (art. 12, para. 2); and freedom of religion (art. 20).
16. 헌법은 다음을 포함한, 그러나 다음에 한정되지 않는 기본적인 자유들을 명시한다: 언론 및 출판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제 21조 제1항), 법 앞에 모든 국민의 평등(제 11조 제1항), 신체의 자유에 대한 권리(제 12조 제1항), 고문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제 12조 제2항), 종교의 자유(제 20조).
2. Laws related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2. 의사 및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법률
17. Freedom of expression is explicitly enshrined in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which does not allow any licensing or censorship of speech and the press. However, the Special Rapporteur points to serious challenges when it comes to guaranteeing the right in practice and recalls some of the recommendations made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when he visited the country in 2010.
17. 의사표현의 자유는 헌법 제21조에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으며, 동 조항은 언론·출판에 대한 어떠한 허가 또는 검열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특별보고관은 실질적으로 권리를 보장함에 있어 직면하는 어려움을 지적하며, 2010년 당국을 방문한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권고사항들을 일부 상기한다.
(a) Laws regarding defamation
(a) 명예훼손에 관한 법률
18. The Special Rapporteur was concerned at the existence of an important limitation to freedom of expression contained in article 21, paragraph 4, of the Constitution, which states that: “Neither speech nor the press shall violate the honour or rights of other persons nor undermine public morals or social ethics. Should speech or the press violate the honour or rights of other persons, claims may be made for the damage resulting therefrom.”
18. 특별보고관은 “언론·출판은 타인의 명예나 권리 또는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언론·출판이 타인의 명예나 권리를 침해한 때에는 피해자는 이에 대한 피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21조 제4항 에 의사표현의 자유에 대한 중대한 제한이 내포되어있음을 염려한다.
19. According to this, defamation is a criminal offence, which carries heavy fines and prison sentences, and it is also provided for in the Civil Act, which establishes non-criminal sanctions to redress any damage to an individual’s reputation or name.
19. 이에 따르면, 명예훼손은 막중한 벌금과 징역형을 수반하는 형법상의 범죄이며, 이는 또한 개인의 명예 및 평판에 대한 훼손을 시정하기 위한 비형사적 제재를 수립하는 민법에도 규정되어 있다.
20. Chapter 33 of the Criminal Act provides for inter alia a prison sentence of up to five years if the person alleged “false facts” (art. 307). There is a clause which stipulates that, if the alleged facts are true and solely for the public interest, the act shall not be punishable (art. 310). Defamation through printed materials whereby facts are alleged with the intent to defame another individual can result in a prison sentence of up to three years or a fine of up to 7 million won (approx. 6,250 United States dollars) or, if the alleged fact is false, imprisonment of up to seven years, suspension of qualifications for up to 10 years or a maximum fine of 15 million won (approx. 13,450 US$) (art. 309, para. 2).
20. 형법 제 33장은 그 중에서도 “허위 사실”을 적시한 경우 최대 5년의 징역을 선고한다(제307항). 만약 적시한 사실이 진실로써 오로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에는 처벌받지 않는다는 조항도 포함되어 있다(제310항).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려는 의도의 사실이 적시된 출판물을 통한 명예훼손은 최대 3년의 징역형이나 700만원(약 6,250 달러)의 벌금에 처하며, 적시된 사실이 거짓인 경우 최대 7년의 징역, 10년의 자격 정지, 혹은 1500만원(약 13,450달러)의 벌금에 처한다(제309항 제2조).
21. The Special Rapporteur recalls the observations and recommendations made by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A/HRC/17/27/Add.2, paras. 21–28, and Corr.1) and calls for the removal of defamation as an offence from the Criminal Act. She is of the view that criminalization of defamation has a chilling effect and leads to self-censorship by human rights defenders, which amounts to a considerable constraint of the space in which to exercise the fundamental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 a key right to claim other rights.
21. 특별보고관은 의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견해와 권고(A/HRC/17/27/Add.2, paras. 21–28, and Corr.1)들을 상기하며, 형법상의 명예훼손죄를 삭제할 것을 권고한다. 특별보고관은 명예훼손의 범죄화가 위축효과를 일으키며, 인권옹호자들의 자체검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는 다른 권리를 주장하기 위한 주요 권리인 기본적인 의사표현의 자유를 행사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상당한 제약에 이른다.
(b) Freedom of expression online
(b) 온라인상의 의사표현의 자유
22. The situa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online is particularly pertinent in the Republic of Korea given its consistent rankings a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greatest number of Internet users, estimated in 2012 at some 84 per cent of the population. 3 ) The country has a vibrant and multifaceted spectrum of bloggers, online journalists and others who pos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some of whom work on human rights-related issues. However, as with traditional media outlets, the Special Rapporteur notes that tensions continue with regard to the censoring and control of content, and prosecution of those who publish materials online on sensitive topics or express dissenting views.
22. 2012년 추정 인구의 약 84%가 인터넷 사용자로, 대한민국은 인터넷 사용자가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로써 일관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3 ) 이를 감안했을 때, 온라인상의 의사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상황은 특히 관련이 깊다. 당국에는 활발하고 다양한 스펙트럼의 블로거, 온라인 저널리스트 및 기타 인터넷에 정보를 올리는 사람들이 있으며, 그들 중에는 인권 관련 이슈에 대해 활동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대중매체 수단에서와 같이, 특별보고관은 검열과 내용규제, 민감한 이슈에 대해 온라인에 기고하거나 반대 의견을 표현하는 사람들에 대한 기소와 관련해 긴장이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23. There are two main laws that relate specifically to the regula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online, the Framework Act on Telecommunications, which aims to “promote public welfare through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elecommunications and promotion of their development” (art. 1); and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Network Act”), which aims to ensure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are used in a sounder and safer way” (art. 1).
23. 특히 온라인상의 의사표현의 자유에 대한 규제와 관련하여 두 개의 주된 법이 있다.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그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제 1조)을 목적으로 한 「전기통신기본법」; 그리고 “정보통신망을 건전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 1조) 보장함을 목적으로 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하 ‘정보통신망법’)이다.
24. Regarding defamation online, in 2001 a new provision was introduced into the Network Act (art. 70) to complement article 309 of the Criminal Act. This provision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defames another by disclosing a fact to the public via the Internet is punishable by imprisonment, with or without prison labour, for up to three years or by a fine of up to 20 million won (approx. 18,000 US$). If the disclosed fact is proved to be false, the punishment is imprisonment with prison labour for up to seven years, suspension of qualification of up to ten years, or a fine of up to 50 million won (45,000 US$). Under article 310 of the Criminal Act, if the published information is true and in the public interest, its publisher will not be punished.
24. 온라인상의 명예훼손과 관련하여, 형법 제 309조를 보완하는 새로운 조항이 정보통신망법에 신설되었다(제 70조). 이 조항은 사람을 비방할 목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공공연하게 사실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자는 최대 3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천만원(약 18,000달러)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한다. 만약 적시한 사실이 거짓으로 판명된 경우 최대 7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5천만원(약 45,000달러)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형법 제 310조에 따라, 출판된 정보가 사실이며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 출판자는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25. The Special Rapporteur is seriously concerned about reports indicating that defamation suits are filed even when statements are true and made in the public interest. Such legal actions are reportedly used to target those who express dissenting views and criticism of public authorities, including human rights defenders.
25. 특별보고관은 적시된 사실이 진실이며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어도 명예훼손 소송이 제기된다고 나타내는 보고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 보고에 따르면, 이러한 법적 행위는 인권옹호자를 포함해 반대 의견을 표현하거나 공권력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을 표적으로 하는 데 이용된다.
26. The Network Act also contains various provisions regarding the regulation of online content that allow the alleged victim of defamation to request the deletion of the information or publish a rebuttable statement and, upon this request, the service providers to block access to content and take temporary discretionary measures. This matter was extensively dealt with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A/HRC/17/27/Add.2, paras. 38–42, and Corr.1), who made recommendations that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underline. She is worried that these provisions could encourage self-censorship among defenders and contribute to an excessively cautious attitude on the part of online service providers. In this connection, she would like to recall some of the relevant provisions contained in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namely articles 6 and 8, which deal with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discuss and advocate new human rights ideas.
26. 정보통신망법은 또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규제와 관련하여, 명예훼손 혐의의 피해자가 정보의 삭제를 요구하거나 반박문을 출판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서비스제공자가 내용물에 대한 접근을 막고 일시적으로 재량에 의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조항들을 포함한다. 이 문제는 의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이 광범위하게 다루었으며(A/HRC/17/27/Add.2, paras. 38-42, and Corr.1), 특별보고관은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권고들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조항들이 인권옹호자들의 자체검열과 온라인 서비스제공자들의 지나치게 조심스러운 태도를 촉진할 수 있음에 대해 염려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별보고관은 인권옹호자 선언에서 정보에 대한 접근 및 새로운 인권 개념을 토론하고 옹호할 권리에 대한 관련 조항들, 대표적으로 제6항과 제8항을 상기한다.
27.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raised concerns about the control of online expression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f public interest by defenders, particularly through the work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which are bodies operating under the Government. She met with the two institutions and expressed her concern that vaguely defined concepts, such as “harming the public interest” or “false communication”, are being used by a Government-controlled body to block Internet content and unduly restrict the exercise of a fundamental right and the use of a key tool, both of which are essential in the work of human rights defenders. 4 ) The Special Rapporteur was discouraged by the fact that both institutions appeared unwilling to consider her observations in this regard during her meeting with them, and did not cooperate during the dialogue as was expected.
27.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특히 정부 산하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통한 온라인상 표현과 인권옹호자들의 공익성 정보보급 규제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였다. 특별보고관은 두 기관과 만나 ‘공공의 이익을 해하는’ 혹은 ‘허위통신’ 과 같은 모호하게 규정된 개념들을 정부통제 하의 기관이 사용하여 인터넷 콘텐츠를 차단하고 인권옹호자들의 활동에 있어 필수적인 기본적인 권리행사 및 주요 수단의 활용을 부당하게 제한하는데 대해 우려를 표시하였다. 4 ) 특별보고관은 두 기관과의 면담 중, 양 기관 모두 이와 관련한 특별보고관의 견해를 고려하려는 의지가 보이지 않았고 예상과 달리 대화에 협조하지 않았던 사실에 대해 실망하였다.
(c) The National Security Act
(c) 국가보안법
28.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was concerned about certain aspects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which,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amended on several occasions, still appears seriously problematic for the exercise of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work of human rights defenders.
28.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다수의 개정을 거쳤음에도 표현의 자유의 행사 및 인권옹호자들의 활동에 있어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보여지는 국가보안법의 특정 부분들에 대해 우려했다.
29.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establishes that: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law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Even when such restriction is imposed, no essential aspect of the freedom or right shall be violated.”
29. 헌법 제 37조 제2항은 “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고 명시한다.
30. The purpose of the Act, as stated in article 1, paragraph 1, thereof, is “to secure the security of the State and the subsistence and freedom of nationals, by regulating any anticipated activities compromising the safety of the State”. Following an amendment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1991, a second paragraph was added to the article, stating explicitly that it “shall not be permitted to construe extensively this Act, or to restrict unreasonably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citizen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30. 국가보안법은 제 1조 제1항에 명시되어 있듯이, “국가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반국가활동을 규제함으로써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생존 및 자유를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1991년 국회에서 통과된 개정안에 따라, “이를 확대해석하거나 헌법상 보장된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일이 있어서는 아니된다”고 명시하는 제 2항이 추가되었다.
31. The term “anti-government organizations” is defined by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Act as “a domestic or foreign organization or group which uses fraudulently the title of the Government or aims at a rebellion against the State,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command and leadership system”.
31. 제2항 제1조에 따라 “반국가단체”는 “정부를 참칭하거나 국가를 변란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외의 결사 또는 집단으로서 지휘통솔체제를 갖춘 단체”로 정의된다.
32. In the enforcement of the Act, article 7 has proved to be one of the most problematic clauses for human rights defenders. It punishes praise, incitement, propaganda, etc., by “anti-government organizations” with knowledge of the fact that “it may endanger the existence and security of the State or the democratic fundamental order” with a prison sentence of up to seven years. The vague language of article 7 in respect of “anti-government organizations” has led to the convic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in connection with their work. The Human Rights Committee expressed concern about prosecutions pursued under this article and restrictions placed on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State to ensure the compatibility of article 7 of the Act, and sentences imposed thereunder,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 particular article 19 (CCPR/C/KOR/CO/3, para. 18).
32. 국가보안법의 시행에서 제 7조가 인권옹호자들에게 가장 문제적인 조항으로 드러났다. 이 조항은 “국가의 존립·안전이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위태롭게 한다”는 점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반국가단체”가 찬양, 고무, 선전 등을 행한 경우, 이를 최대 7년 이하의 징역형으로 처벌한다. 제 7조의 “반국가단체”에 대한 모호한 언어는 인권옹호자들의 활동과 관련하여 그들에 대한 기소로 이어졌다. 자유권위원회는 이 조항에 따른 기소들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규제에 대해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위원회는 당국이 국가보안법 제 7조 및 그에 따른 선고를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대한 국제조약, 특히 제 19조에 따른 의무에 부합하도록 보장할 것을 권고하였다.
33. The extent to which the Act has been used to bring charges against human rights defenders and others has varied over recent decades, notably according to the particular administration in power. According to testimonies and reports received, during the period 2008–2012, the use of the Act appears to have increased, thereby counteracting a previous trend that had seen a general decline in charges based on the Act. The context of escalating tens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uring this period should, however, be noted, in particular the incident in 2010 when a warship, the Cheonan, was sunk after being hit by a torpedo believed to be fired by the latter’s navy, causing the death of the 46 sailors onboard.
33. 국가보안법이 인권옹호자 및 다른 사람들을 기소하는 데 사용된 범위는 특히 집권하는 특정 정부에 따라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하였다. 제출된 증언들과 보고서들에 따르면, 2008-2012년 사이 국가보안법의 적용은 증가했으며, 이는 해당 법에 근거한 기소들의 전반적인 하향을 보인 기존의 경향에 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의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긴장이 심화되었던 맥락, 특히 군함 천안함이 2010년 후자의 해군에 의해 발사되었다고 추측되는 어뢰에 피격당한 후 46명의 선상의 사망자를 내고 침몰한 사건은 언급되어야 한다.
34.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testimonies and reports that the Act has been used against defenders who have expressed criticism of Government policies and been labelled as “anti-government organizations”. They were considered a threat to the State and social order.
34.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국가보안법이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을 표현하고 “반국가단체”로 분류된 인권옹호자들에 대해 사용되었다는 증언 및 보고를 받았다. 그들은 국가와 사회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었다.
35. In connection with the warship incident, non-governmental human rights organization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PSPD) submitted a report to the permanent delegations of the member States of the Security Council on 11 June 2010, and questioned the results of the official investigation into the sinking of the naval vessel Cheonan that had concluded the vessel had been sunk by a torpedo fir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avy. After PSPD had sent its report, several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made comments suggesting PSPD was hindering government efforts to seek action agains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Security Council. These comments are believed to have led to verbal and physical attacks targeting PSPD by members of the public, including threatening phone calls and the throwing of gas canisters and eggs at its building. An official investigation was later opened against PSPD on suspicions that it had violated the Act by assist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efamed members of the official investigation committee by spreading false information, and hindered government diplomatic efforts.
35. 천안함 사건과 관련하여, 비정부 인권단체 참여연대(PSPD)는 2010년 6월 11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에 보고서를 제출하고 천안함 침몰과 관련하여 천안함이 북한 해군이 발사한 어뢰에 의해 가라앉았다고 결론지은 공식 조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참여연대가 보고서를 제출한 이후, 여러 정부 고위관리들은 참여연대가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북한에 대한 조치를 강구하는 정부의 노력을 방해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다. 이러한 발언은 참여연대를 향한 위협 전화와 참여연대 건물에의 가스통 및 계란 투척 등을 포함해 대중에 의한 언어적, 물리적 공격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이후 참여연대가 북한에 동조함으로써 국가보안법을 위반했고, 거짓 정보를 전파함으로써 공식 조사단의 구성원들의 명예를 훼손하였으며,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방해했다는 의혹으로 참여연대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가 시행되었다.
36. This case was the subject of a joint allegation letter sent by the Special Rapporteur and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on 1 July 2010. On 15 September 2010, the Government responded, denying that PSPD was being investigated for its cooperation with United Nations mechanisms, stating that the investigation was still in its preliminary stages and that the Prosecution Office had responded to a complaint launched by a different organization (A/HRC/16/44/Add.1, paras. 2009–2016). PSPD was eventually acquitted of charges spreading false information, obstruction of business and violation of the Act.
36. 이 사건은 2010년 7월 1일 특별보고관 및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공동질의서(joint allegation letter) 내용의 주제였다. 2010년 9월 10일 정부는 참여연대가 유엔 체계에 협조함으로 인해 조사받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였고, 조사가 여전히 사전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검찰은 다른 단체들의 항의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라고 답변하였다(A/HRC/16/44/Add.1, paras. 2009–2016). 이후 참여연대는 허위사실 유포, 업무방해,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기소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37. Mindful of the fact that national security is a real concern for the authorities and a valid ground for restrictions to certain public freedoms,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underlined that constructive criticism and scrutiny of public policies is essential in any democratic society, and should therefore be welcomed and guaranteed.
37. 국가 안보가 정부 당국에게 실질적인 우려사항이며 특정 공공의 자유 규제에 있어 유효한 근거임을 염두에 두고, 특별보고관은 방문 중 건설적인 비판과 공공정책의 검토는 어떤 민주사회에서도 필수적이며, 따라서 환영받고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38.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recall Council resolution 22/6, which calls on States to ensure that measures to preserve national security should be in compliance with their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and should not hinder the work and safety of human rights defenders (para. 10). In this connection, she welcomed the assurances provided by the judiciary during her visi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ct is restricted only to cases of clear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While this is encouraging, the Special Rapporteur remains concerned at the number of defenders charged under the Act.
38. 특별보고관은 당사국들에게 국가 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들이 국제법상 당사국들의 의무에 부합하며 인권옹호자들의 활동과 안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보장할 것을 촉구하는 이사회 결의안 22/6을 상기하고자 한다(제10항). 이와 관련하여, 특별보고관은 방문 중 국가보안법의 적용이 명확하게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사건들에 제한된다는 사법부의 확언을 환영했다. 이것이 고무적인 데에 반해, 특별보고관은 해당 법에 의해 기소된 인권옹호자들의 수에 대해 여전히 우려한다.
3. Laws related to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3. 평화적 집회의 자유에 관련한 법률
39. The fundamental right to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i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rt. 21), which explicitly prohibits any licensing of assemblies. However, the Special Rapporteur was worried to learn that the notification system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seems to have turned into a de facto regime of authorization by the police for peaceful assemblies organized by defenders, whereby public officials can impose a ban on planned demonstrations if they think the event might pose a threat to public peace and order. This practice contravenes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and is contrary to the spirit of article 5 (a) of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highlight the report on best practices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s to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and association, in which he recommends that the right to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be facilitated and protected by the State and not be subject to any regime of authorization, but at the most prior notification, which should not be burdensome (A/HRC/20/27, paras. 89–90; see also A/HRC/13/22/Add.1, paras. 1836–1844).
39. 평화적 집회의 자유에 대한 기본적인 권리는 헌법에 보장되어 있으며(제21조), 집회에 대한 어떠한 허가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별보고관은 헌법에 보장된 신고 제도가 인권옹호자들이 조직한 평화적 집회에 대해서는 경찰에 의한 사실상 허가 제도, 즉 공무원이 그들이 생각하기에 해당 시위가 공공의 평화와 질서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할 경우 계획된 시위를 금지할 수 있는 제도로 변질된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이러한 조치는 헌법 제 21조에 위배되며, 인권옹호자 선언 제 5조 가항의 정신에 반한다. 특별보고관은 평화적 집회의 자유에 대한 권리가 국가에 의해 증진 및 보호되어야 하며, 허가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되고, 기껏해야 과중한 부담이 되지 않는 사전 신고가 되어야 한다고 권고한 평화적 집회 및 결사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모범관행에 관한 보고서를 강조하고자 한다(A/HRC/20/27, paras. 89–90; see also A/HRC/13/22/Add.1, paras. 1836–1844).
40.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s Act (2007) contains provisions that impose serious limitations on the organization of peaceful gatherings and carry heavy penalties if not complied with. Problematic provisions include articles 6, paragraph 1; 8 and 12. Article 6, paragraph 1, requires any person wishing to hold an outdoor assembly or demonstration to submit a report of the planned event to the local police station with details of the event. Article 8 provides that the police may ban the assembly or demonstration if it considers the event to constitute a threat to public peace and order. A violation of the ban is punishable by a maximum two years’ imprisonment or a fine. Moreover, article 12 of the Act establishes that a demonstration can be banned or restricted if it disturbs traffic order (known as “obstruction of traffic”). The Act allows recourse through complaints or litigation as an appeal against the notice of ban from the police.
40.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2007, 이하 ‘집회시위법’)은 평화적 집회의 조직에 대해 심각한 규제를 가하고 만약 이를 따르지 않았을 경우 무거운 처벌을 부과하는 내용의 조항들을 포함한다. 문제적인 조항들은 제 6조 제2항, 제 8항, 제 12항을 포함한다. 제 6조 제1항은 옥외 집회 및 시위를 주최하려는 자가 계획된 집회에 대한 세부사항을 포함한 보고서를 관할 지방 경찰서에 제출할 것을 요구한다. 제 8조는 해당 집회 또는 시위가 공공의 평화 및 질서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찰이 그를 금지할 수 있다고 명시한다. 이러한 금지를 위반한 경우 최대 2년 이하의 징역 혹은 벌금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또한, 집회시위법 제 12조는 시위가 교통질서를 어지럽히는 경우(“교통 장애”) 금지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고 명시한다. 해당 법은 경찰의 금지통고에 대한 항소로써 진정 또는 소송을 허용한다.
41. In addition,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peaceful assembly has been restricted by the frequent use of article 314 of the Criminal Act on obstruction of business against protestors. Prosecutions under this provision are often accompanied by heavy claims for damages and seizures of property.
41. 덧붙여서, 업무방해에 관한 형법 제 314조가 시위자에 대해 빈번하게 사용됨에 따라 평화적 집회에 대한 권리 행사가 제한되었다. 해당 조항에 따른 기소는 종종 막대한 손해배상 책임과 재산의 압류를 수반한다.
42.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learned about various instances and situations where the fundamental right to peaceful assembly has been unduly restricted, including some instances where the police resorted to excessive use of force when handling protests. These affected people participating in peaceful candlelight vigils who were arrested; those opposing forced evictions who were violently dispersed; defenders and local residents protesting against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who were treated violently and arrested; and foreign defenders wanting to join rallies in the Republic of Korea, who were denied entry into the country or deported.
42.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경찰이 시위를 관리할 때 과도한 무력을 사용한 사건들을 포함해 평화로운 집회에 대한 기본적인 권리가 부당하게 제한된 다양한 사례 및 상황들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는 평화적 촛불시위에 참여하던 중 연행된 사람들, 강제퇴거를 반대하던 중 폭력적으로 해산된 사람들,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 저항하던 중 폭력적 대우와 체포를 당한 인권옹호자 및 지역주민들, 대한민국에서의 집회에 참여하기를 희망하였으나 입국이 거부되거나 강제 출국된 외국인 인권옹호자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43. The Yongsan incident is an emblematic case where six people, including a police officer, died as a result of a fire during a violent raid by the police to forcibly evict tenants from a building in January 2009. The incident was the subject of a communication sent by the Special Rapporteur and the Chairperson-Rapporteur of the Working Group on Arbitrary Detention (A/HRC/16/44/Add.1, paras. 2003–2008). The situations in Miryang and Gangjeong village (Jeju Island) were also brought to the attention of the Special Rapporteur, and she visited both locations.
43. 용산 사건은 2009년 1월 강제로 거주자들을 빌딩에서 퇴거시키기 위한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 도중 발생한 화재의 결과로 경찰관 한 명을 포함해 여섯 명이 사망한 상징적인 사건이다. 해당 사건은 특별보고관 및 자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 의장 겸 보고관에 의해 발송된 서한(communications)의 주제였다(A/HRC/16/44/Add.1, paras. 2003–2008). 밀양과 강정마을(제주도)의 상황 역시 특별보고관의 주의를 끌었으며, 특별보고관은 두 장소 모두 방문하였다.
44.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information and witnessed herself what seems to be a common practice by the police of parking a line of police buses just in front of rallies and protests in major cities. Mindful that these buses are used for mobilizing police units to oversee the demonstration, she notes this practice has the effect of “blocking” or hiding the demonstrations from the view of passers-by and can intimidate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ally or march.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underline that the authorities should ensure the effective exercise of the right to peaceful assembly by meeting their positive obligation to protect and facilitate it within “sight and sound” of its object and target audience (A/HRC/20/27, para. 40). In addition to being an area for circulation, the use of urban space in a democratic society should allow for effective participation (ibid., para. 41). Assemblies can be a source of disruption of daily routines but authorities should try to balance the competing needs of the different users of public space rather than restricting the rights of those participating in public demonstrations. 5 )
44. 특별보고관은 경찰이 경찰버스를 주요 도시의 집회 및 시위 현장 앞에 주차하는 것이 흔한 관행으로 보인다는 정보를 받았으며 특별보고관 스스로도 목격하였다. 이 버스들이 시위를 감독하기 위해 경찰 단위들을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조치가 “차단” 효과 혹은 집회를 행인의 시야로부터 숨기는 효과가 있으며, 집회나 행진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별보고관은 당국이 평화로운 집회에 대한 권리가 효과적으로 행사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하며, 이를 위해 평화로운 집회를 대상 및 표적 관중의 “시야와 음향”이 확보된 위치에서 보호 및 증진할 의무를 이행해야 함을 강조한다(A/HRC/20/27, para. 40). 교류의 공간임과 더불어, 민주주의 사회에서 도심지역의 사용은 효과적인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ibid., para. 41). 집회는 일상에 지장을 주는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당국은 공공 집회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제한하기보다 공공장소에 있어 다양한 사용자들 간 상충하는 요구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5 )
4. Laws related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labour rights
4. 결사의 자유 및 노동권에 관련된 법률
45. Freedom of association is enshrined in the Constitution (art. 21); however, article 33 places certain limitations to the right to form trade unions and engage in collective bargaining where public officials are concerned given the nature of their positions. Its core provision on the matter, article 33, paragraph 2, reads: “Only those public officials who are designated by law have the right to associ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45. 결사의 자유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제 21조). 그러나, 제 33조는 지위의 특성상 공무원과 관련하여 노동조합을 구성할 권리와 단체교섭권에 대한 일부 한계를 두고 있다. 이 문제에 관련된 주요 조항인 제 33조 2항은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고 명시한다.
46.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since 1991 but has not yet ratified two of its fundamental conventions relating to freedom of association, the Conventions Nos. 87 (1948)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and 98 (1951)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Right to Organise and to Bargain Collectively.
46. 대한민국은 1991년 이래 국제노동기구(ILO)의 일원이었으나, 결사의 자유와 관련된 기본적인 조약들 중 두 가지, 즉 결사의 자유와 단결권의 보호에 관한 ILO 87호 협약(1948) 및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적용에 관한 ILO 98호 협약(1951)을 아직 비준하지 않았다.
47.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expressed concern about what seem to be undue restrictions on and stigmatization of those trying to legitimately associate, participate in trade unions and exercise collective bargaining, all of which are basic human rights as well as key instruments to claim other rights.
47.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기본적인 인권이자 다른 권리를 주장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서, 합법적으로 노동조합을 결사 및 그에 참여하고 단체교섭권을 행사하려는 이들에 대한 부당한 제한과 낙인으로 보이는 사항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48.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art. 5), sets out that “all workers have the right to freely form or join labour unions”, with the Labour Standards Act defining a worker as “a person who offers work to a business or workplace to earn wages, regardless of [the] kinds of jobs he/she is engaged in” (art. 14). Public officials and teachers have been granted the right to form trade unions through special laws. 6 ) However, their right to associate is restricted for particular categories of public officials, such as senior officials,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their membership and their exercise of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see section below for more details).
48.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제 5조)은 “모든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있다”고 규정하며, 「근로기준법」은 근로자를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규정한다(제 14조). 공무원과 교원의 노동조합을 결성할 권리는 특별법에 의해 보장된다. 6 ) 그러나, 이들의 고위공무원과 같은 특정한 부류의 공무원들의 결사의 자유는 제한되며, 이들의 회원관리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 행사에 한계가 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부분 참조).
49. The right to strike seems to be unduly restricted due to an overly narrow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labour dispute”, which often makes strikes on issues falling under “managerial rights”, such as layoffs and factory closures or relocations, illegal. Moreover,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testimonies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ight to strike is frequently criminalized through the use of provisions in the Criminal Act, such as “obstruction of business”. Prosecutions under these provisions are often accompanied by heavy claims for damages by companies and provisional seizures of property. This has seriously affected defenders working on environmental rights as well as trade unionists, as indicat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s below.
49. “노동 쟁의”에 대한 지나치게 협소한 정의와 해석으로 인해 파업권이 지나치게 제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정리해고, 공장 폐쇄 또는 이전 등과 같이 “경영상의 권리”로 분류되는 문제들 대한 파업은 불법으로 규정된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업무 방해와 같은 형법의 조항들을 이용해 파업권이 빈번하게 범죄화되고 있다는 진술과 정보를 접수했다. 이 조항들에 따른 기소는 자주 기업에 의한 엄중한 손해배상과 재산 가압류를 수반한다. 이는 노동조합원과 환경권 옹호자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주었으며, 아래 관련 부분에 나타나 있다.
5. Institutional and policy framework
5. 제도적 및 정책적 체계
50. The Special Rapporteur was pleased to learn that authorities are trying to mainstream human rights into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framework. There is a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2012–2016) and a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Council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50. 특별보고관은 당국이 제도적 및 정책적 체계 내 인권을 주류화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을 알게 되어 기쁘다. 관련되어 인권정책기본계획(2012-2016)과 법무부 산하의 인권정책위원회가 있다.
51. During most of her meetings with public officials, legislators and the judiciary, the Special Rapporteur was pleased to ascertain a good level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issue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s well as genuine interest in her mandate and her visit. She also took note of the continuous efforts to train State officials and security forces on human rights issues. She encouraged the Government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and ensure that the recommendations of special procedures are implemented and disseminated among public officials.
51. 특별보고관은 공무원, 입법부 및 사법부와의 대부분의 면담 중, 인권문제 및 국제기준에 대한 좋은 수준의 인식과 특별보고관의 임무 및 방문에 대한 진정성 있는 관심을 확인하게 되어 만족스러웠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공무원과 경비병력을 대상으로 인권 문제에 대해 교육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주목했다. 특별보고관은 정부에게 인권옹호자 선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특별절차에 따른 권고사항들이 이행되고 공무원들에게 유포되도록 보장할 것을 촉구하였다.
52.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learnt about the existence of the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in Seoul, which she considers an interesting example of citizen’s initiatives at the local level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and a good practice to be replicated elsewhere.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Gwangju, which is a “human rights city” with its own Human Rights Charter and indicators, and, in her opinion, a very good example of human rights promotion and protection at the local level.
52.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서울특별시시 학생인권조례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지역 단위에서 인권을 보호 및 증진하기 위한 시민들의 이니셔티브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예시이자 다른 곳에서도 모사할 만한 좋은 관행으로 생각한다. 특별보고관은 자체적인 인권 헌장 및 지표를 갖고 있는 “인권 도시”이자, 특별보고관이 생각하기에 지역 단위에서의 인권 증진 및 보호에 대한 아주 좋은 예시인 광주를 방문했다.
6.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6. 국가인권위원회
53. NHRCK was established in 2001 as a body independent from the Government and was accredited “A” status by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f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in 2004. The NHRCK mandate is broad, as it receives individual complaints, carries out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mes and issues policy recommendations which are, nevertheless, not binding.
53. 국가인권위원회는 2001년 정부와 독립된 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에 의해 “A” 등급을 받았다. 국가인권위원회의 권한은 개인진정을 접수 받고, 인권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하며,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정책 권고를 상정하는 등 광범위하다.
54. NHRCK is composed of 11 Commissioners, which include the Chairperson, 3 Standing Commissioners and 7 Non-standing Commissioners. Of these, four are ele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four are nominated by the President and three are nominated by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and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President.
54. 국가인권위원회는 11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위원장, 3명의 상임위원, 7명의 비상임위원을 포함한다. 이들 중, 네 명은 국회에 의해 선출되고, 네 명은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며, 세 명은 대법원장에 의해 임명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는다.
55. NHRCK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lid human rights institutional framework. It has largely enjoyed the Government’s cooperation and often publishes opinions on human rights-related issues, some of which have been instrumental in the defence of public rights and freedoms.
55. 국가인권위원회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강화와 인권에 관한 안정적인 제도적 체계 수립에 있어 중점적인 역할을 하였다. 당 기관은 대체적으로 정부의 협조를 받았고, 인권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의견들을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의견들 중 일부는 공공의 권리 및 자유를 옹호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56. Nonetheless, the institution has in recent years received criticism from civil society with regard to its independence from the Government, which is at times perceived to be compromised.
56. 그럼에도, 최근 몇 년간 해당 기관은 정부로부터의 독립성과 관련해 때로는 타협되어진 것으로 보여져 시민사회로부터 비판을 받은 바 있다.
57. During the reaccreditation process of NHRCK in 2008, a number of issues of concern were raised, including its lack of functional autonomy from the Government under the National Fiscal Act. The Sub-Committee on Accredi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also raised concerns about the appointment process of its Chairperson and Commissioners, which is based on nominations from the President,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Chief Justice of the Supreme Court, and which does not allow for formal public consultation and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The Sub-Committee stressed the need for NHRCK to have more autonomy to appoint its own staff and urged it to consider issuing public statements and reports through the media in a timely manner to address urgent human rights violations. In addition, concerns have been raised in response to a reduction of NHRCK human resources by 21 per cent in 2009.
57. 2008년 국가인권위원회 재승인 절차 도중, 「국가재정법」상 정부로부터의 기능적 자율성의 부재를 비롯한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국제조정위원회 승인소위원회 또한 위원장과 위원들의 임명 과정에서 대통령, 국회 또는 대법원장에 의한 임명에 근거해 공식적인 공개협의 및 시민사회의 참여를 보장하지 않는데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소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직원임명에 있어 더욱 자율성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긴급한 인권침해에 대응하기 위해 공개 성명 및 보고서를 시의 적절하게 미디어를 통해 발표할 것을 숙려하도록 촉구하였다. 덧붙여, 2009년 국가인권위원회 인력이 21% 감소된 것에 따른 우려가 제기되었다.
58. The Special Rapporteur met with the NHRCK Chairperson, one of the Commissioners and large representation of its staff. During the meeting, she was pleased to learn that the institution had a dedicated focal point for defenders and encouraged it to publicize this. NHRCK has conducted relevant investigations into allega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on the Yongsan incident, the Jeju naval-base construction and the Cheonan incident. The Commission has also been active in raising awareness and conducting public education campaigns about human rights and the Special Rapporteur was able to assess that during her visit to Gwangju and her meeting with the regional office of NHRCK.
58. 특별보고관은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위원 중 한 명, 그리고 여러 임직원을 만났다. 면담 중 특별보고관은 해당 기관이 인권옹호자 전담관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만족스러워하였으며, 이를 홍보할 것을 장려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용산 사건, 제주 해군기지 건설, 천안함 사건 등의 인권침해 주장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위원회는 또한 인권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대중 교육 캠페인을 수행하는 데에 적극적이었으며, 특별보고관은 광주 방문과 인권위원회 지역사무소 방문을 통해 이를 평가할 수 있었다.
59. However, according to information received during the visit of the Special Rapporteur, NHRCK has lost the confidence of certain national stakeholders in recent years, including some groups of defenders. Reports and allegations received by the Special Rapporteur made reference to undue dismissal and overruling of complaints by defenders, excessive delays of decisions regarding complaints, and a tendency to disregard defenders’ demands.
59. 그러나, 특별보고관이 방문 중 제공받은 정보에 따르면, 인권위원회는 최근 몇 년 간 여러 인권옹호자 집단을 포함해 특정 국내 이해당사자들의 신뢰를 잃고 있다. 특별보고관에게 접수된 보고서와 주장들에는 인권옹호자들이 제기한 진정에 대한 부당한 묵살과 기각, 진정에 대한 과도한 결정 지연, 그리고 인권옹호자들의 요구를 무시하는 경향 등이 언급되었다.
60. The Special Rapporteur was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an unfortunate incident faced by a group of disability-rights defenders. In December 2010, disability-rights defender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staged a peaceful sit-in in the Commission’s premises demanding the resignation of the Chairperson and the improvement of three disability laws. It is alleged that, during the sit-in, the electric power and heating was suspended, and the entry of food and access of the defenders’ assistants was restricted. As a result of the extreme weather and low temperatures, one of the persons taking part in the protest caught pneumonia and died two weeks later.
60. 특별보고관은 특히 일단의 장애인인권 옹호자들이 직면했던 안타까운 사건에 대해 염려하였다. 2010년 12월, 장애인인권 옹호자 및 장애인당사자들은 위원장의 사임과 세 가지 장애인 관련법의 개선을 요구하며 위원회 건물을 평화적으로 점거하였다. 주장에 따르면, 점거 도중 전기 및 난방이 끊겼고, 음식반입과 인권옹호자 활동보조인들의 접근이 제한되었다. 극심한 날씨와 저온의 결과로 시위 참여자 중 한 명이 폐렴에 걸려 2주 후 사망하였다.
61. The Special Rapporteur was deeply disturbed to hear about this incident and took note of the assurances provided by the NHRCK Chairperson that the power cut that occurred during the protest was due to routine operations by the management of the building. She also considers that the fact that the sit-in took place shows that relations between NHRCK and certain groups of defenders have been exceptionally tense at times. In her view, the sit-in should have been facilitated, including through the provisions of basic conditions, in order for the protesters to express their concerns about a public institution.
61. 특별보고관은 이 사건에 대해 듣게 되었을 때 심기가 매우 불편했으며, 해당 전력 중단은 건물 관리인들에 의한 일상적인 운영이었다는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의 확언을 참고하였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점거농성이 발생한 사실이 국가인권위원회와 특정 인권옹호자 집단간의 관계가 때로 극심한 긴장상태에 놓인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특별보고관의 견해로는 시위자들이 공공기관에 대한 우려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 점거는, 기본적인 조건의 제공을 포함하여, 촉진되었어야 한다.
62. The Special Rapporteur believes that in order for NHRCK to regain the confidence of human rights defenders and the public in general, it must be able to work independently and professionally with members and staff who can exercise integrity and impartiality. In particular, NHRCK must be attentive to the situation and concerns of the different groups of defenders and act as mediator between public authorities or private actors and groups of defenders in a timely manner when needed.
62. 특별보고관은 국가인권위원회가 인권옹호자들과 일반대중으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진실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는 위원 및 임직원들을 통해 독립적이고 전문적으로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국가인권위원회는 다양한 인권옹호자 집단들의 상황과 우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시의 적절하게 인권옹호자들과 공권력 또는 민간 주체 사이에서 조정자로 활동해야 한다.
IV. Situat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IV. 인권옹호자들의 상황
63. Defenders are generally able to carry out their work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out hindrance and civil society is well organized and very vocal regarding human rights issues. However,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observed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defenders operate is quite polarized and not always sufficiently conducive to the defence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This seems to stem from the lack of trust between defenders and authorities, and from important shortcomings in the legal framework, as indicated above. For effective dialogue to take place, both sides need to engage constructively, exercise diplomacy and patience to communicate their positions and listen to the arguments of the other side.
63. 인권옹호자들은 전반적으로 대한민국에서 장벽 없이 활동할 수 있으며, 시민사회는 잘 조직되어 있고 인권문제에 대해 의견을 활발히 개진한다. 그러나,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인권옹호자들이 활동하는 환경이 상당히 양극화되어 있으며 인권과 기본적인 권리의 옹호 및 증진에 충분히 좋지는 않다는 점을 관찰하였다. 이는 인권옹호자들과 정부 당국 사이의 신뢰의 부재와, 위에 언급된 법적 체계의 중요한 한계점들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효과적인 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양 측 모두 건설적으로 대화에 임하고, 그들의 입장에 대해 소통하며 상대방의 의견을 듣기 위한 외교력과 인내심을 발휘해야 한다.
64. The Special Rapporteur met with a broad range of representatives of civil society and learned about the situation of particular groups of defenders and activists, some of them at the community level, which are facing important challenges when carrying out their work or exercising certain basic rights.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report, the Special Rapporteur is only able to elaborate on the situation of selected groups of defenders and only briefly outlines the challenges faced by other groups.
64. 특별보고관은 시민사회의 다양한 대표들을 만났으며, 지역사회 단위에 있는 이들을 포함해 특정한 인권옹호자 및 활동가들이 그들의 활동을 수행하거나 기본권을 행사하는 데에 중요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상황을 알게 되었다. 현 보고서의 한계로, 특별보고관은 특정한 인권옹호자 집단의 상황만을 상세히 언급할 수 있었으며 다른 집단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만 서술하였다.
A. Journalists and media workers
A. 기자 및 언론종사자
65. Free and independent media is an indicator of a healthy and open democracy as it encourages constructive criticism, critical thinking and thorough analysis of public affairs, often regarding the exercise of basic rights and freedoms.
65. 자유롭고 독립적인 언론은 종종 기본적인 권리 및 자유의 행사와 관련되어 건설적인 비판, 비판적 사고, 공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고무하기 때문에 건강하고 열린 민주주의의 척도이다.
66. In the course of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credible testimonies and allegations of harassment, intimidation and illegal surveillance of journalists who work on human rights-related issues, report on public interest information, handle corruption cases of Government officials or publically criticize the Government. Some of the cases were raised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during his visit in 2010 (A/HRC/17/27/Add.2 and Corr.1).
66.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인권 관련 주제로 일하거나, 공익 정보를 보도하거나, 공무원의 부패 사건을 다루거나, 정부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기자에 대한 괴롭힘, 위협, 불법 사찰에 관련된 신뢰할 만한 증언들과 주장들을 들었다. 이들 사건 중 일부는 2010년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방문 중 제기되기도 했다(A/HRC/17/27/Add.2 and Corr.1).
67. Journalists have been unfairly dismissed or disciplined when they have gone on strike to protest against unfair practices within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 cases of YTN and MBC are emblematic in this respect. Some of them have faced lawsuits for defamation which carry excessively high damage claims.
67. 기자들은 방송사의 불공정한 관행에 대해 항의하고자 파업했을 때 부당하게 해고되거나 징계를 받았으며, YTN과 MBC의 사건은 이러한 측면에서 상징적이다. 그들 중 일부는 명예훼손으로 제소당했으며 명예훼손은 과도하게 높은 손해배상을 수반한다.
68. The Special Rapporteur expressed serious concern that these actions that unduly restrict the exercise of a fundamental right and stigmatize the work of media and journalists, which play a key role in the defence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She would like to reiterate observations and recommendations made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which she considers very pertinent and still applicable, in particular those regarding defamation and the exercise of freedom of opinion and expression on the Internet (A/HRC/17/27/Add.2, paras. 21–48, 89–94, and Corr.1).
68.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행위들이 부당하게 기본권의 행사를 제한하고 인권의 옹호와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론과 기자들의 활동에 대한 낙인을 찍는다는 점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특별보고관은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의 권고와 견해가 적절하며 여전히 적용 가능하다고 보고, 이를 반복해 강조하고자 하며, 특히 명예훼손과 인터넷상의 의사 및 표현의 자유 행사에 있어서 더욱 그렇다(A/HRC/17/27/Add.2, paras. 21–48, 89–94, and Corr.1).
B. Trade unionists and labour rights activists
B. 노동조합원 및 노동권 활동가들
69. As mentioned before, there are important limitations to the exercise of labour rights in the Republic of Korea whereby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o strike as legitimate means to claim economic and social rights are seriously curtailed. Article 3 of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stipulates that damages against a trade union or workers cannot be claimed when they originate from collective bargaining or industrial actions.
69.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경제적/사회적 권리를 주장하기 위한 합법적 수단으로서의 단체교섭권과 파업권이 심각하게 제한되어 있는 대한민국에서, 노동권 행사에 중대한 한계점들이 있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단체교섭 혹은 노동쟁의 행위 중에 비롯된 경우에는 노동조합 혹은 노동자들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70. However, in addition to the narrow definition of “labour disputes” contained in that Act (art. 2, para. 5), already mentioned in the section above, the Special Rapporteur learned during her visit that strikes are often declared illegal by a court of law due to a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such rights. Strikes against redundancies, the movement of plants, and outsourcing (which are classified as “management rights”) are often deemed illegal despite their impact on working conditions and on economic and social rights. In this context, the practice of filing compensation lawsuits claiming exorbitant amounts for “obstruction of business” against unions and union members has become widespread. This practice is of particular concern for the Special Rapporteur since it not only criminalizes the activities of trade unions and their members, but also stigmatizes their work and discourages others from joining them in claiming labour rights.
70. 그러나, 위 부분에서 언급되었던 동 법에서의 ‘노동 쟁의’의 협소한 정의(제 2조 제5항)에 더해, 특별보고관은 방문 중 그러한 권리들의 제한적인 해석으로 인해 파업이 종종 불법으로 규정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영상의 권리’로 분류되는) 정리해고, 공장 이전, 하청에 반대하는 파업은 종종 그들의 노동조건과 경제적, 사회적 권리들에 미치는 영향에도 불구하고 불법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노동조합 혹은 노동조합원에게 ‘업무 방해’에 대한 엄청난 금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만연하다. 이러한 상황은 특별보고관이 특히 우려하는 것으로, 이는 단순히 노동조합과 조합원들의 활동들을 범죄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의 활동에 오명을 씌우고 다른 사람들이 노동권을 주장하는데 합류하는 것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71. The case of the protests of workers and labour rights defenders against massive layoffs at Hanjin Heavy Industries (Hope Bus) since 2011 is emblematic. According to testimonies and reports received, workers and others participating in the different rallies have faced excessive use of force by the police, including the use of tear gas and water cannons; summons and arrests, including of those monitoring the demonstrations; and heavy penalties for obstruction of traffic.
71. 2011년부터 지속된 한진중공업의 대규모 정리해고에 반대하는 노동자들과 노동인권 옹호자들의 시위(희망버스)는 상징적이다. 증언 및 보고서들에 따르면, 경찰은 노동자들과 기타 시위들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최루 가스와 물대포, 시위를 모니터링하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소환과 체포, 그리고 교통 방해에 대한 막대한 벌금 등 과도한 무력을 행사하였다.
72. The Special Rapporteur also received testimonies and allegations that the system to report trade unions’ establishment has been misused on various occasions and hence turned into a de facto approval system which could breach the principle of trade union autonomy. The cases of the unions formed by government employees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and teachers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are illustrative cases in this respect. Both these unions have been trying to obtain legal status for several years without succes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ir membership includes dismissed workers. The Special Rapporteur was informed that, on 2 August 2013, the Ministry of Labour rejected the fourth establishment report presented by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72. 특별보고관은 또한 노동조합의 설립 신고체계가 여러 상황에서 오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노동조합 자율성의 원칙을 위반할 수 있는 허가체계로 변질되었다는 진술 및 주장들을 들었다. 공무원(전국공무원노동조합)과 교사(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의해 결성된 노동조합의 경우는 이러한 관점에서 좋은 실례이다. 두 노동조합은 법적 지위를 획득하기 위해 몇 년째 노력하고 있으나 주요하게는 해직자들도 회원에 포함시킴으로 인해 여전히 이루지 못하고 있다. 특별보고관은 2013년 8월 2일 고용노동부에서 한국교직원노동조합의 네 번째 설립신고를 반려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73. The Special Rapporteur is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situation of irregular or subcontracted workers, who, according to testimonies received, lack effective legal protection and suffer retaliation because of union activities in the form of unfair dismissal and intimidation. The case of the two workers from the Hyundai Motor Company in Ulsan, who have been sitting-in on a high voltage electric pylon for over six months protesting against the precarious situation of in-house subcontracted workers, illustrates the climate of tension and distrust that prevails in some industries. The two workers were also demanding that the company implements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delivered in 2012.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one of these two labour rights defenders should be considered as a full-time employee given that he worked for more than two consecutive years for the company. Follow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was informed that, on 8 August 2013, both workers descended from the tower due to health reasons. The Special Rapporteur met with both sides engaged in this dispute and believes that appropriate mediation mechanisms need to be put in place to encourage dialogue and conflict resolution between labour and management.
73. 특별보고관은 특히 비정규직 혹은 하도급 노동자들이, 증언에 따르면, 효과적인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부당한 해고 또는 협박 등의 보복을 당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우려한다. 현대자동차 울산지부의 두 노동자가 6개월여 간 고전압 송전탑 위에서 사내 하청노동자의 불안정한 지위에 대해 항의하며 시위를 했던 사건은 일부 기업에서 존재하는 긴장과 불신의 풍조를 보여준다. 두 노동자는 또한 회사가 2012년의 대법원 결정을 이행할 것을 요구했다. 대법원은 이들 두 노동인권 옹호자 중 한 명은 2년 이상 연속적으로 회사에서 일한 점을 근거로 상근(정규)직원으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판결했다. 현장 방문 후, 2013년 8월 8일, 특별보고관은 두 노동자가 건강상의 이유로 송전탑에서 내려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별보고관은 이 논쟁에 관련된 양 측을 모두 만났으며, 노사간의 대화를 촉진하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중재 매커니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74. The Special Rapporteur also received serious allegations of the involvement of private consulting firms specialized in labour relations in oppressing trade unions. The Environment and Labour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held a hearing about the matter in 2012, which revealed that certain consulting firm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timidating trade unions by claiming damages for labour disputes and obtaining an order for provisional seizures of property. The Special Rapporteur is very concerned about these reports and urges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such practices are not tolerated, and prompt and impartial investigations are conducted into allegations received and perpetrators are held accountable.
74. 특별보고관은 또한 노동조합의 탄압에 있어 노동관계에 특화된 사설 컨설팅 회사의 개입에 대한 심각한 주장을 들었다. 국회의 환경노동위원회는 2012년 당 사건에 대한 공청회를 열었으며, 여기에서 특정 사설 컨설팅 회사들이 노동쟁의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및 재산의 가압류 등을 통해 노동조합들을 위협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것이 드러났다. 특별보고관은 이 보고들에 대해 상당히 우려를 표하며, 이러한 일들이 용인되지 않고, 제기된 주장에 대한 신속하고 공정한 조사가 시행되며, 가해자들에게 책임을 묻도록 보장할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
C. Environmental rights defenders
C. 환경권 옹호자들
75. Defenders and community residents protesting against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are also facing important challenges in South Korea. The Special Rapporteur visited local communities in Miryang and Jeju Island who are opposing development projects.
75. 한국에서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 반대하며 시위 중인 인권옹호자들과 지역 거주자들 역시 심각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 특별보고관은 개발 프로젝트에 반대하고 있는 밀양과 제주도의 지역사회를 방문했다.
76. In the case of Miryang, local residents are opposing the building of a 756kV power-transmission tower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ori nuclear power plant. The conflict has been going on for eight years and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testimonies of acts of intimidation, harassment and physical violence against protestors allegedly perpetrated by workers and private security firms hired by the Korean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Over the years, this has resulted in the self-immolation of a 74-year-old resident in protest over the situation and in serious incidents of physical attacks against residents and protestors, reportedly including a sexual assault against a monk.
76. 밀양의 경우, 지역 거주자들은 고리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연계된 756kV 송전탑의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이 갈등은 8년간 지속되어 왔으며, 특별보고관은 한국전력공사(KEPCO)에서 고용한 사설 경비업체와 직원들이 시위자들에게 위협, 괴롭힘 및 신체적 폭력을 가했다는 증언들을 들었다. 이는 지난 몇 년간 이러한 상황에 반대하는 74세 거주자의 자결과 한 수도사에 대한 성희롱을 비롯하였다고 전해지는 시위자 및 주민들에 대한 물리적 공격 등의 결과를 낳았다.
77. The Special Rapporteur met with both KEPCO representatives and local residents during her visit. Most of the residents pointed to a lack of consultation and effective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s the main source of their grievances. They also claim their right to the enjoyment of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health and to live in a safe,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77. 특별보고관은 방문 중 한국전력공사의 대표들과 지역 주민들 양 측을 모두 만났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그들 불만의 주요한 원인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협의 및 효과적인 참여의 부재를 들었다. 또한 그들은 도달 가능한 가장 높은 수준의 건강을 누릴 수 있는 권리와 안전하고 깨끗하며 건강한 환경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한다.
78. The Special Rapporteur was encouraged by the attitude of the KEPCO representatives, who acknowledged basic flaws in the project before 2009, mostly in connection with their engagement with local residents and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about their activities. She welcomed a recent decision of the company to drop damage claims for “obstruction of business” against some residents and their efforts to educate their personnel and subcontractors on how to handle protests. However, she was informed that, in August 2013, KEPCO filed an injunction against village residents and one of the local committees opposing the project for disruption of the construction. She has also receive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on 30 September 2013, KEPCO had resumed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tower without due consultation with the villagers. She encourages dialogue and welcomes the mediation initiat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June 2013. In her view, NHRCK should also be seized of the situation in Miryang.
78. 특별보고관은 한국전력공사 대표들이 2009년 이전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해 주요하게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 및 공사의 활동에 대한 정보제공에 관련된 기본적인 결함들을 인지하고 있는 태도에 고무되었다. 특별보고관은 최근 공사가 일부 주민들에게 ‘업무 방해’에 따른 손해배상청구를 취하하도록 한 결정과, 공사의 직원 및 하청업체들에게 시위에 대처하는 방법을 교육하려는 노력을 환영한다. 그러나, 특별보고관은 2013년 8월 한국전력공사가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마을 주민들과 특정 지역의회를 공사 방해를 이유로 고소했다는 사실을 들었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2013년 9월 30일, 한국전력공사가 주민들과의 정당한 협의 없이 송전탑의 공사를 재개했다는 정보를 제공받았다. 특별보고관은 대화를 장려하며 2013년 6월 국회의 중재조치를 환영한다. 특별보고관의 관점으로, 국가인권위원회 역시 밀양의 상황에 대해 주목하고 있어야 한다.
79. In Jeju Island, the Special Rapporteur was acquainted with the situation of groups of defenders and local residents who, since 2007, have been opposing the construction of a naval base both because of its impact on the environment of the area and the project’s military element. She received the testimonies of residents and local and foreign defenders who were intimidated and harassed by the police and workers of the naval base.
79. 제주도에서, 특별보고관은 2007년부터 지역 환경에의 영향과 프로젝트의 군사적 요소로 인해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해온 인권옹호자 집단과 지역 주민들의 상황을 알게 되었다. 특별보고관은 경찰과 해군기지 직원들에 의해 위협 및 괴롭힘을 당한 주민들과 지역 및 해외 인권옹호자들의 진술을 받았다.
8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residents and defenders opposing the construction of the naval base often face charges of “obstruction of business” and are the subject of exorbitant damage claims and temporary seizures of property through civil suits. Reports indicate that around 210 defenders are currently awaiting trial with charges of “obstruction of business”. Moreover, the Special Rapporteur learned that foreign defenders coming to support them from abroad have been deported or denied entry in the country by way of the application of article 11, paragraph 3, of the Immigration Control Act.
80. 제출된 정보에 따르면,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과 인권옹호자들은 종종 ‘업무 방해’로 고발되고, 막대한 손해배상과 민사 소송을 통한 일시적 재산 압류에 처해진다. 보고서는 약 210명의 인권옹호자들이 현재 ‘업무 방해’로 기소되어 재판을 기다리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특별보고관은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온 해외 인권옹호자들이 「출입국관리법」 제 11조 제3항의 적용에 따라 강제 추방되거나 입국을 거부당했음을 알게 되었다.
81. The situation in Gangjeong Village (Jeju Island) was the subject of a communication sent by the Special Rapporteur jointly with two other United Nations experts in May 2012. In the letter, the experts expressed their concern at allegations received indicating acts of intimidation, harassment and ill-treatment of peaceful protestors opposing the construction of the naval base, including the deportation of two foreign activists. In the Government’s response dated 2 January 2013, the Special Rapporteur was pleased to note that NHRCK had received complaints and had initiated various investigations and made recommendations concerning police action in handling demonstrators. She still believes that training of the police deployed in the area on basic human rights standards, such as the Code of Conduct for Law Enforcement Officials and the Basic Principles on the Use of Force and Firearms by Law Enforcement Officials, remains necessary.
81. 강정마을(제주도)의 상황은 특별보고관이 2012년 5월 다른 두 유엔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보낸 서한(communications)의 주제였다. 서한에서, 전문가들은 두 명의 해외 인권옹호자들의 강제출국을 비롯하여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는 평화적인 시위자들에게 가해진 위협, 괴롭힘, 그리고 부당한 대우에 관련해 제기된 주장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2013년 1월 2일 정부의 답변에서, 특별보고관은 국가인권위원회가 진정을 접수했으며 다양한 조사에 착수했고 시위자들에 대처하는 경찰 조치에 대한 권고를 내렸다는 것을 알게 되어 만족스러워하였다. 특별보고관은 여전히 해당 지역에 배치된 경찰에게 법집행관 행동강령 및 법집행관의 무력과 화기사용에 관한 기본원칙과 같은 기본적인 인권 기준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82. Mindful of the fact the Jeju naval base is an important national project with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dimensions, the Special Rapporteur urges all parties involved to make the necessary efforts to open and maintain dialogue. The authorities must facilitate this process by setting up a mediation mechanism if necessary. In this connection, the Special Rapporteur encourages NHRCK to remain seized of the situation.
82. 제주 해군기지가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의 차원에서 중요한 국가사업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특별보고관은 모든 관련 이해당사자 집단들이 대화를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한다. 당국은 필요한 경우, 중재 매커니즘을 수립함으로써 이 과정을 촉진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별보고관은 국가인권위원회가 이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것을 장려한다.
D. Defenders working for the rights of migrants
D. 이주민인권 옹호자
83. Documented and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n the Republic of Korea face important challenges, including discrimination, unpaid wages, difficulties in accessing social welfare and harassment. Defenders working on these issues include migrant workers themselves who have tried to associate to effectively claim their rights, including labour rights. However, this has not been possible, as the request of the Migrants’ Trade Union (MTU) to be officially recognized as a labour union has not been successful so far.
83. 대한민국의 등록 및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은 차별, 미지급 임금, 사회복지 접근에 있어서의 어려움, 괴롭힘 등을 비롯한 심각한 어려움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과 관련되어 활동하는 인권옹호자들은 노동권을 포함한 권리들을 효과적으로 주장하기 위해 단결하려는 이주노동자 당사자들도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가능하지 않았는데, 이주노동자 노동조합(이하 ‘이주노조’. MTU)이 공식적으로 노동조합으로 인정받기 위한 요청이 지금까지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84. MTU has been operating since 2005. In 2007,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MTU be recognized as a legal union. Following an appeal by the Ministry of Labour of the decision of the High Court, the case has been with the Supreme Court, which has yet to make a decision, since 2007. This has left MTU without legal status for the past eight years.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expressed concern that, as a consequence, migrant workers are denied the rights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to strike. Hence, the work of those advocating for their rights becomes particularly challenging. She trusts that the judicial authorities will deliver their ruling regarding MTU in the near future.
84. 이주노조는 2005년부터 운영되었다. 2007년, 서울고등법원은 이주노조가 법적 노동조합으로 인정될 것을 판결하였다. 고용노동부가 이러한 고등법원의 결정에 대해 항소한 이후 해당 소송은 대법원의 소관이 되었으며, 대법원은 2007년 이래로 지금까지 결정을 내리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이주노조는 지난 8년간 법적 지위가 없는 상태로 남겨졌다.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이러한 결과로 이주노동자들의 단체교섭권과 파업권이 부정되고 있다는 사실에 우려를 표했다. 따라서 그들의 권리를 대변하는 사람들의 활동은 특히 어려워졌다. 특별보고관은 사법 당국이 가까운 시일 안에 이주노조에 관련하여 판결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
85. The cases of various leaders of MTU have been raised by the Special Rapporteur in different communications to the Government since 2008. Cases have included the arrest and deportation in 2009 of MTU members who were active in favour of labour rights of migrants and the denial of entry and deportation in 2012 of the former President of Seoul-Gyeonggi-Incheon MTU (A/HRC/22/47/Add.4, paras. 342–345, and A/HRC/16/44/Add.1, paras. 1981–1992). She is grateful for the Government’s replies.
85. 2008년 이래 정부에 송부한 다양한 서한에서 특별보고관은 이주노조 간부들과 관련된 사건들을 제기하였다. 이 사건들은 2009년 적극적으로 이주민의 노동권을 옹호하던 이주노조 조합원들의 체포 및 강제출국과, 2012년 서울경기인천지역 이주노조 전 위원장의 입국거부 및 강제출국을 포함한다(A/HRC/22/47/Add.4, paras. 342–345, and A/HRC/16/44/Add.1, paras. 1981-1992). 특별보고관은 정부의 답변에 감사한다.
86.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urge the authorities to safeguard the fundamental right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of all migrant workers, regardless of their status. In this connection, she would like to underline the recommendations made by various United Nations treaty bodies 7 ) requesting the State party to ensure that migrants are not subjected to discrimination or exploitation of any sort and that they are able to enjoy their right to organize without undue restrictions. She would also like to recall the recommendation by the ILO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requesting the Government to prioritize social dialogue as a means to find a negotiated solution to the situation of these workers. 8 )
86. 특별보고관은 정부 당국에게 모든 이주노동자들의 결사 및 단체교섭의 자유에 대한 기본적인 권리를, 그들의 지위와 상관없이 보호할 것을 촉구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별보고관은 당사국들에게 이주민들이 어떠한 종류의 차별 혹은 착취를 당하지 않으며 부당한 제한 없이 단결권을 향유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다양한 유엔 조약기구들의 권고들을 7 ) 강조하고자 한다. 특별보고관은 또한 해당 노동자들의 상황에 있어 협의에 기초한 해결방안을 찾는 방법으로써 사회적 대화를 우선시할 것을 정부에 요청한 국제노동기구(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의 권고를 상기하고자 한다. 8 )
E. Students’ rights defenders
E. 학생인권 옹호자
87. During her visit, the Special Rapporteur also learned about the work of brave young students who struggle to advocate for the rights of fellow students in a context of strict school rules and regulations and strong social pressure to have a successful career. While recognizing the value of competition and certain discipline in school system, she expressed concern that some of the practices in schools could amount to violations of basic rights, particularly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or undue restrictions to th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peaceful assembly by retaliating against student leaders. Various United Nations bodies have raised these issues, in particular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see CRC/C/15/Add.197 and CRC/C/KOR/CO/3-4).
87. 방문 중, 특별보고관은 엄격한 학교 규칙과 규정 및 성공적인 사회경력에 대한 강력한 사회적 부담이 존재하는 환경 속에서 용감한 젊은 학생들이 동료 학생들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경쟁 및 학교체계 내 일정 정도의 규율의 가치를 인지함과 동시에, 특별보고관은 학교의 일부 조치들, 특히 체벌 혹은 학생 대표에 대한 보복을 통한 표현과 평화적 집회의 자유권에 대한 부당한 제한은 기본권의 침해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한다. 다양한 유엔 기구들, 특히 아동권리위원회가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CRC/C/15/Add.197 and CRC/C/KOR/CO/3-4).
88.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testimonies and credible allegations of young activists who have dared to publicly denounce such practices and have faced important challenges, including disciplinary actions, coercive dropouts, expulsion, fines, discrimination, verbal abuse and ostracism. Many of these young activists finish by giving up their advocacy work for fear of disadvantages and punishments. Reports of violations are often made anonymously and students live in fear of retaliation.
88. 특별보고관은 용감하게 공개적으로 이러한 조치들을 비난한 젊은 활동가들이 징계 처분, 강제 중퇴, 퇴학, 벌금, 차별, 언어적 폭력, 배척 등을 비롯하여 심각한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신뢰할 만한 진술과 주장을 들었다. 이러한 젊은 활동가들의 대다수는 불이익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그들의 옹호활동을 포기하는 것으로 결론을 짓는다. 인권침해에 대한 신고들은 종종 익명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은 보복에 대한 두려움 속에 살고 있다.
89. She also met with young students advocating for student rights to be enshrined in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Their efforts have made possible the issuance of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which provide for the appointment of student rights commissions and officers who can investigate and provide remedy in cases of violations. These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in Gyeonggi-do and Gwangju in 2010 and in Seoul in 2012.
89. 특별보고관은 또한 학생들의 권리가 현존하는 법적 체계 안에 명시될 것을 옹호하는 젊은 학생들을 만났다. 그들의 노력은 지역정부 차원에서 학생인권조례의 제정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조례는 인권침해 사건에 대해 조사하고 구제책을 제공할 수 있는 학생인권위원회 및 학생인권옹호관의 임명을 명시한다. 이러한 조례는 2010년 경기도와 광주에서, 그리고 2012년 서울에서 제정되었다.
90. The Special Rapporteur was inform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had expressed opposition to such initiatives through local government ordinances claiming that they can infringe upon schools’ autonomy and teachers’ authority. In this connection, on 26 January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filed an injunction to suspend the effect of the Seoul Student Human Rights Ordinance and initiated litigation to nullify it mostly based on flaws in the promulgations process, potential conflict with existing legislation and possible infringement of school autonomy.
90. 특별보고관은 교육부가 지역정부 조례를 통한 이러한 발의에 대해 학교의 자율성과 교사의 권위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2012년 1월 26일 교육부는 서울학생인권조례에 대해 효력중지 명령을 교부했으며 공포 과정에서의 허점, 기존 법률과의 충돌 및 학교 자율성의 훼손 가능성에 주로 기반하여 이를 무효화하기 위한 소송을 진행했다.
91.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recall recommendations made by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whereby it has urged the authorities to consider amending legislation to ensure that children have the right to express their views freely, to facilitate their participation in all matters in decision-making process and in political activities both within and outside schools and to ensure that they fully enjoy their right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expression (CRC/C/KOR/CO/3-4, para. 41). She hopes that the legal proceedings around the Seoul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will be resolved in the best interest of the full exercise of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s.
91. 특별보고관은 아동들이 그들의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할 권리를 가지고, 모든 문제에 있어서 학교 내외의 의사결정과정 및 정치적 활동에의 참여를 촉진하며, 그들이 결사 및 표현의 자유를 완전히 향유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법률 개정을 검토하도록 촉구한 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를 상기하고자 한다(CRC/C/KOR/CO/3-4, para. 41). 특별보고관은 서울학생인권조례를 둘러싼 법적 절차가 기본적인 권리 및 자유의 완전한 행사와 관련해 최선의 이익을 고려한 방향으로 해결되기를 희망한다.
F. Whistle-blowers
F. 내부고발자
92. Whistle-blowers are protected through the Act on Prevention of Corrup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enacted in 2008 and is mostly focused on those who report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In 2011,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s was enacted and explicitly applies to anyone who reports a violation in the public interest, including those who disclose information in the private sector.
92. 내부고발자들은 2008년 제정된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보호되며, 당 법은 주로 공공부문에서의 부패를 신고하는 사람들과 관련이 깊다. 2011년, 「공익신고자 보호법」이 제정되었으며 민간부문에 관한 정보를 공개한 사람을 포함해 공익침해를 신고하는 모든 사람에게 명백하게 적용된다.
93. Within this framework, the confidentiality, physical protection and position of those who report on public interest information is guaranteed. If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reveals a crime committed by those reporting, there is a mitigation-of-culpability clause which can lead to a reduction in the punishment or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em.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also provides for financial incentives or rewards if the information disclosed results in the recovery or increase of revenue, whereby those who report can receive up to 20 per cent of the amount recovered. 9 ) In addition,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s who face damages in connection to medical treatment, litigation expenses and losses in wages can receive financial compensation. The above-mentioned Act allows the launch of enquiries into claims of retaliation against those who report corruption offences and there is a telephone hotline to receive reports.
93. 이 체계 하에서 공익 정보를 신고한 사람들에 대해 익명성과 신체적 보호, 지위가 보장된다. 만약 정보의 공개가 신고자가 저지른 범죄를 폭로하는 경우, 처벌 혹은 징계의 수위를 경감할 수 있는 형량 경감 조항이 있다. 또한 기존의 법적 체계는 정보의 공개가 국가수입의 회복 또는 증가를 가져올 경우, 신고자는 최대 회복된 금액의 20%까지 지급받을 수 있는 금전적 혜택 혹은 보상금을 제공한다. 또한, 의료적 치료, 소송 비용, 임금 삭감 등의 피해를 받은 공익신고자는 금전적 보상금을 받을 수 있다. 언급된 법은 부패를 신고한 사람에 대한 보복 주장에 대해 조사에 착수하는 것을 허용하며, 신고접수를 위한 상담소가 있다.
94. The Special Rapporteur considers that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is, overall, conducive to the disclosure of public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evant to the effective exercise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She believes that some of the provisions and services could be considered as a good practice to be replicated elsewhere, such as the mitigation of culpability provision and the availability of a hotline for those reporting.
94. 특별보고관은 기존의 법적 체계가 전반적으로 인권의 보호 및 효과적인 행사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해 공익 정보의 공개에 있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특별보고관은 형량 경감 조항과 신고자들을 위한 상담소 운영 등 특정 조항과 서비스들은 다른 국가에서 모사할 만한 좋은 관행이라고 생각한다.
95. Nevertheless, the Special Rapporteur received reports that whistle-blowers still face disciplinary actions, punitive dismissals, lawsuits and large damage claims when reporting information of public interest. She receive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ose who report to the press, t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or on the Internet are not protected under the existing framework. In this connection, she would like to underline that reporting through external channels should be allowed in order to encourage and facilitate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of public interest.
95.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보고관은 양심선언자들이 공익정보를 신고하였을 때 징계조치, 징계성 해고, 소송, 그리고 막대한 손해배상 등에 직면한다는 것을 보고받았다. 특별보고관은 언론, 비정부기구, 혹은 인터넷에 신고한 사람들은 기존의 법적 체계에서는 보호받지 못한다는 정보를 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특별보고관은 공익정보의 공개를 장려하고 촉진하기 위해서는 외부적 수단을 통한 신고를 허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G. Defenders working for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ople
G. 성소수자(레즈비언, 게이, 바이섹슈얼, 트랜스젠더) 인권옹호자
96. Those working for the right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eople face discrimination, stigmatization and undue restrictions to their right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The case of the Mapo Residents Rainbow Alliance, which applied to put up a banner in the Mapo-Gu neighbourhood of Seoul and found its request rejected due to the fact that it contained words such as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is relevant in this respect. It is reported that the relevant Mapo-Gu Office asked the organization to revise the content of the banner for fear that such words would be harmful to adolescents and uncomfortable for older people. The Special Rapporteur considers the Mapo banner incident as a violation of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an act of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She is pleased to note that, after her visit, NHRCK issued an opinion on the case along the same lines.
96. LGBT(레즈비언, 게이, 바이섹슈얼, 트랜스젠더)의 권리를 위해 활동하는 사람들은 차별, 낙인, 그리고 자유로운 표현에 대한 권리의 부당한 제한 등의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서울의 마포구 지역에 현수막을 걸도록 신청했던 마포레인보우주민연대가 그들의 요청이 ‘레즈비언’, ‘게이’, ‘바이섹슈얼’, ‘트랜스젠더’와 같은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로 거절되었다는 것을 발견한 경우가 이와 관련이 있다. 마포구 관계자는 이와 같은 단어들이 청소년들에게 유해할 수 있으며 어르신들을 불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이유로 해당 단체에 현수막의 내용을 수정할 것을 요청하였다고 보고되었다. 특별보고관은 마포구의 현수막 사건이 표현의 자유 침해 및 성적 지향과 성별정체성에 기반한 차별 행위라고 생각한다. 특별보고관은 방문 이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같은 맥락의 견해를 발표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97. The Special Rapporteur was informed that the Anti-Discrimination Bill, being discussed at the time of her visit, does not cover all grounds for discrimination, notably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While welcoming the legislative initiative, she is concerned about the narrow base of such important legislation and trusts that the relevant authorities will take the necessary action to ensure that the human rights oblig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ill be upheld as this law is adopted.
97. 특별보고관은 방문 중 논의되고 있던 차별금지법안이 모든 차별사유, 특히 성적 지향과 성별정체성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입법 노력을 환영하면서 동시에, 특별보고관은 이처럼 중요한 법률의 협소한 기반에 대해 우려하며, 관련 당국이 해당 법이 채택되는 데 있어 대한민국의 인권의무가 지켜지도록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 믿는다.
H. Other defenders facing challenges
H. 그 외 어려움에 처한 다른 인권옹호자들
98. Other groups of defenders with which the Special Rapporteur met also face challenges when carrying out their work, including defenders working for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n housing rights.
98. 장애인인권 옹호자들과 주거권 옹호자들을 비롯해 특별보고관이 만난 다른 인권옹호자들 또한 그들의 활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99. Disability rights defenders face important challenges when trying to exercise their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peaceful assembly claiming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including in access to work,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They often face physical violence by law enforcement officials and heavy fines when rallying for the respect and protection of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99. 장애인인권 옹호자들은 고용, 교육 및 사회복지에 대한 접근에서의 차별철폐를 주장하기 위한 표현 및 평화로운 집회의 자유권을 행사하고자 할 때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장애인인권의 존중 및 보호를 주장하는 시위 도중 종종 법 집행관에 의한 신체적 폭력과 막대한 벌금에 처해진다.
100. Those defenders working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cluding housing rights as a component of the right to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also face important challenges, including excessive use of force by the police when opposing forced evictions and violence by private security firms. Some are violently arrested and injured, and face heavy penalties. In connection to the Yongsan incident, two housing rights defenders who were involved were severely injured and spent four years in hospital. To date, they are receiving psychotherapy due to the trauma and the legal proceedings against them.
100. 적절한 생활 수준을 누릴 권리의 구성 요소로서의 주거권을 포함하여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를 위해 활동하는 인권옹호자들 또한 중대한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이에는 강제퇴거에 반대하는 도중 경찰의 과도한 무력 사용과 사설 경비업체의 폭력이 포함된다. 일부 사람들은 폭력적으로 연행되고 부상을 입었으며, 엄중한 처벌에 처해진다. 용산 사건과 관련하여, 연루된 두 명의 주거권 옹호자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으며 4년간 입원했다. 그들은 현재까지 트라우마와 그들에 대한 법적 절차로 인해 심리치료를 받고 있다.
V.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V. 결론 및 권고사항
A. Conclusions
A. 결론
101. The Special Rapporteur considers that, overall, human rights defenders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able to operate freely but in an environment which is not always sufficiently conducive. Significant challenges originate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governing the exercise of basic freedoms, such as the rights to freedoms of opinion and expression, of peaceful assembly and of association. Legislation pertaining to national security, and the difficult geopolitical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can also have a restric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which defenders operate.
101. 특별보고관은 전반적으로 한국의 인권옹호자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는 있으나 활동 환경이 충분히 좋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의사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 평화로운 집회시위의 자유에 대한 권리 같은 기본적인 자유들의 행사를 통제하는 기존 법률체계와 관련해 활동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들이 발생한다. 국가 안보와 관련된 법률과 한반도의 어려운 지역정치적 상황 또한 인권옹호자들의 활동 환경을 통제하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02. The Special Rapporteur would like to warn against the use of legislation to regulate, undermine or obstruct the work of defenders. She would like to refer to article 2, paragraph 2, of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that calls upon States to adopt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other steps to ensure that the rights and freedoms enshrined in the Declaration are effectively guaranteed.
102. 특별보고관은 인권옹호자들의 활동을 통제, 약화 또는 방해할 목적으로 법률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주고자 한다. 특별보고관은 국가들에게 인권옹호자선언에 명시된 권리 및 자유들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입법적, 행정적 및 기타의 조치들을 취하도록 촉구하는 인권옹호자선언 제2항 제2조를 상기시키고자 한다.
103. The Special Rapporteur appreciates the continuous efforts on the part of the authorities to mainstream human rights into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framework. She believes that more can be done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and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made by special procedures.
103. 특별보고관은 법적․행정적 체계에서 인권을 주류화하기 위한 당국의 지속적인 노력에 대해 사의를 표한다. 또한 국가가 인권옹호자선언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특별절차에서 내려진 권고들의 이행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
104. The Special Rapporteur appreciates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in the consolidation of democracy and the respect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the country. She is concerned that certain groups of defenders have lost trust in that institution. She urges NHRCK to do its utmost to regain the confidence of human rights defenders and be a strong, independent institution capable of credible and impartial scrutiny of the State’s human rights obligations.
104. 특별보고관은 국내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의 존중 및 증진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국가인권위원회가 중대한 역할을 수행함에 대해 사의를 표한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해 특정 옹호자 집단들이 신뢰를 잃었음에 대한 우려를 표한다. 이에 국가인권위원회가 인권옹호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과 한국의 인권보장 의무에 대해 공정하고 신뢰할 만한 검토를 할 수 있는 강력하고 독립적인 기구가 될 것을 촉구한다.
105. The Special Rapporteur notes that defenders operate in a rather polarized environment and believes that more effort is required, both from the authorities and the communities of defenders, to engage in genuine and constructive dialogue.
105. 특별보고관은 옹호자들이 다소 양극화된 환경에서 활동함에 주목하고, 당국과 옹호자 커뮤니티들이 진정성 있고 건설적인 대화에 임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106. In this connection, the Special Rapporteur wishes to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in a spirit of engaging in a constructive dialogue with the authorities and other stakeholders involved.
106. 이와 관련해 특별보고관은 당국 및 기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과 건설적인 대화에 임하는 정신으로 아래 사항들을 권고하고자 한다.
B. Recommendations
B. 권고
107. The Special Rapporteur recommends tha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07. 특별보고관은 대한민국 정부에 다음을 권고한다:
(a) Expedite the ratification of those United Nations treaties that are still not ratified, particularl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ratif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Conventions Nos. 87 (1948) concerning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and 98 (1951)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Right to Organise and to Bargain Collectively;
(a) 특히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비준되지 않은 유엔 조약들의 비준을 촉진할 것과, 국제노동기구의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보호에 관한 제87호 협약(1948)과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의 원칙적용에 관한 제98호 협약(1951)을 비준할 것
(b) Raise awareness of and disseminate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at the domestic level and publicly acknowledge the important role of defenders, thereby fostering a spirit of dialogue and constructive criticism;
(b) 국가적 차원에서 인권옹호자선언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홍보할 것과, 대화와 건설적인 비판의 정신이 확산되도록 옹호자들의 중요한 역할을 공개적으로 인정할 것
(c) Avoid the criminalization and imposition of heavy penalties against defenders by conducting a thorough review of those laws and regulations affecting the exercise of the rights to freedoms of opinion and expression and of association and peaceful assembly, with a view to bring these laws into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c) 의사표현의 자유와 집회시위의 자유에 대한 권리 행사에 영향을 미치는 법․규정들을 국제기준에 부합시킬 목적으로 면밀히 검토하여 옹호자들을 범죄화하고 과도하게 처벌하는 것을 피할 것
(d) Ensure that legal provisions in the National Security Act about what constitute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re clearly defined and only applied when is strictly necessary in order to avoid criminalization of activities in defence of human rights;
(d) 인권옹호활동의 범죄화를 막기 위해, 국가보안법상 안보위협을 규정하는 조항들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리고 엄격히 요구될 때에만 이를 적용하도록 보장할 것
(e) Ensure that defamation is only punishable under civil law and that compensation provided is proportionate to the harm done;
(e) 명예훼손이 오직 민법에 의해 처벌되며, 가해진 피해에 비례하여 보상을 제공하도록 보장할 것
(f) Ensure that online expression is not unduly restricted by bringing problematic provisions contained in the Framework Act on Telecommunications into line with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by ensuring that the relevant institutions are transformed to an independent body and that adequate safeguards are in place;
(f) 온라인상의 의사표현이 부당하게 제한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전기통신기본법의 문제가 되는 조항들을 국제인권법에 부합하도록 하고 관련 기관들이 독립적인 기구로 전환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적절한 보호장치를 마련할 것
(g) Ensure that the regime of notification for the conduct of public assemblies provided for in the Constitution is upheld, including by raising awareness about this among public officials and providing capacity-building on existing best practices and guidelines on freedom of assembly;
(g) 공무원들의 인식제고, 집회의 자유에 관련한 모범적인 관행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역량강화 등을 통하여 헌법상 보장된 집회신고체제가 유지되도록 보장할 것
(h) Strengthen the capacities of the police and security forces in crowd control and human rights standards, including proportionate use of force and the role of defenders in the context of demonstrations; and promptly investigate any allega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old perpetrators accountable;
(h) 집회에 있어서 옹호자들의 역할, 적절한 무력의 사용 등을 포함해 군중 통제와 인권 기준에 대한 경찰과 경비병력들의 역량을 강화할 것, 그리고 모든 인권침해 주장에 대해 즉각적으로 조사하고 가해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
(i) Ensure the full independence and effectiveness of NHRCK, including by amending existing provisions to allow for public participation in the nomination and appointment process of Commissioners and to grant the Commission full autonomy in selecting its own staff;
(i) 국가인권위원회 위원 추천 및 임명과정에 대중이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직원 선택에 있어서 완전한 자율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기존 법 조항들을 개정하는 등 국가인권위원회의 완전한 독립성과 효과성을 보장할 것
(j) Ensure that labour rights, including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right to strike, can be exercised without undue restrictions or intimidation, establishing adequate mediation mechanisms between management and labour unions and by protecting unions and workers from harassment by private firms and corporations;
(j) 단체교섭권과 파업권을 포함해 노동권을 부당하게 제한 또는 위협 받지 않고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경영진과 노동조합간 적절한 중재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노조와 노동자들이 민간 업체와 기업으로부터 괴롭힘을 받지 않도록 보호할 것
(k) Carefully consider allegations and reports of violence, intimidation, harassment and surveillance on human rights defenders, conduct prompt and impartial investigations accordingly and hold perpetrators accountable;
(k) 인권옹호자에 대한 폭력, 위협, 괴롭힘 및 사찰 혐의나 보고를 신중히 판단하여 그에 따른 즉각적이고 공정한 수사를 진행하고 가해자의 책임을 물을 것
(l) Ensure that the operations of private security firms compl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spect the rights of defenders, investigate any allega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old perpetrators accountable;
(l) 민간 경비업체들이 국제기준을 따르고 옹호자들의 권리를 존중하도록 보장하며, (이들에 의한) 모든 인권침해 혐의를 수사하여 가해자의 책임을 물을 것
(m) Adopt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policy and programming, including by establishing mechanisms for consultation and effectiv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ies affected by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m)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로 인해 영향을 받는 지역사회와의 협의 및 그들의 실질적 참여를 보장하는 체계 구축을 포함해 개발 정책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 인권적 접근을 채택할 것
108. The Special Rapporteur recommends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108. 특별보고관은 국가인권위원회에 다음을 권고한다:
(a)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of the Sub-Committee on Accreditation of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f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in order to strengthen its independence and effectiveness;
(a) 독립성과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 승인 소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할 것
(b) Raise awareness about the existence of a focal point for defenders within the Commission and ensure that the views of defenders are taken into account;
(b) 위원회 내 인권옹호자를 위한 전담부서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옹호자들의 견해가 고려되도록 보장할 것
(c) Ensure timely interventions, responsiveness and accessibility of the institution to all citizens and actively engage with all groups of human rights defenders;
(c) 모든 시민에게 시기적절한 관여, 대응 및 기관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모든 영역의 인권옹호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것
(d) Remain seized of such situations as those in Miryang and Jeju Island.
(d) 밀양과 제주와 같은 상황에 지속적으로 주목할 것
109. The Special Rapporteur recommends that human rights defenders:
109. 특별보고관은 인권옹호자들에게 다음을 권고한다:
(a) Ensure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Declaration on Human Rights Defenders and the role of defenders at the domestic level;
(a) 인권옹호자선언과 인권옹호자들의 국내적 역할에 대한 정보 확산을 보장할 것
(b) Strengthen efforts to lobby the Government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from international human rights mechanisms;
(b) 정부가 국제인권메커니즘의 권고들을 이행하도록 로비활동을 강화할 것
(c) Strengthen efforts to maintain dialogue with the authorities and private actors to facilitate conflict resolution and the advancement of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c) 갈등해결과 인권 보호 및 증진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당국 및 민간 행위자들과의 대화를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
(d) Ensure that demonstrations are carried out in a peaceful manner and are properly monitored, and that violations are documented and reported.
(d) 시위가 평화적인 방법으로 진행되고 적절히 감시되며 이에 대한 침해행위가 기록되고 보고되도록 보장할 것
110. The Special Rapporteur recommends that public and private corporations:
110. 특별보고관은 공공 및 민간 기업에게 다음을 권고한다:
(a) Respect and apply the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a) 기업과 인권에 관한 이행지침을 존중하고 적용할 것
(b) Adopt a human rights policy in consultation with relevant stakeholders, including defenders and communities affected by their activities;
(b) 인권옹호자 및 영향권 내의 지역사회를 포함한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협의하여 인권정책을 수립할 것
(c) Exert due diligence in relation to human rights, notably to ensure that workers’ rights as recognized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re respected;
(c) 특히 국제인권기준에 따라 인정되는 노동자의 권리들이 존중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인권에 관한 기업실사를 이행할 것
(d) Ensure that the conduct of workers and private security firms complies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nd, in this connection, train employees and private security personnel on conflict resolutio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including the role of human rights defenders.
(d) 노동자와 민간 경비업체들의 행위가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도록 보장하고, 이와 관련하여 직원 및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갈등해결 및 인권옹호자의 역할을 포함한 국제인권기준에 대한 훈련을 제공할 것
FootNote
각주
1)
See the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A/HRC/22/10, and views on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voluntary commitments and replies presented by the State under review, A/HRC/22/10/Add.1.
*주
1) See the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A/HRC/22/10, and views on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voluntary commitments and replies presented by the State under review, A/HRC/22/10/Add.1.
2)
Information from th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www.korea.net/Government/Constitution-and-Government/Constitution.
*주
2) Information from th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www.korea.net/Government/Constitution-and-Government/Constitution.
3)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available from www.itu.int/en/ITU-D/Statistics/Pages/stat/default.aspx.
*주
3)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available from www.itu.int/en/ITU-D/Statistics/Pages/stat/default.aspx.
4)
See also A/HRC/17/27/Add.2, paras. 31–32, 47, and Corr.1.
*주
4) See also A/HRC/17/27/Add.2, paras. 31–32, 47, and Corr.1.
5)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Handbook on Monitoring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Warsaw, 2011), p. 24
*주
5)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Handbook on Monitoring Freedom of Peaceful Assembly (Warsaw, 2011), p. 24
6)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Public Service Regulations.
*주
6) The Government Officials Act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Public Service Regulations.
7)
See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periodic rep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CERD/C/KOR/CO/15-16, and of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E/C.12/KOR/CO/3.
*주
7) See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periodic rep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of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CERD/C/KOR/CO/15-16, and of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E/C.12/KOR/CO/3.
8)
Document GB.317/INS/8, 367th Report of the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case No. 2620, Republic of Korea, paras. 532–559.
*주
8) Document GB.317/INS/8, 367th Report of the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case No. 2620, Republic of Korea, paras. 532–559.
9)
Anti-Corruption Act, arts. 11, para. 7; 36; 37.
*주
9) Anti-Corruption Act, arts. 11, para. 7; 36; 37.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