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권위원회 제02차 최종견해
Concluding observations of the CESCR
/ 배포일 2001. 5. 21.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
1. The Committee considered the second periodic re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rticles 1 to 15 of the Covenant (E/1990/6/Add.23) at its 12th, 13th and 14th meetings (E/C.12/2001/SR.12, 13 and 14) held on 30 April and 1 May 2001 and adopted at its 26th meeting (E/C.12/2001/SR.25), held on 9 May 2001, the following concluding observations.
1. 위원회는 규약 1~15조에 관한 한국정부의 제2차 이행보고서(E/1990/6/Add.23)를 4월 30일과 5월 1일에 열린 12, 13, 14회 회의(E/C.12/2001/SR12,13 and 14)에서 심의했으며, 5월 9일에 열린 26회 회의(위원회 제25차 회기)에서 다음과 같은 최종견해를 채택했다.
A. Introduction
A. 서문
2. The Committee expresses its appreciation to the State party for the comprehensive report and for the written replies to its list of questions (E/C.12/Q/REPOFKOR/2). The Committee notes with satisfaction the presence of a large expert delegation which presented the report and which approached the dialogue in a frank and constructive manner. The Committee notes, however, that the report failed to include information on several important areas and updated statistics, particularly on the critical situation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although this was partly remedied in the written and oral information subsequently provided to the Committee.
2. 위원회는 포괄적 내용의 이행보고서와, 위원회의 질의사항(E/C.12/Q/REPOFKOR/2)에 대해 서면 답변을 제출한 당사국(한국정부)에 감사를 표한다. 위원회는 보고서 발표와 건설적인 대화를 위해 많은 수의 전문대표들을 파견해 준 것에 대해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그러나, 비록 위원회에 제출된 서면 또는 구두 답변을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제공되기는 하였지만, 본 이행보고서가 많은 중요사안에 관한 정보나 최근의 통계, 특히 경제위기 이후의 중요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위원회는 생각한다.
3. The Committee regrets that most of its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its previous concluding observations, adopted upon examination of the initial report, have not been implemented.
3. 위원회는 제1차 이행보고서 심의 이후 채택되었던 지난 최종견해에 담겨있던 제안과 권고들이 거의 이행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B. Positive aspects
B. 긍정적인 측면들
4. The Committee notes with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and rapid economic recovery from the 1997-1998 financial crisi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resent open climate towards human rights generally, and the advances recently realized in the enjoyment of som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4. 위원회는 1997~1998년 외환위기 이후의 신속한 경제회복, 인권에 대한 개방적 분위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향유의 실현에 있어 이루어진 최근의 일부 진전 등에 관해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5. The Committee notes with satisfaction the adoption of a wide range of laws and programmes aimed at ensuring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for all persons, includi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of 1999,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the National Pension Schem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and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Act. It welcomes the extended application of the minimum wage to workers in all enterprises, whereas the minimum wage had previously been applicable only to workers in enterprises employing more than 10 persons.
5. 위원회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1999), 고용보험법,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산업재해보상법 등 일련의 법과 계획들이 마련된 것에 대해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또한 10인 이상의 사업장에만 적용되던 최저임금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업장의 노동자들에게까지 확대된 것을 환영한다.
6. The Committee takes note of the recent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for Gender Equality. It also notes with satisfaction the actions taken to grant women equality with regard to employment, marriage to foreigners, equality in the registration of children, and the possibility of passing on their family name to their children. It further welcomes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programmes in place to significantly expand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which are encouraging women’s participation in remunerative activities.
6. 위원회는 여성부의 신설에 주목하며, 고용․외국인과의 결혼․자녀의 출생신고․자녀에게 성(姓)을 물려줄 수 있는 가능성 등과 관련하여 남녀평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조치들을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또한 공립․사립 아동보육시설을 확대하기 위한 아동복지법과 관련계획들이 마련된 것을 위원회는 환영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7. The Committee welcomes the recent opening of an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in Seoul, through which applications for asylum can be processed.
7. 위원회는 최근 UN난민고등판무관실이 서울사무소를 개설하고 난민신청서를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을 환영한다.
C. Factors and difficulties impeding the application of the Covenant
C. 규약 실현의 장애요소
8.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State party is experiencing a period of major socioeconomic transition that affects its ability to comply with its obligations under the Covenant.
8. 위원회는 한국이 주요한 사회경제적 과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정부가 규약 하의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한다.
9. The Committee notes the continued negative effects on the enjoyment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of the pervasive “fortress mentality”, which is enforced by the National Security Law. Moreover, the high level of defence expenditure is in contrast with the shrinking budget for key areas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9. 위원회는 국가보안법을 통해 강제되고 있는 ‘요새 심리(fortress mentality)’의 만연이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의 향유에 계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높은 수준의 방위비 지출에 반해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의 핵심분야들에 대한 예산은 감소하고 있는 불균형적 현실에 주목한다.
10. The Committee notes that deeply rooted traditions and cultural prejudices marginalize certain categories of persons, such as migrant workers, and many women.
10. 위원회는 깊이 자리잡은 전통적․문화적 편견이 이주노동자와 여성 등 특정 집단을 주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11.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economy-first” approach adopted by the State party has resulted in a low priority being placed on the protec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is has led to the marginalization of certain groups in society in such matters as housing, social welfare and health care.
11. ‘경제우선주의’적 접근은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의 보장에 낮은 비중을 두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해 특정 사회집단이 주거, 사회복지, 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서 주변화되고 있다고 위원회는 생각한다.
D. Principal subjects of concern
D. 주요 우려사항
12.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State party did not take into account its Covenant obligations when negotiating with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o overcome its financial crisis and restructure its economy. The overreliance on macroeconomic policies has had profound negative effects on the enjoyment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 that there have been large-scale employee dismissals and lay-offs, a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employment stability, growing income inequalities, an increasing number of broken families and marginalization of a large number of persons.
12. 위원회는 한국정부가 외환위기 극복과 경제구조조정을 위해 국제금융기구와 협상을 할 때 규약의 권리들을 고려하지 않은 점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거시경제정책에 대한 과잉의존은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의 향유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대량정리해고․고용상태 악화․소득격차 심화․가정파탄 증가․많은 사람들의 주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13. The Committee views with concern the fact that the rapid pace of economic development has not been matched by efforts to guarante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in such a situation, some rights or the rights of some groups are being sacrificed for the sake of economic recovery and market competitiveness.
13. 위원회는 빠른 속도의 경제발전이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수반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권리들 혹은 일부 집단의 권리들이 경제회복과 시장경쟁력확보를 위해 희생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14.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data-collection methods of the State party do not seem to be fully reliable. Examples include data on unemployment and underemployment, housing, poverty and migration. In some cases, there were very large gaps between the statistic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those from other sources, including the agencies of the United N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ich has serious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ies and programmes designed to address the needs of the most vulnerable and marginalized people.
14. 위원회는 한국정부의 통계자료 확보방법이 충분히 신뢰할 만하지 못하다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예를 들어 실업, 불안정고용(Underemployment), 주거, 빈곤과 이주 등에 관련된 통계자료들이 그러하다. 몇몇 경우, 정부가 제공한 통계는 UN전문기구와 민간단체를 포함한 여타의 기관들이 제공한 통계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취약계층의 요구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정책들의 실효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지니는 통계들이다.
15. The Committee regrets that no adequate effort has been made since the examination of the initial report to ensure that the rights provided for in the Covenant are fully enshrined in law. The Committee notes with concern that,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status of the Covenant is equal to that of domestic laws, which means that the protection of some rights may be overridden by subsequently enacted laws or special laws. It regrets the lack of clarity as to whether all Covenant rights can be invoked in domestic courts and further regrets the absence of any case law.
15. 위원회는 1차 보고서 심의 이후에, 규약의 권리를 국내법에서 완전히 보장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이 없었던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헌법에 따르면 규약은 국내법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데, 이 경우 신법(新法) 또는 특별법이 규약의 일부 권리에 우선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위원회는 우려한다. 또한, 규약상의 모든 권리가 국내법원에서 직접 원용되는 지의 여부에 관해 명확한 입장이 없는 점 그리고 그러한 판례가 없다는 점에 대해 우려한다.
16. Notwithstanding the advances noted in paragraph 6, the Committee notes with deep concern the continued unequal status of women. Persisting problems include the traditional preference for sons, which is manifested in a high incidence of induced abortions of girl foetuses that threaten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the patriarchal head-of-family system (ho-ju) as defined in law; the high incidence of domestic violence; the relatively low access by women to tertiary educatio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and a large gap in the average salaries paid to women and to men.
16. 위 6항에서 주목한 진전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불평등한 지위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 위원회는 깊은 우려를 표한다. 여자 태아에 대한 높은 낙태율이 보여주듯 남아선호사상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호주제가 법에 명시 되어있고, 가정폭력 발생비율이 여전히 높고, 여성의 고등교육 접근율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며, 직장내의 여성차별과 성희롱이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으며, 남녀의 평균임금격차는 매우 크다.
17. The Committee regrets that the specific conditions of work to which the so-called “irregular workers” are subject have not been clarified during the dialogue. Information from independent sources indicate that “irregular” workers are distinguished from “regular” workers, although they often perform the same tasks, in that irregular workers receive lower wages, pension benefits, unemployment and health benefits and have less job security. It also notes that the proportion of irregular workers in the general labour force has grown to half, the great majority of them women.
17. 위원회는 보고서 심의 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조건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독립적 기관의 정보에 따르면,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 연금혜택, 실업, 의료혜택, 직업안정성 등에서 정규직 노동자와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 위원회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율이 50% 가까이 되며, 이들 중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점에 우려를 표한다.
18. The Committee is alarmed at the rising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in recent years, which appears to be the result of a relaxation of the standards governing industrial safety and of the insufficient number of on-site inspectors.
18. 위원회는 최근 몇 년 사이 산업재해 발생률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 이는 산업안전관련 규제의 완화와 근로감독관의 부족이 초래한 결과로 보인다.
19. The Committee notes that teachers can legally enjoy their right under article 8 of the Covenant to form and belong to trade unions. However, it is concerned that they are still prevented from participating in collective bargaining and in strikes, a right guaranteed in both the Covenant and in the national Constitution (art. 33). While cognizant of the elevated status that is traditionally bestowed on teachers in Korean society, the Committee considers it inappropriate for the Government to assume the role of guardian of traditions that prevent the exercise of this fundamental right.
19. 위원회는 교사들이 규약 8조의 권리(노조결성의 권리)를 합법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 점에 주목한다. 그러나 규약 및 헌법 33조가 보장하고 있는 권리인 단체교섭 및 파업권이 교사들에게 허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한국사회에서 교사에게 전통적으로 주어진 고결한 지위를 위원회가 인지한다고 해도, 위원회는 정부가 기본권의 실현을 방해하는 전통의 수호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20.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the laws governing industrial actions are not transparent and appear to give the authorities inordinate discretion in determining the legality of strikes. In this regard, it considers entirely unacceptable the approach taken to criminalize strike activities. In addition, the Committee is deeply disturbed by the excessive force used by the police against recent labour demonstrations that had been set off by massive lay-offs. The Committee considers the combined effect of these circumstances to be a clear negation of the rights provided for in article 8 of the Covenant.
20. 위원회는 파업(industrial actions)을 관장하는 법률이 투명하지 않고 파업의 합법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관련기관에 과도한 재량이 부여되고 있는 점을 우려한다. 이 점에 있어서, 파업행위를 범죄시하는 정부의 접근방식은 ‘전적으로 수용될 수 없는 것’이라고 위원회는 판단한다. 또한, 위원회는 대량해고에 의해 유발된 최근의 노동 관련 시위에서 과도한 경찰력이 사용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이러한 상황들의 종합적인 효과는 규약 8조에서 보장하고 있는 권리들에 대한 명백한 부정이라고 위원회는 생각한다.
21.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rising incidence of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child labour, and hardships caused by a breakdown of the family. In this regard, the legal protection accorded to children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adequately implemented.
21. 위원회는 아동에 대한 성적착취, 아동노동 그리고 가정 파괴로 인한 아동 학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이 점에서, 아동에 대한 법적 보호가 충분히 시행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2. The Committee notes with concern the shifting population distribu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 with most government programmes to develop infrastructure, education, health care and other essential facilities being highly concentrated in the urban areas. Urban migration of younger people has left many older persons to care for family farms in the countryside. The Committee regrets that the situation of persons living in rural areas has not been sufficiently dealt with during the present dialogue.
22. 위원회는, 기반시설․교육․보건의료 및 기타 필수 시설들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계획이 도시 지역에 고도로 집중돼 있어 인구가 농촌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상황에 대해 우려한다. 젊은이들이 도시로 이주했으며 많은 노인들은 농촌에서 가족농지를 돌보기 위해 남겨졌다. 위원회는 이번 심의 동안 농촌 지역 주민들의 상황이 충분히 다뤄지지 못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23. While welcoming the adoption of programmes to supplement the incomes of those living under the poverty line, notably through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the Committee has doubts about the adequacy of the assistance given. The eligibility criteria are apparently so rigid as to exclude many of the poor, and the amount of financial assistance regularly awarded can reportedly be drastically reduced without notice and without reaso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which is said to have nationwide coverage and be open to all persons, nevertheless fails to provide for an inordinate proportion of the workforce who are reaching pensionable age but have not been able to contribute to the system for a sufficient number of years.
23.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통해 빈곤선 아래에 사는 사람들의 소득을 보충하기 위한 정책을 채택한 것을 환영하는 한편, 위원회는 주어지는 지원이 충분한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 수급기준이 너무 엄격해 많은 빈곤층이 배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규 생계급여의 액수가 사전 통보 없이 또는 이유 없이 급격히 삭감될 수도 있다고 한다. 국민연금제도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고 전국적으로 적용된다고 하나, 연금을 받을 나이에 근접하고 있음에도 보험료를 충분한 기간 납부할 수 없었던 상당 비율의 경제활동인구가 연금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24. The Committee notes with concern that despite the State party’s attempts to promote employment of the disabled, the previous 2 per cent quota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enterprises employing over 300 employees has not been met, even within government agencies.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enforcement mechanisms for this purpose do not seem to have been established.
24. 위원회는, 장애인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장애인을 최소 2% 이상 고용하도록 하는 의무가 심지어 정부 기관에서도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위원회는 또한 위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강제할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는 데 우려를 느낀다.
25. The Committee regrets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concerning the number of forced evictions and the specific conditions under which they can occur, in accordance with the Committee’s General Comment No. 7. The Committee is also concerned that victims of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are not provided with compensation or temporary lodging, unlike private homeowners who are evicted as a result of public projects. Moreover, the Committee is concerned about the affordability of housing for lower income groups, especially the vulnerable and marginalized groups; about the use of “vinyl houses” for dwellings, which pose grave risks to their dwellers; and about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homeless.
25. 위원회는, 위원회의 일반논평(General Comment) 7에 의거, 강제 철거되는 사람의 숫자와 강제철거 발생 시의 구체적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위원회는 또한 공공사업으로 인해 퇴거 당하는 가옥소유자들과 달리, 민간 개발사업의 피해자들에게는 보상이나 임시주거시설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우려한다. 더욱이 위원회는 저소득층, 특히 취약집단, 한계계층들의 주거비 부담, 거주자들에게 큰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거주, 노숙자의 급격한 증가에 대해 우려를 느낀다.
26. The Committee is disturbed that the portion of the government budget allocated to health, which is under 1 per cent is low and declining. It is concerned at the predominance of privately operated health care facilities - estimated to exceed 90 per cent of all health care facilities, a trend that accelerated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 and the consequent negative implications for access to health care by the most marginalized sectors of society.
26. 위원회는 보건 분야 예산의 비율이 (전체 정부예산 중) 1% 이하이며 더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는 점을 불안하게 느낀다. 민간의료기관이 지배적―모든 보건의료기관의 90% 이상인 것으로 추정되며 금융 위기 이후 더욱 악화되는 추세―이며, 이는 곧 사회의 한계 계층들이 보건의료에 접근하는데 부정적인 결과를 의미한다는 점을 위원회는 우려한다.
27. The Committee notes with concern that the low quality of education in public schools is compelling families to supplement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with private instruction, thereby placing an undue financial burden on families, especially those in lower-income groups.
27. 위원회는 열악한 공교육으로 인해 학부모들이 자녀에게 사교육으로 자녀의 교육을 보충하도록 강요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특히 저소득층은 과중한 재정부담을 안게 되는 점을 우려한다.
28. The Committee also notes with concern the predominance of private institutions in higher education, a fact detrimental to the lower income groups. It further notes that over two thirds of th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re males, which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28. 위원회는 또한 고등교육에서 사립기관이 지배적이며, 이는 저소득층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우려한다. 나아가 위원회는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 중 2/3 이상이 남학생이며 이는 성 평등 원칙에 반한다는 점을 주목한다.
29. The Committee notes that education is free and compulsory only at the primary school level, which is not commensurate with the State party’s high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29. 위원회는 초등교육 단계만이 무상의무교육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높은 경제발전수준에 걸맞지 않다.
30.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present criteria for granting refugee status appear to be far too stringent, with only one application having been approved to date.
30. 위원회는 지금까지 오직 한 명의 난민신청자가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다는 사실에 비춰볼 때, 현재의 난민 지위 인정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데 우려를 느낀다.
31. The Committee notes with concern that human rights education has not yet been formally incorporated as a required subject for all members of those professions that are most directly involved in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31. 위원회는 인권교육이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를 증진하고 보호하는 일에 가장 직접 연관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필수 과정으로 아직 공식적으로 설정되지 않은 것에 대해 우려를 느낀다.
32. The Committee is concerned that the National Security Law is being used to curtail the activities of intellectuals and artists. Under this law, not only are their works being censored, confiscated or destroyed, but the intellectuals and artists themselves are being subjected to criminal prosecution.
32. 위원회는 국가보안법이 지식인과 예술인의 활동을 제약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점을 우려한다. 국가보안법 하에서, 작품이 검열, 몰수 혹은 파괴될 뿐 아니라 지식인과 예술인들 자신이 형사 기소의 대상이 되고 있다.
E.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E. 제안과 권고
33. The Committee reiterates and affirms its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its previous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State party’s initial report and urges the State party to take concrete steps to implement them.
33. 위원회는 한국정부의 최초 보고서에 대한 최종견해(Concluding Observations)에 담겼던 제안과 권고를 다시 반복하고 확인하면서 그것들을 이행할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한국정부에 촉구한다.
34. The Committee emphasizes that a human rights approach to government actions must begin wi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situation in respect of each right,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most vulnerable groups, and the formulation of appropriate laws, programmes and policies. It urges the national statistical agencies and relevant ministries to review the ways in which data relating to all rights are collected through the lens of the Covenant.
34. 위원회는, 정부 활동의 인권적 접근은, 각 권리와 관련된 실제 상황을 완전히 이해하는 것, 가장 취약한 집단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 그리고 적절한 법,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위원회는 국가의 통계기관들과 관련 부처들이 규약의 관점으로 모든 권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할 것을 촉구한다.
35. While noting the enactment of a new law that establishes a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he Committe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commission in full conformity with the 1991 Principles relating to the status of national institutions (the “Paris Principles”), and in this context, draws attention to its General Comment No. 10.
35. 국가인권위원회를 설립하는 새로운 법의 제정을 주목하는 한편, 본 위원회는 국가인권위원회를 국가기구의 지위에 관한 1991년 원칙(파리원칙)에 완전히 부합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같은 맥락에서 본 위원회의 일반논평 10에 대한 주의를 요청한다.
36.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accord the Covenant a legal status that would enable it to be invoked directly within the domestic legal system. It recommends that such status be superior to all national laws, whether precedent, antecedent or special, and refers in this regard to its General Comment 9.
36. 위원회는 한국정부가 규약이 국내법 체제 안에서 직접 원용될 수 있도록 법적 지위를 부여할 것을 촉구한다. 위원회는 규약의 지위가 구법이든 신법이든, 혹은 특별법이든지에 관계없이 모든 국내법에 우선해야 한다고 권고하며, 이와 관련해 본 위원회의 일반논평 9를 참조한다.
37.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allocate the necessary resources to enable the newly established Ministry for Gender Equality to function effectively and to apply a gender perspective in legislation and in society.
37. 위원회는 신설된 여성부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면서 법률과 사회에 성평등적 관점(gender perspective)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국정부가 필요한 예산을 배정할 것을 권고한다.
38.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irregular” workers be included in the third periodic report. In the meantime, it strongly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reconsider the status of irregular workers and guarantee their rights under the Covenant.
38. 위원회는 “비정규” 노동자의 상황에 관한 자세한 정보가 제3차 이행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함을 권고한다. 한편, 위원회는 한국정부가 비정규노동자의 지위를 재고(再考)하고 규약 하의 권리들을 보장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39. The Committee reminds the State party that the provisions of article 8 guarantee for all persons the right to freely form and join trade unions, the right to engage in collective bargaining through trade unions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ir economic and social interests, as well as the right to strike.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desist from using criminal proceedings against striking trade unions. It also urges the State party to refrain from using any force beyond that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public order.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right of teachers and other civil servants to form and join trade unions, to engage in collective bargaining and to strike should be guaranteed in law and in practice. Detailed information on this is requested in the third periodic report.
39. 위원회는 규약 8조의 규정 즉 모든 사람들이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참여할 권리, 자신들의 경제적 및 사회적 이해를 증진하고 보호하기 위해 노동조합을 통한 단체교섭을 행할 권리, 그리고 파업권을 한국정부에 상기시킨다. 위원회는 파업권을 행사하는 노동조합에 대한 형사소추를 중지할 것을 한국정부에 촉구한다. 또한 위원회는 공공질서 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수준 이상의 공권력 사용을 자제할 것을 한국정부에 촉구한다. 위원회는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참여할 권리, 단체교섭권, 파업권이 법과 실재 모두에서 교원 및 공무원들에게 보장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제3차 이행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한다.
40.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take more effective measures to combat the sexual trade of children and child labour, as well as expand its programmes directed at the protec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victims of such practices.
40. 위원회는 아동 성 매매와 아동 노동을 근절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인 대책을 취하고 그러한 피해자들에 대한 보호와 원상회복을 위한 계획을 확대시킬 것을 한국정부에 권고한다.
41.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stablish a focal point within the Government for dealing with complaints or appeals for assistance on housing matters. It recommends that protection be provided, such as compensation and temporary housing, to victims of forced evictions resulting from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The State party should also ensure that adequate housing is available to members of vulnerable or marginalized groups. Moreover, the State party should take immediate measures to assist all those who are homeless or living in exceptionally substandard conditions, such as “vinyl houses”.
41. 위원회는 주거 문제에 대한 지원을 구하는 진정이나 탄원을 다루기 위해 정부 내에 전담부서(focal point)를 설치할 것을 한국정부에 권고한다. 위원회는, 민간 개발사업에 의한 강제철거의 피해자들에게도 보상과 임시주거시설 등의 보호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또한 한국정부는 취약집단 또는 한계계층에 속한 사람들이 적절한 주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더욱이, 한국정부는 노숙자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기준 이하의 조건에서 생활하는 모든 사람들을 지원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42.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establish a plan to strengthe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conformity with article 13 of the Covenant and General Comment No. 13 of the Committee, and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party’s high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The plan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elements: a reasonable timetable for specific ac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free and compulsory secondary education; a re-examination of the functions and quality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relative to private education, with a view to strengthening the former and easing the burden on low-income groups imposed by the latter; a study of accessibility of schools at all levels, including tertiary education, and specific actions to be taken to ensure equal access by all sectors of society; and a reassessment of the curricula at all levels of instruction directed at promoting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Information on this matter is requested in the third periodic report of the State party.
42. 위원회는 규약 13조와 본 위원회 일반논평 13에 부합하도록 그리고 대한민국의 높은 경제발전 수준에 걸맞도록 공교육시스템을 강화할 계획을 수립할 것을 한국정부에 권고한다. 그 계획은 다음의 요소를 담아야 한다. 중등교육의 무상의무교육화를 위한 구체적 계획과 그 합리적 기한설정(timetable); 사교육으로 인한 저소득층의 부담 완화와 공교육 강화를 위한 공교육제도의 기능과 질에 대한 재검토; 고등교육을 포함해 모든 단계의 교육에 대한 접근성 연구, 사회 각계 각층 모든 사람들의 동등한 접근 보장을 위한 구체적 조치; 인권과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을 증진하기 위한 모든 교육 단계 교과내용의 재평가. 이러한 주제에 대한 정보가 한국정부의 제3차 이행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한다.
43. Insofar as traditional practices pose an obstacle to the fulfilment of some rights or perpetuate discrimination of any kind, including the preference for sons and the abortion of girl foetuses, the State party should carry out large-scale public campaigns to promote understanding among the general public about human rights.
43. 전통적인 관행이 어떤 권리를 향유하는데 장애로 작용하거나 남아 선호 및 여자 태아의 낙태 등 어떤 종류이든 차별을 존속시키는 한, 한국정부는 일반 대중들의 인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대중 캠페인을 수행해야 한다.
44. The Committee recommends that the State party prepare, in accordance with the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adopted at the 1993 World Conference on Human Rights, in cooperation with the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a national human rights plan of action, taking into account the observations made by this and other treaty bodies. It requests that information on such a national plan be provided in the State party’s third periodic report.
44. 위원회는 1993년 세계인권대회에서 채택된 비엔나 선언과 행동계획에 따라, 인권고등판무관실과의 협력 속에, 본 위원회 및 기타 다른 조약 기구들이 채택한 견해(observations)들을 고려하면서 인권 관련 국가행동계획을 준비할 것을 한국정부에 권고한다. 위원회는 국가인권행동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3차 이행보고서에 담을 것을 요구한다.
45. The Committee urges the State party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in its third periodic report, to be submitted by 30 June 2006, on conditions in the rural sector and the situation regarding agriculture and food production.
45. 위원회는 2006년 6월 30일까지 제출할 제3차 이행보고서에 농촌 부문의 상황과 농업 및 식량 생산 상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담을 것을 한국정부에 촉구한다.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