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UPR 실무그룹 보고서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 배포일 2023. 3. 23.
Introduction
서론
1. The Working Group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held its forty-second session from 23 January to 3 February 2023.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held at the 8th meeting, on 26 January 2023.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headed by the Vice-Minister of Justice, Noh Kong Lee. At its 15th meeting, held on 1 February 2023, the Working Group adopted the report on the Republic of Korea.
1. 유엔 인권이사회 결의 5/1에 따라 설립된 국가별 정례인권검토(UPR) 실무그룹은 2023년 1월 23일부터 2월 3일까지 제42차 회기를 진행하였다. 대한민국에 대한 심의는 2023년 1월 26일 제8차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대표단의 수석대표는 이노공 법무부 차관이 맡았다. 실무그룹은 2023년 2월 1일 개최된 제15차 회의에서 대한민국에 대한 보고서를 채택하였다.
2. On 11 January 2023, the Human Rights Council selected the following group of rapporteurs (troika) to facilitate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Côte d’Ivoire, France and United Arab Emirates.
2. 2023년 1월 11일 유엔 인권이사회는 대한민국에 대한 원활한 심의를 위해 코트디부아르, 프랑스, 아랍에미리트를 간사국(Troika)으로 선정하였다.
3.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of the annex to Human Rights Council resolution 5/1 and paragraph 5 of the annex to Council resolution 16/21, the following documents were issued for the review of the Republic of Korea:
3. 인권이사회 결의 5/1에 따른 부속서 제15항 및 결의 16/21에 따른 부속서 제5항에 따라 대한민국의 심의를 위하여 다음의 문서들이 작성되었다.
(a) A national report submitted/written presentation made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a); 1 )
(a) 15(a)항에 따라 제출된 서면 국가보고서; 1 )
(b) A compilation prepared by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b); 2 )
(b) 15(b)항에 따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작성한 유엔 권고사항 요약보고; 2 )
(c) A summary prepared by OHCHR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5 (c). 3 )
(c) 15(c)항에 따라 준비된 이해관계자 보고서 요약본. 3 )
4. A list of questions prepared in advance by Belgium, Canada, Germany, Liechtenstein, Panama, Portugal, on behalf of Group of Friends on national mechanisms for implementation, reporting and follow-up, Slovenia, Spain,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ruguay was transmitted to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troika. The questions are available on the website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4. 벨기에, 캐나다, 독일, 리히텐슈타인, 파나마, 이행·보고·후속조치를 위한 국가 메커니즘에 대해 우호국 그룹을 대표한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스페인, 영국, 미국, 우루과이는 간사국을 통해 사전 질의서를 대한민국에 제출하였다. 사전 질의서는 UPR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다.
I. Summary of the proceedings of the review process
I. 심의과정 진행 개요
A. Presentation by the State under review
A. 수검국 발표
5. The delegation stated that, in May 2022, a new Government had assumed office, and it sought to participate in United Nations human rights mechanisms to fulfil its role as a “global pivotal State”.
5. 대한민국 정부대표단은 “글로벌 중추국가(Global Pivotal State)”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유엔 인권 메커니즘에 참여하고자 하는 새 정부가 2022년 5월 출범했다고 밝혔다.
6. In preparing for the fourth cycle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the Government had consulted ministries and agencie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civil society and had attended the pre-session briefing on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held in Geneva.
6. 제4차 UPR을 준비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여러 정부부처와 기관, 국가인권위원회 및 시민사회와 협의했으며, 제네바의 “UPR 프리세션”에 참여하였다.
7. Responding to third cycle recommendations, the Government had acceded to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It had ratified three fundamental conventions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namely,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1930 (No. 29), the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1948 (No. 87), and the Right to Organise and Collective Bargaining Convention, 1949 (No. 98), and had withdrawn its reservation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Government was considering accession to other treaties and would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treaties it had already signed.
7. 제3차 UPR 권고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 및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에 가입하였다. 또한 세 가지 ILO 핵심협약인 제29호, 제87호, 제98호를 비준하였고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유보를 철회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기타 조약의 가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기 가입한 조약을 이행할 것이다.
8. The Republic of Korea had cooperated in country visits by several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and had served as a member of the Human Rights Council in the periods 2016–2018 and 2020–2022.
8. 대한민국은 여러 유엔 특별절차의 국가방문에 협력하였고, 2016-2018년 및 2020-2022년 임기 동안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9. In 2018, the Government had adopted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with a new chapter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In preparing the fourth plan, it planned to include policies regarding the digital transition.
9. 2018년 대한민국 정부는 “기업과 인권” 장이 추가된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을 채택하였다. 제4차 계획 수립 시 디지털 전환에 관한 정책을 포함할 계획이다.
10. Government measures ensured freedom of assembly, including through use of the “Korean model of police dialogue system” on police facilitation of peaceful assemblies, the provision of human rights training for police officers and the conduct of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s for related police activities.
10. 정부의 조치는 경찰의 평화적 집회 조력을 위한 “한국형 대화 경찰제도”, 경찰관의 인권교육 및 관련 경찰 활동에 대한 인권영향평가를 비롯한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였다.
11. The Government was enforcing the Human Trafficking Prevention Act, encompassing a response plan for combating human trafficking.
11. 대한민국 정부는 「인신매매등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여 인신매매방지 종합계획을 포괄하고 있다.
12. An alternative service system for conscientious objectors had been established. Pursuant to new legislation, conscientious objectors performed their duties in correctional facilities.
12. 양심적 병역거부자 대상 대체복무제가 마련되었다. 새로운 법률에 따라,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교정시설에서 복무하게 되었다.
13. To address overcrowding in correctional facilities, efforts had continued to secure additional space through the renovation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13. 교정시설의 과밀수용 해소를 위하여 교도소의 개보수를 통해 추가적인 수용공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14. Regarding social security, the Government had expanded the eligibility of recipients, as well as the child allowance, the basic pension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ility pension. The medical allowance programme and the personal contribution cap system had alleviated medical expenses for low-income groups.
14. 사회보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수급 자격을 확대하고 아동수당, 노인기초연금, 장애인 연금을 확대하였다. “의료급여” 제도와 “본인부담액 상한제”는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였다.
15. In the context of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the Government had made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vulnerable groups. Addressing the female employment crisis, it had created approximately 780,000 new jobs and had strengthened support and childcare services. In 2020, online learning had been implemented.
15.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한민국 정부는 취약계층의 인권 보호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여성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78만여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였고, 지원과 아이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였다. 2020년에는 온라인 학습을 시행하였다.
16. With respect to labour rights, provisions in the Labor Standards Act protected workers from harassment and obliged employers to investigate cases. The scope of employment an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had also been expanded.
16. 노동권과 관련하여, 「근로기준법」 조항에 따라 근로자들을 직장 내 괴롭힘으로부터 보호하고 사용자들의 사건 조사 의무를 명시하였다. 또한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였다.
17. The Republic of Korea enjoyed a 99 per cent high school enrolment rate. The Government extended free education to high school and provided education allowances to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17.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진학률은 99%에 달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을 확대하고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수당을 지급하였다.
18. The Government had established the gender equality basic plan in 2018 and had introduced the Framework Act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a corresponding basic plan. The Digital Sex Crime Victim Support Centre had been created, and laws had been amended to increase penalties and offences. New laws had established the legal grounds for the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the crime of stalking and support for victims. To address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labour inspectors supervised the gender equality support system.
18.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부터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이에 상응하는 기본계획을 도입하였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벌금 및 위반 행위를 강화하도록 법을 개정하였다. 새로운 법은 스토킹범죄에 대한 처벌 및 예방과 피해자 지원에 대한 법적 근거를 포함하였다. 고용상의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근로감독관이 양성평등지원제도를 감독하였다.
19. Under the amended Child Welfare Act, the National Center for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basic children policy plan had been established.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ombating child abuse had been installed in local governments, and the number of protection agencies and shelters had been increased. The right to take disciplinary action in the Civil Act had been removed. The Government had amended laws to exclude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Through the youth policy implementation plan, the Government sought to prevent the marginalization of youth.
19. 개정된 「아동복지법」에 따라, 아동권리보장원이 신설되었고, 「아동정책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아동학대 전담공무원을 지방자치단체에 배치하고, 보호기관과 쉼터를 추가 개소하였다. 「민법」상 친권자의 징계권 규정이 삭제되었다. 정부는 아동성폭력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를 적용을 배제하도록 법률을 개정하였다. 청년정책 추진계획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는 청년의 소외를 방지하고자 한다.
20. To eradicate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the Government had introduced provisions in rules to separate perpetrators and victims, had established a dedicated organization und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and had increased the number of counsellors specialized in complaints of sexual offences.
20. 군 내 성폭력 근절을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리하는 규칙 조항을 신설하고, 각 군에 전담 조직을 신설하였으며, 성고충 전문상담관을 증원하였다.
21. An officer to protect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had been established with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1. 국가인권위원회에 군인권보호관 제도를 도입하였다.
22. Regar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upported health management projects, while measures to strengthen lifetime care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vided for 24-hour care. The Government had increased the amount of the disability pension and had ensured individualized welfare services.
22. 장애인과 관련하여, 「장애인의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강관리 사업을 지원하고, 「발달장애인 평생돌봄 강화대책」에 따라 24시간 돌봄서비스를 마련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장애인 연금액을 인상하고, 개별적 복지서비스를 약속하였다.
23. For older persons, there was strengthened care for dementia patients, shelters for elderly victims of abuse, personalized care services and expanded employment opportunities.
23. 노인과 관련하여, 치매 환자 돌봄, “학대피해 노인 쉼터”,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강화하고 일자리를 확충하였다.
24.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ers, the basic plan for immigration policy had been advanced, and 20 May had been designated as Together Day. The Government supervised businesses to prevent violations of migrant workers’ rights. Under an improved employment permit system, foreign workers were allowed unlimited workplace changes if they were not responsible for their employment termination. The Foreigner Detention Regulation designated human rights protection officers. The Government had added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officers and had issued guidelines on appeal procedures. The Government had guaranteed the right of all children to receive free compulsory education, regardless of residence status.
24. 외국인의 사회통합과 관련하여,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을 추진하였으며, 5월 20일을 “세계인의 날”로 지정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의 인권침해 방지를 위해 사업장을 점검하였다. 개선된 고용허가제도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에게 책임 없는 사유로 인한 권고 퇴직시에는 횟수 제한 없이 사업장을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외국인보호규칙」에 따라 인권보호관이 지정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난민심사 전담인력을 증원하고, 이의신청 절차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모든 아동이 무상으로 의무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였다.
25. The Government had incorporated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into development cooperation.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had launched the human rights- based development cooperation implementation plan, in 2020, to promote the rights of vulnerable groups and had integrated human rights into project management.
25. 대한민국 정부는 개발협력시 인권 기반 접근법을 반영하였다. 한국국제협력단은 취약계층의 권리 증진을 위해 2020년 인권기반 개발협력 이행계획을 출범하였고, 사업 관리에 인권을 내재화하였다.
B. Interactive dialogue and responses by the State under review
B. 상호 대화 및 수검국 답변
26.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 95 delegations made statements. Recommendations made during the dialogue are to be found in section II of the present report.
26. 총 95개 대표단이 상호 대화에서 의견을 제시하였다. 상호 대화 중 제시된 권고사항은 이 보고서 제II부에 수록되어 있다.
27.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expressed concern about inequalitie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girls and the rise of hate speech against migrants and refugees.
27. 이란은 불평등, 여성과 여아에 대한 차별, 이주민과 난민에 대한 혐오표현의 증가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28. Iraq commended th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framework to promote human rights, including to guarantee respect for the right to housing, strengthen social protection and combat human trafficking.
28. 이라크는 주거권 존중 보장, 사회적 보호 강화, 인신매매 방지 등을 포함한 인권 증진을 위한 입법적·제도적 체계를 환영하였다.
29. Ireland welcomed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and the expanded definitions of domestic violence crimes, but noted a lack of progress made on comprehensive anti- discrimination legislation, which was recommended previously.
29. 아일랜드는 임신중절의 비범죄화와 가정폭력범죄의 정의 확대를 환영하였으나, 이전 권고에 포함된 「포괄적 차별금지법」에 대한 성과가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30. Israel praised progress made on non-regular workers,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but expressed concern about sexual violence in the armed forces.
30. 이스라엘은 비정규직, 장애인의 권리 및 여성 폭력 퇴치에 대한 성과를 칭찬하였으나, 군 내 성폭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31. Italy lauded the efforts made to eliminat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romote gender equality and enhance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ector, notably the gender equality basic plan.
31. 이탈리아는 여성에 대한 차별 철폐, 성평등 증진, 공공 부문에서의 여성의 대표성 강화, 특히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을 위한 노력을 칭찬하였다.
32. Japan expressed appreciation for efforts to increase female representation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o address social inequality, among other things.
32. 일본은 무엇보다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에 감사를 표했다.
33. Jordan commended the efforts made in preparing the national report, reflecting human rights achievements, and the laws addressing human trafficking and domestic violence.
33. 요르단은 인권 관련 성과를 반영한 국가보고서 작성 및 인신매매와 가정폭력 해결을 위한 법률 마련을 위한 노력을 환영하였다.
34. Kazakhstan welcomed advances in social policy, support for persons in vulnerable situations,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34. 카자흐스탄은 사회 정책, 취약계층 지원, 군대 내 인권 개선 및 학교 내 인권교육의 진전을 환영하였다.
35. Kuwait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efforts made in preparing the national report and in implementing recommendations from the previous universal periodic review cycle.
35. 쿠웨이트는 국가보고서 작성과 이전 UPR 권고 이행을 위한 노력에 감사를 표했다.
36.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ramework and the progress made in protecting the rights of vulnerable groups.
36. 라오스는 대한민국의 국제개발협력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여와 취약계층 권리 보호 진전을 환영하였다.
37. Lebanon hailed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ction plan, 2018–2022, the preparations for the new plan an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human trafficking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37. 레바논은 2018-2022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이행과 새로운 계획 준비 및 「인신매매등방지와 피해자 보호에 대한 법률」을 환영하였다.
38. Libya praised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positive cooperation with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process and the efforts made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38. 리비아는 UPR 절차에 대한 대한민국의 긍정적 협력과 인권 증진 및 보호를 위한 노력을 칭찬하였다.
39. Lithuania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its continued efforts to place human rights at the forefront of its national agenda.
39. 리투아니아는 인권을 국정과제의 최전선에 두기 위한 지속적인 대한민국의 노력을 환영하였다.
40. Luxembourg welcomed the efforts made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from the previous universal periodic review cycle and the passage of the law to prevent human trafficking.
40. 룩셈부르크는 이전 UPR 권고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노력과 인신매매 방지를 위한 법의 통과를 환영하였다.
41. Malawi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progress made in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since the previous review and noted the passage of legislation to prevent human trafficking.
41. 말라위는 이전 권고 이후 인권 증진 성과에 감사를 표하며, 인신매매 방지를 위한 법의 통과를 주목하였다.
42. Malaysia highlighted the strengthened cohesiveness of policies to protect human rights and encouraged continued measures towards social equality, affordable education and basic medical services.
42. 말레이시아는 인권 보호 정책의 강화된 결합력을 강조하였고 사회적 불평등, 저렴한 교육 및 기본 의료 서비스를 위한 지속적인 조치를 장려하였다.
43. Maldives commended the consultative approach to the national repor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entre for the Rights of the Child for policies on children.
43. 몰디브는 국가보고서에 대한 협력적 접근과 아동정책을 위한 아동권리보장원 설립을 환영하였다.
44. The Marshall Islands welcomed efforts to protect the rights of women and children and the move towards the form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44. 마셜 제도는 여성과 아동의 권리 보호를 위한 노력과 사형제도의 공식적 폐지를 향한 움직임을 환영하였다.
45. Mauritius praised the financial support provided to the Voluntary Technical Assistance Trust Fund to Support the Participation of Least Developed Countries and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in the Work of the Human Rights Council and the subsid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o facilitate access to schooling.
45. 모리셔스는 인권이사회 업무에 최저개도국(LDC) 및 군소도서국(SIDS)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자발적 기술지원 신탁기금(Voluntary Technical Assistance Trust Fund)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 교육 접근 개선을 위한 보조금을 칭찬하였다.
46. Mexico lauded the Human Trafficking Prevention Act and ratification of the ILO Forced Labour Convention, 1930 (No. 29),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1948 (No. 87), and Right to Organise and Collective Bargaining Convention, 1949 (No. 98).
46. 멕시코는 「인신매매등방지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과 1930년 「ILO 협약 제29호 강제 또는 의무노동에 관한 협약」, 1948년 「제87호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1949년 「제98호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원칙의 적용에 관한 협약」의 비준을 칭찬하였다.
47. Mongolia hailed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ction plan on human rights, strengthened labour rights, improved work environments and the increase in female representation at all levels.
47. 몽골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이행, 강화된 노동권, 개선된 업무 환경 및 모든 수준에서 증가하고 있는 여성의 대표성을 환영하였다.
48. Montenegro welcomed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called for commuting all death sentences to life imprisonment.
48. 몬테네그로는 「장애인권리협약」 유보 철회를 환영하였고 사형선고를 받은 모든 수감자를 무기징역으로 감형할 것을 촉구하였다.
49. Namibia applauded the country’s commitment to sustainable development, its human rights-based approach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49. 나미비아는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발전에 대한 약속과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인권 기반 접근, 학교의 인권교육 도입을 칭찬하였다.
50. Nepal welcomed the Human Trafficking Prevention Act, the protection of migrant workers’ rights and the poverty reduction efforts for older persons.
50. 네팔은 「인신매매등방지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 이주노동자 권리 보호, 노인 빈곤 감소 노력을 환영하였다.
51. The Kingdom of the Netherlands valued efforts to uphold human rights instruments, but expressed concern about discrimination and violence, including online and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intersex and other persons.
51. 네덜란드는 인권 제도를 지지하기 위한 노력을 높이 평가하나 온라인을 포함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 및 폭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52. New Zealand commended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as an important step in recognizing the rights of women, and the legislative work to protect those with disabilities.
52. 뉴질랜드는 여성 권리 인정의 주요 단계로서 임신중절의 비범죄화를 환영하였고, 장애인 보호를 위한 입법적 노력을 환영하였다.
53. Norway welcomed the improved enforcement of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53. 노르웨이는 「한부모가족지원법」의 강화된 집행과 「여성폭력방지기본법」 이행을 환영하였다.
54. Pakistan commended the country’s cooperation with human rights mechanisms and the legislative and policy measures adopted on human trafficking, human rights and domestic violence.
54. 파키스탄은 인권 메커니즘에 대한 대한민국의 협력과 인신매매, 인권 및 가정폭력과 관련하여 도입된 입법적·정책적 조치를 환영하였다.
55. Panama made recommendations.
55. 파나마는 권고사항을 제출하였다.
56. Paraguay welcomed the bill on the birth registration of foreign children and the preventative approach towards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included in migration policies.
56. 파라과이는 「외국인아동출생등록법안」을 환영하였고 이주정책에 포함된 인종차별과 외국인혐오를 방지하기 위한 접근을 환영하였다.
57. Peru no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e period 2018–2022.
57. 페루는 2018-2022년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이행을 주목하였다.
58. The Philippines lauded the third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commitment to ILO conventions and the efforts to combat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and migrants.
58. 필리핀은 제3차 국제개발협력전략계획과 ILO 협약에 대한 공약, 외국인 및 이주민 차별 근절을 위한 노력을 칭찬하였다.
59. Poland commended the introduction of alternative service and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and encouraged efforts towards the identification and protection of human trafficking victims.
59. 폴란드는 대체복무제도와 학교 내 인권교육 도입을 환영하였고, 인신매매 피해자 식별 및 보호를 위하여 노력할 것을 장려하였다.
60. Portugal praised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article 25 (e)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60. 포르투갈은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제25조 마호의 유보 철회를 칭찬하였다.
61. Qatar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adopting several policy and legislative measures to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it had accepted during the previous universal periodic review cycle.
61. 카타르는 제3차 UPR에서 수용한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대한민국의 여러 정책적·입법적 조치 도입을 환영하였다.
62. The Russian Federation expressed regret that recommendations made during the third universal periodic review cycle had not been sufficiently implemented.
62. 러시아는 제3차 UPR 권고사항 중 아직 충분히 이행되지 않은 점을 우려하였다.
63. Senegal hailed the sustained efforts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received during the third universal periodic review cycle and the national action plans to address various human rights challenges.
63. 세네갈은 제3차 UPR 권고사항 이행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다양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을 환영하였다.
64. Serbia welcomed efforts to improve social equality by expanding the social safety net for vulnerable groups and the frameworks to address various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64. 세르비아는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을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평등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과 여성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 기틀을 환영하였다.
65. Singapore welcomed the efforts to improve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and public transpor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welfare of older persons through expanded services.
65. 싱가포르는 장애인의 의료 및 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서비스 확대를 통한 노인복지를 환영하였다.
66. Slovakia encouraged further accessions to treaties, was pleased that capital punishment had not been implemented recently and regretted that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conditions were not proportionate.
66. 슬로바키아는 추가적인 조약 가입을 장려하였고, 사형이 최근까지 집행되지 않았음을 환영하였으며, 대체복무제의 조건이 적절하지 않음에 유감을 표하였다.
67. Slovenia expressed appreciation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to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strategies to realize the rights of older persons.
67. 슬로베니아는 양심적 병역거부권의 인정을 환영하였고, 노인의 권리 인정을 위한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68. Spain hailed the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nd the approval of the Human Trafficking Prevention Act.
68. 스페인은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 비준과 「인신매매등방지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 통과를 환영하였다.
69. Sri Lanka welcomed action taken to comply with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teraction with special procedure mandate holders.
69. 스리랑카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에 따른 조치와 특별절차와의 상호작용을 환영하였다.
70. The Sudan commended the national action plan for human rights, the legislation on the prevention of trafficking and on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 national inclusive children policy.
70. 수단은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인신매매방지 및 여성폭력 관련 법률 및 국가아동통합정책을 환영하였다.
71. Switzerland welcomed the de facto moratorium on the death penalty and the sup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related resolutions. It encouraged continued efforts to promote gender equality.
71. 스위스는 사형제에 대한 사실상 모라토리엄과 관련 결의안 지지를 환영하였고, 성평등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장려하였다.
72. The Syrian Arab Republic noted with concern the continu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 impact of the spread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rising levels of violence against women.
72. 시리아는 여성 폭력이 지속되는 것과 정보기술 확산이 증가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73. Thailand acknowledged the efforts regarding business and human rights, the progress made on the labour rights of foreign workers, the improved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legislation to combat human trafficking.
73. 태국은 기업과 인권,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권 관련 성과, 개선된 고용허가제,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법과 관련된 노력을 인정하였다.
74. Timor-Leste no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was a de facto abolitionist State and welcomed the decriminaliza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and the improved employment system.
74. 동티모르는 대한민국이 사실상 사형 폐지국임에 주목하였고, 양심적 병역거부의 비범죄화와 개선된 고용제도를 환영하였다.
75. Togo welcomed measures aimed at eliminating discrimination and hate speech against migrants, refugees and foreigner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75. 토고는 이주민, 난민, 외국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표현을 근절하기 위한 조치와 보편적 출생등록제를 환영하였다.
76. Türkiye noted appreciatively the efforts to implement recommendations from the previous cycle and towards the adoption of laws on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that would strengthen the legal framework.
76. 튀르키예는 제3차 UPR 권고사항 이행과 법적 체계를 강화하는 평등 및 비차별 관련된 법률의 도입을 위한 노력에 주목하였다.
77. Turkmenistan no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ction plan for human rights, 2018–2022, and assessed positively the efforts to apply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cooperation.
77. 투르크메니스탄은 2018-2022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이행에 주목하였고, 개발협력에 대한 인권 기반 접근 적용을 위한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78. Ukraine commended the country’s commitment to promote and protect human rights and efforts to fulfil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treaties and cooperate with human rights mechanisms.
78. 우크라이나는 대한민국의 인권 증진 및 보호 의지와 국제 조약에 따른 의무 수행 및 인권 메커니즘 협력 노력을 환영하였다.
79. The United Kingdom welcomed the steps taken to tackle human trafficking, encouraged prioritizing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and urged it to place a moratorium on executions.
79. 영국은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조치를 환영하며, 평등과 비차별을 우선순위에 둘 것을 장려하고, 사형제도의 모라토리엄을 촉구하였다.
80. The United States applauded the Republic of Korea for promoting human rights globally, but was concerned by the low rates of approval of refugee status.
80. 미국은 대한민국이 국제적으로 인권 증진한 것을 칭찬하였으나, 낮은 난민 지위 인정률을 우려하였다.
81. Uruguay welcomed efforts made by the country, including the promulgation of the Human Trafficking Prevention Act.
81. 우루과이는 「인신매매등방지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률」 공포를 비롯한 대한민국의 노력을 환영하였다.
82. Uzbekistan praised legislation against human trafficking and assessed positively the fact that the application of death sentences had not been carried out since 1998.
82. 우즈베키스탄은 인신매매 방지를 위한 법을 칭찬하며 1998년 이후 사형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83. Vanuatu welcomed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anked it for its presentation.
83. 바누아투는 대한민국 대표단을 환영하며 발표에 감사를 표하였다.
84. The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expressed concern about the suspicion of migrants and refugees, the rise of hate speech and allegations of torture and ill-treatment.
84. 베네수엘라는 이주민과 난민에 대한 의심, 혐오 표현 증가, 고문 및 가혹행위 혐의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85. Viet Nam applauded the eff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increasing female representation, respecting cultural diversity and supporting the marriage of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85. 베트남은 여성의 대표성 향상, 문화 다양성 존중, 결혼 이민자 및 다문화 가정 지원에 대한 대한민국의 노력을 칭찬하였다.
86. Zambia commended the Government’s efforts to fulfil its obligations under the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to comply with the human rights mechanisms.
86. 잠비아는 핵심 국제인권조약에 따른 의무를 준수하고 인권 메커니즘을 준수하고자 하는 대한민국의 노력을 환영하였다.
87. Algeria lauded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by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under its strategy for 2021–2025 and the steps taken against discrimination,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87. 알제리는 한국국제협력단이 2021-2025년 전략에 따라 수행한 국제협력사업과 차별, 인종차별 및 외국인 혐오에 대응하는 조치를 환영하였다.
88. Argentina commended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88. 아르헨티나는 대한민국의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 비준을 환영하였다.
89. Australia welcomed the country’s commitment in its Indo-Pacific strategy to promote human rights and its support for General Assembly resolution 77/222 on a moratorium on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89. 호주는 인권 증진을 위한 인도 태평양 전략에 대한 대한민국의 의지와 사형제 모라토리엄에 대한 유엔 결의안 77/222에 대한 지원을 환영하였다.
90. Azerbaijan noted positively the efforts to comply with human rights mechanism recommendations and highlighted the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tipulating human rights considerations.
90. 아제르바이잔은 인권 메커니즘 권고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긍정적으로 주목하였고, 인권에 대한 고려를 명시한 국제개발협력 전략계획을 강조하였다.
91. Bangladesh appreciated the legislation addressing human trafficking and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 efforts to address social inequality through expansion of the social safety net and housing.
91. 방글라데시는 인신매매 및 여성폭력 근절을 위한 법률과 사회안전망 및 주거 확장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환영하였다.
92. Belarus extended a welcome to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anked it for submitting its report.
92. 벨라루스는 대한민국 대표단을 환영하며 보고서 제출에 감사를 표하였다.
93. Belgium congratulated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in 2021, but noted that more progress could be achieved regarding gender inequality and anti- discrimination.
93. 벨기에는 대한민국의 2021년 임신중절 비범죄화를 환영하였으나, 성 불평등 및 차별금지와 관련된 진전이 더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94. Bhutan lauded the legislative measures against human trafficking and domestic violence, the measures to promote the right to housing and the efforts on the rights of the child.
94. 부탄은 인신매매 및 가정폭력에 대응하는 입법적 조치와 주거권 증진을 위한 조치, 아동 인권을 위한 노력을 칭찬하였다.
95. Brazil encouraged the continued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mes in schools, investment in capacity-building for teach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ILO Forced Labour Convention, 1930 (No. 29),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1948 (No. 87), and Right to Organise and Collective Bargaining Convention, 1949 (No. 98).
95. 브라질은 학교 내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시행과 교사 역량강화에 대한 투자 및 1930년 「ILO 협약 제29호 강제 또는 의무노동에 관한 협약」, 1948년 「제87호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 1949년 「제98호 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원칙의 적용에 관한 협약」의 이행을 장려하였다.
96. Brunei Darussalam valued the support provid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various schemes and the improvements in promoting gender equality at work, in particular equal pay for work of equal value.
96. 브루나이는 다양한 제도를 통한 장애인 지원과 직장 내 성평등 증진, 특히 동일노동 동일임금 개선을 높이 평가하였다.
97. Bulgaria encouraged continuing the good practi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and capacity-building for teachers and highlighted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97. 불가리아는 학교 내 인권교육과 교사 역량강화의 선례를 지속할 것을 장려하며, 국가인권위원회의 활동을 강조하였다.
98. Canada took note of the commit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advancing human rights internationally as part of its “global pivotal State” foreign policy.
98. 캐나다는 “글로벌 중추 국가”의 대외 정책의 일환으로 인권을 국제적으로 발전시키려는 대한민국의 의지에 주목하였다.
99. Chile commended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 basic plan for policies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99. 칠레는 제1차 여성폭력방지정책 기본계획의 이행을 환영하였다.
100. China noted progress achieved, but was concerned about discrimination against immigrants and ethnic minorities, sexual harassment against women and the rights of vulnerable groups being ineffectively protected.
100. 중국은 대한민국이 이룬 진전에 주목하였으나 이주민과 소수 민족 차별, 여성 대상 성희롱, 효과적이지 못한 취약계층 권리 보호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101. Colombia welcomed the law against human trafficking, the plan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 plan on improved 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public sector.
101. 콜롬비아는 인신매매 방지를 위한 법과 여성폭력 근절을 위한 계획 및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향상 계획을 환영하였다.
102. Costa Rica thanked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presentation of its national report and made recommendations.
102. 코스타리카는 대한민국이 국가보고서를 발표한 데에 감사를 표하며 관련 권고사항을 제시하였다.
103. Côte d’Ivoire congratulated the Republic of Korea on the measures taken to improve the human rights situation since the previous review and encouraged continued efforts.
103. 코트디부아르는 대한민국이 이전 UPR 이후로 인권 증진을 위해 취한 조치들을 반기며, 지속적인 노력을 장려하였다.
104. Croatia welcomed the Framework Act to prevent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 decision to decriminalize conscientious objection, but expressed concern about the rights of people performing alternative service.
104. 크로아티아는 「여성폭력방지기본법」과 양심적 병역거부의 비범죄화 결정을 환영하였으나, 대체복무를 수행하는 자들의 권리에 대해 우려를 표하였다.
105. Cyprus hailed the strengthened legislation to combat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pla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105. 사이프러스는 장애인 차별 근절을 위한 강화된 법률과 문화 다양성 보호 및 증진을 위한 기본계획의 이행을 환영하였다.
106.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expressed deep concern about systematic and widespread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10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 내 체계적이고 만연한 인권침해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하였다.
107. Denmark expressed concern tha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faced legal, social and economic barriers and highlighted that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Initiative stood ready to assist.
107. 덴마크는 성소수자들이 법적, 사회적, 경제적 장벽에 직면해 있음에 우려를 표하였고, 고문방지이니셔티브의 지원이 완비되어 있음을 강조하였다.
108. Egypt praised efforts to protect human rights, including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article 25 (e)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108. 이집트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제25조 마호의 유보 철회를 비롯하여 인권 보호를 위한 노력을 칭찬하였다.
109. El Salvador welcomed the legislation to prevent human trafficking and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109. 엘살바도르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유보 철회와 인신매매를 방지를 위한 법을 환영하였다.
110. Estonia noted appreciatively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rd national action plan for human rights, the inclus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progress made towards gender equality.
110. 에스토니아는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의 이행, 학교 교육과정 내 인권교육 포함, 성평등을 향한 진전에 감사를 표하였다.
111. Finland welcomed the progress made by the Republic of Korea since the previous universal periodic review cycle.
111. 핀란드는 이전 UPR 이후 대한민국이 이룬 진전을 환영하였다.
112. France welcomed the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112. 프랑스는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의 비준을 환영하였다.
113. The Gambia commended the amendment to the Child Welfare Act of 2020, including making public officials responsible for abuse in local governments and conducting on-site investigations.
113. 감비아는 지방자치단체에 학대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도록 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2020년 「아동복지법」의 개정을 환영하였다.
114. Georgia positively evaluated the measures to address the social inequality of vulnerable groups, progressively realize the right to housing and promote women’s rights and gender equality.
114. 조지아는 취약계층의 사회적 불평등 해소, 주거권의 점진적 해소 및 여성의 권리 및 성평등 증진을 위한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115. Germany assert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was an inspiring example for its region and noted the introduction of an alternative service to military conscription.
115. 독일은 대한민국이 역내에서 고무적인 사례임을 표명했으며, 병역에서의 대체복무제도 도입에 주목하였다.
116. Ghana lauded the inclus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the adoption of the gender equality basic plan and the human rights measures in the military service.
116. 가나는 학교 내 인권교육 포함, 양성평등기본계획 도입, 군 내 인권 조치를 칭찬하였다.
117. Greece commended the withdrawal of the reservation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legislation to prevent human trafficking and punish domestic violence.
117. 그리스는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유보 철회와 인신매매 방지 및 가정폭력을 처벌하는 법을 환영하였다.
118. Iceland welcomed the deleg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national report.
118. 아이슬란드는 대한민국 대표단과 대한민국의 국가보고서를 환영하였다.
119. India noted with appreciation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the legislation and plan to prevent violence against women and the National Centre for the Rights of the Child.
119. 인도는 임신중절의 비범죄화, 여성폭력 방지를 위한 법 및 계획, 아동권리보장원 설립에 감사히 주목하였다.
120. Indonesia acknowledged the progress made in human rights promotion and protection, including regarding military service, and women’s empowerment through the gender equality basic plan.
120. 인도네시아는 병역 관련 문제를 비롯하여 인권 증진 및 보호와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을 통한 여성의 권리 신장에서의 진전을 인정하였다.
121. Kyrgyzstan welcomed the significant steps taken to strengthen legislative and policy mechanisms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with a focus on vulnerable groups.
121. 키르기스스탄은 특히 취약계층에 중점을 둔 인권 보호 및 증진의 입법적·정책적 메커니즘 강화를 위한 유의미한 조치를 환영하였다.
122. In addressing advance questions, the delegation noted that the Government was participating in the ongoing discuss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gradual reduction of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122. 대한민국 대표단은 사전질의에 답하며, 정부가 사형 집행의 점진적 감소에 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논의에 참여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123. The Government had integrated recommendations by United Nations human rights bodies into the national action plan and had evaluated the implementation status through the National Human Rights Policy Council.
123.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인권기구의 권고사항을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 반영하고 국가인권정책협의회를 통해 이행상황을 평가하였다.
124. The National Security Act was needed for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was applied minimally to protect freedoms of expression and association. Defector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ere guaranteed the same freedom of expression as the general public and were provided with legal aid.
124. 「국가보안법」은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었으며, 표현의 자유와 결사의 자유 보호를 위해 최소한으로 적용되었다. 북한이탈주민 또한 일반 국민과 같은 동등한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으며 사법적 지원을 제공받는다.
125. On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proposals for related bills were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A complaint procedure had been established 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Policies recognizing same-sex marriage required social consensus.
125. 「포괄적 차별금지법」 관련 법안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절차를 마련하였다. 동성혼 인정 관련 제도의 경우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126. Regarding domestic violence, the police were obliged to take emergency measures, while prosecutors could request restraining orders. Marital rape could be punished under existing law. Countering online violence against children, the Government used big data to monitor children at high risk and conducted positive parenting campaigns.
126. 가정폭력과 관련하여, 경찰은 보호조치를 취할 의무를 지니며, 검사는 접근금지 조치를 청구할 수 있다. 부부강간은 현행법으로 처벌 가능하다. 온라인 아동폭력 근절과 관련하여, 정부는 높은 위기에 처한 아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긍정 양육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127. Identifying career interruptions as a major driver of the gender pay gap, the Government was expanding childcare leave allowances, the application of reduced working hours for childcare needs and vocational training. It had implemented the plan for enhanced gender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ector. The Government planned to integrat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ensure more effective programme implementation.
127. 정부는 경력단절을 성별 임금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하고, 육아휴직 확대, 육아 단축근무, 직업훈련을 확대하였다. 또한 공공부문의 여성 대표성을 확대하기 위한 계획을 이행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를 통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이행을 계획하였다.
128.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of older persons was compulsory for those operating related facilities.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 centres provided community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128. 노인 관련 시설 종사자들은 노인 인권에 관한 교육을 의무로 이수해야 한다. 정신건강복지센터는 지역사회에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129. Those not recognized as refugees following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were granted humanitarian stay permits, if there would be a risk of threats to their life and person upon repatriation.
129. 난민지위심사 후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한 자들은 송환 시 생명과 신체에 대한 위협이 있는 경우 인도적 체류허가를 부여하였다.
130. The Government was not considering repealing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130. 대한민국 정부는 「군형법」 제92조의6 폐지를 고려하지 않았다.
131. The Act on the Promotion of Newspapers and the Broadcasting Act guaranteed freedom of the press. The only exceptions to the right to freedom of assembly were instances posing a direct danger to public safety.
131. 「신문법」과 「방송법」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집회의 자유에 관한 권리와 관련된 유일한 예외사항은 공공 안전에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이다.
132. Responding to recommendations made, the Government stated that it would continue to implement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to contribute to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2. 권고사항에 대해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의 인권 상황에 기여하기 위해 「북한인권법」 이행을 지속할 것임을 밝혔다.
133.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the Government maintained its agreement with Japan of 2015 on comfort women victims and woul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restore honour and dignity and to heal the psychological wounds of the victims.
133.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가 공식 합의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노력을 지속할 것이다.
134. The Trade Union and Labour Relations Adjustment Act allowed workers to freely organize or join trade unions. Workplaces were inspected annually to identify forced labour. Regarding human trafficking, the delegation highlighted enhancing awareness and using indicators for early victim identification.
134.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근로자들이 자유롭게 노조를 결성하거나 가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강제노동 식별을 위해 사업장들은 매년 점검을 받고 있다. 인신매매와 관련하여 대표단은 조기 피해자 식별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식별지표를 활용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135.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birth of foreign children was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The Government was revising the Juvenile Act and the Criminal Act to lower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o 13 years of age, while deprioritizing detention.
135. 「외국인아동의 출생등록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소년법」과 「형법」을 개정하여 형사책임 연령을 13세로 낮추고, 구금을 최소화하였다.
136. The Government had submitted a proposed amendment to the Criminal Act, stipulating requirements for abortion, and it was currently before the legislature.
136. 대한민국 정부는 임신중절의 요건을 명시한 「형법」 개정안을 국회에 상정하였다.
137. In its concluding remarks, the delegation stated that the Government was aware that the fourth cycle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was not a one-off procedure, but part of an ongoing process of continuous progress. The quest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d would serve as valuable resources in implementing policies. The Republic of Korea strove to ensure that its human right policies would not only meet global standards, but would become best practic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137. 마무리 발언에서, 대한민국 대표단은 대한민국 정부가 제4차 UPR이 일회적인 절차가 아니며 지속적인 과정의 일부임을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시된 질의 및 권고사항은 정책 수행 시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인권정책이 국제기준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모범 사례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II.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II. 결론 및 권고
138. The recommendations formulated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listed below have been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enjoy the sup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138. 상호 대화에서 도출된 아래 권고사항에 대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검토 후 수용의사를 밝혔다:
138.1 Ratify the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Denmark);
138.1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을 비준할 것(덴마크);
138.2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amibia);
138.2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나미비아);
138.3 Take further steps to complete the procedure of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Ukraine);
138.3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의 비준 절차를 완료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할 것(우크라이나);
138.4 Continue to implement measures to protect vulnerable groups and further defend and promote human rights (Japan);
138.4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인권을 더욱 보호 및 증진하기 위한 조치 이행을 지속할 것(일본);
138.5 Continue its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ategy based on a human rights approach (El Salvador);
138.5 인권기반 접근법을 토대로 국제협력 전략을 지속할 것(엘살바도르);
138.6 Implement in full the Government’s third strateg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 mid-term strategy for human rights and the human rights-based development cooperation implementation plan (Kyrgyzstan);
138.6 정부의 제3차 국제개발협력 종합기본계획, 인권분야 중기전략, 인권 기반 개발협력 이행계획을 전면 이행할 것(키르기스스탄);
138.7 Conduct mor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youth, public officials and educators to prevent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y (Viet Nam);
138.7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방지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해 청소년, 공무원, 교육자 대상 다문화이해교육을 강화할 것(베트남);
138.8 Continue efforts to strengthen the fight against racism, racial discrimination and xenophobia (Algeria);
138.8 인종주의, 인종차별 및 외국인 혐오에 대한 근절 강화 노력을 지속할 것(알제리);
138.9 Increase efforts to combat hate speech and incitement to racial hatred (Belarus);
138.9 혐오표현 및 인종차별적 혐오 선동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할 것(벨라루스);
138.10 Take effectiv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measures to combat racial discrimination and hate speech (China);
138.10 인종차별 및 혐오표현 근절을 위해 효과적인 입법적 및 행정적 조치를 취할 것(중국);
138.11 Combat hate speech against foreigners and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Egypt);
138.11 외국인에 대한 혐오표현 및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을 근절할 것(이집트);
138.12 Reduce overcrowding in correctional facilities (Zambia);
138.12 교정시설 과밀수용을 해소할 것(잠비아);
138.13 Work to reduce overcrowding in prison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Libya);
138.13 수형자 처우에 관한 국제적 기준에 따라 교정시설 과밀수용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할 것(리비아);
138.14 Pursue efforts aimed at fighting human trafficking and sexual exploitation (Lebanon);
138.14 인신매매 및 성적 착취 근절을 목표로 노력할 것(레바논);
138.15 Continue its efforts to protect employees from abuses at workplaces (Sudan);
138.15 직장 내 괴롭힘으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수단);
138.16 Better protect the labour rights of foreign workers and combat discrimination between national and foreign workers (Viet Nam);
138.16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권 보호를 강화하고, 한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노동자 간 차별을 근절할 것(베트남);
138.17 Continue to reinforce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to expand social benefits for older persons (Portugal);
138.17 국가연금제도 강화 및 노인을 위한 사회보장 확대를 지속할 것(포르투갈);
138.18 Continue its ongoing efforts to address social inequality and lay a foundation for an inclusive welfare State by continuing to expand social security for vulnerable groups (Turkmenistan);
138.18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취약계층 대상 사회보장 확대를 지속함으로써 포용적 복지 국가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투르크메니스탄);
138.19 Enhance measures to strengthen mechanisms guaranteeing better protection of the rights of vulnerable groups, by expanding the social safety net (Pakistan);
138.19 사회안전망을 확대하여 취약계층의 권리 보호를 보장하는 제도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할 것(파키스탄);
138.20 Continue efforts to address social inequality and expand the social safety net for vulnerable groups (Azerbaijan);
138.20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안전망 확대 노력을 지속할 것(아제르바이잔);
138.21 Ensur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legislation on guaranteeing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and prioritizing housing for persons in a disadvantaged position (Kazakhstan);
138.21 적정주거권을 보장하고, 취약계층의 주거권 보호를 우선과제로 삼는 법령의 효과적 이행을 보장할 것(카자흐스탄);
138.22 Enhance policy measures aiming at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while ensuring that guidance on the housing welfare system is accessible for all (Azerbaijan);
138.22 누구나 주거복지제도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적정주거권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정책적 조치를 강화할 것(아제르바이잔);
138.23 Continue its efforts in promoting the right to housing and an adequate standard of living (Bhutan);
138.23 주거권 및 적정한 생활수준을 영위할 권리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부탄);
138.24 Intensify its efforts to reduce poverty, especially among older persons, by guaranteeing their access to adequate social security and medical care and by preventing discrimination and abuse (Brazil);
138.24 적절한 사회보장 및 의료 접근 확보 및 차별 및 폭력 예방을 통해 빈곤, 특히 노인의 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브라질);
138.25 Consider expediting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Act to decriminalize abortion and ensuring access to safe reproductive health services for women, including safe and legal abortion (India);
138.25 임신중절을 비범죄화하기 위한 「형법」 개정의 신속한 추진 및 안전하고 합법적인 임신중절을 비롯한 여성의 안전한 재생산 보건 서비스 접근 확보를 고려할 것(인도);
138.26 Proceed with measures to improve access to health care, especially for disadvantaged and marginalized groups (Georgia);
138.26 보건서비스 접근, 특히 빈곤 및 취약계층의 보건 서비스 접근 개선을 위한 조치를 추진할 것(조지아);
138.27 Reform the Criminal Code and other legislation to ensure universal access to safe and legal abortion (Estonia);
138.27 안전하고 합법적인 임신중절이 보편적으로 가능하도록 「형법」 및 기타 법령을 개정할 것(에스토니아);
138.28 Adopt a law that regulates ab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ruling of April 2019 (Spain);
138.28 2019년 4월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임신중절을 규정하는 법을 도입할 것(스페인);
138.29 Enact legislation which would provide the legal basis to enshrine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New Zealand);
138.29 임신중절을 비범죄화하는 법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법령을 제정할 것(뉴질랜드);
138.30 Guarantee universal access to safe and legal abortion by swiftly reforming the Criminal Act (Iceland);
138.30 신속히 「형법」을 개정함으로써 안전하고 합법적인 임신중절이 보편적으로 가능하도록 보장할 것(아이슬란드);
138.31 Reform the Criminal Act to ensure universal access to safe and legal abortion (Belgium);
138.31 안전하고 합법적인 임신중절에 대해 보편적인 접근권을 보장할 수 있는 「형법」을 개정할 것(벨기에);
138.32 Strengthen the means to ensure free public education for all and eradicate any form of discrimination in enrolment to schools (Bangladesh);
138.32 모든 사람에게 무상 공공 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학교 등록과 관련하여 모든 형태의 차별을 근절할 것(방글라데시);
138.33 Conduct appropriate training for teachers and non-teaching education personnel on inclusive education (Maldives);
138.33 포용적 교육(inclusive education)에 관하여 교직원을 대상으로 적절한 교육훈련을 실시할 것(몰디브);
138.34 Implement measures to reduce disparities in access to education in rural areas, by strengthening school infrastructure and increasing teaching personnel (Mauritius);
138.34 학교 기반시설을 강화하고 교원을 증원함으로써 농촌지역의 교육 접근성 격차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이행할 것(모리셔스);
138.35 Increase the level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 fulfil its international commitment of 0.7 per cent of gross national income (Bangladesh);
138.35 공적개발원조 규모를 국제적 달성 목표인 국민총소득(GNI)의 0.7% 수준까지 확대할 것(방글라데시);
138.36 Continue efforts to address gender-based crim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articularly in the employment sector, including by creating conducive working environments for women (Indonesia);
138.36 여성 친화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방안 등을 비롯하여 특히 고용 부문에서 젠더 기반 범죄와 여성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인도네시아);
138.37 Continue and strengthen its national plan for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El Salvador);
138.37 여성 차별을 철폐하고 성평등을 증진하기 위한 국가계획을 지속, 강화할 것(엘살바도르);
138.38 Introduce measures to increase public awareness and combat social controversies and stigma attached to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oatia);
138.38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논쟁과 낙인을 근절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할 것(크로아티아);
138.39 Continue efforts to increase wome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reduce the gender pay gap (Chile);
138.39 의사결정 과정에 여성의 참여를 높이고,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칠레);
138.40 Ensure equal opportunities for women’s empowerment in increasing access to leadership positions in the public sphere and in private businesses, including in the areas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and innovation (Bulgaria);
138.40 과학·기술, 연구·혁신 분야를 비롯한 공공·민간 부문에서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높이기 위한 동등한 기회를 보장할 것(불가리아);
138.41 Continue enhancing programmes on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Brunei Darussalam);
138.41 여성의 경제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제도 강화를 지속할 것 (브루나이);
138.42 Continue implementing policies and measures for eliminating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for promoting gender equality (Viet Nam);
138.42 여성 차별을 철폐하고 성평등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과 조치의 이행을 지속할 것(베트남);
138.43 Implement more effective policies and strengthen institutions in order to eliminat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ürkiye);
138.43 여성 차별을 철폐하기 위해 더 효과적인 정책을 이행하고 제도를 강화할 것(튀르키예);
138.44 Maintain, even strengthen, the services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en they are handed over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witzerland);
138.44 여성가족부의 기능이 보건복지부로 이관되는 경우, 여성가족부가 제공하던 서비스를 유지 또는 오히려 강화할 것(스위스);
138.45 Promote gender equality by eliminating the driver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girls, such as harmful gender stereotypes, and by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inter-agency mechanism to create an enabling environment for them to access justice (Kingdom of the Netherlands);
138.45 유해한 성 고정관념과 같은 여성과 여아에 대한 차별 동인을 제거하고 이들에게 사법 접근성을 보장하는 환경 조성을 위한 통합적 기관 간 연계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성평등을 증진할 것(네덜란드);
138.46 Promote gender equality by eliminating the driver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increasing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Malaysia);
138.46 여성차별 동인을 제거하고 공공·민간 부문에서의 여성 참여를 높임으로써 성평등을 증진할 것(말레이시아);
138.47 Take measures to increase women’s representation in public sector decision-making positions and seek to lower the gender pay gap (Lithuania);
138.47 공공부문 의사결정 직위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증진하고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리투아니아);
138.48 Continue efforts to eliminate the pay gap between women and men (Iraq);
138.48 성별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크);
138.49 Strengthen efforts to address gender-based violence, including domestic violence (Kazakhstan);
138.49 가정폭력을 비롯한 젠더 기반 폭력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카자흐스탄);
138.50 Continue with procedures and legislation aimed at eliminating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gender equality, protecting women from gender-based violence and supporti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Kuwait);
138.50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을 근절하고, 성평등을 증진하며, 젠더 기반 폭력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고,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절차 및 법령의 시행을 지속할 것(쿠웨이트);
138.51 Pursue efforts in combating gender-based violence and ensure that victims are provided with adequate assistance (Lebanon);
138.51 젠더 기반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지원 제공을 보장할 것(레바논);
138.52 Strengthen efforts to combat gender-based violence against women (Zambia);
138.52 여성에 대한 젠더 기반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잠비아);
138.53 Significantly increase efforts to combat gender-based violence against women in all its forms in order to make the necessary legislative amendments to criminalize marital rape, as well as to recognize gender identity, in accordance with personal autonomy and human dignity (Argentina);
138.53 부부강간을 범죄화하도록 필요한 법률개정을 위해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젠더 기반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크게 강화하고 개인의 자율성과 인간의 존엄성에 따른 성정체성을 인정할 것(아르헨티나);
138.54 Adopt further concrete measures to combat gender-based violence and gender inequality, including by increasing women’s participation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Brazil);
138.54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여성의 참여를 증진하는 등 젠더 기반 폭력 및 성 불평등을 근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가 조치를 취할 것(브라질);
138.55 Organize public awareness-raising campaigns t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counter gender-based violence against women, including women and girls with disabilities (Estonia);
138.55 성평등을 증진하고, 장애가 있는 여성 및 여아를 비롯하여 여성에 대한 젠더 기반 폭력에 대항하기 위한 대중인식 개선 운동을 추진할 것(에스토니아);
138.56 Take effective measures to combat sexual violence and harassment targeting women and girls (Syrian Arab Republic);
138.56 여성과 여아를 대상으로 한 성폭력 및 성희롱을 근절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것(시리아);
138.57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plans for preven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promoting gender equality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138.57 여성에 대한 폭력을 방지하고 성평등을 증진하기 위한 국가 계획의 이행을 강화할 것(라오스);
138.58 Introduce a taskforce to tackle all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bringing in tougher penalties for perpetrators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138.58 여성에 대한 모든 성폭력을 근절하고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구성할 것(영국);
138.59 Ensure that foreign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or human trafficking or other forms of violence are guaranteed access to justice (Russian Federation);
138.59 가정폭력, 성폭력, 인신매매, 기타 형태의 폭력 피해를 입은 외국인 여성에게 사법 접근성을 보장할 것(러시아);
138.60 Support parents by reducing the burden of childbirth and childcare expenses (Malaysia);
138.60 출산 및 양육의 부담을 경감하여 부모를 지원할 것(말레이시아);
138.61 Ensur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by preventing inappropriate conditions of detention for minors (Gambia);
138.61 부적절한 미성년자 구금환경을 방지하여 국제적 기준을 준수할 것(감비아);
138.62 Put in place clear grounds for detention in the Juvenile Act and strengthen all measures to prevent the detention of children with adults (Gambia);
138.62 「소년법」상 구금의 기준을 명확하게 세우고, 아동을 성인 수감자와 함께 구금하지 않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화할 것(감비아);
138.63 Review legislation related to juvenile justice and consider further measures related to the detention of juveniles (Bhutan);
138.63 소년사법제도 관련 법령 및 미성년자 구금에 관한 조치를 재검토할 것(부탄);
138.64 Work on a policy strategy to prevent and monitor all forms of violence and abuse against children (Estonia);
138.64 모든 형태의 아동 폭력 및 학대를 예방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책 전략을 추진할 것(에스토니아);
138.65 Implement necessary legislative measures to incorporate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nto national legislation (Cyprus);
138.65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국내 법제에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입법 조치를 이행할 것(사이프러스);
138.66 Strengthen State policies aimed at eliminating violence and abuse against children (Belarus);
138.66 아동폭력 및 학대를 근절하기 위한 국가 정책을 강화할 것(벨라루스);
138.67 Ensure that all children within the territory of the State have access to childcare facilities, education, health care, leisure activities and State support (Zambia);
138.67 국가 영토 내 모든 아동의 아동보육시설, 교육, 보건의료, 여가, 국가지원제도 접근을 보장할 것(잠비아);
138.68 Take effective measures to implement the second basic children policy plan to ensure the rights of children and expand State responsibility for children (Turkmenistan);
138.68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고 아동에 대한 국가 책임을 확대하기 위한 제2차 아동정책기본계획 이행에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것(투르크메니스탄);
138.69 Continue the priority afforded to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by expanding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children (Sri Lanka);
138.69 아동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확대하여 아동 권리를 보호·증진하는 것을 계속해서 우선순위에 둘 것(스리랑카);
138.70 Strengthen measures to ensure that prison condition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minors, compl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Peru);
138.70 교정시설의 여건, 특히 미성년자 구금시설이 국제적 기준을 준수하도록 하는 조치를 강화할 것(페루);
138.71 Implement the commitment made at the twenty-fifth anniversary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to support parents, by reducing the burden of childbirth and childcare expenses, establishing a secure childcare system with no blind spots, creating conditions for the 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life and an inclusive family culture that respects all children and laying the foundations for a stable life for the younger generation (Panama);
138.71 출산 및 양육 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사각지대 없는 견고한 아동양육 제도를 마련하며,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고, 모든 아동을 존중하는 포용적 가정 문화를 조성하며, 젊은 세대가 안정적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등 국제인구개발회의 25주년 기념 정상회의(ICPD25)에서 채택된 부모 지원에 관한 합의를 이행할 것(파나마);
138.72 Continue its efforts to address sexual violence and abuse against children (Nepal);
138.72 아동에 대한 성폭력 및 학대 대응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네팔);
138.73 Continue efforts towards improving welfare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138.73 노인 복지 및 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라오스);
138.74 Continue to implement measures to address the safety, well-being and participation of older persons (Singapore);
138.74 노인의 안전, 안녕, 사회적 참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 이행을 지속할 것(싱가포르);
138.75 Devise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the protection of older persons from violence and all forms of abus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and address elder abuse (Slovenia);
138.75 노인 학대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해결하기 위해, 폭력 및 모든 형태의 학대로부터 노인을 보호하는 종합적 전략을 수립할 것(슬로베니아);
138.76 Continue effort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older persons (Algeria);
138.76 노인의 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알제리);
138.77 Provide more support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Islamic Republic of Iran);
138.77 장애인, 노인 및 그 가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란);
138.78 Strengthen legislative measures and financial support to enhance the acc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public facilities (Israel);
138.78 장애인의 대중교통·공공시설 접근성을 강화하도록 입법 조치와 재정 지원을 강화할 것(이스라엘);
138.79 Increase efforts aimed at promoting equality between members of society and vulnerable groups, such as persons with disabilities, older persons and children, and guaranteeing their rights (Kuwait);
138.79 장애인, 노인, 아동 등 취약계층과 사회 구성원 간 평등을 추구하고 이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노력을 증진할 것(쿠웨이트);
138.80 Continue to enhance the access to, and expand the delivery of, public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gapore);
138.80 장애인의 공공서비스 접근 및 제공을 지속적으로 확대·강화할 것(싱가포르);
138.81 Strengthen the legislative framework and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facilities (Türkiye);
138.81 장애인의 대중교통·공공시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법제 및 재정 지원을 강화할 것(튀르키예);
138.82 Continue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aimed at social support for older person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ther vulnerable groups (Belarus);
138.82 노인, 장애인, 기타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조치 이행을 지속할 것(벨라루스);
138.83 Prioritize efforts to ensure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afforded the same right to health as all (Brunei Darussalam);
138.83 장애인의 동등한 건강권 향유 보장을 위한 노력을 우선할 것(브루나이);
138.84 Continue efforts to improve the process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ull social inclusion through an accessible environment and equal payment (Bulgaria);
138.84 장애인을 위한 접근 가능 환경 및 동일임금 등을 통해 장애인의 탈시설화와 완전한 사회적 통합 과정을 개선하는 노력을 지속할 것(불가리아);
138.85 Continue with the initiatives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women and girls with disabilities (India);
138.85 장애가 있는 여성 및 여아를 비롯한 장애인의 권리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지속할 것(인도);
138.86 Adopt a legislative framework that prohibits discriminatory practices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and/or gender identity and that prohibits discriminatory practices on the basis of gender identity (Chile);
138.86 성적 지향 및/또는 성정체성을 사유로 한 차별적 관행을 금지하는 법적 기틀을 마련할 것 (칠레);
138.87 Continue taking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Pakistan);
138.87 이주노동자 권리 보호를 위한 조치 이행을 지속할 것(파키스탄);
138.88 Redouble efforts to guarantee greater protection of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and foreigners (Paraguay);
138.88 이주민과 외국인의 인권 보호 확대 보장을 위한 노력을 배가할 것(파라과이);
138.89 Amend the relevant regulation that adversely impacts migrant workers’ right to free choice of employment, particularly the limit on the number of times and reasons a migrant worker can change workplaces (Philippines);
138.89 이주노동자의 자유로운 고용 선택권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특히 이주노동자가 사업장을 변경할 수 있는 횟수와 사유에 제한을 두는 관련 규제를 개정할 것(필리핀);
138.90 Further enhance measures to promote and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and investigate cases of both labour right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resulting from business activities (Thailand);
138.90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보호·증진하고, 기업 활동으로부터 발생한 노동권 및 인권침해 사건을 조사하도록 관련 조치를 더욱 개선할 것(태국);
138.91 Improve effectiveness in the enforcement of labour-related law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employers and recruitment agencies, as well as enhance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treatment for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Thailand);
138.91 특히 사용자 및 채용기관과 관련하여 노동 관련 법률 집행의 효과성을 개선하고, 미등록 이주노동자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처우를 강화할 것(태국);
138.92 Take additional steps for the rights of migrants,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immigration detention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ppeal and remedial procedures for those with rejected refugee status (Türkiye);
138.92 외국인 보호시설의 인권 실태를 개선하고, 난민지위를 인정받지 못한 자들의 이의제기 및 구제절차를 신설하는 등 이주민 권리를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할 것(튀르키예);
138.93 Adopt all the necessary measures to apply a human rights-based migration polic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detention of migrant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 (Uruguay);
138.93 특히 여성·아동 이주민의 구금과 관련하여, 인권을 기반으로 한 이민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우루과이);
138.94 Take further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of migrants and vulnerable groups (Uzbekistan);
138.94 이주민 및 취약계층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것(우즈베키스탄);
138.95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eradicate hate speech and adopt a strategy to combat prejudice, misinformation and stigmatization against migrants and refugees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138.95 혐오표현을 근절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이주민과 난민에 대한 편견·허위정보·낙인을 근절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것(베네수엘라);
138.96 Continue efforts to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promotion of the welfare of migrant workers (Ghana);
138.96 이주노동자의 권리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가나);
138.97 Consider further measures for address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migrants and refugees (India).
138.97 외국인 이주민와 난민에 대한 편견 및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추가적 조치를 고려할 것(인도).
139.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ill be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ill provide responses in due time, but no later than the fifty-third se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139. 대한민국 정부는 아래의 권고사항을 검토하여 제53회 인권이사회 전까지 수용여부에 대한 답변을 제출하여야 한다:
139.1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a communications procedure (France);
139.1 「아동권리협약 개인진정 절차에 관한 제3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프랑스);
139.2 Consider the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a communications procedure (Slovakia);
139.2 「아동권리협약 개인진정 절차에 관한 제3선택의정서」의 비준을 고려할 것(슬로바키아);
139.3 Continue to strengthen access to the voluntary termination of pregnancy and consider ratifying the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France);
139.3 자발적 임신중절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고, 「여성폭력 및 가정폭력을 예방·근절하기 위한 유럽평의회 협약」의 비준을 고려할 것(프랑스);
139.4 Accede to the 1961 Convention on the Reduction of Statelessness (Côte d’Ivoire);
139.4 「1961년 무국적자의 감소에 관한 협약」에 가입할 것(코트디부아르);
139.5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Mongolia) (Montenegro);
139.5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몽골, 몬테네그로);
139.6 Accede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n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Mexico);
139.6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과「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에 가입할 것(멕시코);
139.7 Consider ratifying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Conven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education (Mauritius);
139.7 유네스코 「교육상 차별금지에 관한 협약」을 비준을 고려할 것(모리셔스);
139.8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accede to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ustralia);
139.8 사형제를 폐지하고,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에 가입할 것(호주);
139.9 Consider abolishing the death penalty in law and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France);
139.9 법률상 사형제 폐지를 검토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프랑스);
139.10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the 1961 Convention on the Reduction of Statelessness and the Protocol to Eliminate Illicit Trade in Tobacco Products (Panama);
139.10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 「1961년 무국적자의 감소에 관한 협약」, 「담배제품 불법거래 근절을 위한 의정서」를 비준할 것(파나마);
139.11 Consider the ratification of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Portugal);
139.11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의 비준을 고려할 것(포르투갈);
139.12 Approve a legislative initiative that eliminates the death penalty and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since, despite the moratorium, the courts continue to hand down death sentences (Spain);
139.12 사형제 폐지에 관한 모라토리엄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지속적으로 사형을 선고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사형제를 폐지하는 입법 조치를 승인하고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스페인);
139.13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ratify without reservation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celand);
139.13 사형제를 폐지하고, 「사형제 폐지를 목표로 하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유보조항 없이 비준할 것(아이슬란드);
139.14 Consider ratifying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Uruguay);
139.14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의 비준을 고려할 것(우루과이);
139.15 Accede to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ensure its implementation (Côte d’Ivoire);
139.15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에 가입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코트디부아르);
139.16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commute all existing death sentences (Mexico);
139.16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하고, 기존에 선고된 모든 사형을 감형할 것(멕시코);
139.17 Ratify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Belgium) (Chile) (Estonia) (Finland) (Germany) (Lithuania) (Switzerland)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139.17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벨기에, 칠레, 에스토니아, 핀란드, 독일, 리투아니아, 스위스, 영국);
139.18 Accede to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s well as accede to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Luxembourg);
139.18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와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에 가입할 것(룩셈부르크);
139.19 Move towards the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Chile);
139.19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의 비준을 위해 노력할 것(칠레);
139.20 Carry out national delibe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and stakeholders on the possibility of rat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Indonesia);
139.20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의 비준 가능성에 대하여 관계 기관 및 이해관계자의 국내 심의 절차를 추진할 것(인도네시아);
139.21 Accede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strengthen national policies on migrants and family reunification (Egypt);
139.21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에 가입하고, 이주자와 그 가족의 결합을 위한 국내 정책을 강화할 것(이집트);
139.22 Consider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Colombia);
139.22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의 비준을 고려할 것(콜롬비아);
139.23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lgeria) (Bangladesh) (Philippines) (Togo);
139.23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을 비준할 것(알제리, 방글라데시, 필리핀, 토고);
139.24 Consider ratifying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Libya) (Senegal);
139.24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의 비준을 고려할 것(리비아, 세네갈);
139.25 Ratif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the Second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iming at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Paraguay);
139.25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과 「사형제 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파라과이);
139.26 Sign and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Denmark);
139.26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에 가입 및 이를 비준할 것(덴마크);
139.27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Mongolia);
139.27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몽골);
139.28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Italy);
139.28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이탈리아);
139.29 Ratify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Finland);
139.29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를 비준할 것(핀란드);
139.30 Intensify ongoing processes leading up to the ratific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Ghana);
139.30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 비준을 위한 절차를 강화할 것(가나);
139.31 Consider ratification of major outstand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Malawi);
139.31 주요 미가입 국제인권조약의 비준을 검토할 것(말라위);
139.32 Adopt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without delay (Ireland);
139.32 「포괄적인 차별금지법」을 지체없이 도입할 것(아일랜드);
139.33 Update the relevant labour legislation so that it covers all categories of workers (Poland);
139.33 노동 관련 법령이 모든 유형의 노동자에게 적용되도록 개정할 것(폴란드);
139.34 Consider reviewing its legislation to address concerns on conscientious objection and alternative services and further bring it into full compliance with its human rights obligations (Timor-Leste);
139.34 양심적 병역거부 및 대체복무제도에 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 법령의 재검토를 고려하고 인권의무를 완전히 준수하도록 개선할 것(동티모르);
139.35 Consider including all categories of workers in the labour legislation and expand the coverage of the legislation and labour standards to all sectors of the economy (Timor-Leste);
139.35 모든 유형의 노동자가 노동법령의 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적용 범위 확장을 고려하고 모든 경제 영역에 노동 기준을 확대할 것(동티모르);
139.36 Abolish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other evil laws which are in contraven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s well as the provocative so- called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9.36 「국가보안법」 및 기타 국제인권법과 상충하는 모든 악법, 도발적인 소위 「북한인권법」을 폐지할 것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9.37 Consider the ratification of the Act on Birth Registration of Foreign Children (Egypt);
139.37 「외국인아동의 출생등록에 관한 법률」의 제정을 고려할 것(이집트);
139.38 Enhance its efforts to establish a fourth national action plan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to fulfil new demands for human rights issue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which will ensure the participation of the various stakeholders (Turkmenistan);
139.38 제4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이 인권 현안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보장하는 국제적 기준을 이행할 수 있도록 노력을 강화할 것(투르크메니스탄);
139.39 Conside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and action plan to protect the rights of vulnerable persons from climate risks (Bhutan);
139.39 기후 위기로부터 취약계층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통합적 대응 시스템 및 이행계획 수립을 고려할 것(부탄);
139.40 Establish a permanent national mechanism for implementation, reporting and follow-up (Paraguay);
139.40 국제인권기구 권고에 대하여 이행, 보고, 후속조치를 취하는 국내 상설 메커니즘을 신설할 것(파라과이);
139.41 Consider amending the Criminal Code to consider racist motives as an aggravating circumstance when sentencing for criminal offences (Jordan);
139.41 형사 범죄의 양형에 인종차별적 동기를 가중처벌 사유로 고려하도록 「형법」 개정을 검토할 것(요르단);
139.42 Take effective measures to end the compliance with unilateral coercive measures that are illegal and contrary to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Islamic Republic of Iran);
139.42 국제법 및 국제인권기준에 어긋나거나 위법적인 일방적·강제적 조치의 시행을 종결하기 위해 유효한 조치를 취할 것(이란);
139.43 Refrain from and repeal unilateral coercive measures already taken that are contrary to international law and the United Nations Charter and that prejudice the social and economic rights of various categories of the population (Belarus);
139.43 국제법 및 유엔헌장에 반하며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의 사회적·경제적 권리에 악영향을 끼치는 일방적·강제적 조치를 방지 및 폐기할 것(벨라루스);
139.44 Develop the government strategy for enacting the equality act and pass the comprehensive equality act, to establish policies to eliminate discrimination and social prejudices against sexual minorities (Kingdom of the Netherlands);
139.44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사회적 편견을 근절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평등법 제정을 위한 정부 전략을 발전시키고, 포괄적 평등법을 통과시킬 것(네덜란드);
139.45 Adopt legislation to prohibi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enshrine the concept of racial discrimination in legislation, as well as introduce criminal sanctions for the incitement to ethnic hatred and acts of a violent nature based on racial grounds (Russian Federation);
139.45 모든 형태의 차별을 금지하는 법령을 도입하고, 법령에 인종차별의 개념을 규정하며, 인종적 사유로 인종 혐오를 선동하거나 폭력을 가하는 행위를 형사 처벌하는 법률을 제정할 것(러시아);
139.46 Consider implementing a comprehensive law against discrimination that includes, in addition to sex, religion and social conditi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based on physical or mental disability, race,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among other factors (Peru);
139.46 성, 종교, 사회적 조건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장애, 인종, 성적 지향, 성별 등을 사유로 한 차별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시행을 고려할 것(페루);
139.47 Strengthen efforts to comba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by adopting a comprehensive legislative framework (Ukraine);
139.47 모든 형태의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포괄적 법률 기틀을 마련하려는 노력을 강화할 것(우크라이나);
139.48 Review legislation and practice to ensure alternative civilian service that is genuinely civilian, accessible to all conscientious objectors without discrimination, non-punitive and non-discriminatory in nature and cost and of a duration comparable to military service with any additional duration based on reasonable and objective criteria (Costa Rica);
139.48 모든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차별 없이 접근할 수 있으며, 합리적·객관적 기준에서 현역 복무와 비교할 때 복무 특성, 비용 및 기간이 비징벌적·비차별적이며, 온전히 민간 성격을 지닌 대체복무제도가 시행되도록 관련 법률 및 관행을 검토할 것(코스타리카);
139.49 Continue the ongoing efforts to adopt a comprehensive anti- discrimination act that prohibits all forms of discrimination (Croatia);
139.49 모든 형태의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크로아티아);
139.50 Consider the adoption of further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within its national human rights action plan (Greece);
139.50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에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을 포함하도록 고려할 것(그리스);
139.51 Continue existing efforts to develop a government strategy for the enaction of an equality act (Greece);
139.51 「평등법」 제정을 위한 정부의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 (그리스);
139.52 Consider abolishing the capital punishment and introducing alternatives to death penalty (Kazakhstan);
139.52 사형제를 폐지하고 대체형벌의 도입을 고려할 것(카자흐스탄);
139.53 Take concrete steps towards the form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Marshall Islands);
139.53 사형제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마셜 제도);
139.54 Entrench its moratorium on executions through the form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ncluding by taking legislative action to permanently remove the death penalty from Korean law (New Zealand);
139.54 한국 국내법에서 사형제 관련 규정을 영구히 삭제하기 위한 입법적 조치를 하는 등 사형제의 공식적 폐지를 통해 사형 집행에 관한 모라토리움을 확고히 할 것(뉴질랜드);
139.55 Take steps towards the form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based on the longstanding moratorium (Norway);
139.55 장기간 지속된 사형제 모라토리움에 기초하여, 사형제의 공식적 폐지를 추진할 것(노르웨이);
139.56 Take steps towards the leg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while commuting the existing sentences to life imprisonment (Slovakia);
139.56 사형제의 법률적 폐지를 추진하고, 기존에 선고된 사형을 무기징역으로 감형할 것(슬로바키아);
139.57 Continue its review of its legislation and policy with a view to abolishing the death penalty de jure (Timor-Leste);
139.57 사형제의 법률적 폐지를 위하여 관련 법률 및 정책 검토를 지속할 것(동티모르);
139.58 Continue efforts on abolishing the death penalty at the legislative level (Uzbekistan);
139.58 사형제의 법률상 폐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우즈베키스탄);
139.59 Fully abolish the death penalty, which has been under a de facto moratorium for 25 years (Canada);
139.59 25년간 사실상 모라토리움 상태에 있는 사형제를 완전히 폐지할 것(캐나다);
139.60 Abolish the death penalty (Costa Rica);
139.60 사형제를 폐지할 것(코스타리카);
139.61 Formally abolish the death penalty and commute death sentences to lesser punishment or full pardons (Cyprus);
139.61 사형제를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기존에 선고된 사형을 감형 또는 사면할 것(사이프러스);
139.62 Consider adopting a de jure moratorium on capital executions (Italy);
139.62 사형 집행에 대한 법적 모라토리움 도입을 고려할 것(이탈리아);
139.63 Put an end to torture and ill-treatment practices in detention centres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139.63 구금시설에서의 고문 및 가혹행위 관행을 근절할 것(베네수엘라);
139.64 Increase measures against torture and ill-treatment, including by considering accession to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preventive mechanism (Uruguay);
139.64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 선택의정서」 가입 및 국가예방메커니즘(NPM)의 설립을 검토하는 등 고문 및 가혹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조치를 확대할 것(우루과이);
139.65 Review the protection and prevention mechanisms on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prevent retaliation against those who reported sexual violence and ensure the rights to justice and remedies for victims (Islamic Republic of Iran);
139.65 군 내 성폭력 관련 보호 및 방지 제도를 검토하고 성폭력 신고자에 대한 보복을 방지하며 피해자의 사법권과 권리구제를 보장할 것(이란);
139.66 Review the prevention and protection mechanisms on sexual violence in the military (Israel);
139.66 군 내 성폭력 관련 방지 및 보호 제도를 검토할 것(이스라엘);
139.67 Continue and strengthen efforts to improve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El Salvador);
139.67 군 내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강화할 것(엘살바도르);
139.68 Take steps on alternative service to ensure the observance of the rights to freedom of thought, belief, conscience and religion (Malawi);
139.68 사상, 신념, 양심, 종교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대체복무제도에 관한 조치를 취할 것(말라위);
139.69 Review the National Security Act, in particular article 7, to make it compliant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nd amend the inaccuracies that could restrict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Mexico);
139.69 「국가보안법」, 특히 동법 제7조가 국제인권기준을 준수하도록 이를 검토하고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제한할 수 있는 부정확한 사항을 개정할 것(멕시코);
139.70 Implement adequate measures to ensure freedom of the press and guarantee freedom of expression (Paraguay);
139.70 언론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시행할 것(파라과이);
139.71 Take measures to bring the provision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of 1948 and the Criminal Cod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lin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Russian Federation);
139.71 1948년 「국가보안법」 및 대한민국 「형법」의 조항이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도록 조치할 것(러시아);
139.72 Repeal, revise or amend the National Security Law so that it is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law and in particular guarantees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Switzerland);
139.72 「국가보안법」이 국제법에 부합하도록, 특히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국가보안법」을 폐지 또는 개정할 것(스위스);
139.73 Replace criminal defamation and libel laws with civil laws and reform national security laws to protect freedom of expression (United States of America);
139.73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명예훼손을 형사 처벌하는 법률을 민사법률로 대체하고 「국가보안법」을 개정할 것(미국);
139.74 Guarantee that the right to freedom of association and peaceful assembly is exercised by all persons and that its limitation and the rules on the use of public force are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Bolivarian Republic of Venezuela);
139.74 모든 사람이 결사의 자유 및 평화적 집회의 자유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이러한 권리의 제한 및 공권력의 사용에 관한 규칙이 국제법을 준수하도록 할 것(베네수엘라);
139.75 Stop the suppression of all persons from freely forming trade unions and lawfully exercising their rights, the arbitrary interference in the functioning of trade unions and the disproportionate use of force on all persons enjoying the right to peaceful assembly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9.75 노동조합을 자유로이 결정하고 합법적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사람들에 대해 억압하는 행위, 노동조합의 기능을 임의로 방해하는 행위, 평화적 집회에 관한 권리를 행사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부당한 무력 사용을 중단할 것(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9.76 Allow conscientious objectors to serve for a length comparable to that of military service and with a variety of options to serve, taking into account the range of talent and skills that conscientious objectors can contribute to the nation (Canada);
139.76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군 복무기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대체 복무하도록 하고,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각자의 재능과 기술의 범위를 고려하여 다양한 대체복무 선택지를 제공할 것(캐나다);
139.77 Ensure that no conscientious objector to military service is imprisoned or deprived of their liberty and that objectors are offered a genuinely civilian and non-punitive alternative in line with international law (Spain);
139.77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구금되거나 자유가 박탈되지 않도록 보장하고, 국제법에 부합하는 온전히 민간 성격을 지닌 비징벌적 대체복무제도를 마련할 것(스페인);
139.78 Take steps to implement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Slovakia);
139.78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국제기준에 맞는 대체복무제도를 시행할 것(슬로바키아);
139.79 Adopt provisions for conscientious objectors to carry out an appropriate alternative and non-punitive service of a genuinely civilian character and of a comparable length to military service, with any additional extension based on reasonable and objective criteria (Panama);
139.79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온전히 민간 성격을 지닌 적절한 비징벌적 대체복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합리적·객관적 기준에 근거하여 복무기간의 연장 없이, 현역 군 복무기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복무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을 마련할 것(파나마);
139.80 Amend the National Security Law, in particular article 7, to ensure that it is not used arbitrarily or to restrict th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opinion and association and release all individuals unjustly charged and sentenced to prison terms solely for the legitimate exercise of their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and association (Germany);
139.80 「국가보안법」, 특히 동법 제7조가 자의적으로 활용되거나 표현 및 의견의 자유, 결사의 자유에 관한 권리를 제한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이를 개정하고, 표현의 자유와 결사의 자유에 관한 권리를 정당하게 행사하였다는 이유만으로 부당하게 기소되고 징역형을 선고받은 모든 사람들을 석방할 것(독일);
139.81 Provide for the release of all imprisoned conscientious objectors, expunge the criminal records of conscientious objectors and provide them with adequate reparation (Argentina);
139.81 수감된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모두 석방하고, 이들의 범죄 기록을 삭제하며, 이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할 것(아르헨티나);
139.82 Allow conscientious objectors to carry out an appropriate alternative service of a genuinely civilian character (Cyprus);
139.82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민간 성격의 대체복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사이프러스);
139.83 Release all conscientious objectors in detention, expunge their criminal records and grant them appropriate reparation (Luxembourg);
139.83 구금 중인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모두 석방하고, 이들의 범죄 기록을 폐기하며, 이들에게 적절한 배상을 제공할 것(룩셈부르크);
139.84 End the detention of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and ensure that civilian alternatives to military service are not punitive or discriminatory and remain under civilian control (Uruguay);
139.84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구금을 종료하고, 민간대체복무제도가 비징벌적·비차별적이며, 민간의 주도로 운영되도록 할 것(우루과이);
139.85 Improve civilian alternatives to the military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Estonia);
139.85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민간 대체복무제도를 개선할 것(에스토니아);
139.86 Provide alternative service options for conscientious objectors by introducing an alternative non-punitive service of genuine civilian character, under civilian control and of a length comparable to military service and ensure that alternative service is offered without unreasonable delay (Australia);
139.86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체복무제도를 마련하며, 이때 대체복무는 민간이 주도하고 현역 군 복무 기간에 상응하며, 비징벌적인 민간 성격을 지니도록 하고, 대체복무제도가 불합리하게 지연되어 제공되는 일이 없도록 할 것(호주);
139.87 Ensure that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can carry out genuinely civilian and non-punitive alternative service without discrimination, by reducing the length of alternative service and expanding the places of possible service (Croatia);
139.87 현행 대체복무제도의 복무기간을 줄이고 대체복무가 가능한 영역(장소)를 확대하는 등 양심적 병역거부자가 민간 성격의, 비징벌적 대체복무를 차별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크로아티아);
139.88 Continue efforts towards making alternative service for conscientious objectors of a non-punitive and civilian character (Poland);
139.88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한 대체복무제도를 비징벌적인 민간 성격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폴란드);
139.89 Take measures to prevent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based on big data, including surveillance systems, from violating human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privacy (Costa Rica);
139.89 보안감시 시스템 등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시스템이 사생활권을 비롯한 인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코스타리카);
139.90 Further reinforc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to tackle the menace of human trafficking (Pakistan);
139.90 인신매매의 위협을 퇴치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더욱 강화할 것(파키스탄);
139.91 Consider adopting a general law to combat human trafficking, with a focus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address complaints of the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including sex workers and migrants in an irregular situation (Peru);
139.91 비정규적 이민 상황에 놓인 성매매 종사자 및 이주자 등 여성의 성착취에 대한 진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피해자 보호에 초점을 맞춘 인신매매 근절에 관한 일반 법률의 제정을 검토할 것(페루);
139.92 Continue efforts to eradicate human trafficking, including through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Human Trafficking Prevention Act and by adopting a victim-protective approach (Qatar);
139.92 「인신매매등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피해자를 보호하는 접근법을 채택하는 등 인신매매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카타르);
139.93 Ensure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plan to prevent human trafficking and to protect trafficking victims (Sri Lanka);
139.93 인신매매를 방지하고 인신매매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종합 계획의 수립을 보장할 것(스리랑카);
139.94 Fight impunity for human trafficking crime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contemporary forms of slavery (Syrian Arab Republic);
139.94 인신매매 범죄, 특히 현대적 형식의 노예 상태와 연관된 인신매매 범죄에 대한 불처벌을 근절할 것(시리아);
139.95 Eliminate all practice of social evil, such as trafficking in persons for sexual exploitation and forced labour and the increasingly higher rate of child crime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39.95 성적 착취 및 강제 노동을 목적으로 한 인신매매, 아동 범죄율 증가와 같은 모든 사회악적 관행을 근절할 것(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39.96 Continue efforts towards combating human trafficking (Kyrgyzstan);
139.96 인신매매 근절을 향한 노력을 지속할 것(키르기스스탄);
139.97 Take further measures to tackle human trafficking, particularly of women and children, and to provide effective protection to victims (Georgia);
139.97 인신매매, 특히 여성과 아동에 대한 인신매매를 근절하고 피해자에게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 조치를 취할 것(조지아);
139.98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effectively ensure labour protection for all workers (Indonesia);
139.98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 보호를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인도네시아);
139.99 Ensure effective protection of the rights to housing, education, medical care, employment and other fields for persons in vulnerable situations (China);
139.99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는 사람들의 주거, 교육, 의료, 고용 및 기타 분야에 관한 권리의 효과적인 보호를 보장할 것(중국);
139.100 Continue strengthening measures to guarantee better care for people living with HIV (Senegal);
139.100 HIV 보균자에게 더 나은 치료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 강화를 지속할 것(세네갈);
139.101 Provide age-appropriate sex education classe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prevention of teenage pregnancy and HIV/AIDS and adequately addressing issue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Luxembourg);
139.101 연령에 맞는 성교육, 특히 10대의 임신과 HIV/AIDS를 예방하는데 주의를 기울이고 성적 지향, 성별, 성 정체성의 문제를 적절하게 다루는 성교육을 제공할 것(룩셈부르크);
139.102 Endorse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for the protection of schools in conflict areas (Spain);
139.102 분쟁상황에서 학교 보호를 위한 「안전한 학교 선언」을 지지할 것(스페인);
139.103 Increase efforts to ensure that all children have access to quality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and reduce educational disparitie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Qatar);
139.103 모든 아동이 양질의 교육을 차별없이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고, 지방과 도시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할 것(카타르);
139.104 Implement the necessary reform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o mitigate threats against human rights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including by raising the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target consistent with human rights obligations (Malaysia);
139.104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인권 의무에 부합하도록 상향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기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인권 위협 요소를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개혁을 추진할 것(말레이시아);
139.105 Align its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with the Paris Agreement goal of limiting global warming to 1.5 degrees Celsius above pre- industrial levels (Marshall Islands);
139.105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고자 하는 파리협정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설정할 것(마셜 제도);
139.106 Ensure tha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digenous Peoples are equally and fully represented in future climate change negotiations (Vanuatu);
139.106 비정부기구 및 선주민이 미래의 기후변화 관련 협상에 평등하고 완전하게 참여할(대표될) 수 있도록 보장할 것(바누아투);
139.107 Take swift action to eliminate all fossil fuels and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Vanuatu);
139.107 모든 화석 연료의 사용을 근절하고 재생가능 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것(바누아투);
139.108 Further strengthen the implementation of legislation and plans aimed at eliminating structures and norms that perpetuate gender-based discrimination, violence and abuse, by allocating more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Philippines);
139.108 젠더기반 차별, 폭력, 학대를 영속화하는 구조나 규범을 철폐하는 것을 목표로 인적, 재정적 자원을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등 관련 법률과 계획의 이행을 더욱 강화할 것(필리핀);
139.109 Strengthen the mandat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n gender and women’s rights (Colombia);
139.109 성에 대한 권리 및 여성의 권리와 관련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임무를 강화할 것(콜롬비아);
139.110 Take further steps towards reducing gender inequality, including by increasing women’s participation in the judiciary and law enforcement, in political and public life and in the private sector (Ukraine);
139.110 사법부, 법집행기관, 정치 및 공공 부문, 민간 부문의 여성 참여를 확대하는 등 성 불평등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우크라이나);
139.111 Combat the spread of cybercrime targeting women and girls, including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to ensure effective means of prevention and protection for victims and the legal prosecution of perpetrators (Syrian Arab Republic);
139.111 SNS 등에서 여성이나 여아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범죄의 확산을 근절하고, 효과적인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수단을 마련하며 가해자의 형사처벌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시리아);
139.112 Consider the possibility of lifting the reservation to article 16 (1) (g) of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araguay);
139.112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에 관한 협약」 제16조제1항제(g)호 유보 철회 가능성을 고려할 것(파라과이);
139.113 Implement measures to ensure women’s equal participation in work life and politics, by preventing discrimination and reducing the gender pay gap (Norway);
139.113 차별 방지 및 성별 임금 격차 개선을 통해 직장과 정치에서 여성의 동등한 참여를 보장하는 조치를 이행할 것(노르웨이);
139.114 Continue measures to enhance women’s representation in the political and public life (Nepal);
139.114 정치 및 공공영역에서 여성의 대표성 제고를 위한 조치를 지속할 것(네팔);
139.115 Withdraw the reservation to article 16 (1) (g) of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Namibia);
139.115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에 관한 협약」 제16조제1항제(g)호 유보를 철회할 것(나미비아);
139.116 Devise and implement strategies and structural reforms towards ensuring the equal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nd political life, including thei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 councils (Marshall Islands);
139.116 국회, 도의회, 지방의회에서의 비례적 대표성을 비롯하여 공공 및 정치 부문에서 여성의 동등한 참여 보장을 위한 전략 및 구조적 개혁을 구상하고 이행할 것(마셜 제도);
139.117 Reinforce the gender and women’s rights mandate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Maldives);
139.117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의 젠더 및 여성인권 관련 임무를 강화할 것(몰디브);
139.118 Intensify efforts to promote women’s rights and to prevent and comba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them, both online and offline (Italy);
139.118 여성의 권리를 증진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의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과 폭력을 예방,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이탈리아);
139.119 Address th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political domains (Islamic Republic of Iran);
139.119 정치 부문에서의 여성 차별을 해소할 것(이란);
139.120 Encourag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ivate sector companies to take all appropriate measures to eliminate all forms of onlin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including online gender-based violence and digital sex crimes (Ireland);
139.120 국내외 민간기업들이 온라인 젠더기반 폭력과 디지털 성범죄 등 온라인상의 모든 형태의 차별과 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적절한 모든 조치를 취하도록 장려할 것(아일랜드);
139.121 Strengthen efforts to combat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and gender-based violence (Cyprus);
139.121 여성과 여아에 대한 폭력과 젠더기반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사이프러스);
139.122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eliminate violence, discrimination and hate speech against women and girls, as well as to eradicate gender-based stereotypes and promote education on healthy sexual relationships, consent and gender-based violence, including online sex crimes (Costa Rica);
139.122 여성과 여아에 대한 폭력, 차별, 혐오표현을 근절하고 젠더기반 고정관념을 타파하며, 건강한 성관계, 동의, 온라인 성범죄를 포함한 젠더기반 폭력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이행할 것(코스타리카);
139.123 Continue its efforts in ensuring protection for women and girls against all kind of violence, harassment and abuses (Sudan);
139.123 여성, 여아를 모든 형태의 폭력, 괴롭힘, 학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수단);
139.124 Combat effectively, online and offline,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and bring the perpetrators to justice (China);
139.124 여성, 여아에 대한 온라인, 오프라인 폭력을 효과적으로 근절하고 가해자들을 법에 따라 처벌할 것(중국);
139.125 Continue the commitment towards preventing domestic violence and strengthening support services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Sri Lanka);
139.125 가정폭력 예방 및 가정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서비스 강화 의무를 지속적으로 이행할 것(스리랑카);
139.126 Continue efforts for monitoring, preventing and combating all forms of violence and abuse against women and children, including online violence (Lithuania);
139.126 온라인 폭력 등 여성 및 아동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과 학대에 대한 감시, 예방, 근절 노력을 지속할 것(리투아니아);
139.127 Ensure children’s fair trial rights by preventing the use of forced confessions and including legal guardians in the child’s trial proceedings (Gambia);
139.127 강요된 자백의 사용 금지 및 법정후견인의 재판 참여 보장을 통해 아동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할 것(감비아);
139.128 Introduce a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in the country (Azerbaijan);
139.128 국내에 보편적 출생등록제도를 도입할 것(아제르바이잔);
139.129 Introduce comprehensive policies and strategies to address all forms of violence and abuse against children, including online violence, as well as to ensure the prevention of all forms of abuse of older persons (Serbia);
139.129 온라인 폭력을 포함하여, 아동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 및 학대에 대응하고, 노인에 대한 모든 형태의 학대 방지 보장을 위한 포괄적인 정책과 전략을 도입할 것(세르비아);
139.130 Reconsider the plan to lower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pursuant to the recommendations of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Philippines);
139.130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형사 책임연령 하향 계획을 재고할 것(필리핀);
139.131 Develop a comprehensive strategy and an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fight and monitoring of all forms of violence and abuse against children, including online violence (Montenegro);
139.131 온라인 폭력을 비롯하여 아동에 대한 모든 형태의 폭력과 학대를 예방, 근절, 감시하기 위한 포괄적인 전략과 이행계획을 수립할 것(몬테네그로);
139.132 Consider joining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a communications procedure (Mongolia);
139.132 「아동권리협약 개인진정 절차에 관한 제3선택의정서」 가입을 고려할 것(몽골);
139.133 Establish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that allows for the registration of births of all children born in the Republic of Korea, regardless of their parents’ legal or social status (Lithuania);
139.133 부모의 법적,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모든 아동의 출생을 등록할 수 있도록 보편적 출생등록제도를 수립할 것(리투아니아);
139.134 Continue efforts to ensure birth registration, making it available to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 legal status of the parents or their origins (Iraq);
139.134 부모의 법적지위나 출신과 관계없이 모든 아동의 출생등록 보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크);
139.135 Adopt a housing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pecial needs of older persons to enable them to live independently, while reducing informal settlements and households that do not reach minimum housing standards (Slovenia);
139.135 노인의 독립적 생활을 위해 이들의 특수한 필요를 고려한 주거 정책을 도입하고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는 비공식 주거지나 주택의 수를 줄일 것(슬로베니아);
139.136 Devote sufficient funding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older persons, ensure equal access to services and prevent poverty in old ag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y raising the income replacement rate of the national pension to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verage (Slovenia);
139.136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OECD 평균으로 높이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서, 노인 인권을 보호하고 동등한 서비스를 보장하고 노인 빈곤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재정을 투입할 것(슬로베니아);
139.137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electoral process and public political life (Jordan);
139.137 선거절차와 공공 정치영역에서 장애인의 참여를 개선할 것(요르단);
139.138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care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New Zealand);
139.138 장애인을 위한 교육 및 돌봄 시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뉴질랜드);
139.139 Eliminate the forced hospitalization of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and establish a community-based care system that promotes their full autonomy (Costa Rica);
139.139 정신장애인의 강제입원을 중단하고 이들의 자율성을 완전히 보장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의 돌봄제도를 마련할 것(코스타리카);
139.140 Enhance the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building their capacities and ensuring their fair access to employment opportunities (Qatar);
139.140 장애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공정한 고용기회를 보장하여 이들의 사회적 통합을 증진할 것(카타르);
139.141 Repeal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o end restrictions on consensual same sex relations (Ireland);
139.141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하여 동성 간 합의에 의한 성관계에 대한 제재를 없앨 것(아일랜드);
139.142 Continue to take measures to tackle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on the ground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Israel);
139.142 성적 지향이나 성정체성 등에 따른 차별을 비롯한 모든 형태의 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조치를 지속적으로 이행할 것(이스라엘);
139.143 Repeal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criminalizes consensual sexual relations between people of the same sex (Mexico);
139.143 동성 간 합의에 의한 성관계를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멕시코);
139.144 Legalize same-sex marriage and ensure that same-sex couples are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s opposite-sex couples in de facto relationships (New Zealand);
139.144 동성 간 결혼을 합법화하고, 사실혼 관계에 있는 동성부부가 이성부부와 동등한 권리와 책임을 갖는다고 인정받는 것을 보장할 것(뉴질랜드);
139.145 Adopt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that prohibits discrimination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and intersex persons and other marginalized groups (Norway);
139.145 성소수자와 그 밖의 소외집단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노르웨이)
139.146 Adopt a generic law that addresses all cases of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sexual orientation, race or nationality, in all areas, including labour, education and access to public services (Spain);
139.146 모든 영역(노동, 교육, 공공서비스의 이용 등)에서 성별, 성적 지향, 인종, 국적에 따른 모든 차별에 대응하는 포괄적 법률을 도입할 것(스페인);
139.147 Enac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that prohibits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protection for all those in the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other community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139.147 성 소수자 집단 전체에 대한 보호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영국);
139.148 Pass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protecting members of marginalized communities, including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intersex and other persons, and provide legal recognition of same-sex marriage (United States of America);
139.148 성 소수자 등 소외집단의 구성원을 보호하는 「차별금지법」을 통과시키고, 동성혼을 법적으로 인정할 것(미국);
139.149 Repeal the Military Criminal Act article criminalizing same-sex conduct in the military (United States of America);
139.149 군대 내 동성 간 합의에 의한 성관계를 처벌하는 「군형법」 조항을 폐지할 것(미국);
139.150 Adopt a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aw, including protection for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intersex persons, and ensure access to legal gender recognition without prerequisites (Australia);
139.150 성소수자에 대한 보호를 포함한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하고 성별정정을 전제조건 없이 허용할 것(호주);
139.151 Enact comprehensive and enforceabl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prohibiting discrimination based on, among other things, race, sexual orientation, gender identity and sex characteristics (Belgium);
139.151 인종, 성적 지향, 성정체성, 성 특성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이고 시행 가능한 「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벨기에);
139.152 Adopt an anti-discrimination law prohibiting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on the basis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and abolish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criminalizes consensual same-sex relations (Canada);
139.152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 등에 따른 모든 형태의 차별을 금지하는 「차별금지법」을 도입하고, 동성 간 합의에 의한 성관계를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캐나다);
139.153 Eliminate the criminalization of same-sex relations in the Military Criminal Code Act (Colombia);
139.153 「군형법」의 동성 간 성관계를 범죄화하는 조항을 폐지할 것(콜롬비아);
139.154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eliminate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through the adoption of standards and the revision of study plans that promote the inclusion of all people (Costa Rica);
139.154 모든 사람들의 사회적 포용을 증진하기 위한 기준을 도입하고 연구계획 수정 등을 통해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에 따른 차별을 근절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코스타리카);
139.155 Ensure further efforts for the adoption of comprehensive anti- discrimination legislation prohibiting discrimination based on, among other things,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Denmark);
139.155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보장할 것(덴마크);
139.156 Continue to strengthen the fight against all form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those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France);
139.156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에 따른 차별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차별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 강화를 지속할 것(프랑스);
139.157 Adopt and implement comprehensiv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which prohibits any discrimination, notably based on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identity (Germany);
139.157 모든 차별, 특히 성적 지향과 성정체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도입·시행할 것 (독일);
139.158 Repeal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hat punishes sexual activity between same-sex military personnel with sentences of up to two years in prison (Germany);
139.158 동성 군인 간 성적 행위를 2년 이하의 징역으로 처벌하는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할 것(독일);
139.159 Legalize same-sex marriage between consenting adults and legalize adoption by same-sex couples (Iceland);
139.159 합의에 의한 성인 간 동성혼을 합법화하고 동성부부의 입양을 합법화할 것(아이슬란드);
139.160 Repeal article 92 (6)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to end restrictions on consensual same-sex relations in the military (Iceland);
139.160 「군형법」 제92조의6을 폐지하여 군대 내 동성 간 합의에 의한 성관계에 대한 제재를 폐지할 것(아이슬란드);
139.161 Stop conditioning legal gender recognition for transgender persons upon psychiatric diagnosis, medical treatment and the prohibition to marry or have children and introduce instead a transparent administrative process based on individual self-declaration (Iceland);
139.161 트랜스젠더의 성별정정의 조건으로 정신과 진단, 의료적 조치, 결혼 및 출산의 금지를 요구하는 것을 중단하고, 대신 개인의 자발적 선언(self-declaration)을 성별정정의 기반으로 하는 투명한 행정적 절차를 도입할 것(아이슬란드);
139.162 Strengthen the legal framework to protect and promote the rights of lesbian, gay, transgender, bisexual, intersex, queer and other persons (Colombia);
139.162 성 소수자의 권리를 보호 및 증진하기 위한 법적 기틀을 강화할 것(콜롬비아);
139.163 Ban conversion therapies (Iceland);
139.163 전환 치료를 금지할 것(아이슬란드);
139.164 Further improve the registration of migrant children, with a view to the full realization of their right to compulsory education (Poland);
139.164 이주아동의 의무교육에 대한 권리를 완전히 보장하기 위해서 이주아동 등록제도를 개선할 것(폴란드);
139.165 Continue consideration of the accession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of their Families (Kyrgyzstan).
139.165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 가입 고려를 지속할 것(키르기스스탄).
140. The recommendation formulated during the interactive dialogue/listed below has been examin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has been noted by the Republic of Korea:
140. 상호 대화에서 도출된 아래 권고사항에 대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검토 후 불수용 의사를 밝혔다:
140.1 Ensure a lasting solution to unresolved cases of sexual slavery and forced labour committed by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imed at fulfilling the victims’ right to truth, justice and reparation on the basis of a victim-centred approach and victims’ demand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40.1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이 자행한 성노예 및 강제징용 문제에 대하여, 피해자 중심 접근방식과 피해자 요구에 기반한 진실, 정의, 배상에 대한 권리 실현을 위한 지속적인(lasting) 해결책을 보장할 것(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41. All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contained in the present report reflect the position of the submitting State(s) and/or the State under review.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dorsed by the Working Group as a whole.
141. 이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결론 및 권고사항은 제안국 또는 수검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써, 실무그룹 차원에서 수용한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FootNote
각주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