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차별철폐위원회 개인통보(2006): Ms. Dung Thi Thuy Nguyen v 네덜란드
CEDAW Individual Communication(2006): Ms. Dung Thi Thuy Nguyen v. The Netherlands
배포일 2006. 8. 29.
제출일 : 2003. 12. 8.
채택일 : 2006. 8. 14.
제출자(통보자) : Ms. Dung Thi Thuy Nguyen
피해자 : 통보인
당사국 : 네덜란드
제출일 : 2003. 12. 8.
채택일 : 2006. 8. 14.
Communication No.: 3/2004
통보 3/2004
Views under article 7, paragraph 3, of the Optional Protocol
선택의정서 제7조 3항에 의거한 견해
1.1 The author of the communication dated 8 December 2003, is Ms. Dung Thi Thuy Nguyen, born on 24 June 1967 and a resident of the Netherlands currently living in Breda, the Netherlands. She claims to be a victim of a violation by the Netherlands of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author is represented by counsel, Mr. G. J. Knotter, and by Ms. E. Cremers, a self-employed researcher at Leiden, the Netherlands. The Convention and its Optional Protocol entered into force for the State party on 22 August 1991 and 22 August 2002, respectively.
1.1 2003년 12월 8일자 통보의 진정인인 Ms. Dung Thi Thuy Nguyen은 1967년 6월 24일생이며 네덜란드 국적을 지니고 현재 네덜란드 브레다(Breda)에 거주하고 있다. 그녀는 네덜란드가 여성차별철폐협약 제11조 2항 (b)를 위반함으로써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한다. 진정인의 대리인은 변호사인 Mr. G. J. Knotter와 레이든(Leiden)의 자영 연구원인 Ms. E. Cremers이다. 협약과 부속 선택의정서는 당사국인 네덜란드에서 1991년 8월 22일과 2002년 8월 22일에 각각 발효되었다.
The facts as presented by the author
진정인이 제시한 사실 관계
2.1 The author worked as a part-time salaried employee (a temporary employment agency worker) as well as together with her husband as a co-working spouse in his enterprise. She gave birth to a child and took maternity leave as from 17 January 1999.
2.1 진정인은 파트타임 근로자(직업소개소 임시직 근로자)으로 근무하는 동시에 남편이 경영하는 사업체에서 함께 근무하였다. 출산으로 1999년 1월 17일부터 출산휴가에 들어갔다.
2.2 The author was insured under the Sickness Benefits Act (Ziektewet – “ZW”) for her salaried employment and, in accordance with article 29a of this Act, received benefits to compensate for her loss of income from her salaried employment during her maternity leave over a period of 16 weeks.
2.2 임금직에 고용되어 있어 ‘요양급여법(Sickness Benefits Act: Ziektewet (이하 ‘ZW’))’에 의한 보험급여 대상자였으며, 동 법 제29a조에 의거하여, 16주의 출산휴가로 인한 근로 소득 상실을 보상하는 급여를 지급받았다.
2.3 The author was also insured under the Invalidity Insurance (Self-Employed Persons) Act (Wet arbeidsongeschiktheidsverzekering zelfstandigen “WAZ”) for her work in her husband’s enterprise. On 17 September 1998, prior to the start of her maternity leave, she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maternity benefits under the WAZ. On 19 February 1999, the National Institute for Social Insurance (Landelijk instituut sociale verzekeringen – “LISV”), the benefits agency, decided that, despite her entitlement, the author would not receive benefits during maternity leave for her loss of income stemming from her work in her husband’s enterprise. This was because section 59 (4) of the WAZ – the so-called “anti-accumulation clause” – allows (in cases of concurrent claims for maternity benefits) payment of benefits only insofar as they exceed benefits payable under the ZW. The author’s benefits from her work with her spouse did not exceed those from her salaried employment.
2.3 진정인은 또한 남편의 업체에서 근무하는 것에 대해, ‘(자영업자) 근로불능보험법 (Invalidity Insurance (Self-Employed Persons) Act: Wet arbeidsongeschikthe id sverzekering zelfstandigen (이하 ‘WAZ’))’에 의한 보험급여 대상자였다. 출산휴가가 개시되기 전인 1998년 9월 17일, 진정인은 WAZ에 의한 출산급여 청구서를 제출하였다. 1999년 2월 19일, 급여 행정기관인 ‘국립사회보험원(National Institute for Social Insurance: Landelijk instituut sociale verzekeringen(이하 ‘LISV’))’은 진정인의 권리에도 불구하고 남편의 기업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발생하는 소득의 상실에 대해서 출산휴가기간 동안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다고 결정하였다. WAZ 제59조 (4)항의 소위 ‘반 누적 조항(anti-accumulation clause)’에 의하면 (출산급여 청구가 중복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동 법에 의한 급여는 ZW에 의해 지급되는 급여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지급가능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진정인이 남편과 함께 근무하는 것에 대해 받는 급여는 진정인의 임금직 고용으로 인해 받는 급여를 초과하지 않는다.
2.4 The author lodged an objection to the decision, which was rejected on 18 May 1999. Thereafter, she applied for a review with the Breda District Court (rechtbank). Reportedly, this application was dismissed on 19 May 2000. The author then appealed to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reportedly, the highest administrative court in the Netherlands in social security cases.
2.4 진정인은 이러한 결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였으나, 1999년 5월 18일 이의가 기각되었다. 이후 진정인은 브레다 지방법원(rechtbank)에 재심을 요청하였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이 요청은 2000년 5월 19일에 기각되었다. 그 후 사회보장사건에 있어 네덜란드 최고의 행정법원이라고 하는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에 항소하였다.
2.5 On 25 April 2003,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confirmed the contested judgment of the Breda District Court (rechtbank). The Tribunal found that section 59 (4) of the WAZ does not result in unfavourable treatment of women as compared to men. The Tribunal also referred to one of its earlier judgments in which it held that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lacks direct effect.
2.5 2003년 4월 25일, 중앙고등법원은 브레다 지방법원의 판결을 확정하였다. 고등법원은 WAZ의 제59조 (4)항이 남성에 비해 여성을 불리하게 처우하는 결과를 낳지 않는다고 판결하였다. 또한 협약 제11조가 직접적 효력을 지니지 못한다고 판결한 중앙고등법원의 여러 판례들 중 하나를 언급하였다.
2.6 On 8 May 2002, the author began a second maternity leave (in connection with her second pregnancy) and again applied for benefits. On 4 June 2002 the benefits agency decided that the author’s entitlement under the ZW would be supplemen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her claim under the WAZ and her entitlement under the ZW. Unlike during the previous period of maternity leave, her WAZ entitlement exceeded her ZW entitlement.
2.6 2002년 5월 8일, 진정인의 (두 번째 임신과 관련하여) 두 번째 출산휴가가 시작되었고, 진정인은 다시 급여를 청구하였다. 2002년 6월 4일, 급여 행정기관은 ZW에 의해 진정인이 받는 급여에 WAZ에 의해 지급될 급여와 ZW에 의한 급여의 차액이 추가된다고 결정하였다. 첫 번째 출산휴가 때와는 달리 진정인의 WAZ 급여가 ZW 급여를 초과했기 때문이다.
2.7 The author lodged an appeal against the decision of 4 June 2002, which she subsequently withdrew after the decision of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which heard the appeal regarding benefits for her maternity leave in 1999, was rendered on 25 April 2003.
2.7 진정인은 2002년 6월 4일자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였다가 1999년 출산휴가 급여 관련 항소를 심의한 중앙고등법원의 2003년 4월 25일자 판결을 받고 취하하였다.
The complaint
진정 내용
3.1 The author complains that she is a victim of a violation by the State party of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he contends that this provision entitles women to maternity leave with 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 from their work. The author claims that women whose income stems from both salaried and other forms of employment only receive partial compensation for their loss of income during their maternity leave. In this respect, the author submits that pregnanc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come of this group of women. She alleges that partial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income does not fulfil the requirements of the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and amounts to direct discrimination of women as a result of their pregnancy.
3.1 진정인은 자신이 국가에 의한 여성차별철폐협약 제11조 2항 (b) 위반의 피해자라고 한다. 이 조항에 의해 여성은 출산휴가 시에 자신의 근로 소득 손실에 대한 완전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진정인은 주장한다. 진정인은 임금직과 기타 고용 형태로부터 동시에 소득을 얻는 여성들이 출산휴가 기간 중 소득 손실에 대해 부분적인 보상만을 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에서, 임신이 위와 같은 집단의 여성들의 소득에 대해 부정적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소득손실에 대한 부분적 보상이 협약 제11조 2항 (b)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며, 여성은 임신으로 인해 직접적인 차별을 받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3.2 The author asserts that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applies to any conceivable professional activity carried out for payment and refers to legal literature on the Travaux Préparatoires of the Convention to substantiate her assertion. She believes that this is important in assessing the compatibility of the provisions of the WAZ in relation to pregnancy and maternity with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She also considers it important to establish that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means, inter alia, that pregnancy and maternity may not result in a subordinated position of women as compared to men.
3.2 진정인은 협약 제11조가 급료를 대가로 행해지는 모든 직업 활동에 적용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서 협약의 준비작업문서(Travaux Preparatoires)에 대한 법적 문헌을 들고 있다. 진정인은 이것이 WAZ의 임신 및 출산 관련 조항들이 협약 제11조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고 본다. 이는 또한 여성에 대한 차별 금지가 특히 임신과 출산이 남성과 비교하여 종속적인 지위를 여성에게 초래해서는 안 됨을 의미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본다.
3.3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author requests the Committee to examine to what extent the so-called “anti-accumulation clause” - i.e. section 59 (4) of the WAZ – as a result of which she did not receive any compensation for her lost income as a co-working spouse in connection with her maternity leave - is a discriminatory provision and violates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3.3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진정인은 소위 ‘반 누적 조항’ 즉, 자신의 출산휴가와 관련하여 남편의 사업체에서 함께 일하는 배우자로서 상실된 소득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하게 된 WAZ 제59조 (4)항이 어느 정도로 차별적 조항이며 협약 제11조 2항 (b)를 위반하고 있는지 검토해 줄 것을 위원회에 요청하고 있다.
3.4 The author requests the Committee to recommend to the State party, under article 7 (3)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so that co-working spouses or self- employed women on pregnancy and maternity leave are provided with 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 She further requests the Committee to recommend that the State party award her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 during both periods of maternity leave.
3.4 진정인은 위원회가 협약 선택의정서 제7조 (3)항에 의거하여 당사국에게 협약 제11조 2항 (b)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하여, 임신 및 출산휴가 중인 동업 배우자나 자영업자 여성들이 소득 손실에 대해 완전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더 나아가 진정인에게 두 차례의 출산휴가 모두에 대해 소득 손실을 보상해 주도록 당사국에게 권고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3.5 The author further asserts that article 11, paragraph 2 (b) provides a right that is open to tangible judicial review and that, under article 2 of the Optional Protocol, the Committee has been authorized to decide whether the violation of a certain Convention right may be judicially reviewed in actual cases.
3.5 또한 진정인은 협약 제11조 2항 (b)가 제공하고 있는 권리는 실재적인 사법적 검토의 대상이 되며, 선택의정서 제2조에 의거하여 위원회는 협약상의 권리의 위반이 실재 사건에서 사법적으로 검토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한다.
3.6 As to the admissibility of the communication, the author maintains that all domestic remedies have been exhausted in that she ultimately brought proceedings before the highest administrative court against the refusal to award benefits under the WAZ. She informs the Committee that she withdrew her appeal in connection with her second pregnancy after she lost her final appeal in connection with her first pregnancy.
3.6 본 건의 심리가능성과 관련하여, 진정인은 WAZ에 의한 급여 지급이 거부된 것에 대해 최고 행정법원에까지 제소하였기 때문에 국내에서 가능한 모든 구제책을 완료하였다고 주장한다. 진정인이 본 위원회에 알려온 바에 의하면, 첫 번째 임신과 관련하여 제기한 상고에서 패한 후 두 번째 임신과 관련된 항소를 취하하였다.
3.7 The author also states that she has not submitted the communication to any other international body and thus, the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in article 4, paragraph 2 (a) has been fulfilled. The author points out that, on several occasions, in its comments on the report of the Netherlands to the Committee of Experts, the Netherlands Trade Union Confederation FNV has claimed that section 59 (4) of the WAZ is contrary to article 12 (2) of the European Social Charter. It has reportedly also brought the issue to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in its comments on the report of the Netherlands under ILO Convention 103 on Maternity Protection. Nonetheless, the author maintains that both procedures differ from the individual right of complaint and that neither the European Social Charter nor ILO Convention 103 contain provisions identical to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he also refers to case law on admissibility in individual complaints procedures of other international investigation procedures, including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For these reasons,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is no impediment as regards article 4, paragraph 2 (a) of the Optional Protocol.
3.7 또한 진정인은 타 국제기구에 통보를 제출한 바 없으며, 따라서 제4조 2항 (a)의 심리가능성 요건을 충족하였다고 주장한다. 진정인은 전문가 위원회에 보낸 네덜란드의 보고서에 관해 네덜란드 노동조합총연맹 FNW가 여러 차례에 걸쳐 논평을 통해 WAZ의 제59조 (4)항이 유럽사회헌장(European Social Charter) 제12조 (2)항에 위배된다는 점을 주장하여 왔다고 지적한다. 또한 FNW는 모성보호에 관한 ILO협약 제103호에 관한 네덜란드 보고서에 대한 논평을 통해 국제노동기구(ILO)에 이 문제를 제시한 바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두 가지 절차는 개인진정권과는 차이가 있으며, 사회보장헌장과 ILO협약 제103호에는 여성차별철폐협약의 제11조와 동일한 내용의 조항이 들어 있지 않다고 진정인은 주장한다. 진정인은 또한 시민적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선택의정서를 포함한 기타 국제조사절차의 개인진정절차에 있어 심리가능성을 다룬 판례를 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진정인은 선택의정서의 제4조 2항 (a)와 관련하여 아무런 장애 요소가 없다고 주장한다.
3.8 The author contends that the communication is admissible under the terms of article 4, paragraph 2 (e) of the Optional Protocol. Although the decision not to pay the author benefits under the WAZ were taken before the Netherlands ratified the Optional Protocol, the decision of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was delivered some time after ratificat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 decision of the highest court determines whether the facts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occurred after ratification, as the facts only became final on that date. She maintains that international case law supports this view. Furthermore, she points out that part of her communication directly concerns the decision of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itself. Additionally, the author argues that the so-called “anti-accumulation clause” has continued to be applied (now found in another piece of legislation) after the Optional Protocol’s entry into force for the State party. Lastly, the author argues that her withdrawal of her appeal in connection with her second pregnancy after she lost her final appeal in connection with her first pregnancy in April 2003 also indicates that the facts at issue continue (i.e. the application of the anti-accumulation clause).
3.8 진정인은 본 통보가 선택의정서 제4조 2항 (e)에 의해 심리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진정인에게 WAZ에 의한 급여를 지급하지 않기로 한 결정은 네덜란드가 선택의정서를 비준하기 전에 내려졌지만, 중앙고등법원의 판결은 비준 이후의 시점에 통보되었다. 최고법원의 판결이 내려진 날에 사실이 확정되는 것이므로 최고법원의 판결은 그러한 사실들이 비준 이후에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진정인은 주장한다. 진정인은 국제적 판례가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진정인은 자신이 제출한 통보의 한 부분은 중앙고등법원의 판결 그 자체를 직접 문제 삼고 있다고 지적한다. 덧붙여 진정인은 소위 ‘반 누적 조항’ 이 선택의정서가 네덜란드에서 발효된 이후에도 (현재는 다른 법률에 포함되어) 계속 적용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끝으로 진정인은 2003년 4월 첫 번째 임신과 관련하여 상고에 패한 이후에 두 번째 임신과 관련한 항소를 취하한 것이 이러한 문제점 (즉, ‘반 누적 조항’의 적용)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The State party’s submission on admissibility
심리가능성에 대한 당사국 견해
4.1 By submission of 19 March 2004, the State party argues that the communication is inadmissible ratione temporis pursuant to article 4, paragraph 2 (e). It argues that the subject of the communication is the prohibition against receiving pregnancy and maternity benefits under both the WAZ and the ZW at the same time. This arose in the author’s case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relevant implementing body took the decisions affecting her, namely on 19 February 1999 and 4 June 2002. Both dates were prior to the entry into force of the Protocol for the Netherlands on 22 August 2002.
4.1 2004년 3월 19일자 의견서를 통해, 당사국은 본 통보가 제4조 2항 (e)에 의거한 시간적 관할권의 관점에서 심리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본 통보의 대상이 되는 사안은 임신 및 출산급여를 WAZ와 ZW에 의한 것 두 가지 모두 동시에 수령하는 것을 금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관련 이행기관이 진정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내린 시점, 즉 1999년 2월 19일과 2002년 6월 4일에 발생하였다. 이 두 일자는 네덜란드에서 의정서가 발효된 시점인 2002년 8월 22일보다 모두 앞선 것이다.
4.2 The State party refers to the author’s view that the deciding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he facts that are the subject of the communication occurred before the Protocol entered into force for the Netherlands is the date of the judgment given by the court of last resort, since it is only then that the facts are definitively established.
4.2 당사국은 본 통보의 대상이 되는 사실들이 네덜란드에서 의정서가 발효된 시점보다 앞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결정적 요인은 최고 법원이 내린 판결 일자이며, 그 이유는 그때에야 비로소 그러한 사실들이 확정되기 때문이라는 진정인의 주장을 참조하고 있다.
4.3 The State party is of the opinion that the author based her views on an incorrect interpretation of Report No. 73/01, Case No. 12.350, MZ v Bolivia of the Inter-American Commission on Human Rights. While the petitioner’s complaint in the Bolivian case was declared admissible where it related to a judgment by a Bolivian court that dated from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individual right of complaint in respect of Bolivia, it had nothing to do with that judgment definitively establishing facts that had occurred prior to that date. The case concerned the course of the proceedings and the conduct of the judges involved in the case.
4.3 당사국은 진정인이 미주인권위원회(Inter-American Commission on Human Rights)의 ‘MZ v 볼리비아’ 사건(사건번호 12.350)의 보고서 제73/01호를 잘못 해석하여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 삼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 볼리비아 사건에서, 볼리비아에 개인진정권이 발효된 이후를 시점으로 하는 볼리비아 법원의 판결과 관련하여서는 해당 진정이 심리가능하다는 결정이 내려졌지만, 발효 일자 이전에 발생한 사실들을 확정하는 판결과는 무관하였다. 그 사건은 법적 소송과정과 해당 사건에 연관된 재판관들의 행동과 관련된 것이었다.
The author’s comments on the State party’s observations on admissibility
당사국의 심리가능성 관련 견해에 대한 진정인의 의견
5.1 The author reiterates her arguments as to why her communication should be declared admissible in accordance with article 4, paragraph 2 (e)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5.1 진정인은 자신의 통보가 왜 협약의 선택의정서 제4조 2항 (e)에 의거하여 심리가능하다고 결정되어야 하는지 반복해서 주장하고 있다.
5.2 She explains that her interpretation of article 4, paragraph 2 (e) of the Optional Protocol cannot be directly inferred from the international case to which she referred in her initial submission. She wished merely to refer to judgments in which judicial bodies did not decide restrictively on the question of admissibility. The author, therefore, considers the comparison of the facts of her case to the facts in MZ v. Bolivia (IACHR Report No. 73/01, case No. 12.350 of 10 October 2001) irrelevant.
5.2 진정인은 선택의정서 제4조 2항 (e)에 대한 자신의 해석이 최초 제출문건에서 언급한 국제적 사건으로부터 직접 유추될 수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녀는 단지 사법기구들이 심리가능성 문제에 대해 제한적으로 판결하지 않았던 사례로 들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진정인은 자신의 사건의 사실들과 ‘MZ v 볼리비아’ 사건의 사실(미주인권위원회 보고서 제73/01호, 사건번호 12.350호, 2001년 10월 10일)을 비교하는 것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본다.
State party’s further submission on admissibility and observations on merits
심리가능성에 대한 당사국의 추가 의견 및 본안에 대한 견해
6.1 The State party states that under article 2 of the Optional Protocol, communications may be submitted by or on behalf of individuals claiming to be victims of a violation of any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Convention. It is the State party’s opinion that an individual can only be regarded as a victim under the article at the moment at which there has been some failure to respect his or her rights. In the author’s case, this would be the dates on which she was notified that all or part of the benefits was to be withheld. These decisions were taken before 22 August 2002, the date that the Optional Protocol entered into force for the State party. Ergo, the communication should be declared inadmissible ratione temporis. A different view would misconstrue the substance of the Optional Protocol by recognizing a general rather than an individual right of complaint.
6.1 당사국의 진술에 의하면 선택의정서 제2조에 의해 협약에 명시된 권리의 침해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개인은 직접 또는 대리인에 의해 진정서를 제출할 수 있다. 당사국의 견해로는 개인은 자신의 권리가 존중되지 않은 시점에만 동 조항에 의한 피해자로 간주될 수 있다. 진정인의 경우 이 시점은 급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지급되지 않을 것이라는 통보를 받은 일자에 해당한다. 이 결정은 당사국의 선택의정서 효력개시일인 2002년 8월 22일 이전에 취해졌다. 따라서 본 통보 건은 시간적 관할권에 있어 심리불가능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개인의 진정권 보다는 일반적인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선택의정서의 본질을 잘못 해석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6.2 The State party recalls that lodging an application for review in social security cases does not suspend legal proceedings in the Netherlands. Only the final judgment of a court can change (with retroactive effect) the earlier decisions of the bodies that implement social security legislation.
6.2 네덜란드에서는 사회보장사건에 대해 심의를 청구하더라도 법적 소송이 중단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당사국은 상기시킨다. 법원의 최종 판결만이 사회보장법률 이행 기관의 이전 결정을 (소급효과와 함께) 변경시킬 수 있다.
6.3 In addressing the author’s contention that section 59 (4) of the WAZ is incompatible with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which, the author believes, imposes an obligation to ensure full compensation of loss of income ensuing from childbirth in all cases and constitutes direct sex discrimination, the State party observes that the word “pay” is used in general to refer to a salary and not to income from business profits. This gives rise to whether the word “pay” in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should include the frequently fluctuating income arising from self-employment. The State party views its composite system of maternity benefits as adequately fulfilling the terms of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6.3 WAZ의 제59조 (4)항이 협약 제11조 2항 (b)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진정인의 주장, 즉 협약의 그 조항은 출산에 따르는 소득 손실을 모든 경우에 완전히 보상되도록 하여야 할 의무를 부과하고 있고 따라서 직접적인 성차별에 해당한다는 진정인의 주장과 관련하여, 당사국은 ‘급료(pay)’는 일반적으로 임금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며 사업수익으로 인한 소득을 가리키지는 않는다고 지적한다. 여기서 협약 제11조 2항 (b)의 ‘급료’가 자영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동이 잦은 소득도 포함하여야 하는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6.4 Initially, maternity leave and maternity benefits were regulated exclusively in the ZW, an insurance scheme that provided compulsory coverage for both male and female employees. Self-employed women or women working in their husbands’ businesses could voluntarily take out insurance under the scheme. In 1992, a study revealed that only a small proportion of these women took out insurance – either because they were unaware of the option or because of the cost involved. It also emerged that the women concerned only took maternity leave if there were medical complications.
6.4 초기에는 남성과 여성 근로자 모두에 대해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보험제도인 ZW가 출산휴가와 출산급여를 전적으로 관장하고 있었다. 자영업 여성 또는 남편의 사업체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이 제도에 의해 보험에 임의 가입할 수 있었다. 1992년의 한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여성 중 소수만이 보험에 가입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보험 가입에 대해 알지 못했거나 비용 부담 때문이었다. 또한 이 집단의 여성들은 의학적 문제가 있을 때에만 출산휴가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6.5 Subsequently, a compulsory insurance scheme was set up under WAZ for self-employed women or women who worked in their husbands’ businesses, which resembled the other scheme – but with contributions based on profits. It was recognized that situations might arise in which women might be simultaneously entitled to benefits from both schemes and, in order to guard against giving more entitlements to persons who were insured in respect of the same risk under two sets of regulations, section 59 (4) was included in the WAZ.
6.5 이후 자영업 여성 또는 남편의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무보험제도가 WAZ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이 제도는 기존의 ZW 제도와 유사하였지만 보험료가 수익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성이 두 보험제도로부터 동시에 급여를 받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고, 두 법규에 의해 동일한 위험과 관련하여 보험에 가입된 사람들에게 더 많은 급여가 지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WAZ에 제59조 (4)항이 신설되었다.
6.6 To ensure that those who were insured under both schemes would not be disadvantaged, the principle of equivalence was applied in relation to contributions. In order to determine contributions, the income from salaried employment was deducted from other income in certain circumstances. This meant that the higher the income from salaried employment the lower the contribution would be to the WAZ. Benefits gran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mployees’ insurance were deducted from the other benefits.
6.6 두 보험제도에 가입되어 있는 이들에게 불이익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험료와 관련하여 등가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보험료를 책정하기 위해 임금직 고용으로 인한 수익은 다른 상황에서의 기타 소득으로부터 공제되었다. 즉, 임금직 고용으로 인한 소득이 클수록 WAZ에 의한 보험료는 적어짐을 의미하였다. 임금근로자를 위한 보험제도의 틀 안에서 지급된 급여는 기타 급여에서 공제되었다
6.7 The State party shares the views expressed by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as to whether the so-called “anti- accumulation clause” constitutes sex discrimination. It maintains that entitlement to maternity benefits under section 22 of WAZ, is an advantage exclusively for women. Furthermore, within the WAZ system as a whole, the basic principle of anti-accumulation of benefit in respect of the same risk also applies in the event of concurrence between a WAZ benefit and some form of benefit other than a maternity benefit – without any distinction according to sex.
6.7 당사국은 소위 ‘반 누적 조항’이 성차별에 해당하는가에 대해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과 같은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당사국은 WAZ의 제22조에 의한 출산급여 수급권은 전적으로 여성들만을 위한 혜택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WAZ 제도 전체적으로, 동일한 위험에 관한 급여의 반 누적이라는 기본적 원칙은, WAZ 급여와 출산급여 외의 급여 형태가 동시 발생하는 경우에도 성별의 구분 없이 적용된다.
6.8 In responding to the author’s contention that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was wrong to conclude that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was not directly applicable, the State party states that the crucial point is whether further legislation has to be enacted to implement rights protected by the provision or whether without the enactment of further legislation citizens can derive entitlements which they can pursue before a national court, contrary to national law, if necessary. National constitutions determine the manner in which provisions of international law are incorporated into national systems of law. The State party, therefore, is of the opinion that the Committee cannot be asked to give its opinion on the matter. The State party considers it self-evident that statutory regulations that are incompatible with international law must be amended; in this type of situation the question is not so much whether but how these obligations must be fulfilled.
6.8 협약의 제11조를 직접 적용할 수는 없다는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의 결론이 잘못이라는 진정인의 주장에 대해, 정부는 동 조항에 의해 보호되는 권리를 이행하기 위해 추가 법규가 제정되어야 하는지, 또는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경우 국내법과 다르더라도 추가 법규의 제정 없이 국내 법정에서 추구할 수 있는 혜택을 확보해 낼 수 있는지가 요점이라고 한다. 국내 헌법은 국제법 조항들이 국내법규에 편입되는 방식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안에 대해 위원회의 의견을 요청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당사국의 견해다. 당사국은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는 법규가 개정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고 본다. 즉,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문제는 이러한 의무가 충족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방법에 있다.
6.9 In the State party the courts decide on the basis of the nature, substance and tenor of a particular provision of international law, whether it is directly applicable. For a provision to be invoked directly by private individuals, it must be formulated so precisely that rights necessarily ensue from it unambiguously and without the need for any further action to be taken by the national authorities.
6.9 당사국에서는 국제법의 특정 조항의 성격, 본질, 취지 및 직접적 적용가능 여부를 법원이 판결한다. 어떠한 조항이 사적인 개인에 의해 직접 발동되기 위해서는 그 조항이 매우 정교하게 작성되어서, 아주 명백하게 그리고 국내 당국이 추가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이 권리가 발생될 수 있어야 한다.
6.10 The State party would have it that the only possible conclusion is that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imposes on the legislature and Governments of States parties an obligation to pursue, rather than to achieve, a certain goal (inspanningsverplichting), with States parties being allowed certain discretionary powers. In the Netherlands, these powers are exercised by the legislature. The State party therefore concurs with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in its view that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is not directly applicable.
6.10 당사국으로서는 협약 제11조 2항 (b)가 어떤 목적(inspanningsverplichting)을―달성한다기 보다는―추구해야 할 의무를 당사국의 입법부와 행정부에 부여하며, 당사국에게는 일정한 재량권이 허용된다고 밖에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따라서 당사국은 협약 제11조 2항 (b)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의 주장에 동의한다.
6.11 The State party requests the Committee to declare the communication inadmissible, or alternatively, should it be deemed admissible, to declare it ill-founded.
6.11 당사국은 위원회가 본 통보를 심리불가능하다고 공표하거나, 아니면 심리가능하다고 간주되더라도 그 근거가 박약하다고 공표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The author’s comments on the State party’s observations on admissibility and merits
심리가능성과 본안 관련 당사국의 주장에 대한 진정인의 의견
7.1 As to admissibility ratione temporis, the author believes that article 4, paragraph 2 (e) of the Optional Protocol must be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requirements of the article. Paragraph 1 provides that local remedies must be exhausted before a communication can be submitted. Viewed together with article 4, paragraph 2 (e), this means that “facts” must be understood to mean the date of the court decision of the highest instance (i.e. 25 April 2003). The correctness of the facts cannot be assumed until such a final decision is reached.
7.1 시간적 관할권 차원에서의 심리가능성에 관하여, 진정인은 선택의정서 제4조 2항 (e)를 동 조항의 기타 요건들과 연결지어 이해하여야 한다고 본다. 1항에서는 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하기 전에 국내 구제조치들을 모두 거쳐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를 제4조 2항 (e)와 연결지어 이해한다면, 이 조항에서 ‘사실’이란 최고 권위의 법원 판결일자(즉 2003년 4월 25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뜻한다. 사실의 진위 여부는 최종 판결이 내려지기 전까지는 유보된다.
7.2 Furthermore, the complaint concerns the period of the second maternity leave from 8 May to 28 August 2002, during which the author received benefits based on the decision of 4 June 2002 decision - that is to say that the “facts” (the period for which a benefit is received) continued after the entry into force of the Optional Protocol for the State party.
7.2 뿐만 아니라 이 진정은 2002년 5월 8일부터 8월 28일까지의 두 번째 출산휴가 기간에 대한 것으로, 이 기간에 진정인은 2002년 6월 4일 결정에 근거하여 급여를 지급받았다. 다시 말해, ‘사실’ (급여가 지급된 기간)은 네덜란드에 선택의정서가 발효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7.3 The author also points out that the State party does not challenge admissibility on grounds of non-exhaustion of remedies in respect of benefits covering the second maternity leave.
7.3 진정인은 또한 당사국이 두 번째 출산휴가에 대한 급여와 관련하여 구제조치를 모두 완료하지 않았다는 것을 이유로 심리가능성에 반대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7.4 The author further states that “facts”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the facts to which the entitlement applies in accordance with the WAZ, including section 59 (4) and the Work and Care Act after 1 December 2001. She considers the facts to continue because the entitlement continues to exist and maintains that the right to complain is not limited to individual occurrences but generally concerns the right of victi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7.4 덧붙여 진정인은 ‘사실’이란, 제59조 (4)항과 2001년 12월 1일 이후의 근로및보호법(Work and Care Act)을 포함하여, WAZ에 의해 혜택이 적용되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진정인은 그 혜택이 지속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실도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진정제기권은 각각의 발생한 건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여성차별의 피해자로서의 권리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7.5 As to the issue of the definition of “pay” in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the author maintains her position that all women who perform paid work should be covered – especially professional women or women in business. She disagrees with the argument that women who are insured under two insurance schemes would be unjustifiably accorded favoured treatment if they were to receive more benefits. Furthermore, referring to the State party’s comments on contributions, the author sees no connection between the issue of entitlements to benefits and the payment of contributions – because entitlements exist irrespective of the contributions paid.
7.5 협약 제11조 2항 (b)의 ‘급료’의 정의 문제와 관련하여, 진정인은 임금 근로를 수행하는 모든 여성들, 특히 전문직 여성 또는 사업 경영을 하는 여성들에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두 가지의 보험제도에 가입되어 있는 여성들에게 더 많은 급여가 지급된다면 이는 부당하게 우대를 받는 것이라는 주장에 진정인은 반대한다. 또한 보험료에 대한 당사국의 논평에 대해서는 급여 수급권은 지급된 보험료와 무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진정인이 보기에는 급여 수급권 문제와 보험료 납부 사이에는 어떠한 연관성도 찾을 수 없다.
7.6 As to whether section 59 (4) of the WAZ is discriminatory, the author contends that only women are affected negatively by a loss of income that can never be experienced by men. That loss of income – an effect of the Act – constitutes discrimination.
7.6 WAZ 59조 (4)항의 차별성 여부에 관해서는 진정인은 여성들만이 남성들은 절대 경험하지 못할 소득 손실로 인해 불이익을 보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소득 손실은 동 법에 의한 결과로서, 차별에 해당한다.
7.7 The author clarifies that she has not requested the Committee to decide whether or not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has direct effect. The author has only indicated that as a result of the decision of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she has been deprived of the right to have national legislation tested against th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7.7 진정인은 협약 제11조가 직접적 효력을 지니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 줄 것을 위원회에 요청한 바가 없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의 결정으로 인해, 국내 법규가 협약의 규정에 비추어 맞는지를 평가해 볼 수 있는 자신의 권리가 박탈되었다는 점을 지적했을 뿐이라고 한다.
Supplementary observations of the State party
당사국의 보충 진술
8.1 The State party refers to the author’s claim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object to the statement that is not necessary for the admissibility of the complaint as regards the second period that the complainant should have exhausted the entire appeal proceedings once more”. The State party points out that this claim was not made in the author’s initial submission to the Committee. The only reference therein to the second period of pregnancy and maternity leave in 2002 was made to support the claim that the alleged violation continued after the Optional Protocol entered into force in the Netherlands. It should not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 State party did not explicitly addres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uthor had exhausted domestic remedies regarding the decision on the benefits payable to her for the period of her maternity leave in 2002 that the State party believes that this condition for admissibility has been met regarding that period. Regarding article 4, paragraph 1 of the Optional Protocol, the State party believes that the Committee cannot take the communication into consideration, inasmuch as it must be assumed to apply to the benefit for the period of leave in 2002, on account of non-exhaustion of domestic remedies.
8.1 당사국은 “두 번째 기간에 관한 진정이 심리가능하기 위해서는 진정인이 전체 항소 절차를 한 번 더 완료하는 것이 불필요했다는 진술에 정부가 반대하지 않는다”는 진정인의 주장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진정인이 위원회에 제출한 최초 의견서에는 없었다고 당사국은 지적한다. 최초 의견서에 두 번째의 임신 및 2002년의 출산휴가가 언급된 유일한 이유는 네덜란드에서 선택의정서가 발효된 이후로도 그러한 위반이 지속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였다. 2002년 출산휴가 기간 동안 진정인에게 지급될 급여에 관한 결정과 관련해서 진정인이 모든 국내 구제방안을 완료하였는지 여부의 문제를 당사국이 분명하게 다루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 해도, 당사국이 그러한 심리가능성 요건이 해당 기간에 대해 충족되었다고 믿는 것으로 추론해서는 안 된다. 선택의정서 제4조 1항과 관련하여 당사국은 위원회가 본 통보를 고려해서는 안 된다고 믿고 있으며, 이는 위 조항이 2002년 휴가 기간에 대한 급여에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국내 구제제도를 완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8.2 The State party reiterates that it considers the communication in any event to be inadmissible because the relevant facts took place before the date that the Optional Protocol entered into force for the Netherlands. It also wishes to emphasize that the Optional Protocol created an individual right of complaint that follows from article 2.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person is a victim of a violation by a Stat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 act, legal or otherwise, by the State that can be defined as a violation, for instance a decision by the State on the application of a particular rule of law. In the State party’s view, the right of complaint does not stretch to facts that a complainant considers to be discriminatory in general unless the complainant has been affected personally.
8.2 당사국은 관련 사실이 선택의정서가 네덜란드에서 발효되기 이전에 발생했기 때문에 본 통보는 어떠한 경우에도 심리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반복해서 언급하고 있다. 또한 당사국은 선택의정서가 제2조에서 개인진정권을 부여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어떤 사람이 국가의 위반으로 인한 피해자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특정 법규의 적용에 대한 당사국의 결정 같이 당사국의 어떤 행위가, 법적인 행위든 또는 다른 것이든, 명확히 위반으로 정의될 수 있어야 한다. 당사국의 견해로는 진정인이 개인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한 진정인이 일반적으로 차별적이라고 간주하는 사실들에까지 진정권이 확대 적용되지는 않는다.
8.3 Concerning the merits of the author’s claims, the State party wishes to clarify that it raised previously– but did not answer - the obvious question relating to the meaning of the word “pay” in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The State party disagrees with the author’s interpretation that the provision prescribes 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 resulting from pregnancy and childbirth. It views the provision as a general norm that imposes on States an obligation to make arrangements that enable women to provide for themselves in the period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o resume work after childbirth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their career. The way in which the obligation is fulfilled is left to States to determine. States may opt between arrangements based on continued payment of salary and arrangements creating a comparable social provision. That this must involve 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 cannot automatically be inferred.
8.3 진정인 주장의 타당성 여부와 관련하여, 당사국은 이전에 의문을 제기하였던―그러나 답변은 하지 않았던―협약 제11조 2항 (b)의 ‘급료’의 의미에 대한 명백한 질문을 분명히 밝히고자 한다. 당사국은 동 조항이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소득 손실에 대한 완전한 보상을 규정하고 있다는 진정인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동 조항은 여성이 임신과 출산 기간 동안 자신을 부양하고 출산 후에도 직업 경력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없이 업무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하여야 할 의무를 국가에 부과하는 일반적 규범으로 본다.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는 방식은 각 국가가 결정하는 것이다. 국가는 계속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와 이에 견줄만한 사회복지를 제공하는 제도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소득 손실에 대해 완전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자동적으로 유추할 수는 없다.
8.4 The State party makes a comparison between paragraph 2 (b) of article 11 of the Convention and EC directive 92/85 of 19 October 1992 concerning the introduction of measures to encourage improvements in the safety and health at work of pregnant workers and workers who have recently given birth or are breastfeeding, which provides for a payment to, and/or entitlement to an adequate allowance. While the State party finds it implausible that the European legislature envisaged a wholly different norm than the Convention’s norm, it describes the EC directive as being more clearly formulated in that the term “adequate allowance” is defined.
8.4 당사국은 협약 제11조 2항 (b)를 1992년 10월 19일의 유럽의회 훈령 제92/85호와 비교하고 있는데, 동 훈령은 임신한 근로자와 최근 출산하였거나 현재 수유중인 여성 근로자들의 직장 내 안전 및 건강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으로서, 적정 수당의 지급 및 수급을 명시하고 있다. 당사국은 유럽 의회가 협약의 규범과 전적으로 다른 규범을 구상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보는 한편, 유럽의회의 훈령이 ‘적정 수당’이라는 용어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 명료한 규정이라고 보고 있다.
8.5 The State party elaborates further about the reasoning behind section 59 (4) – the so-called “anti-accumulation clause” – of WAZ. Under this Act a self-employed woman would be entitled to a benefit of up to 100 per cent of the statutory minimum wage. Those who worked as a salaried employee as well would be entitled to a benefit under both this Act and the ZW. If the latter exceeded 100 per cent of the statutory minimum wage the WAZ benefit would not be paid and if the ZW entitlement was lower than 100 per cent of the statutory minimum wage, the WAZ benefit could be paid as long as the two together would not exceed 100 per cent of the minimum wage. At the same time, the higher a woman’s income would be from salaried employment –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her WAZ benefit would not be paid and the lower her contribution payable to the WAZ scheme would be.
8.5 당사국은 WAZ 제59조 (4)항―소위 ‘반 누적 조항’―의 논거를 부연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해 자영업 여성은 법정 최저임금의 100%까지에 해당하는 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다. 임금직 근로자로도 일하는 경우라면 동 법과 ZW에 의한 급여를 함께 받을 수 있다. ZW에 의한 급여가 법정 최저임금의 100%를 초과하는 경우, WAZ 급여는 지급되지 않으며, ZW 급여가 법정 최저임금의100% 미만인 경우에는 두 가지 급여를 합쳐서 법정 최저임금의 10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WAZ 급여를 지급한다. 동시에 여성이 임금직 고용으로부터 얻는 소득이 높을수록 WAZ 급여를 지급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WAZ에 납부해야 할 보험료도 적어진다.
8.6 As for the author’s contention that the so-called “anti-accumulation clause” constitutes direct discrimination, the State party reiterates that the entitlement is exclusively given to women and is specifically designed to give women an advantage in relation to men. It is, therefore, impossible to see how it can lead to more unfavourable treatment of women in relation to men – considering that men cannot make any use whatsoever of the clause.
8.6 소위 ‘반 누적 조항’이 직접적 차별에 해당한다는 진정인의 주장에 대해, 당사국은 해당 급여가 전적으로 여성에게만 주어지는 것으로 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혜택이 주어지도록 마련된 제도임을 재차 강조한다. 남성은 이 조항을 전혀 활용할 수 없음을 감안할 때, 이 조항이 어떻게 남성에 비해 여성이 불리한 대우를 받도록 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Issues and proceedings before the Committee
위원회의 안건 및 절차
Consideration of admissibility
심리가능성 심의
9.1 In accordance with rule 64 of its rules of procedure, the Committee shall decide whether the communication is admissible or inadmissible under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Pursuant to rule 72, paragraph 4, of its rules of procedure, it shall do so before considering the merits of the communication.
9.1 위원회의 절차규칙 제64조에 의거하여, 위원회는 본 통보가 협약 선택의정서 상 심리가능한지 또는 심리불가능한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는 절차규칙 제72조 4항에 따라 본 통보의 본안을 심의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9.2 The Committee has ascertained that the matter has not already been or is being examined under another procedure of international investigation or settlement.
9.2 위원회는 본 사안이 타 국제 조사 및 해결 절차를 이미 거쳤거나 현재 진행 중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9.3 With respect to article 4, paragraph 1 of the Optional Protocol,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State party has not disputed that the author has exhausted all available domestic remedies concerning benefits for her first maternity leave in 1999. The issue is not as straightforward regarding the author’s 2002 maternity leave benefits. The Committee is informed by the author in her initial submission, that she withdrew her appeal in connection with her second maternity leave after she lost her final appeal in connection with her first maternity leave. She did not explain her reasons. In its latest observations, the State party objected to the admissibility of the author’s claim relating to the latter maternity leave on grounds of her failure to exhaust all available domestic remedies without explaining why. The Committee notes that in earlier observations in which the State party challenged the admissibility ratione temporis (see below) of the communication and in doing so referred to the decisions taken denying benefits under the WAZ system vis-à-vis both periods of maternity leave, it did not mention the issue of exhaustion of remedies. In the absence of particulars from either the State party or the author on which to assess whether the author should have continued her appeal or whether these proceedings were unlikely to bring relief,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on the face of it and in light of the unambiguous wording of the decision rendered on 25 April 2003 by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the highest administrative court in social security cases, proceedings regarding the author’s 2002 maternity leave benefits were unlikely to bring relief. The Committee therefore holds that it is not precluded by article 4, paragraph 1 of the Optional Protocol from considering the communication as regards claims relating to both periods of the author’s maternity leave.
9.3 선택의정서 제4조 1항과 관련하여, 위원회는 1999년 첫 번째 출산 휴가에 대한 급여와 관련하여 진정인이 가능한 모든 국내 구제제도를 거쳤다는 점에는 당사국이 반박하지 않았음에 주목한다. 진정인의 2002년 출산휴가급여에 관하여는 상황이 그 만큼 단순하지 않다. 진정인이 최초 진술서를 통해 위원회에 제공한 정보에 의하면, 진정인은 첫 번째 출산휴가와 관련하여 상고심에서 패소한 후에 두 번째 출산휴가와 관련된 항소를 취하하였다. 그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가장 최근에 제시된 당사국의 의견에 의하면, 진정인이 이유를 설명하지 않은 채 가능한 모든 국내 구제제도를 완료하지 못했으므로 두 번째 출산휴가와 관련한 진정인의 주장이 심리가능하다는 것에 당사국은 반대하였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이전에 제시한 의견에서는 본 통보의 시간적 관할 심리가능성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두 차례의 출산휴가에 대해 WAZ 제도에 의한 급여 지급을 거부하는 결정을 언급하였지만, 모든 구제제도의 완료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음에 주목한다. 진정인이 항소 절차를 중단하지 말았어야 했는지, 아니면 그러한 항소 절차로 인한 구제 가능성이 매우 낮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세부적 사항들을 당사국이나 진정인이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원회가 보기에는 표면적으로, 그리고 사회보장사건에 있어 최고 행정법원인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의 2003년 4월 25일자 판결문의 명백한 내용을 감안할 때, 진정인의 2002년 출산휴가급여에 관한 소송으로 인한 구제 가능성은 매우 낮다. 따라서 위원회는 선택의정서 제4조 1항의 규정상, 진정인의 두 차례 출산휴가와 관련한 요구에 관한 통보를 위원회가 심의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9.4 In accordance with article 4, paragraph 2 (e), the Committee shall declare a communication inadmissible where the facts that are the subject of the communication occurred prior to the entry into force of the present Protocol for the State party concerned unless those facts continued after that date.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State party disputed the author’s contention that article 4, paragraph 2 (e) posed no impediment to admissibility of the communication. The State party put forward that the pertinent dates for the Committee to consider in this regard were 19 February 1999 and 4 June 2002 - both dates being prior to the entry into force of the Protocol for the Netherlands. These dates were the dates on which decisions were taken to deny the author – the first time to fully deny her benefits under the WAZ in relation to her first maternity leave and the second time to partially deny her benefits under the WAZ in relation to her second maternity leave. The author, for her part, in her initial submission argued that 25 April 2003, i.e. after the Optional Protocol came into force for the Netherlands, is the pertinent date in relation to article 4, paragraph 2 of the Optional Protocol because on that date the Central Appeals Tribunal (Centrale Raad van Beroep), the highest administrative court in social security cases, took the final decision vis-à-vis her dispute with the WAZ authorities regarding her first maternity leave. The Committee is of the view that the central question to be answered is “when has the Dutch legislation at issue been applied to the alleged actual detriment of the author (i.e. what the facts of the case are)?
9.4 선택의정서 제4조 2항 (e)에 의하면, 위원회는 통보의 대상인 사실들이 당사국에서 현재의 의정서가 발효된 시점 이전에 발생한 경우, 그러한 사실들이 발효 시점 이후에도 지속된 경우가 아닌 한 해당 통보를 심리불가능하다고 결정하여야 한다. 제4조 2항 (e)가 통보의 심리가능성에 어떠한 장애도 되지 않는다는 진정인의 주장에 대해 당사국이 반박한 것을 위원회는 주목한다. 당사국은 위원회가 이와 관련하여 고려하여야 할 타당한 날짜로 1999년 2월 19일과 2002년 6월 4일을 제시하였는데, 두 날짜 모두 네덜란드에서 의정서가 효력을 지니기 이전에 해당한다. 이 날짜들은 진정인에게 급여 지급 거부 결정이 내려진 날로서, 첫 번째 출산휴가와 관련해서는 진정인에게 WAZ에 의한 급여를 전혀 지급하지 않기로, 두 번째 출산휴가와 관련해서는 진정인에게 WAZ에 의한 급여를 일부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한 날이다. 진정인 쪽에서는 최초 제출한 진술서에서, 선택의정서가 네덜란드에 대해 발효된 이후인 2003년 4월 25일이 선택의정서 제4조 2항과 관련하여 타당한 날짜라고 주장하였는데, 왜냐하면 이 날이 사회보장사건을 다루는 최고 행정법원인 중앙고등법원(Centrale Raad van Beroep)이 진정인의 첫 번째 출산휴가와 관련하여 WAZ 관할기관에 제기한 이의에 대해 최종 판결을 내린 날이기 때문이다. 위원회의 견해로는 답변이 되어져야 하는 주된 질문은 “문제의 네덜란드의 법규가 진정인이 주장하는 실질적 불이익에 대해 언제 적용되었는가(즉 본 건의 사실들은 무엇인가)?”이다.
9.5 The Committee takes into account that the actual leave periods for which the author applied for benefits spanned two 16-week periods, the first was in 1999, which clearly predated the entry into force of the Optional Protocol for the State party. The second 16-week period, according to the author, was from 8 May to 28 August 2002. This period extended beyond the entry into force of the Optional Protocol for the State party on 22 August 2002 and justifies admissibility ratione temporis insofar as the communication relates to the author’s maternity leave in 2002.
9.5 위원회는 진정인이 급여를 청구한 실제 휴가 기간이 16주에 걸쳐 주어졌으며, 첫 번째는 1999년으로, 이는 분명히 당사국의 선택의정서 발효 시점보다 앞서 있었음을 참작한다. 두 번째의 16주간은, 진정인에 따르면, 2002년 5월 8일부터 8월 28일까지였다. 이 기간은 당사국의 선택의정서 발효일인 2002년 8월 22일을 넘어가게 되므로, 진정인의 통보에서 2002년의 출산휴가와 관련된 부분은 시간적 관할 심리가능성을 충족하고 있다.
9.6 The Committee has no reason to find the communication inadmissible on any other grounds and thus finds the communication insofar as it concerns the author’s later maternity leave in 2002 admissible.
9.6 위원회는 통보가 심리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만한 다른 근거를 찾을 수 없으며, 따라서 진정인의 나중의 2002년 출산휴가와 관련하여서는 통보가 심리가능하다고 본다.
Consideration of the merits
본안 판단
10.1 The Committee has considered the present communication in light of all the information made available to it by the author and by the State party, as provided in article 7, paragraph 1, of the Optional Protocol.
10.1 위원회는 본 통보를 고려함에 있어, 선택의정서 제7조 1항에 있는 대로, 진정인과 당사국이 위원회에 제공한 모든 활용 가능한 정보를 검토하였다.
10.2 The question before the Committee i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crete application of section 59 (4) of the WAZ vis-à-vis the author insofar as it concerns the author’s later maternity leave in 2002 constituted a violation of her rights under article 11, paragraph 2(b) of the Convention because it resulted in her receiving less benefits than she would have received had the provision not been in operation and had she been able to claim benefits as an employee and as a co-working spous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10.2 위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진정인의 2002년 출산휴가와 관련하여 진정인에게 WAZ 제59조 (4)항을 실제로 적용한 것이 협약 제11조 2항 (b)에 의한 진정인의 권리를 침해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데, 그 조항이 적용되지 않았더라면, 그래서 진정인이 고용인으로서 그리고 동업 배우자로서 따로따로 급여를 요구할 수 있었더라면 더 많은 급여를 받았을 것인데, 결과적으로 더 적게 받았기 때문이다.
10.3 The aim of article 11, paragraph 2, is to addres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orking in gainful employment outside the home on ground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Committee considers that the author has not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59 (4) of the WAZ was discriminatory towards her as a woman on the grounds laid down in article 11, paragraph 2 of the Convention, namely of marriage or maternity. The Committee is of the view that the grounds for the alleged differential treatment had to do with the fact that she was a salaried employee and worked as a co-working spouse in her husband’s enterprise at the same time. Article 11, paragraph 2 (b), obliges States parties in such cases to introduce maternity leave with pay or comparable social benefits without loss of former employment, seniority or social allowances. The Committee notes that article 11, paragraph 2 (b), does not use the term “full” pay, nor does it use “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 resulting from pregnancy and childbirth.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 leaves to States parties a certain margin of discretion to devise a system of maternity leave benefits to fulfil Convention requirements. The Committee notes that the State party’s legislation provides that self- employed women and co-working spouses as well as salaried women are entitled to paid maternity leave – albeit under different insurance schemes. Entitlements under both schemes may be claimed simultaneously and awarded as long as the two together do not exceed a specified maximum amount. In such cases, contributions to the scheme covering self-employed women and co-working spouses are adjusted with income from their salaried employment. It is within the State party’s margin of discretion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aternity benefits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for all employed women, with separate rules for self- employed women that take into account fluctuating income and related contributions. It is also within the State party’s margin of discretion to apply those rules in combination to women who are partly self-employed and partly salaried workers. In light of the foregoing, the Committee concludes that the application of section 59 (4) of the WAZ did not result in any discriminatory treatment of the author and does not constitute a violation of her rights under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10.3 협약 제11조 2항의 목적은 특히 가정 밖에서 수입 있는 일자리를 가지고 있는 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을 이유로 겪고 있는 차별을 해소하는 데에 있다. 위원회는 진정인이 WAZ 제59조 (4)항이 적용됨으로써 협약 제11조 2항에 명시된 이유, 즉 결혼 또는 출산을 이유로 자신이 여성으로서 차별을 받았음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한다. 위원회는 진정인이 주장하는 차등적 대우의 이유가 진정인이 임금직 근로자이면서 동시에 남편의 사업체에서 함께 일하는 배우자였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협약 제11조 2항 (b)는 그러한 경우 이전 일자리나 근속연수 또는 사회수당의 손실이 없이 유급출산휴가 또는 유사한 사회급여제도를 도입하도록 국가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위원회는 제11조 2항 (b)에 급료 ‘전액(full)’이란 용어가 쓰이지 않고 있으며, 임신 및 출산으로 인한 ‘소득 손실에 대한 완전 보상(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이란 용어도 쓰이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다시 말해 협약은 당사국이 협약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출산휴가급여 제도를 마련하도록 일정 정도의 재량권을 남겨두고 있다. 위원회는 당사국의 법제가 고용직 여성뿐만 아니라 자영업 여성과 배우자의 사업체에서 함께 일하는 여성들에게도, 서로 다른 보험제도에 의해서이기는 하지만, 유급출산휴가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두 보험제도에 의한 혜택은 동시에 청구할 수 있으며, 두 급여를 합쳐 정해진 상한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급된다. 위와 같은 경우, 자영업 여성과 배우자 사업체에서 일하는 여성들에게 적용되는 제도의 보험료는 임금직 고용으로 인한 소득을 감안하여 조정된다. 협약의 제11조 2항 (b)가 의미하는 범위 내에서 모든 근로 여성들을 위한 적절한 출산급여를 결정하고 자영업 여성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소득과 보험료의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별도의 규정을 정하는 것은 당사국의 재량권에 해당한다. 또한 자영업자이기도 하면서 임금 근로자인 여성들에게 그러한 규정을 절충하여 적용하는 것도 당사국의 재량권에 해당한다. 앞서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위원회는 WAZ의 제59조 (4)항의 적용이 진정인에게 차별적 대우라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으며 협약 제11조 2항 (b)에 의한 진정인의 권리를 침해하지도 않는다고 결론을 내리는 바이다.
10.4 Acting under article 7, paragraph 3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of the view that the facts before it do not reveal a violation of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10.3 여성차별철폐협약 선택의정서 제7조 3항에 의거하여, 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위원회에 제시된 사실들이 협약 제11조 2항 (b)의 위반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Individual opinion of Committee members, Ms. Naela Mohamed Gabr, Ms. Hanna Beate Schöpp-Schilling and Ms. Heisoo Shin (dissenting)
위원회 위원들인 Ms. Naela Mohamed Gabr, Ms. Hanna Beate Schopp-Schilling, Ms. Heisoo Shin의 개인 의견 (반대 의견)
Consideration of the merits
본안 판단
10.1 The Committee has considered the present communication in light of all of the information made available to it by the author and by the State party, as provided in article 7, paragraph 1, of the Optional Protocol.
10.1 위원회는 본 통보를 고려함에 있어, 선택의정서 제7조 1항에 있는 대로, 진정인과 당사국이 위원회에 제공한 모든 활용 가능한 정보를 검토하였다.
10.2 The question before the Committee i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crete application of section 59 (4) of the WAZ vis-à-vis the author insofar as it concerns the author’s later maternity leave in 2002 constituted a violation of her rights under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because it resulted in her receiving less benefits than she would have received had the provisions not been in operation and had she been able to claim benefits as an employee and as a co-working spous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10.2 위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진정인의 2002년 출산휴가와 관련하여 진정인에게 WAZ 제59조 (4)항을 실제로 적용한 것이 협약 제11조 2항 (b)에 의한 진정인의 권리를 침해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인데, 그 조항이 적용되지 않았더라면, 그래서 진정인이 고용인으로서 그리고 동업 배우자로서 따로따로 급여를 요구할 수 있었더라면 더 많은 급여를 받았을 것인데 결과적으로 더 적게 받았기 때문이다.
10.3 The aim of article 11, paragraph 2, in general, and article 11, paragraph 2 (b), in particular, is to address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orking in gainful employment outside the home on ground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rticle 11, paragraph 2 (b), obliges States parties in such cases to introduce maternity leave with pay or with comparable social benefits without loss of former employment, seniority or social allowance. Article 11, paragraph 2 (b), does not use the term “full” pay. A certain margin of discretion is left to States parties to devise a system of maternity leave benefits which fulfils the requirements of the Convention. This interpretation is bolstered by the “travaux préparatoires” of the Convention and by State practice as presented to the Committee in reports submitted to it under article 18 of the Convent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explicit wording of article 11, paragraph 2 (b),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subparagraphs of article 11, paragraph 2, aims primarily at women as salaried employees in the public or private labour market sectors. On the other hand, the provision can also be interpreted to mean that States parties are also obliged to provide for a maternity leave with pay for self-employed women. We have seen that the State party has made some provision for this category of women. The manner in which States parties do so is left to their discretion — subject to their obligations under the Convention to achieve results.
10.3 협약 제11조 2항의 목적은 특히 가정 밖에서 수입 있는 일자리를 가지고 있는 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을 이유로 겪고 있는 차별을 해소하는 데에 있다. 협약 제11조 2항 (b)는 그러한 경우 이전 일자리나 근속연수 또는 사회수당의 손실이 없이 유급출산휴가 또는 유사한 사회급여제도를 도입하도록 국가에게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제11조 2항 (b)에는 급료 ‘전액(full)’이란 용어가 쓰이지 않고 있으며 임신 및 출산으로 인한 ‘소득 손실에 대한 완전 보상(full compensation for loss of income)’이란 용어도 쓰이지 않는다. 협약은 당사국이 협약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출산휴가급여 제도를 마련하도록 일정 정도의 재량권을 남겨두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협약의 ‘준비작업문서(travaux preparatoires)’, 그리고 협약 제18조에 의해 위원회에 제출된 보고서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국가 관행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제11조 2항 (b)의 명시적 표현은, 제11조 2항의 타 규정들과 연관지어 이해한다면, 공공 및 민간 노동시장 부문의 임금직 고용 여성들을 주된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동 조항은 당사국이 자영업 여성들에게도 유급출산휴가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우리는 당사국이 이러한 여성들을 위한 제도를 일부 갖추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사국이 어떤 방식으로 그렇게 할지에 대해서는, 협약에 의한 성과 달성 의무를 충족하는 한, 당사국의 재량에 맡겨두고 있다.
10.4 Acting under article 7, paragraph 3,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e are of the following view: Based on the reasoning set forth above, we conclude that the law of the Netherlands which provides for a financially compensated maternity leave for women who are both salaried women and self-employed, albeit with the restriction of the so- called anti-accumulation clause in article 59WAZ, is compatible with the obligations of the State party under article 11, paragraph 2 (b), of the Convention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reveal a violation of the author’s rights under this article as concerns a direct form of discrimination based on sex.
10.4 여성차별철폐협약 선택의정서 제7조 3항에 의거할 때, 우리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즉 우리는 위에 기술한 논거를 바탕으로, WAZ 제59조에 소위 반 누적 조항이라는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임금직 여성과 자영업 여성 모두에게 금전적 보상과 함께 출산휴가를 부여하는 네덜란드 법이 성별에 의한 직접적 형태의 차별에 관해서는 협약 제11조 상의 진정인의 권리에 대한 침해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협약 제11조 2항 (b)에 규정된 당사국의 의무에 부합한다고 결론을 내리는 바이다.
10.5 At the same time, we are concerned at the fact that the so-called “equivalence” principle does not seem to take into account the potential situation of a women working in a situation of both salaried part-time and self-employment, in which the number of her working hours in both categories of work equal or even may go beyond the hours of a full-time salaried female employee, who, in the Netherlands, to our knowledge, receives a maternity benefit which equals full pa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1996 Equal Treatment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WOA) requires full-time and part-time employees to be treated equally. Therefore, we are of the view that the so-called anti- accumulation clause in article 59WAZ may constitute a form of indirect discrimination based on sex. This view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n employment situation in which salaried part-time work and self- employment is combined, as described by the complainant, is one which mainly women experience in the Netherlands, since, in general, it is mainly women who work part-time as salaried workers in addition to working as family helpers in their husbands’ enterprises. However, no information was requested by the Committee or given by the State party under this communication procedure to substantiate this assumption with facts, although in the State party’s fourth report under the CEDAW Convention, which has been in general distribution since 10 February 2005 and which is to be discussed at the thirty-seventh session of the Committee, in 2007, the State party admits that part-time work is particularly common among women (see CEDAW/C/NLD/4). In addition, in the same report the State party refers to the fact that in 2001, under a new Invalidity Insurance Act (WAO) for self-employed persons, 55 per cent of the applicants were women.
10.5 동시에 우리는 소위 ‘등가(equivalence)’ 원칙이 파트타임 임금직과 자영업에 동시에 종사하는 여성의 잠정적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우려를 표한다. 이러한 여성들의 경우, 두 근로 유형에서의 근로시간을 합치면 전일 임금직 여성 근로자의 근로시간수와 동일하거나 심지어 초과하기도 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는 네덜란드에서 여성 풀타임 임금근로자는 일정 기간에 대해 임금 전액에 해당하는 출산급여를 받고 있다. 이에 덧붙여 ‘1996년 (풀타임 및 파트타임 근로자) 동등대우법(WOA)’은 풀타임과 파트타임 근로자가 동등한 대우를 받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WAZ 제59조의 반 누적 조항이 성별에 근거한 간접적 차별에 해당할 수도 있다는 견해이다. 이러한 견해는 진정인이 서술한 바와 같은 파트타임 임금직과 자영업이 병행되는 고용 상황이 네덜란드에서 주로 여성이 경험하는 것이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배우자의 사업체에서 가족 봉사자로 일하면서 동시에 임금직에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것은 주로 여성이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본 통보 절차에 있어, 이러한 가정에 대해 사실들로 뒷받침하기 위해 위원회가 정보 제공을 요구하지도 않았고 당사국도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단지 2005년 2월 10일 이후 일반 배포되었으며 2007년 위원회 제37차 회기에서 논의될 예정인 당사국의 여성차별철폐협약 4차 보고서에서 당사국은 파트타임 직이 특히 여성들에게서 보편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CEDAW/C/NLD/4 참조). 또한 동 보고서에서 당사국은 자영업자를 위해 신설된 ‘근로불능보험법(Invalidity Insurance Act (WAO))’에 따른 2001년 보험 청구인 중 55%가 여성이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10.6 Acting under article 7, paragraph 3,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e, therefore, mad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to the State party:
10.6 여성차별철폐협약 선택의정서 제7조 3항에 의거하여, 우리는 당사국에 다음과 같은 권고안을 마련하였다.
(a) Collect data on the number of women working in the combination of part-time salaried employment and as self-employed persons as compared to men in order to assess the percentage of women versus men in this situation; and, if this data shows a preponderance of women in such situations of employment;
(a) 파트타임 임금고용직과 자영업을 병행하고 있는 여성의 숫자를 남성과 비교하여 수집해서 이러한 고용 상황에 있는 남성과 여성의 백분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자료 수집 결과 그러한 고용 상황에 있는 여성이 수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b) Review the “anti-accumulation clause” (section 59 (4) of the WAZ), in particular its principle of “equivalence”, which does not seem to take into account the overall amount of hours of work in such combined employment situations and constitutes a possible form of indirect discrimination for women in such employment situations when pregnant and giving birth;
(b) ‘반 누적 조항’(WAZ의 제59조 (4)항), 특히 그 조항의 ‘등가’ 원칙에 대해 검토하여, 병행되는 고용 상황의 전체 근로시간수를 감안하지 않음으로써 그러한 고용 상황에 있는 여성들이 임신 또는 출산 시 간접차별을 당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c) Accordingly amend the WAZ; or,
(c) 검토 결과에 따라 WAZ를 개정하거나,
(d) Consider in the design of any new insurance scheme for self- employed persons, which includes maternity benefits and which covers those who combine self-employment with part-time salaried employment, as referred to in the State party’s fourth report (CEDAW/C/NLD/4, p. 61), that the integration of provisions ensures full harmony of the law of the Netherlands with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the area of maternity leave benefits for all women working in various forms of employment in the Netherlands.
(d) 자영업자들을 위한 새로운 보험제도를 설계하여, 당사국의 4차 보고서(CEDAW/C/NLD/4, p. 61)에 언급된 바와 같이 출산급여를 포함하면서 자영업과 파트타임 임금고용직을 병행하는 근로자들에게도 적용되게 하여, 통합된 조항들이 다양한 형태로 고용되어 일하는 네덜란드의 근로여성들의 출산휴가급여와 관련하여 네덜란드의 국내법규와 여성차별철폐협약이 완전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