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피구금자 처우에 관한 최저기준규칙(넬슨 만델라 규칙)
United Nations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the Nelson Mandela Rules)
채택일 2015. 12. 17.
United Nations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the Nelson Mandela Rules)
유엔 피구금자 처우에 관한 최저기준규칙(넬슨 만델라 규칙)
Preliminary observation 1
서칙 제1조
The following rules are not intended to describe in detail a model system of penal institutions. They seek only, on the basis of the general consensus of contemporary thought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most adequate systems of today, to set out what is generally accepted as being good principles and practice in the treatment of prisoners and prison management.
본 규칙이 의도하는 교정시설의 모범적 체계를 세세한 점까지 기술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오직 이 시대의 사조로써 합의된 바와 현재로써 가장 적합한 체계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피구금자에 대한 처우와 교정시설의 운영에서 올바른 원칙과 관행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을 명백히 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다.
Preliminary observation 2
서칙 제2조
1. In view of the great variety of legal, social, economic and geographical conditions in the world, it is evident that not all of the rules are capable of application in all places and at all times. They should, however, serve to stimulate a constant endeavour to overcome practical difficulties in the way of their application, in the knowledge that they represent, as a whole, the minimum conditions which are accepted as suitable by the United Nations.
1. 세계의 법적ㆍ사회적ㆍ경제적 및 지리적 조건들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본 규칙의 전부가 모든 곳에서 언제나 적용될 수 없음은 명백하다. 그러나 본 규칙은 그것이 전체로써 유엔에 의하여 적정한 것으로 인정되는 최소한의 조건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게 함으로써 그 적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실상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촉진할 것이다.
2. On the other hand, the rules cover a field in which thought is constantly developing. They are not intended to preclude experiment and practices, provided these are in harmony with the principles and seek to further the purposes which derive from the text of the rules as a whole. It will always be justifiable for the central prison administration to authorize departures from the rules in this spirit.
2. 한편, 본 규칙이 다루는 영역에서 시대의 흐름을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본 규칙은 전체로서 그 본문에서 파생하는 원칙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그 목적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인 한 실험과 실습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중앙교정당국이 이 정신에 따라 본 규칙을 변경하는 것은 항상 정당화된다.
Preliminary observation 3
서칙 제3조
1. Part I of the rules covers the general management of prisons, and is applicable to all categories of prisoners, criminal or civil, untried or convicted, including prisoners subject to “security measures” or corrective measures ordered by the judge.
1. 본 규칙 제1부는 교도소 운영 일반을 다루며 법관이 명한 "보안처분"(security measures) 또는 교정처분(corrective measures)하에 있는 피구금자를 포함하여 형사범이나 민사범, 미결피구금자나 수형자 등 모든 범주의 피구금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
2. Part II contains rules applicable only to the special categories dealt with in each section. Nevertheless, the rules under section A, applicable to prisoners under sentence, shall be equally applicable to categories of prisoners dealt with in sections B, C and D, provided they do not conflict with the rules governing those categories and are for their benefit.
2. 제2부는 각 절에서 다루는 특정 범위에 대하여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수형자에 대하여 적용되는 A절의 규칙은 B, C, D절에서 다루어지는 피구금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A절의 규칙이 B, C, D절의 규칙과 모순되지 아니하고 또한 그의 이익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한다.
Preliminary observation 4
서칙 제4조
1. The rules do not seek to regulate the management of institutions set aside for young persons such as juvenile detention facilities or correctional schools, but in general part I would be equally applicable in such institutions.
1. 본 규칙은 소년원과 같은 비행청소년 수용시설이나 교정학교 등 소년들을 위하여 따로 마련된 시설 운영을 규율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1부는 이러한 시설에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2. The category of young prisoners should include at least all young persons who come within the jurisdiction of juvenile courts. As a rule, such young persons should not be sentenced to imprisonment.
2. 소년피구금자의 범주에는 적어도 소년법원의 관할에 속하는 모든 소년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원칙적으로 이들 소년에게 구금형이 선고되어서는 안된다.
I. Rules of general application
제1부 통칙
Basic principles
기본 원칙
Rule 1
규칙 제1조
All prisoners shall be treated with the respect due to their inherent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No prisoner shall be subjected to, and all prisoners shall be protected from,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for which no circumstances whatsoever may be invoked as a justification. The safety and security of prisoners, staff, service providers and visitors shall be ensured at all times.
모든 피구금자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에 입각하여 존중을 받아야 한다. 어떠한 피구금자도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을 받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하고 어떠한 경우도 이를 정당화할 수 없다. 피구금자와 직원, 용역 제공자, 방문자들의 안전과 보안은 항시 유지되어야 한다.
Rule 2
규칙 제2조
1. The present rules shall be applied impartially. There shall be no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race, colour, sex, language, religion, political or other opinion, national or social origin, property, birth or any other status. The religious beliefs and moral precepts of prisoners shall be respected.
1. 이 규칙은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피구금자의 인종, 피부색, 성별, 언어, 종교, 정치적 또는 그 밖의 견해, 국적, 사회적 신분, 재산, 출생 또는 그 밖의 지위에 의하여 차별이 있어서는 안된다. 피구금자의 종교적 신념과 도덕률은 존중하여야 한다.
2. In order for the principle of non-discrimination to be put into practice, prison administrations shall take account of the individual needs of prisoners, in particular the most vulnerable categories in prison settings. Measures to protect and promote the rights of prisoners with special needs are required and shall not be regarded as discriminatory.
2. 차별금지의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 교정당국에서는 피구금자 개인의 필요(특히 교정시설의 환경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에 대하여)를 고려하여야 한다. 특수한 필요를 가진 피구금자들을 보호하고 그들의 권리를 존중하기 위한 조치들은 필요한 것으로서 차별로 간주되지 않는다.
Rule 3
규칙 제3조
Imprisonment and other measures that result in cutting off persons from the outside world are afflictive by the very fact of taking from these persons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by depriving them of their liberty. Therefore the prison system shall not, except as incidental to justifiable separation or the maintenance of discipline, aggravate the suffering inherent in such a situation.
개인을 외부세상으로부터 차단하는 모든 구금행위는 그들의 자유를 박탈함으로써 자기결정권을 빼앗은 행위로 고통을 수반한다. 따라서 교정제도는 정당하게 수반되거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 피구금자의 고통을 가중시켜서는 안된다.
Rule 4
규칙 제4조
1. The purposes of a sentence of imprisonment or similar measures deprivative of a person’s liberty are primarily to protect society against crime and to reduce recidivism. Those purposes can be achieved only if the period of imprisonment is used to ensure, so far as possible, the reintegration of such persons into society upon release so that they can lead a law-abiding and self-supporting life.
1. 개인의 자유를 박탈하는 구금행위나 이와 유사한 조치의 주된 목적은 범죄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고 재범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피구금자가 구금기간 동안 사회복귀 시 법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합당한 지원을 받아야 한다.
2. To this end, prison administrations and other competent authorities should offer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work, as well as other forms of assistance that are appropriate and available, including those of a remedial, moral, spiritual, social and health- and sports-based nature. All such programmes, activities and services should be delivered in line with the individual treatment needs of prisoners.
2. 이와 관련하여 교정당국과 기관에서는 교육과 직업훈련, 작업 등 가능하고 적합한 형태의 지원을 피구금자들에게 제공해야 하고 여기에는 교화적, 도덕적, 정신적, 사회적 활동들과 보건 또는 운동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프로그램, 활동, 서비스는 피구금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Rule 5
규칙 제5조
1. The prison regime should seek to minimize any differences between prison life and life at liberty that tend to lessen the responsibility of the prisoners or the respect due to their dignity as human beings.
1. 구금제도는 구금시설 내에서의 생활과 외부생활의 차이로 인하여 피구금자의 책임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가능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2. Prison administrations shall make all reasonable accommodation and adjustments to ensure that prisoners with physical, mental or other disabilities have full and effective access to prison life on an equitable basis.
2. 교정당국은 형평성에 입각하여 정신적 또는 지체 장애가 있는 피구금자들이 구금시설 내에서 원만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합당한 배려와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isoner file management
피구금자의 기록 관리
Rule 6
규칙 제6조
There shall be a standardized prisoner file management system in every place where persons are imprisoned. Such a system may be an electronic database of records or a registration book with numbered and signed pages. Procedures shall be in place to ensure a secure audit trail and to prevent unauthorized access to or modification of any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ystem.
피구금자를 수용하는 모든 시설에서는 체계적인 서류 관리 절차가 이루어져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전자식 기록이나 서명을 표기한 페이지로 이루어진 등록부를 활용한다. 또한 기록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무단 열람이나 수정이 불가하도록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Rule 7
규칙 제7조
No person shall be received in a prison without a valid commitment order. The following information shall be entered in the prisoner file management system upon admission of every prisoner:
유효한 구속영장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어느 누구라도 교도소에 수용되어서는 안된다. 피구금자가 입소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해야 한다.
(a) Precise information enabling determination of his or her unique identity, respecting his or her self-perceived gender;
(a) 피구금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이 때 자신의 성별에 대한 피구금자 개인의 인식을 존중해야 한다.)
(b) The reasons for his or her commitment and the responsible authority, in addition to the date, time and place of arrest;
(b) 구금된 이유와 집행기관, 체포된 일시와 시간, 장소
(c) The day and hour of his or her admission and release as well as of any transfer;
(c) 입소, 석방, 출소 일자와 시간
(d) Any visible injuries and complaints about prior ill-treatment;
(d)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부상과 학대를 받았는지 여부
(e) An inventory of his or her personal property;
(e) 개인 소지품 내역
(f) The names of his or her family members, including, where applicable, his or her children, the children’s ages, location and custody or guardianship status;
(f) 자녀, 자녀의 나이, 거주지, 보호자 여부 등 가족들의 성명
(g) Emergency contact details and information on the prisoner’s next of kin.
(g) 가까운 친척의 비상연락처
Rule 8
규칙 제8조
The following information shall be entered in the prisoner file management system in the course of imprisonment, where applicable:
구금기간 중에 필요 시 다음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해야 한다.
(a) Information related to the judicial process, including dates of court hearings and legal representation;
(a) 재판심리와 번호 등 사법절차에 관련된 정보
(b) Initial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reports;
(b) 초기 평가 및 분류보고서
(c) Information related to behaviour and discipline;
(c) 피구금자 태도와 규율 준수 여부에 관한 정보
(d) Requests and complaints, including allegations of torture or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unless they are of a confidential nature;
(d)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에 관한 청원과 고충, 다만 기밀정보인 경우에는 예외
(e) Information on the imposition of disciplinary sanctions;
(e) 규율적 처벌내역에 관한 정보
(f) Information on the circumstances and causes of any injuries or death and,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 destination of the remains.
(f) 부상 또는 사망에 관한 정보, 사망의 경우 시신의 안치 장소 기재
Rule 9
규칙 제9조
All records referred to in rules 7 and 8 shall be kept confidential and made available only to those whose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require access to such records. Every prisoner shall be granted access to the records pertaining to him or her, subject to redactions authorized under domestic legislation, and shall be entitled to receive an official copy of such records upon his or her release.
제7조와 제8조에서 명시한 정보는 기밀로 유지해야 하고 업무를 위해 인가를 받은 장에 한하여 열람이 가능해야 한다. 피구금자는 자국의 법률에서 허용하는 경우 자신의 기록을 열람할 수 있으며 석방 후 해당 기록에 대한 공식 사본을 요청할 수 있다.
Rule 10
규칙 제10조
Prisoner file management systems shall also be used to generate reliable data about trends relating to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son population, including occupancy rates, in order to create a basis for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피구금자 서류관리제도는 시설 점유율 등 피구금자의 인원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 수치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의사결정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Separation of categories
피구금자의 분리
Rule 11
규칙 제11조
The different categories of prisoners shall be kept in separate institutions or parts of institutions, taking account of their sex, age, criminal record, the legal reason for their detention and the necessities of their treatment; thus:
상이한 종류의 피구금자는 그 성별, 연령, 범죄경력, 구금의 법률적 사유 및 처우상의 필요를 고려하여 분리된 시설이나 또는 시설내의 분리된 구역에 수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a) Men and women shall so far as possible be detained in separate institutions; in an institution which receives both men and women, the whole of the premises allocated to women shall be entirely separate;
(a) 남자와 여자는 가능한 분리된 시설에 구금해야 한다. 남자와 여자를 함께 수용하는 시설에서는 여자용으로 사용되는 시설 전체를 완전히 분리해야 한다.
(b) Untried prisoners shall be kept separate from convicted prisoners;
(b) 미결피구금자는 수형자와 분리하여 구금해야 한다.
(c) Persons imprisoned for debt and other civil prisoners shall be kept separate from persons imprisoned by reason of a criminal offence;
(c) 채무로 인하여 수용된 자 및 그 밖의 민사법과 분리하여 구금해야 한다.
(d) Young prisoners shall be kept separate from adults.
(d) 소년은 성년과 분리하여 구금해야 한다.
Accommodation
수용시설
Rule 12
규칙 제12조
1. Where sleeping accommodation is in individual cells or rooms, each prisoner shall occupy by night a cell or room by himself or herself. If for special reasons, such as temporary overcrowding, it becomes necessary for the central prison administration to make an exception to this rule, it is not desirable to have two prisoners in a cell or room.
1. 취침시설이 각 거실마다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개개의 피구금자별로 야간에 독거실이 제공되어야 한다. 일시적인 과잉수용 등과 같은 특별한 이유로 중앙교정당국이 이 규정에 대한 예외를 둘 필요가 있을때에도 독거실에 2명의 피구금자를 수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2. Where dormitories are used, they shall be occupied by prisoners carefully selected as being suitable to associate with one another in those conditions. There shall be regular supervision by night, in keeping with the nature of the prison.
2. 혼거실을 사용하는 때에는 그 환경에서 서로 사이좋게 지낼 수 있는 피구금자를 신중하게 수용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시설의 성격에 맞추어 야간에 정기적인 감독이 수행되어야 한다.
Rule 13
규칙 제13조
All accommodation provided for the use of prisoners and in particular all sleeping accommodation shall meet all requirements of health, due regard being paid to climatic conditions and particularly to cubic content of air, minimum floor space, lighting, heating and ventilation.
피구금자가 사용하도록 마련된 모든 시설, 특히 모든 취침시설은 기후조건을 고려하고 특히 공기의 용적, 최소면적, 조명, 난방 및 환기 등에 관하여 적절한 고려를 함으로써 건강유지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Rule 14
규칙 제14조
In all places where prisoners are required to live or work:
피구금자가 생활하거나 작업을 하는 모든 장소에는,
(a) The windows shall be large enough to enable the prisoners to read or work by natural light and shall be so constructed that they can allow the entrance of fresh air whether or not there is artificial ventilation;
(a) 창문은 피구금자가 자연광선으로 독서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을 만큼 커야 하고, 인공적인 통풍 설비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신선한 공기가 들어올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b) Artificial light shall be provided sufficient for the prisoners to read or work without injury to eyesight.
(b) 인공조명은 피구금자의 시력을 해치지 아니하고 독서하거나 작업하기에 충분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Rule 15
규칙 제15조
The sanitary installations shall be adequate to enable every prisoner to comply with the needs of nature when necessary and in a clean and decent manner.
위생설비는 모든 피구금자가 청결하고 단정하게 생리적 욕구를 해소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Rule 16
규칙 제16조
Adequate bathing and shower installations shall be provided so that every prisoner can, and may be required to, have a bath or shower, at a temperature suitable to the climate, as frequently as necessary for general hygiene according to season and geographical region, but at least once a week in a temperate climate.
적당한 목욕 및 샤워시설을 마련하여 모든 피구금자가 계절과 지역에 따라 일반 위생상 필요한 만큼 자주 기후에 알맞은 온도로 목욕하거나 샤워할 수 있게 하여, 피구금자에게 그렇게 할 의무가 부과될 수 있다. 다만, 온대 기후의 경우 그 횟수는 적어도 매주 1회 이상이어야 한다.
Rule 17
규칙 제17조
All parts of a prison regularly used by prisoners shall be properly maintained and kept scrupulously clean at all times.
피구금자가 상시 사용하는 시설의 모든 구역은 항상 적절히 관리되고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Personal hygiene
개인 위생
Rule 18
규칙 제18조
1. Prisoners shall be required to keep their persons clean, and to this end they shall be provided with water and with such toilet articles as are necessary for health and cleanliness.
1. 피구금자에게는 신체의 청결을 유지할 의무를 부과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건강 및 청결유지에 필요한 만큼의 물과 세면용품을 지급해야 한다.
2. In order that prisoners may maintain a good appearance compatible with their self-respect, facilities shall be provided for the proper care of the hair and beard, and men shall be able to shave regularly.
2. 피구금자가 그들의 자존심에 부합하는 단정한 용모를 유지할 수 있도록 두발 및 수염을 다듬을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여야 하고, 남자는 규칙적으로 면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lothing and bedding
의류와 침구
Rule 19
규칙 제19조
1. Every prisoner who is not allowed to wear his or her own clothing shall be provided with an outfit of clothing suitable for the climate and adequate to keep him or her in good health. Such clothing shall in no manner be degrading or humiliating.
1. 자기의 의류를 입도록 허용되지 아니하는 피구금자에 대하여는 기후에 알맞고 건강유지에 적합한 의류가 지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류는 결코 저급하거나 수치심을 주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2. All clothing shall be clean and kept in proper condition. Underclothing shall be changed and washed as often a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of hygiene.
2. 모든 의류는 청결해야 하며 적합한 상태로 간주되어야 한다. 내의는 위생을 유지하기에 필요한 만큼 자주 교환되고 세탁되어야 한다.
3.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never a prisoner is removed outside the prison for an authorized purpose, he or she shall be allowed to wear his or her own clothing or other inconspicuous clothing.
3. 예외적인 상황에서 피구금자가 정당하게 인정된 목적을 위하여 시설 밖으로 나갈 때에는 언제나 자신의 사복 또는 너무 눈에 띄지 아니하는 의복을 입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Rule 20
규칙 제20조
If prisoners are allowed to wear their own clothing, arrangements shall be made on their admission to the prison to ensure that it shall be clean and fit for use.
피구금자에게 자기 의류를 입도록 허용하는 경우에는 시설에 수용할 때에 그 의류가 청결하고 사용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적당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Rule 21
규칙 제21조
Every prisoner shall, in accordance with local or national standards, be provided with a separate bed and with separate and sufficient bedding which shall be clean when issued, kept in good order and changed often enough to ensure its cleanliness.
모든 피구금자에게는 지역 또는 나라의 수준에 맞추어 개별 침대와 충분한 전용침구를 급여하여야 하며, 침구는 지급될 때 청결하고 항상 잘 정돈되어야 하고 또 그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자주 교환되어야 한다.
Food
급식
Rule 22
규칙 제22조
1. Every prisoner shall be provided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at the usual hours with food of nutritional value adequate for health and strength, of wholesome quality and well prepared and served.
1. 교정당국은 모든 피구금자에게 통상의 식사시간에 건강과 체력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고 영양가와 위생적인 품질을 갖춘 잘 조리된 음식을 급여하여야 한다.
2. Drinking water shall be available to every prisoner whenever he or she needs it.
2. 음료수는 모든 피구금자가 필요할 때 언제나 마실 수 있어야 한다.
Exercise and sport
운동 및 스포츠
Rule 23
규칙 제23조
1. Every prisoner who is not employed in outdoor work shall have at least one hour of suitable exercise in the open air daily if the weather permits.
1. 실외작업을 하지 아니하는 모든 피구금자는 날씨가 허락하는 한 매일 적어도 1시간의 적당한 실외운동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2. Young prisoners, and others of suitable age and physique, shall receive physical and recreational training during the period of exercise. To this end, space, installations and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2. 소년 피구금자 및 적당한 연령 및 체격을 가진 그 밖의 피구금자에게는 운동시간 중에 체육 및 오락훈련을 받도록 하여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 시설 및 용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Health-care services
보건의료 서비스
Rule 24
규칙 제24조
1.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for prisoners is a State responsibility. Prisoners should enjoy the same standards of health care that are available in the community, and should have access to necessary health-care services free of charge without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their legal status.
1. 국가는 피구금자의 보건의료를 책임져야 한다. 피구금자는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의 보건의료 혜택을 누릴 권리가 있으며 법적 신분으로 인한 차별을 받지 않고 필요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Health-care services should be organized in close relationship to the general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and in a way that ensures continuity of treatment and care, including for HIV, tuberculosi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for drug dependence.
2. 보건의료 서비스는 에이즈, 결핵 등 감염성 질환 또는 약물 의존에 대한 치료를 지속할 수 있도록 공공보건당국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Rule 25
규칙 제25조
1. Every prison shall have in place a health-care service tasked with evaluating, promoting, protecting and improv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soner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prisoners with special health-care needs or with health issues that hamper their rehabilitation.
1. 모든 구금시설에는 피구금자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을 진단, 증진, 유지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관련 조치가 마련되어 있어야 하고 특별한 주의를 요구하거나 건강상 문제가 있는 피구금자에게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The health-care service shall consist of an interdisciplinary team with sufficient qualified personnel acting in full clinical independence and shall encompass sufficient expertise in psychology and psychiatry. The services of a qualified dentist shall be available to every prisoner.
2. 보건의료 서비스는 충분한 자격을 갖춘 의료전문가와 심리학과 정신과학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으로 구성된 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자격을 갖춘 치과의사의 의료서비스도 모든 피구금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Rule 26
규칙 제26조
1. The health-care service shall prepare and maintain accurate, up-to-date and confidential individual medical files on all prisoners, and all prisoners should be granted access to their files upon request. A prisoner may appoint a third party to access his or her medical file.
1. 보건의료 서비스에 있어서 모든 피구금자에 대한 정확하고 최신의 개별 의료기록을 작성하고 관리하고 보안을 유지하고 피구금자가 자신의 의료기록을 열람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피구금자는 또한 제3자가 자신의 의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할 수 있다.
2. Medical files shall be transferred to the health-care service of the receiving institution upon transfer of a prisoner and shall be subject to medical confidentiality.
2. 다른 시설로 이전 시 피구금자의 의료기록은 해당 시설로 전달되고 기록의 보안을 유지해야 한다.
Rule 27
규칙 제27조
1. All prisons shall ensure prompt access to medical attention in urgent cases. Prisoners who require specialized treatment or surgery shall be transferred to specialized institutions or to civil hospitals. Where a prison service has its own hospital facilities, they shall be adequately staffed and equipped to provide prisoners referred to them with appropriate treatment and care.
1. 모든 피구금자는 응급상황 발생 시 즉시 의료지원을 받을 권리가 있다. 특별한 처치(specialized treatment) 또는 수술을 요하는 피구금자의 경우 해당 의료시설이나 민간 병원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의료시설을 갖춘 구금시설의 경우 해당 의료시설은 원활한 치료와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적정한 인력과 장비를 갖춰야 한다.
2. Clinical decisions may only be taken by the responsible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may not be overruled or ignored by non-medical prison staff.
2. 의료와 관련된 결정은 권한이 있는 보건의료 전문가가 내려야 하며 의료분야에 종사하지 않는 구금시설의 직원은 그 결정을 거부하거나 간과해서는 안된다.
Rule 28
규칙 제28조
In women’s prisons, there shall be special accommodation for all necessary prenatal and postnatal care and treatment. Arrangements shall be made wherever practicable for children to be born in a hospital outside the prison. If a child is born in prison, this fact shall not be mentioned in the birth certificate.
여성시설에서는 산전 및 산후의 모든 간호 및 처치를 위하여 필요한 특별한 설비가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항상 시설 밖의 병원에서 분만할 수 있도록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아이가 시설 내에서 태어난 경우 이 사실을 출생증명서에 기재해서는 안된다.
Rule 29
규칙 제29조
1. A decision to allow a child to stay with his or her parent in prison shall be based on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concerned. Where children are allowed to remain in prison with a parent, provision shall be made for:
1. 피구금자의 자녀를 구금시설 내에서 피구금자와 함께 생활하는 것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에는 해당 자녀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다음의 경우에 한하여 피구금자의 자녀를 구금시설 내에서 생활하는 것을 허용한다.
(a) Internal or external childcare facilities staffed by qualified persons, where the children shall be placed when they are not in the care of their parent;
(a) 피구금자가 자녀를 돌보지 못할 때 적정 인력을 갖춘 내부 또는 외부 보육시설에 자녀를 위탁할 수 있는 경우
(b) Child-specific health-care services, including health screenings upon admission and ongoing monitoring of their development by specialists.
(b) 전문가가 입소에 대한 건강검진 및 자녀의 발육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포함한 어린이의 특별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2. Children in prison with a parent shall never be treated as prisoners.
2. 구금시설에 생활하는 피구금자의 자녀는 어떠한 경우에도 피구금자로 처우해서는 안된다.
Rule 30
규칙 제30조
A physician or other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whether or not they are required to report to the physician, shall see, talk with and examine every prisoner as soon as possible following his or her admission and thereafter as necessary. Particular attention shall be paid to:
의사 또는 자격을 갖춘 보건의료 전문가는 입소한 모든 피구금자들에 대하여 조속한 면담과 의료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 Identifying health-care needs and taking all necessary measures for treatment;
(a) 특별한 의료 지원이나 치료가 필요한 지 여부
(b) Identifying any ill-treatment that arriving prisoners may have been subjected to prior to admission;
(b) 입소 전에 학대를 받았는지 여부
(c) Identifying any signs of psychological or other stress brought on by the fact of imprisonmen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risk of suicide or self-harm and withdrawal symptoms resulting from the use of drugs, medication or alcohol; and undertaking all appropriate individualized measures or treatment;
(c) 구금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자살 또는 자해의 위험이 있는 지 여부 또는 약물 또는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금단증상, 기타 모든 개인적으로 필요한 조치 또는 치료 확인
(d) In cases where prisoners are suspected of having contagious diseases, providing for the clinical isolation and adequate treatment of those prisoners during the infectious period;
(d) 감염성 질환으로 인하여 격리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지 여부
(e) Determining the fitness of prisoners to work, to exercise and to participate in other activities, as appropriate.
(e) 작업, 운동, 기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건강상태의 확인
Rule 31
규칙 제31조
The physician or, where applicable, other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shall have daily access to all sick prisoners, all prisoners who complain of physical or mental health issues or injury and any prisoner to whom their attention is specially directed. All medical examinations shall be undertaken in full confidentiality.
의사 또는 자격을 갖춘 보건의료 전문가는 질환을 앓고 있거나 신체적 및 정신적인 문제를 호소하거나 각별한 주의를 요하는 모든 피구금자를 매일 확인해야 하고 모든 의료검사에 대해 철저한 보안을 유지해야 한다.
Rule 32
규칙 제32조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ian 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the prisoners shall be governed by the same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as those applicable to patients in the community, in particular:
1. 의사 또는 기타 보건의료 전문가가 피구금자와의 관계는 지역사회에서 적용되는 동일한 윤리적ㆍ전문적 규범과 기준을 적용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a) The duty of protecting prison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 on the basis of clinical grounds only;
(a) 의료적 관점에서 피구금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을 포함한다.
(b) Adherence to prisoners’ autonomy with regard to their own health and informed consent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b) 피구금자의 건강에 대한 판단과 권리를 존중한다.
(c) The confidentiality of medical information, unless maintaining such confidentiality would result in a real and imminent threat to the patient or to others;
(c) 의료 기록의 보안을 유지한다. 다만, 이로 인하여 환자 또는 제3자에게 위협이 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d) An absolute prohibition on engaging, actively or passively, in acts that may constitute torture or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including medical or scientific experimentation that may be detrimental to a prisoner’s health, such as the removal of a prisoner’s cells, body tissues or organs.
(d) 실험 등의 목적으로 세포, 신체조직, 장기를 적출하는 등 피구금자의 건강에 해가 되는 어떠한 행위나 고문, 기타 잔인하거나 비인간적이거나 모욕적인 어떠한 행위도 하지 않는다.
2. Without prejudice to paragraph 1 (d) of this rule, prisoners may be allowed, upon their free and informed consent and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law, to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and other health research accessible in the community if these are expected to produce a direct and significant benefit to their health, and to donate cells, body tissues or organs to a relative.
2. 전항 (d)를 제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구금자는 자신의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되거나 친척에게 자신의 세포, 신체조직, 장기를 기부하기를 원하는 경우 지역사회에서 실시하는 임상시험이나 기타 조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Rule 33
규칙 제33조
The physician shall report to the prison director whenever he or she considers that a prisoner’s physical or mental health has been or will be injuriously affected by continued imprisonment or by any condition of imprisonment.
의사는 피구금자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이 계속된 구금으로 인하여 또는 구금에 수반된 상황 어느 것에 의해서든 손상되었거나 또는 손상되리라고 판단하는 때는 언제든 소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Rule 34
규칙 제34조
If, in the course of examining a prisoner upon admission or providing medical care to the prisoner thereafter, health-care professionals become aware of any signs of torture or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y shall document and report such cases to the competent medical, administrative or judicial authority. Proper procedural safeguards shall be followed in order not to expose the prisoner or associated persons to foreseeable risk of harm.
입소 후 피구금자의 건강검사 또는 치료과정에서 보건의료 전문가가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징후를 인지한 경우 해당 보건의료 전문가는 이를 기록하고 관련 의료, 행정 또는 사법 기관에 보고해야 한다. 이 경우 해다 피구금자 또는 관련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적합한 절차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Rule 35
규칙 제35조
1. The physician or competent public health body shall regularly inspect and advise the prison director on:
1. 의사 또는 관련 공공보건기관은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다음 각호를 소장에게 조언하여야 한다.
(a) The quantity, quality, preparation and service of food;
(a) 음식의 양, 질, 조리 상황 및 배식
(b) The hygiene and cleanliness of the institution and the prisoners;
(b) 시설 및 피구금자의 위생과 청결
(c) The sanitation, temperature, lighting and ventilation of the prison;
(c) 시설의 위생관리, 난방, 조명 및 환기
(d) The suitability and cleanliness of the prisoners’ clothing and bedding;
(d) 피구금자의 의류 및 침구의 적합 및 청결상태
(e) The observance of the rules concerning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in cases where there is no technical personnel in charge of these activities.
(e) 체육 및 스포츠를 담당하는 기술요원이 없는 경우 이에 관한 규칙의 준수
2. The prison director shall take into consideration the advice and report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of this rule and rule 33 and shall take immediate steps to give effect to the advice and the recommendations in the reports. If the advice or recommendations do not fall within the prison director’s competence or if he or she does not concur with them, the director shall immediately submit to a higher authority his or her own report and the advice or recommendations of the physician or competent public health body.
2. 소장은 의사가 제35조 제1항과 제33조의 규정에 의하여 향한 보고 및 조언을 참고하여야 하며, 보고서에 있는 조언과 권고를 실시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그 제안이 자기의 권한에 속하는 사항이 아니거나 동의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소장은 자신의 의견과 의사 또는 적법한 공중위생단체의 조언과 권고를 즉시 상급 관청에 보고해야 한다.
Restrictions, discipline and sanctions
제한, 규율과 처벌
Rule 36
규칙 제36조
Discipline and order shall be maintained with no more restriction than is necessary to ensure safe custody, the secure operation of the prison and a well ordered community life.
규율 및 기타 규범은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한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지 되어야 한다.
Rule 37
규칙 제37조
The following shall always be subject to authorization by law or by the regulation of the competent administrative authority:
다음 각 호는 항상 법률 또는 권한 있는 행정관청의 규칙으로 정하여야 한다.
(a) Conduct constituting a disciplinary offence;
(a) 규율위반을 구성하는 행위
(b) The types and duration of sanctions that may be imposed;
(b) 부과할 처벌의 종류 및 그 기간
(c) The authority competent to impose such sanctions;
(c) 처벌을 부과할 권한이 있는 기관
(d) Any form of involuntary separation from the general prison population, such as solitary confinement, isolation, segregation, special care units or restricted housing, whether as a disciplinary sanction or for the maintenance of order and security, including promulgating policies and procedures governing the use and review of, admission to and release from any form of involuntary separation.
(d) 독방수용, 격리, 분리, 특수 관리시설, 구속시설 등과 같이 규율적 처벌 또는 질서 및 보안 유지를 위해 다른 피구금자들로부터의 강제적 분리 수용하는 행위로 이에 대한 정책 및 검토사항을 적용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Rule 38
규칙 제38조
1. Prison administrations are encouraged to use, to the extent possible, conflict prevention, mediation or any othe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mechanism to prevent disciplinary offences or to resolve conflicts.
1. 교정당국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규율 위반이나 마찰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예방 또는 중재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2. For prisoners who are, or have been, separated,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alleviate the potential detrimental effects of their confinement on them and on their community following their release from prison.
2. 분리수용된 적이 있는 피구금자의 경우 교정당국은 이로 인하여 피구금자 자신과 석방 후 지역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Rule 39
규칙 제39조
1. No prisoner shall be sanctioned except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the law or regulation referred to in rule 37 and the principles of fairness and due process. A prisoner shall never be sanctioned twice for the same act or offence.
1. 피구금자는 제37조에 명시된 법규와 공정성과 합당한 절차에 입각하여 처벌을 받아야 한다. 피구금자는 동일한 규율위반에 대하여 이중으로 처벌받아서는 안된다.
2. Prison administrations shall ensure proportionality between a disciplinary sanction and the offence for which it is established, and shall keep a proper record of all disciplinary sanctions imposed.
2. 교정당국은 규율위반과 그에 대한 처벌이 합당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며 부과된 모든 처벌내역을 정확하게 기록해야 한다.
3. Before imposing disciplinary sanctions, prison administrations shall consider whether and how a prisoner’s mental illness or developmental disability may have contributed to his or her conduct and the commission of the offence or act underlying the disciplinary charge. Prison administrations shall not sanction any conduct of a prisoner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direct result of his or her mental illness or intellectual disability.
3. 규율위반에 대한 처벌을 부과하기 전에 교정당국은 피구금자에게 정신질환이나 발달장애가 있는 지 확인하고 위반사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교정당국은 정신질환이나 발달장애로 인한 규율위반을 처벌해서는 안된다.
Rule 40
규칙 제40조
1. No prisoner shall be employed, in the service of the prison, in any disciplinary capacity.
1. 어떠한 피구금자라도 교도소의 업무를 부여받거나 규율권한이 부여되어서는 아니된다.
2. This rule shall not, however, impede the proper functioning of systems based on self-government, under which specified social, educational or sports activities or responsibilities are entrusted, under supervision, to prisoners who are formed into groups for the purposes of treatment.
2. 그러나 본 규칙은 특정한 사회적, 교육 또는 스포츠 활동이나 책임을 직원의 감독 하에 처우목적을 위하여 그룹으로 분리된 피구금자 자치제도의 적절한 활용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Rule 41
규칙 제41조
1. Any allegation of a disciplinary offence by a prisoner shall be reported promptly to the competent authority, which shall investigate it without undue delay.
1. 규율 위반에 대한 모든 혐의는 관련 기관에 즉시 보고되어야 하고 이를 보고받은 기관은 즉시 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Prisoners shall be informed, without delay and in a language that they understand, of the nature of the accusations against them and shall be given adequate time and facilities for the preparation of their defence.
2. 피구금자는 피구금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자신에 대한 혐의사실에 대하여 즉각적인 통보를 받고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적당한 시간과 시설을 제공받아야 한다.
3. Prisoners shall be allowed to defend themselves in person, or through legal assistance when the interests of justice so require, particularly in cases involving serious disciplinary charges. If the prisoners do not understand or speak the language used at a disciplinary hearing, they shall be assisted by a competent interpreter free of charge.
3. 피구금자는 특히 중대한 규율위반에 대하여 자신을 직접 방어하거나 필요 시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만일 심의절차가 피구금자가 이해할 수 없는 언어로 진행되는 경우 무상으로 통역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4. Prisoners shall have an opportunity to seek judicial review of disciplinary sanctions imposed against them.
4. 피구금자는 자신에게 부과된 처벌에 대하여 사법심사를 요구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5. In the event that a breach of discipline is prosecuted as a crime, prisoners shall be entitled to all due process guarantees applicable to criminal proceedings, including unimpeded access to a legal adviser.
5. 규율 위반이 범죄로 기소되는 경우 피구금자는 법률자문에 대한 지원 등 형사소송절차를 진행하는데 있어 모든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
Rule 42
규칙 제42조
General living conditions addressed in these rules, including those related to light, ventilation, temperature, sanitation, nutrition, drinking water, access to open air and physical exercise, personal hygiene, health care and adequate personal space, shall apply to all prisoners without exception.
조명, 환기, 온도, 위생, 영양, 식수, 야외활동, 운동, 개인위생, 보건, 개인 공간 등에 대한 기본적인 생활환경에 대한 조건은 모든 피구금자에게 예외 없이 적용되어야 한다.
Rule 43
규칙 제43조
1. In no circumstances may restrictions or disciplinary sanctions amount to torture or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The following practices, in particular, shall be prohibited:
1. 고문 또는 규율 위반에 대한 처벌은 어떠한 경우에도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로 대체되어서는 안되며 다음과 같은 행위는 금지되어야 한다.
(a) Indefinite solitary confinement;
(a) 무기한 독거실에 수용하는 행위
(b) Prolonged solitary confinement;
(b) 장기간 독거실에 수용하는 행위
(c) Placement of a prisoner in a dark or constantly lit cell;
(c) 어둡거나 지속해서 밝혀 있는 공간에 수용하는 행위
(d) Corporal punishment or the reduction of a prisoner’s diet or drinking water;
(d) 체벌 또는 식사나 식수의 공급을 제한하는 행위
(e) Collective punishment.
(e) 집단 처벌하는 행위
2. Instruments of restraint shall never be applied as a sanction for disciplinary offences.
2. 규율위반에 대한 처벌로 결박장치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3. Disciplinary sanctions or restrictive measures shall not include the prohibition of family contact. The means of family contact may only be restricted for a limited time period and as strictly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security and order.
3. 규율위반에 대한 처벌 또는 구속조치로 가족과의 연락을 금지해서는 안된다. 가족과의 연락을 금지하는 행위는 제한적 시간에 한하여 보안 또는 질서의 유지를 위한 경우에만 허용된다.
Rule 44
규칙 제44조
For the purpose of these rules, solitary confinement shall refer to the confinement of prisoners for 22 hours or more a day without meaningful human contact. Prolonged solitary confinement shall refer to solitary confinement for a time period in excess of 15 consecutive days.
본 규칙에서 일반적인 독거수용이라 함은 타인과의 접촉이 없이 피구금자를 22시간 또는 하루 이상 수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장기 독거수용이라 함은 15일을 초과하여 연속으로 피구금자를 독거실에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Rule 45
규칙 제45조
1. Solitary confinement shall be used only in exceptional cases as a last resort, for as short a time as possible and subject to independent review, and only pursuant to the authorization by a competent authority. It shall not be imposed by virtue of a prisoner’s sentence.
1. 독서수용은 특수한 경우에 한하여 최후의 수단으로 허용되며 가능한 최소한의 시간으로 한정해야 하고 독립적인 심의와 관계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피구금자의 형량에 의거하여 독거수용을 부과해서는 안된다.
2. The imposition of solitary confinement should be prohibited in the case of prisoners with mental or physical disabilities when their conditions would be exacerbated by such measures. The prohibition of the use of solitary confinement and similar measures in cases involving women and children, as referred to in other United Nations standards and norms in crime prevention and criminal justice, 1 ) continues to apply.
2. 정신적 또는 지체 장애가 있는 피구금자의 경우 독거수용이 상태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면 독거수용을 부과할 수 없다. 독거수용이나 이와 유사한 조치는 범죄예방 및 형사사법 1 ) 에 대한 유엔의 기준 및 규범에 따라 여성 또는 아동에게 부과하는 것은 금지된다.
Rule 46
규칙 제46조
1. Health-care personnel shall not have any role in the imposition of disciplinary sanctions or other restrictive measures. They shall, however,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health of prisoners held under any form of involuntary separation, including by visiting such prisoners on a daily basis and providing prompt medical assistance and treatment at the request of such prisoners or prison staff.
1. 보건의료 담당자는 규율위반에 대한 처벌 또는 구속조치를 부과할 수 없다. 그러나 보건의료 담당자는 매일 강제적으로 분리 수용된 피구금자를 방문하고 피구금자 또는 직원의 요청에 따라 의료지원을 제공하는 등 피구금자의 건강상태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 Health-care personnel shall report to the prison director, without delay, any adverse effect of disciplinary sanctions or other restrictive measures on the physical or mental health of a prisoner subjected to such sanctions or measures and shall advise the director if they consider it necessary to terminate or alter them for physical or mental health reasons.
2. 규율위반에 대한 처벌이나 구속조치가 피구금자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보건의료 담당자는 이를 즉시 교도소장에게 보고하고 처벌 조치의 중단이나 조정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
3. Health-care personnel shall have the authority to review and recommend changes to the involuntary separation of a prisoner in order to ensure that such separation does not exacerbate the medical condition or mental or physical disability of the prisoner.
3. 보건의료 담당자는 강제로 분리 수용된 피구금자의 건강상태나 정신 또는 지체장애가 악화되지 않도록 이를 검토하고 조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
Instruments of restraint
보호장비
Rule 47
규칙 제47조
1. The use of chains, irons or other instruments of restraint which are inherently degrading or painful shall be prohibited.
1. 굴욕적 또는 고통을 주는 쇠사슬, 발목수갑 또는 보호장비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금지되어야 한다.
2. Other instruments of restraint shall only be used when authorized by law and in the following circumstances:
2. 그 밖의 보호장비는 다음 가 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a) As a precaution against escape during a transfer, provided that they are removed when the prisoner appears before a judicial or administrative authority;
(a) 호송 중 도주에 대한 예방책으로 사용되는 때. 다만, 사법 또는 행정당국에 출석할 때에는 보호장비를 해제하여야 한다.
(b) By order of the prison director, if other methods of control fail, in order to prevent a prisoner from injuring himself or herself or others or from damaging property; in such instances, the director shall immediately alert the physician or other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report to the higher administrative authority.
(b) 피구금자가 자기 또는 다른 사람에게 침해를 가하거나 재산에 손해를 주는 것을 다른 수단으로써는 방지할 수 없어서 소장이 명령하는 때. 이때에는 소장은 지체 없이 의사 또는 다른 자격이 있는 보건의료 전문가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상급 행정관청에 보고해야 한다.
Rule 48
규칙 제48조
1. When the imposition of instruments of restraint is authoriz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of rule 47, the following principles shall apply:
1. 제47조 제2항에 따라 보호장비의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a) Instruments of restraint are to be imposed only when no lesser form of control would be effective to address the risks posed by unrestricted movement;
(a) 보호장비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다른 대체 수단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b) The method of restraint shall be the least intrusive method that is necessary and reasonably available to control the prisoner’s movement, based on the level and nature of the risks posed;
(b) 보호장비의 사용은 위험의 정도와 유형에 따라 피구금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적정한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c) Instruments of restraint shall be imposed only for the time period required, and they are to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risks posed by unrestricted movement are no longer present.
(c) 보호장비는 꼭 필요한 시간에 한정하여 사용되어야 하며 위험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시 제거해야 한다.
2. Instruments of restraint shall never be used on women during labour, during childbirth and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2. 진통 또는 분만 상태에 있거나 분만 직후의 여성에게는 보호장비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Rule 49
규칙 제49조
The prison administration should seek access to, and provide training in the use of, control techniques that would obviate the need for the imposition of instruments of restraint or reduce their intrusiveness.
교정당국은 보호장비를 올바로 사용하고 착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직원들을 교육해야 한다.
Searches of prisoners and cells
피구금자와 거실에 대한 검사
Rule 50
규칙 제50조
The laws and regulations governing searches of prisoners and cells shall be in accordance with oblig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and shall take into accou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norms, keeping in mind the need to ensure security in the prison. Searches shall be conducted in a manner that is respectful of the inherent human dignity and privacy of the individual being searched, as well as the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legality and necessity.
피구금자와 거실의 검사에 대한 적용 법규는 국제법을 따라야 하며 구금시설 안전을 고려하여 국제기준과 규범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검사는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비례의 원칙과 합법성, 필요성에 입각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Rule 51
규칙 제51조
Searches shall not be used to harass, intimidate or unnecessarily intrude upon a prisoner’s privacy. For the purpose of accountability,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keep appropriate records of searches, in particular strip and body cavity searches and searches of cells, as well as the reasons for the searches, the identities of those who conducted them and any results of the searches.
검사는 피구금자를 괴롭히거나 위협하고 불필요하게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기 위해 실시되어서는 안된다. 교정당국은 특히 알몸수색이나 체강검사, 거실검사에 대하여 검사 사유와 검사 실시자, 검사 결과 등을 기록해야 한다.
Rule 52
규칙 제52조
1. Intrusive searches, including strip and body cavity searches, should be undertaken only if absolutely necessary. Prison administrations shall be encouraged to develop and use appropriate alternatives to intrusive searches. Intrusive searches shall be conducted in private and by trained staff of the same sex as the prisoner.
1. 알몸수색과 체강검사와 같이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는 검사는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교정당국은 이러한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해야 하며 이러한 검사를 실시할 때에는 단독으로 교육을 받은 동성의 교도관이 실시해야 한다.
2. Body cavity searches shall be conducted only by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other than thos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care of the prisoner or, at a minimum, by staff appropriately trained by a medical professional in standards of hygiene, health and safety.
2. 체강검사는 피구금자의 관리를 책임지는 자 이외의 자격을 갖춘 전문가 또는 위생, 보건, 안전 분야의 교육을 받은 직원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
Rule 53
규칙 제53조
Prisoners shall have access to, or be allowed to keep in their possession without access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documents relating to their legal proceedings.
피구금자는 자신의 소송절차와 관련된 서류를 열람하거나 소지할 수 있으며 이에는 교정당국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다.
Information to and complaints by prisoners
정보 및 불복신청
Rule 54
규칙 제54조
Upon admission, every prisoner shall be promptly provided with written information about:
모든 피구금자에게는 입소 즉시 다음과 같은 정보가 서면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a) The prison law and applicable prison regulations;
(a) 구금시설에 대한 관련 법규
(b) His or her rights, including authorized methods of seeking information, access to legal advice, including through legal aid schemes, and procedures for making requests or complaints;
(b) 정보 검색, 법률구조를 통한 법률자문을 받을 권리 등 피구금자의 권리와 불복 또는 요구절차
(c) His or her obligations, including applicable disciplinary sanctions; and
(c) 피구금자의 의무사항과 규율위반에 대한 처벌
(d) All other matters necessary to enable the prisoner to adapt himself or herself to the life of the prison.
(d) 구금시설에서의 생활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기타 모든 사항
Rule 55
규칙 제55조
1. The information referred to in rule 54 shall be available in the most commonly used languages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prison population. If a prisoner does not understand any of those languages, interpretation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1. 제54조에 명시된 정보는 피구금자의 필요에 따라 가장 통용되는 언어로 제공되어야 한다. 피구금자가 해당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통역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2. If a prisoner is illiterate, the information shall be conveyed to him or her orally. Prisoners with sensory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in a manner appropriate to their needs.
2. 피구금자가 문맹인 경우 해당 정보를 구두로 제공해야 한다. 만일 피구금자가 감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가능한 방식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3.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prominently display summaries of the information in common areas of the prison.
3. 교정당국은 해당 정보의 개요를 구금시설 내의 공용지역에 비치해야 한다.
Rule 56
규칙 제56조
1. Every prisoner shall have the opportunity each day to make requests or complaints to the prison director or the prison staff member authorized to represent him or her.
1. 모든 피구금자에게는 매일 교도소장 또는 그를 대리할 권한을 가진 교정직원에게 청원 또는 불복신청을 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2. It shall be possible to make requests or complaints to the inspector of prisons during his or her inspections. The prisoner shall have the opportunity to talk to the inspector or any other inspecting officer freely and in full confidentiality, without the director or other members of the staff being present.
2. 피구금자는 자신에 대한 조사 중에 조사관에게 청원 또는 불복신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피구금자에게는 소장 또는 그 밖의 직원의 참여 없이 담당조사관 또는 다른 조사관에게 말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3. Every prisoner shall be allowed to make a request or complaint regarding his or her treatment, without censorship as to substance, to the central prison administration and to the judicial or other competent authorities, including those vested with reviewing or remedial power.
3. 모든 피구금자는 내용의 검열을 받지 아니하고 적합한 형식에 맞추어 허가된 경로에 따라 검토 또는 구제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을 포함하여 중앙교정당국, 사법기관 또는 그 밖의 권한이 있는 기관에 청원하거나 불복 신청을 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4. The rights under paragraphs 1 to 3 of this rule shall extend to the legal adviser of the prisoner. In those cases where neither the prisoner nor his or her legal adviser has the possibility of exercising such rights, a member of the prisoner’s family or any other person who has knowledge of the case may do so.
4. 본 규칙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명시된 권리는 피구금자의 법률자문가에게도 적용된다. 이때 만일 피구금자와 그 법률자문가 모두가 해당 권리를 행사할 수 없을 경우 피구금자의 가족이나 사건에 대한 지식이 있는 제3자가 해당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Rule 57
규칙 제57조
1. Every request or complaint shall be promptly dealt with and replied to without delay. If the request or complaint is rejected, or in the event of undue delay, the complainant shall be entitled to bring it before a judicial or other authority.
1. 모든 요구 또는 불복은 즉시 처리되고 회답되어야 한다. 만일 요구 또는 불복이 거부되거나 부당하게 지체되는 경우에는 이를 제기한 피구금자는 사법기관 또는 관련 기관에 이를 회부할 수 있다.
2. Safeguards shall be in place to ensure that prisoners can make requests or complaints safely and, if so requested by the complainant, in a confidential manner. A prisoner or other person mentioned in paragraph 4 of rule 56 must not be exposed to any risk of retaliation, intimidation or other negative consequences as a result of having submitted a request or complaint.
2. 피구금자들이 요구 또는 불복을 안전하게 제기하고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안장치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피구금자 또는 제56조의 제4항에 명시된 자는 요구 또는 불복을 제기하였다는 이유로 위협 또는 불이익을 당하거나 보복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3. Allegations of torture or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of prisoners shall be dealt with immediately and shall result in a prompt and impartial investigation conducted by an independent national authority in accordance with paragraphs 1 and 2 of rule 71.
고문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 사실에 대한 주장은 지체 없이 처리되어야 하며 제71조 제1항과 제2항에 따라 독립기관의 공정한 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외부와의 교통
Rule 58
규칙 제58조
1. Prisoners shall be allowed, under necessary supervision, to communicate with their family and friends at regular intervals:
1. 피구금자에게는 필요한 감독 하에 일정 기간마다 가족 또는 친지와의 의사소통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허용되어야 한다.
(a) By corresponding in writing and using, where available, telecommunication, electronic, digital and other means; and
(a) 서신 또는 통신, 전자, 디지털 등의 수단을 통한 의사소통
(b) By receiving visits.
(b) 접견
2. Where conjugal visits are allowed, this right shall be applied without discrimination, and women prisoners shall be able to exercise this right on an equal basis with men. Procedures shall be in place and premises shall be made available to ensure fair and equal access with due regard to safety and dignity.
2. 배우자의 접견이 허용되는 경우 이는 어떠한 차별 없이 동등하게 허용되어야 하며 여성 피구금자의 경우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안전과 존엄성을 고려하여 공정하고 평등하게 접견절차와 장소가 보장되어야 한다.
Rule 59
규칙 제59조
Prisoners shall be allocated, to the extent possible, to prisons close to their homes or their places of social rehabilitation.
피구금자는 가능하면 가정이나 사회복귀장소와 근접한 곳에 수용되어야 한다.
Rule 60
규칙 제60조
1. Admission of visitors to the prison facility is contingent upon the visitor’s consent to being searched. The visitor may withdraw his or her consent at any time, in which case the prison administration may refuse access.
1. 교정시설을 방문하는 접견자는 보안검색에 동의함을 전제로 한다. 접견자는 언제든지 이에 대한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교정당국은 방문을 거부할 수 있다.
2. Search and entry procedures for visitors shall not be degrading and shall be governed by principles at least as protective as those outlined in rules 50 to 52. Body cavity searches should be avoided and should not be applied to children.
2. 접견자에 대한 검색 및 출입 절차는 접견자에게 모욕감을 주어서는 안 되며 제50조부터 제52조까지에 명시된 보호규칙을 기본으로 적용해야 한다. 체강검사는 피해야 하고 아동에게 실시할 수 없다.
Rule 61
규칙 제61조
1. Prisoners shall be provided with adequate opportunity, time and facilities to be visited by and to communicate and consult with a legal adviser of their own choice or a legal aid provider, without delay, interception or censorship and in full confidentiality, on any legal matter, in conformity with applicable domestic law. Consultations may be within sight, but not within hearing, of prison staff.
1. 피구금자는 자신이 선택한 법률자문가 또는 법률구조 제공자와 접견, 소통, 상담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와 시간, 장소가 지체 없이 주어져야 하며 자국의 법규에 따라 검열 또는 차단을 받지 않고 기밀이 유지되어야 한다. 법률상담 진행 시 교정직원의 감시는 허용되나 감청은 불가능하다.
2. In cases in which prisoners do not speak the local language,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facilitate access to the services of an independent competent interpreter.
2. 피구금자가 자국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 교정당국은 독립 통역사의 지원을 허용해야 한다.
3. Prisoners should have access to effective legal aid.
3. 피구금자는 효과적인 법률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다.
Rule 62
규칙 제62조
1. Prisoners who are foreign nationals shall be allowed reasonable facil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diplomatic and consular representatives of the State to which they belong.
1. 외국국적을 가진 피구금자에게는 소속 국가의 외교대표 또는 영사와 소통하기 위한 상당한 편의가 제공되어야 한다.
2. Prisoners who are nationals of States without diplomatic or consular representation in the country and refugees or stateless persons shall be allowed similar facil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diplomatic representative of the State which takes charge of their interests or any national or international authority whose task it is to protect such persons.
2. 외교대표나 영사가 없는 국가의 국적을 가진 피구금자와 망명자 또는 무국적자에 대하여 이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국가의 외교관 또는 이러한 자의 보호를 임무로 하는 국내기관 또는 국제기관과 교통할 수 있는, 전항과 동일한 편의가 제공되어야 한다.
Rule 63
규칙 제63조
Prisoners shall be kept informed regularly of the more important items of news by the reading of newspapers, periodicals or special institutional publications, by hearing wireless transmissions, by lectures or by any similar means as authorized or controlled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피구금자는 신문, 정기간행물 또는 시설의 특별간행물을 읽거나 방송을 청취하며 강연을 듣거나 교정당국이 허가하거나 감독하는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보다 중요한 뉴스를 정기적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한다.
Books
도서
Rule 64
규칙 제64조
Every prison shall have a library for the use of all categories of prisoners, adequately stocked with both recreational and instructional books, and prisoners shall be encouraged to make full use of it.
모든 교도소는 모든 범주의 피구금자가 이용할 수 있는 오락적, 교육적인 도서를 충분히 비치한 도서실을 갖추어야 하고 피구금자가 이를 충분히 이용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Religion
종교
Rule 65
규칙 제64조
1. If the prison contains a sufficient number of prisoners of the same religion, a qualified representative of that religion shall be appointed or approved. If the number of prisoners justifies it and conditions permit, the arrangement should be on a full-time basis.
1. 교도소 내에 동일 종교를 가진 충분한 수의 피구금자가 있는 경우, 그 종교의 자격있는 대표자를 임명하거나 승인해야 하낟. 피구금자의 인원수로 보아 상당하다고 인정되고 또한 여건이 허락하는 경우 그 조치는 상근제를 기초로 해야 한다.
2. A qualified representative appointed or approved under paragraph 1 of this rule shall be allowed to hold regular services and to pay pastoral visits in private to prisoners of his or her religion at proper times.
2. 전 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임명되거나 승인된 유자격 대표자는 정기적으로 종교의식을 실시하고, 수시로 직접 그 종교 소속의 피구금자와 접견하도록 허가되어야 한다.
3. Access to a qualified representative of any religion shall not be refused to any prisoner. On the other hand, if any prisoner should object to a visit of any religious representative, his or her attitude shall be fully respected.
4. 어느 피구금자에게도 어떠한 중교의 자격있는 대표자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한편 피구금자가 그러한 방문을 거절하는 때에는 그의 태도는 충분히 존중되어야 한다.
Rule 66
규칙 제66조
So far as practicable, every prisoner shall be allowed to satisfy the needs of his or her religious life by attending the services provided in the prison and having in his or her possession the books of religious observance and instruction of his or her denomination.
모든 피구금자는 실제적으로 가능한 한 교도소 내에서 거행되는 종교행사에 참석하고 또한 자기 종파의 계율서 및 교훈서를 소지함으로써 그의 종교생활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Retention of prisoners’ property
피구금자의 소유물 보관
Rule 67
규칙 제67조
1. All money, valuables, clothing and other effects belonging to a prisoner which he or she is not allowed to retain under the prison regulations shall on his or her admission to the prison be placed in safe custody. An inventory thereof shall be signed by the prisoner. Steps shall be taken to keep them in good condition.
1. 시설의 규칙에 의하여 피구금자가 소지하는 것이 허가되지 아니하는 물건으로서 그의 소유에 속하는 모든 금전, 유가물, 의류 및 기타의 물건은 입소할 당시에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한다. 보관물에 관하여는 명세서를 작성하고 피구금자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 보관물을 양호한 상태에 두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2. On the release of the prisoner, all such articles and money shall be returned to him or her except in so far as he or she has been authorized to spend money or send any such property out of the prison, or it has been found necessary on hygienic grounds to destroy any article of clothing. The prisoner shall sign a receipt for the articles and money returned to him or her.
2. 모든 보관금품은 피구금자를 석방할 때 그에게 반환되어야 한다. 다만 석방 전에 피구금자가 금전을 사용하거나 보관물품을 시설 밖으로 송부하는 것이 허가된 경우 또는 위생상의 이유로 의류를 폐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피구금자는 반환받은 금품에 관하여 영수증에 서명하여야 한다.
3. Any money or effects received for a prisoner from outside shall be treated in the same way.
3. 외부로부터 수취한 금전 또는 물품도 동일한 방법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4. If a prisoner brings in any drugs or medicine, the physician or other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shall decide what use shall be made of them.
4. 피구금자가 어떤 약물을 반입하는 경우 의사 또는 동등한 자격이 있는 보건의료 전문가는 약물의 용도를 확인해야 한다.
Notifications
통지
Rule 68
규칙 제68조
Every prisoner shall have the right, and shall be given the ability and means, to inform immediately his or her family, or any other person designated as a contact person, about his or her imprisonment, about his or her transfer to another institution and about any serious illness or injury. The sharing of prisoners’ personal information shall be subject to domestic legislation.
모든 피구금자는 자신의 구금 또는 다른 시설로의 이송, 심각한 질병 또는 부상 발생 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가족 또는 제3자를 지명할 권리가 있다. 피구금자의 개인정보의 공유는 자국의 법규에 따른다.
Rule 69
규칙 제69조
In the event of a prisoner’s death, the prison director shall at once inform the prisoner’s next of kin or emergency contact. Individuals designated by a prisoner to receive his or her health information shall be notified by the director of the prisoner’s serious illness, injury or transfer to a health institution. The explicit request of a prisoner not to have his or her spouse or nearest relative notified in the event of illness or injury shall be respected.
피구금자의 사망 시 교도소장은 피구금자의 가까운 친척 또는 비상연락처로 즉시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 피구금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취하기로 지명된 개인은 교도소장으로부터 피구금자의 심각한 질환, 부상, 의료기관으로의 이송 등에 대한 통보를 받아야 한다. 피구금자가 자신의 질병 또는 부상을 배우자나 친지에게 알리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 피구금자의 이러한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
Rule 70
규칙 제70조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inform a prisoner at once of the serious illness or death of a near relative or any significant other. Whenever circumstances allow, the prisoner should be authorized to go, either under escort or alone, to the bedside of a near relative or significant other who is critically ill, or to attend the funeral of a near relative or significant other.
교정당국은 피구금자의 친척 또는 배우자의 심각한 질병이나 사망소식을 피구금자에게 알릴 의무가 있다. 상황이 허락하는 경우 피구금자는 단독 또는 계호 하에 병상에 있는 위중한 친지 또는 배우자 또는 그들의 장례식장을 방문할 수 있어야 한다.
Investigations
조사
Rule 71
규칙 제71조
1. Notwithstanding the initiation of an internal investigation, the prison director shall report, without delay, any custodial death, disappearance or serious injury to a judicial or other competent authority that is independent of the prison administration and mandated to conduct prompt, impartial and effective investigations into the circumstances and causes of such cases.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fully cooperate with that authority and ensure that all evidence is preserved.
1. 교도소장은 피구금자의 사망, 실종, 심각한 부상 발생 시 내부 조사에 착수하고 이를 교정당국과는 독립적으로 존속하는 사법 또는 권한 있는 기관에 지체 없이 보고하고 사건의 원인과 상황에 대한 공정하고 효과적인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교정당국은 관계기관에 최대한 협조하고 모든 증거물을 보존해야 한다.
2. The obligation in paragraph 1 of this rule shall equally apply whenever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to believe that an act of torture or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has been committed in prison, irrespective of whether a formal complaint has been received.
2. 구금시설 내에서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의 행위를 의심할만한 정당한 근거가 있으면 공식적인 진정이 제기되지 않았어도 본 조 제1항의 규칙을 적용해야 한다.
3. Whenever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to believe that an act referred to in paragraph 2 of this rule has been committed, steps shall be taken immediately to ensure that all potentially implicated persons have no involvement in the investigation and no contact with the witnesses, the victim or the victim’s family.
3. 본조 제2항에 명시된 혐의를 인정할 만한 정당한 근거가 있는 경우 혐의 가능성이 있는 자가 조사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하고 증인이나 피해자, 피해자의 가족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Rule 72
규칙 제72조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treat the body of a deceased prisoner with respect and dignity. The body of a deceased prisoner should be returned to his or her next of kin as soon as reasonably possible, at the latest upon completion of the investigation.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facilitate a culturally appropriate funeral if there is no other responsible party willing or able to do so and shall keep a full record of the matter.
교정당국은 사망한 피구금자의 시신을 처리함에 있어 존엄과 존엄성을 지키고 늦어도 조사가 완료되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최근친에게 시신을 인계하여야 한다. 교정당국은 장례식을 치를 사람이 없는 경우 문화적으로 합당한 장례식을 치르고 모든 관련 사항을 기록해야 한다.
Removal of prisoners
피구금자의 이송
Rule 73
규칙 제73조
1. When prisoners are being removed to or from an institution, they shall be exposed to public view as little as possible, and proper safeguards shall be adopted to protect them from insult, curiosity and publicity in any form.
1. 피구금자를 이송할 때에는 가급적 공중의 면전에 드러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하며 모욕, 호기심 및 공표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The transport of prisoners in conveyances with inadequate ventilation or light, or in any way which would subject them to unnecessary physical hardship, shall be prohibited.
2. 환기나 조명이 불충분한 교통수단에 의하거나 불필요한 육체적 고통을 주는 방법으로 피구금자를 이송하는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3. The transport of prisoners shall be carried out at the expense of the prison administration and equal conditions shall apply to all of them.
3. 피구금자의 이송은 행정청의 비용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모든 피구금자에 대하여 균등한 조건이 적용되어야 한다.
Institutional personnel
교도소 직원
Rule 74
규칙 제74조
1.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provide for the careful selection of every grade of the personnel, since it is on their integrity, humanity, professional capacity and personal suitability for the work that the proper administration of prisons depends.
1. 교도소의 적절한 운영관리는 직원의 성실성, 인간성, 업무능력 및 직무에 대한 개인적인 적합성에 달려 있는 것이므로 교정당국은 모든 계급의 직원을 선임할 때 신중히 배려하여야 한다.
2.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constantly seek to awaken and maintain in the minds both of the personnel and of the public the conviction that this work is a social service of great importance, and to this end all appropriate means of informing the public should be used.
2. 교정당국은 직원과 국민의 마음속에 교정업무가 매우 중요한 사회적 봉사라는 확신을 일깨우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고,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국민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모든 적절한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3. To secure the foregoing ends, personnel shall be appointed on a full-time basis as professional prison staff and have civil service status with security of tenure subject only to good conduct, efficiency and physical fitness. Salaries shall be adequate to attract and retain suitable men and women; employment benefits and conditions of service shall be favourable in view of the exacting nature of the work.
3. 위의 목적을 위하여 직원은 전문 교정직원은 상근제를 기초로 임용되어야 하고 선량한 품행, 능력 및 건강이 결여되지 않는 한 임기가 보장되는 공무원 신분을 지녀야 한다. 직원의 보수는 적합한 남녀를 채용하여 계속 고용하기에 적절한 수준이 되어야 한다. 고용상의 복리 및 근무조건은 직무의 성과에 비추어 적합하여야 한다.
Rule 75
규칙 제75조
1. All prison staff shall possess an adequate standard of education and shall be given the ability and means to carry out their duties in a professional manner.
1. 교정시설의 모든 직원들은 적정수준의 교육과 전문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수단과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
2. Before entering on duty, all prison staff shall be provided with training tailored to their general and specific duties, which shall be reflective of contemporary evidence-based best practice in penal sciences. Only those candidates who successfully pa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ests at the end of such training shall be allowed to enter the prison service.
2. 모든 직원들은 직무를 부여받기 전에 현대 형벌학의 모범사례를 반영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교육 이수 시 이론과 실무시험에 합격한 자만이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
3. The prison administration shall ensure the continuous provision of in service training courses with a view to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knowledge and professional capacity of its personnel, after entering on duty and during their career.
3. 교정당국은 지속적인 직무교육을 실시하여 직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Rule 76
규칙 제76조
1. Training referred to in paragraph 2 of rule 75 shall include, at a minimum, training on:
1. 제75조 제2항에 명시된 교육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a) Relevant national legislation, regulations and policies, as well as applicable international and regional instruments, the provisions of which must guide the work and interactions of prison staff with inmates;
(a) 자국의 관련 법규와 정책, 국제적ㆍ지역적 기준, 직무와 피구금자들과의 관계에 대한 지침사항 등
(b) Rights and duties of prison staff in the exercise of their functions, including respecting the human dignity of all prisoners and the prohibition of certain conduct, in particular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b) 모든 피구금자들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ㆍ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을 하지 않는 등 교정시설 직원들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부여되는 권리와 지켜야 할 의무사항
(c) Security and safety, including the concept of dynamic security, the use of force and instruments of restraint, and the management of violent offenders, with due consideration of preventive and defusing techniques, such as negotiation and mediation;
(c) 동적 보안(dynamic security)에 대한 개념, 강제력과 보호장비의 사용, 폭력적인 피구금자의 관리 등 보안 및 안전에 관한 사항과 협상과 중재 등 예방 및 대처 기술
(d) First aid, the psychosocial needs of prisoners and the corresponding dynamics in prison settings, as well as social care and assistance, including early detection of mental health issues.
(d) 응급조치, 피구금자의 심리사회적 요구와 그에 따른 교도소 환경의 역학관계, 정신 건강 문제의 조기 발견을 포함한 사회적 보호조치와 지원
2. Prison staff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with certain categories of prisoners, or who are assigned other specialized functions, shall receive training that has a corresponding focus.
2. 특정 부류의 피구금자들을 관리하거나 특수 직무를 담당하는 교정시설의 직원들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적합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Rule 77
규칙 제77조
All prison staff shall at all times so conduct themselves and perform their duties as to influence the prisoners for good by their example and to command their respect.
모든 교정직원은 항상 피구금자들에게 모범을 보이고 존경을 받을 수 있도록 행동하고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Rule 78
규칙 제78조
1. So far as possible, prison staff shall include a sufficient number of specialists such as psychiatrists, psychologists, social workers, teachers and trade instructors.
1. 교정시설의 인력에는 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사회복지사, 교사 및 직업강사 등 충분한 수의 전문인력이 포함되어야 한다.
2. The services of social workers, teachers and trade instructors shall be secured on a permanent basis, without thereby excluding part-time or voluntary workers.
2. 사회복지사와 교사, 직업강사의 직무는 비상근직과 자원봉사자 이외에 정규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Rule 79
규칙 제79조
1. The prison director should be adequately qualified for his or her task by character, administrative ability, suitable training and experience.
1. 교도소장은 인품, 행정관리능력, 교육, 경험 등에 있어서 직무에 대한 충분한 자격을 갖춰야 한다.
2. The prison director shall devote his or her entire working time to official duties and shall not be appointed on a part-time basis. He or she shall reside on the premises of the prison or in its immediate vicinity.
2. 교도소장은 업무시간에 직무에 충분해야 하며 시간제로 고용되어서는 안되며 교정시설 및 인접한 장소에 거주해야 한다.
3. When two or more prisons are under the authority of one director, he or she shall visit each of them at frequent intervals. A responsible resident official shall be in charge of each of these prisons.
3. 교도소장 1인이 두 개 이상의 교정시설을 관리하는 경우 교도소장은 각각의 시설을 자주 방문해야 하며 각 시설마다 상근하는 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Rule 80
규칙 제80조
1. The prison director, his or her deputy, and the majority of other prison staff shall be able to speak the language of the greatest number of prisoners, or a language understood by the greatest number of them.
1. 교도소장과 부소장, 기타 대다수의 직원들은 피구금자 다수에게 통용되는 언어를 구사해야 한다.
2. Whenever necessary, the services of a competent interpreter shall be used.
2. 필요 시 자격을 갖춘 통역사가 지원되어야 한다.
Rule 81
규칙 제81조
1. In a prison for both men and women, the part of the prison set aside for women shall be under the authority of a responsible woman staff member who shall have the custody of the keys of all that part of the prison.
1. 남녀 피구금자를 함께 수용하고 있는 시설에서는 여성 전용구역에 여성 책임자를 두고 해당 구역의 모든 열쇠를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2. No male staff member shall enter the part of the prison set aside for women unless accompanied by a woman staff member.
2. 남성직원은 여성 직원의 동반 없이는 여성구역에 출입할 수 없다.
3. Women prisoners shall be attended and supervised only by women staff members. This does not, however, preclude male staff members, particularly doctors and teachers, from carrying out their professional duties in prisons or parts of prisons set aside for women.
3. 여성직원만이 여성 피구금자를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남성 직원, 특히 의사와 교사가 교정시설이나 여성 전용구역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Rule 82
규칙 제82조
1. Prison staff shall not, in their relations with the prisoners, use force except in self-defence or in cases of attempted escape, or active or passive physical resistance to an order based on law or regulations. Prison staff who have recourse to force must use no more than is strictly necessary and must report the incident immediately to the prison director.
1. 교정시설의 직원들은 피구금자와의 관계에서 정당방위, 피구금자의 도주 기도 또는 법령에 의한 명령에 대한 적극적ㆍ소극적인 신체적 저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구금자에게 물리력을 행사하여서는 안된다. 교정시설의 직원이 물리력에 의지하는 경우 엄격히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를 넘지 않아야 하며 즉시 교도소장에게 사태를 보고하여야 한다.
2. Prison staff shall be given special physical training to enable them to restrain aggressive prisoners.
2. 교정직원은 공격적인 피구금자를 제지할 수 있도록 특수체력훈련을 받아야 한다.
3. Except in special circumstances, prison staff performing duties which bring them into direct contact with prisoners should not be armed. Furthermore, prison staff should in no circumstances be provided with arms unless they have been trained in their use.
3. 직무상 피구금자와 직접 접촉하는 직원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기를 휴대하여서는 안된다. 더구나 무기의 사용에 관한 훈련을 받지 아니한 직원에게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기를 지급해서는 안된다.
Internal and external inspections
내ㆍ외부 감사
Rule 83
규칙 제83조
1. There shall be a twofold system for regular inspections of prisons and penal services:
1. 교정시설과 형법집행에 있어 정기감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되어야 한다.
(a) Internal or administrative inspections conducted by the central prison administration;
(a) 중앙 교정당국에서 실시하는 내부 또는 행정 감사
(b) External inspections conducted by a body independent of the prison administration, which may include competent international or regional bodies.
(b) 교정당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속하는 외부기관(국제 또는 지역 기관 포함)의 감사
2. In both cases, the objective of the inspections shall be to ensure that prisons are managed in accordance with existing laws, regulations, policies and procedures, with a view to bringing about the objectives of penal and corrections services, and that the rights of prisoners are protected.
2. 모든 감사의 목적은 교정시설이 관련 법규와 정책, 절차에 따라 관리되고 형법상의 교정업무가 올바로 이루어지며 피구금자의 권리가 보호되고 있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Rule 84
규칙 제84조
1. Inspectors shall have the authority:
1. 감독관은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져야 한다.
(a) To access all information on the numbers of prisoners and places and locations of detention, as well as all information relevant to the treatment of prisoners, including their records and conditions of detention;
(a) 수용인원과 장소 등 모든 관련 정보와 수용시설의 환경과 기록 등 피구금자들의 처우에 관한 모든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b) To freely choose which prisons to visit, including by making unannounced visits at their own initiative, and which prisoners to interview;
(b) 사전 통보 없이 특정 피구금자를 방문하여 면담을 할 수 있다.
(c) To conduct private and fully confidential interviews with prisoners and prison staff in the course of their visits;
(c) 방문 시 피구금자 또는 직원들과 단독으로 비밀면담을 실시할 수 있다.
(d) To make recommendations to the prison administration and other competent authorities.
(d) 교정당국과 기타 관계 기관에 권고사항을 전달할 수 있다.
2. External inspection teams shall be composed of qualified and experienced inspectors appointed by a competent authority and shall encompass health-care professionals. Due regard shall be given to balanced gender representation.
2. 외부감사는 관계 기관에 소속된 자격과 경험을 보유한 감독관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보건 분야의 전문가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남성과 여성을 공평하게 대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Rule 85
규칙 제85조
1. Every inspection shall be followed by a written report to be submitted to the competent authority. Due consideration shall be given to making the reports of external inspections publicly available, excluding any personal data on prisoners unless they have given their explicit consent.
1. 감사를 실시한 후에는 관계 기관에 서면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하며 이러한 보고서는 동의를 얻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구금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일반에게 공개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2. The prison administration or other competent authorities, as appropriate, shall indicate, within a reasonable time, whether they will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resulting from the external inspection.
2. 교정당국 또는 기타 관계 기관은 합당한 시일 내에 외부 감사를 통해 제시된 권고사항을 반영할 것인지 발표해야 한다.
II. Rules applicable to special categories
제2부 특별한 범주에 적용되는 규칙
A. Prisoners under sentence
A. 수형자
Guiding principles
이행원칙
Rule 86
규칙 제86조
The guiding principles hereafter are intended to show the spirit in which penal institutions should be administered and the purposes at which they should aim, in accordance with the declaration made under preliminary observation 1 of these rules.
아래 지도원리는 교정시설이 운영되어야 할 정신 및 지향하여야 할 목적을 서칙 제1조의 선언에 맞추어 제시하는 것이다.
Rule 87
규칙 제87조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sentence, it is desirable that the necessary steps be taken to ensure for the prisoner a gradual return to life in society. This aim may be achieved, depending on the case, by a pre-release regime organized in the same prison or in another appropriate institution, or by release on trial under some kind of supervision which must not be entrusted to the police but should be combined with effective social aid.
형기를 마치기 전까지 수형자가 사회로 원활히 복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준비절차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경우에 따라서 경찰에 위탁하는 것이 아닌 효과적인 사회적 지원을 통해 조기 석방 제도를 실시하거나 감독 하에 심의를 거쳐 석방하는 제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Rule 88
규칙 제88조
1. The treatment of prisoners should emphasize not their exclusion from the community but their continuing part in it. Community agencies should therefore be enlisted wherever possible to assist the prison staff in the task of social rehabilitation of the prisoners.
1. 수형자의 처우는 사회로부터의 배제가 아니라 사회와의 계속적인 관계를 강조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회의 여러 기관은 가능한 한 어디서든지 수형자의 사회복귀사업에 관하여 교정직원을 원조하기 위하여 참여해야 한다.
2. There should be in connection with every prison social workers charged with the duty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all desirable relations of a prisoner with his or her family and with valuable social agencies. Steps should be taken to safeguard, to the maximum extent compatible with the law and the sentence, the rights relating to civil interests, social security rights and other social benefits of prisoners.
2. 사회복지사는 모든 교도소와 연계하여 수형자와 가족 및 유용한 사회기관 사이의 모든 바람직한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임무를 맡아야 한다. 법률과 판결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수형자의 사법상의 이익에 관한 권리, 사회보장상의 권리 및 그 밖의 사회적 이익을 최대한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Rule 89
규칙 제89조
1. The fulfilment of these principles requires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nd for this purpose a flexible system of classifying prisoners in groups. It is therefore desirable that such groups should be distributed in separate prison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each group.
1. 이들 원칙들을 집행하는 데 있어서는 처우의 개별화와 이 목적을 위하여 수형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신축성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들 그룹은 각각의 처우에 적합한 개벌 교도소에 배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These prisons do not need to provide the same degree of security for every group. It is desirable to provide varying degrees of security according to the needs of different groups. Open prisons, by the very fact that they provide no physical security against escape but rely on the self-discipline of the inmates, provide the conditions most favourable to the rehabilitation of carefully selected prisoners.
2. 교도소가 모든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정보의 보안조치를 할 필요는 없다. 상이한 그룹의 필요에 맞추어 다양한 수준의 보안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교도소는 도주에 대한 물리적 보안조치 없이 피구금자의 자율을 신뢰하는 바로 그 사실에 의하여 신중하게 선발된 수형자의 사회복귀에 가장 유익한 상황을 제공한다.
3. It is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prisoners in closed prisons should not be so large that the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is hindered. In some countries it is considered that the population of such prisons should not exceed 500. In open prisons the population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3. 폐쇄교도소에서 수형자의 수는 개별처우가 방해받을 정도로 많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나라에서는 이들 교도소의 수용인원이 500명을 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개방교도소의 수용인원은 가능한 한 적어야 한다.
4. On the other hand, it is undesirable to maintain prisons which are so small that proper facilities cannot be provided.
4. 반면에, 적당한 설비를 마련할 수 없을 만큼 소규모 교도소를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Rule 90
규칙 제90조
The duty of society does not end with a prisoner’s release. There should, therefore, be governmental or private agencies capable of lending the released prisoner efficient aftercare directed towards the lessening of prejudice against him or her and towards his or her social rehabilitation.
사회의 의무는 수형자의 석방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석방된 수형자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사회복귀를 돕기 위하여 효과적인 갱생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정부기관 또는 사립기관이 있어야 한다.
Treatment
처우
Rule 91
규칙 제91조
The treatment of persons sentenced to imprisonment or a similar measure shall have as its purpose, so far as the length of the sentence permits, to establish in them the will to lead law-abiding and self-supporting lives after their release and to fit them to do so. The treatment shall be such as will encourage their self-respect and develop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구금형 또는 이와 유사한 처분을 선고받은 자에 대한 처우는 형기가 허용하는 한 그들이 석방된 후에 준법적이고 자활적인 생활을 할 의지를 심어주고 이를 준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처우는 그들의 자존심을 키워주고 책임감을 고취하는 것이어야 한다.
Rule 92
규칙 제92조
1. To these ends, all appropriate means shall be used, including religious care in the countries where this is possible, education, vocational guidance and training, social casework, employment counselling, physical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moral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prisoner, taking account of his or her social and criminal history, physical and mental capacities and aptitudes, personal temperament, the length of his or her sentence and prospects after release.
1.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가능한 국가의 경우 종교적 지도가 가능한 국가에서는 종교적 지도, 교육, 직업 알선과 훈련, 사회복지사업으로서의 생활 환경 조성, 취업상담, 신체의 단련과 덕성의 강화를 포함하는 모든 적당한 방법이 수형자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그 사회적, 범죄적 경력, 신체와 정신의 능력과 적정성, 개인적 기질, 형기 및 석방 후의 전망을 참작하여 활용되어야 한다.
2. For every prisoner with a sentence of suitable length, the prison director shall receive, as soon as possible after his or her admission, full reports on all the matters referred to in paragraph 1 of this rule. Such reports shall always include a report by the physician or other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on the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of the prisoner.
2. 교도소장은 적당한 형기에 놓인 모든 수형자에 대하여 수용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전항의 사항 전부에 관하여 완전한 보고를 받아야 한다. 이 보고에는 반드시 수형자의 신체와 정신상태에 관하여 의사 또는 다른 자격이 있는 보건의료 전문가의 보고가 포함되어야 한다.
3. The reports and other relevant documents shall be placed in an individual file. This file shall be kept up to date and classifi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consulted by the responsible personnel whenever the need arises.
3. 보고서와그 밖의 관계문서는 개별 문서철에 편철되어야 한다. 이 문서철은 항상 최선의 정보를 담도록 유지되어야 하고 필요한 때에는 언제라도 책임 있는 직원이 참고할 수 있도록 분류되어야 한다.
Clas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분류 및 개별화
Rule 93
규칙 제93조
1. The purposes of classification shall be:
1. 분류의 목적은 아래의 것이어야 한다.
(a) To separate from others those prisoners who, by reason of their criminal records or characters, are likely to exercise a bad influence;
(a) 범죄경력이나 나쁜 성격으로 인하여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수형자를 다른 수행자로부터 격리하는 것
(b) To divide the prisoners into classes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treatment with a view to their social rehabilitation.
(b) 사회복귀를 위하여 처우를 용이하게 하고자 수형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
2. So far as possible, separate prisons or separate sections of a prison shall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different classes of prisoners.
2. 상이한 그룹의 수형자의 처우에는 가능한 한 다른 교도소 또는 교도소의 다른 구역이 사용되어야 한다.
Rule 94
규칙 제94조
As soon as possible after admission and after a study of the personality of each prisoner with a sentence of suitable length, a programme of treatment shall be prepared for him or her in the light of the knowledge obtained about his or her individual needs, capacities and dispositions.
적정한 형기의 수형자에 대하여는 수용 및 인성검사 후 가능한 한 신속하게 그의 개인적 필요와 능력, 성격에 관하여 얻어진 정보를 참작하여 처우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Privileges
특권
Rule 95
규칙 제95조
Systems of privileges appropriate for the different classes of prisoners and the different methods of treatment shall be established at every prison, in order to encourage good conduct, develop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cure the interest and cooperation of prisoners in their treatment.
수형자의 그룹과 처우방법에 따라 각각 적합한 특권제도를 모든 교도소에 두어 선행을 장려하고 책임감을 향상시키며 처우에 관한 수형자들의 관심과 협력을 불러일으키도록 하여야 한다.
Work
작업
Rule 96
규칙 제96조
1. Sentenced prisoners shall have the opportunity to work and/o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rehabilitation, subject to a determination of physical and mental fitness by a physician or other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1. 형을 받은 수형자는 작업활동이나 사회복귀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야 하고 이는 의사 또는 그 밖의 자격을 가진 보건의료 전문가가 수형자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2. Sufficient work of a useful nature shall be provided to keep prisoners actively employed for a normal working day.
2. 통상 작업일에는 수형자가 활동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유용하고 충분한 작업량이 주어져야 한다.
Rule 97
규칙 제97조
1. Prison labour must not be of an afflictive nature.
1. 교도작업은 성질상 고통을 주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2. Prisoners shall not be held in slavery or servitude.
2. 수형자는 노예 또는 하인으로 취급되어서는 안된다.
3. No prisoner shall be required to work for the personal or private benefit of any prison staff.
3. 수형자는 교정직원 개인 또는 사적인 이득을 위해 작업을 해서는 안된다.
Rule 98
규칙 제98조
1. So far as possible the work provided shall be such as will maintain or increase the prisoners’ ability to earn an honest living after release.
1. 제공되는 직업은 가능한 수형자에게 석방 후 정직한 삶을 살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게 하거나 증진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2. Vocational training in useful trades shall be provided for prisoners able to profit thereby and especially for young prisoners.
2. 실용적인 직종의 직업훈련은 그 직종으로 소득을 얻을 능력이 있는 수형자와 특히 소년수형자를 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 Within the limits compatible with proper vocational selection and with the requirements of institutional administration and discipline, prisoners shall be able to choose the type of work they wish to perform.
3. 수형자는 적정한 직업선택에 부합하고 시설관리와 규율의 필요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원하는 종류의 작업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Rule 99
규칙 제99조
1. The organization and methods of work in prisons shall resemble as closely as possible those of similar work outside of prisons, so as to prepare prisoners for the conditions of normal occupational life.
1. 교도작업이 조직 및 방법은 가능한 한 시설 밖의 동종 작업과 유사하게 하여 수형자를 정상적인 직업생활 환경에 준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2. The interests of the prisoners and of their vocational training, however, must not be subordinated to the purpose of making a financial profit from an industry in the prison.
2. 그러나 수형자들의 이익과 직업훈련은 교도소 내 사업에서 재정적 이익의 목적에 종속되어서는 안된다.
Rule 100
규칙 제100조
1. Preferably, institutional industries and farms should be operated directly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and not by private contractors.
1. 시설의 공장 및 농장은 되도록 당국에 의하여 직접 운영되어야 하고 개인 계약자에 의하여 운영되어서는 안된다.
2. Where prisoners are employed in work not controlled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they shall always be under the supervision of prison staff. Unless the work is for other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the full normal wages for such work shall be paid to the prison administration by the persons to whom the labour is supplied, account being taken of the output of the prisoners.
2. 수형자는 교정당국이 관리하지 아니하는 작업에 종사할 경우에도 항상 교정직원의 감독하에 있어야 한다. 작업이 정부의 다른 부서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아닌 때에는 작업에 대한 통상의 충분한 임금이 작업을 제공받는 자로부터 교정당국에 지급되어야 하며, 수형자들의 생산고가 참작되어야 한다.
Rule 101
규칙 제101조
1. The precautions laid down to protect the safety and health of free workers shall be equally observed in prisons.
1. 자유로운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 규정은 법률에 의하여 자유노동자에게 인정되는 조건보다 불리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2. Provision shall be made to indemnify prisoners against industrial injury, including occupational disease, on terms not less favourable than those extended by law to free workers.
2. 직업병을 포함하여 산업재해로부터 수형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 규정은 법률에 의하여 자유노동자에게 인정되는 조건보다 불리한 것이어서는 안된다.
Rule 102
규칙 제102조
1. The maximum daily and weekly working hours of the prisoners shall be fixed by law or by administrative regulation, taking into account local rules or custom in regard to the employment of free workers.
1. 수형자의 하루 및 주당 최대 작업시간은 자유노동자의 고용에 관한 해당 지역의 기준과 관습을 참작하여 법률 또는 행정규칙으로 정하여야 한다.
2. The hours so fixed shall leave one rest day a week and sufficient time for education and other activities required as part of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prisoners.
2. 정해진 작업시간은 주당 하루의 휴일과 수형자에 대한 처우 및 사회복귀 원조의 일부로써 요구되는 교육과 그 밖의 활동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남겨두는 것이어야 한다.
Rule 103
규칙 제103조
1. There shall be a system of equitable remuneration of the work of prisoners.
1. 수형자의 작업에 대한 공정한 보수제도가 있어야 한다.
2. Under the system, prisoners shall be allowed to spend at least a part of their earnings on approved articles for their own use and to send a part of their earnings to their family.
2. 이 제도에 다라 수형자는 적어도 수입의 일부를 자신의 용도를 위하여 허가된 물품을 구입하는 데 사용하고 일부를 가족에게 보내는 것이 허용되어야 한다.
3. The system should also provide that a part of the earnings should be set aside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so as to constitute a savings fund to be handed over to the prisoner on his or her release.
3. 이 제도는 아울러 시설이 수입의 일부를 떼어 저축기금을 마련하여 석방 때 수형자에게 교부되도록 규정하여야 한다.
Education and recreation
교육 및 오락
Rule 104
규칙 제104조
1. Provision shall be made for the further education of all prisoners capable of profiting thereby, including religious instruction in the countries where this is possible. The education of illiterate prisoners and of young prisoners shall be compulsory and special attention shall be paid to it by the prison administration.
1. 성인교육에 관한 규정을 두어 이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수형자에게 행하여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는 가능한 국가의 경우 종교교육이 포함된다. 문맹자 및 소년수형자의 교육은 의무적이어야 하고 교정당국은 이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 So far as practicable, the education of prisoners shall be integrated with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country so that after their release they may continue their education without difficulty.
2. 가능한 한 수형자 교육은 그 국가의 교육제도에 통합하여 수형자가 석방 후 어려움 없이 계속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Rule 105
규칙 제105조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shall be provided in all prisons for the benefit of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prisoners.
오락 활동과 문화 활동은 수형자의 정신적ㆍ신체적 건강을 위하여 모든 교정시설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Social relations and aftercare
사회관계 및 갱생보호
Rule 106
규칙 제106호
Special attention shall be paid to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such relations between a prisoner and his or her family as are desirable in the best interests of both.
수형자와 그 가족의 관계를 쌍방의 최상의 이익을 위하여 바람직한 것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Rule 107
규칙 제107조
From the beginning of a prisoner’s sentence, consideration shall be given to his or her future after release and he or she shall be encouraged and provided assistance to maintain or establish such relations with persons or agencies outside the prison as may promote the prisoner’s rehabilitation and the best interests of his or her family.
수형자의 형기가 시작될 때부터 사전에 석방 이후의 미래에 관한 배려를 하여야 하며, 시설 외부의 개인 또는 기관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수립하도록 권장하고 원조하여 수형자 자신의 사회복귀와 수형자 가족의 최상의 이익을 촉진해야 한다.
Rule 108
규칙 제108조
1. Services and agencies, governmental or otherwise, which assist released prisoners in re-establishing themselves in society shall ensure, so far as is possible and necessary, that released prisoners are provided with appropriate documents and identification papers, have suitable homes and work to go to, are suitably and adequately clothed having regard to the climate and season and have sufficient means to reach their destination and maintain themselves in the period immediately following their release.
1. 석방된 수형자의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정부의 또는 그 밖의 부서와 기관은 가능하고 필요한 한도 내에서 피석방자가 적절한 문서 및 신분증명서를 지급받고, 돌아갈 적절한 주거와 직업을 가지며, 기후와 계절을 고려하여 적당하고 충분한 의복을 입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석방 직후의 기간을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받도록 해야 한다.
2. The approved representatives of such agencies shall have all necessary access to the prison and to prisoners and shall be taken into consultation as to the future of a prisoner from the beginning of his or her sentence.
2. 그러한 기관의 승인된 대표자는 교도소 및 수형자와 필요한 모든 접촉을 가져야 하며 또한 수형자의 장래에 대하여 형기 초기부터 상담을 받아야 한다.
3. It is desirable that the activities of such agencies shall be centralized or coordinated as far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the best use of their efforts.
3. 이 기관들의 활동은 그 노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중앙에 집중시키고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Prisoners with mental disabilities and/or health conditions
B. 정신장애 또는 정신질환을 가진 피구금자
Rule 109
규칙 제109조
1. Persons who are found to be not criminally responsible, or who are later diagnosed with severe mental disabilities and/or health conditions, for whom staying in prison would mean an exacerbation of their condition, shall not be detained in prisons, and arrangements shall be made to transfer them to mental health facilities as soon as possible.
1. 범죄의 위험이 없다고 판명되거나 심각한 정신장애 또는 정신질환을 진단받은 자로서 교정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이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 가능한 조속히 해당 피구금자를 정신보건시설로 이송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2. If necessary, other prisoners with mental disabilities and/or health conditions can be observed and treated in specialized facilities under the supervision of qualified health-care professionals.
2. 정신장애 또는 정신질환을 가진 피구금자들은 필요 시 자격을 가진 보건의료 전문가의 감독 하에 특수시설에서 관찰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3. The health-care service shall provide for the psychiatric treatment of all other prisoners who are in need of such treatment.
3. 기타 정신병 치료(psychiatric treatment)를 필요로 하는 모든 피구금자에게는 해당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Rule 110
규칙 제110조
It is desirable that steps should be taken, by arrangement with the appropriate agencies, to ensure if necessary the continuation of psychiatric treatment after release and the provision of social-psychiatric aftercare.
필요한 경우 사회ㆍ정신학적 사후보고를 위하여 석방 후 정신치료가 계속되도록 적절한 기관과의 협의에 따라 조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Prisoners under arrest or awaiting trial
C. 미결 피구금자
Rule 111
규칙 제111조
1. Persons arrested or imprisoned by reason of a criminal charge against them, who are detained either in police custody or in prison custody (jail) but have not yet been tried and sentenced, will be referred to as “untried prisoners” hereinafter in these rules.
1. 범죄의 혐의로 체포 또는 구속되어 경찰서 유치장 또는 교도소에 유치중이지만 아직 사실심리와 선고를 받지 아니한 자는 이 규칙에서 이하 '미결피구금자'라고 한다.
2. Unconvicted prisoners are presumed to be innocent and shall be treated as such.
2. 유죄판결을 받지 아니한 피구금자는 무 죄로 추정되고 무죄인 자로서 처우되어야 한다.
3. Without prejudice to legal rules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liberty or prescribing the procedure to be observed in respect of untried prisoners, these prisoners shall benefit from a special regime which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rules in its essential requirements only.
3.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법령이나 미결피구금자에 관하여 준수되어야 할 절차를 규정하는 법령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미결피구금자는 이하의 규칙에서 핵심사항에 관하여서만 기술하고 있는 특별한 제도에 의하여 혜택을 받아야 한다.
Rule 112
규칙 제112조
1. Untried prisoners shall be kept separate from convicted prisoners.
1. 미결피구금자는 수형자와 분리수용되어야 한다.
2. Young untried prisoners shall be kept separate from adults and shall in principle be detained in separate institutions.
2. 소년 미결피구금자는 성인과 분리되며 원칙적으로 시설에 구금되어야 한다
Rule 113
규칙 제113조
Untried prisoners shall sleep singly in separate rooms, with the reservation of different local custom in respect of the climate.
미결피구금자는 기후에 따라 상이한 지역적 관습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분리된 거실에서 혼자 자야한다.
Rule 114
규칙 제114조
Within the limits compatible with the good order of the institution, untried prisoners may, if they so desire, have their food procured at their own expense from the outside, either through the administration or through their family or friends. Otherwise, the administration shall provide their food.
시설의 질서와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미결피구금자는 희망하는 경우 자기의 비용으로 교정당국, 가족 또는 친구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차입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그 밖의 경우에는 교정당국이 이들의 음식을 제공하여야 한다.
Rule 115
규칙 제115조
An untried prisoner shall be allowed to wear his or her own clothing if it is clean and suitable. If he or she wears prison dress, it shall be different from that supplied to convicted prisoners.
미결피구금자에게는 청결하고 적당한 사복을 입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미결피구금자가 피구금자복을 입는 경우 그 피구금자복은 수형자에게 지급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어야 한다.
Rule 116
규칙 제116조
An untried prisoner shall always be offered the opportunity to work, but shall not be required to work. If he or she chooses to work, he or she shall be paid for it.
미결피구금자에게는 항상 작업의 기회가 주어져야 하나 작업의 의무가 부과되어서는 안된다. 미결 피구금자가 작업을 선택한 경우 보수가 지급되어야 한다.
Rule 117
규칙 제117조
An untried prisoner shall be allowed to procure at his or her own expense or at the expense of a third party such books, newspapers, writing material and other means of occupation as are compatible with the interests of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and the security and good order of the institution.
미결피구금자는 자기 또는 제3자의 비용으로 재판 및 시설의 안전과 질서를 해하지 않는 서적, 신문, 필기용구 및 기타 소일거리를 구입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Rule 118
규칙 제118조
An untried prisoner shall be allowed to be visited and treated by his or her own doctor or dentist if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for the application and he or she is able to pay any expenses incurred.
미결피구금자가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신청하고 모든 비용을 지급할 수 있는 경우 자신의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방문과 치료를 받는 것이 허용되어야 한다.
Rule 119
규칙 제119조
1. Every untried prisoner has the right to be promptly informed about the reasons for his or her detention and about any charges against him or her.
1. 미결피구금자는 자신이 구금된 이유와 혐의를 즉시 알 권리가 있다.
2. If an untried prisoner does not have a legal adviser of his or her own choice, he or she shall be entitled to have a legal adviser assigned to him or her by a judicial or other authority in all cases where the interests of justice so require and without payment by the untried prisoner if he or she does not have sufficient means to pay. Denial of access to a legal adviser shall be subject to independent review without delay.
2. 미결피구금자가 스스로 선임한 법률자문가가 없는 경우, 사법기관 또는 관계기관에서 법률자문가를 선임하고 미결피구금자가 비용을 지불할 수 없을 경우 무상으로 법률자문을 제공해야 한다. 법률자문가의 조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별도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Rule 120
규칙 제120조
1. The entitlements and modalities governing the access of an untried prisoner to his or her legal adviser or legal aid provider for the purpose of his or her defence shall be governed by the same principles as outlined in rule 61.
1. 미결피구금자의 변호를 위한 법률자문가 또는 법률구조 제공자에 대한 권리와 지원 방식은 제61조에 명시된 원칙에 입각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2. An untried prisoner shall, upon request, be provided with writing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documents related to his or her defence, including confidential instructions for his or her legal adviser or legal aid provider.
2. 미결피구금자는 자신의 변호를 준비하기 위해 필기도구를 제공받을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자신의 법률자문과 또는 법률구조 제공자에게 기물로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D. Civil prisoners
D. 민사상의 피구금자
Rule 121
규칙 제121조
In countries where the law permits imprisonment for debt, or by order of a court under any other non-criminal process, persons so imprisoned shall not be subjected to any greater restriction or severity than is necessary to ensure safe custody and good order. Their treatment shall be not less favourable than that of untried prisoners, with the reservation, however, that they may possibly be required to work.
법률상 채무로 인한 구금 또는 그 밖의 비형사적 절차에 따른 법원의 명령에 의하여 구금이 허용되고 있는 국가에서 이들 피구금자는 안전한 구금과 질서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한도를 넘는 어떠한 속박이나 고통도 받아서는 안된다. 이들에 대한 처우는 작업의 의무가 과하여질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미결피구금자에 대한 처우보다 불리하여서는 안된다.
E. Persons arrested or detained without charge
E. 혐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된 자
Rule 122
규칙 제122조
Without prejudice to the provisions of article 9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29 persons arrested or imprisoned without charge shall be accorded the same protection as that accorded under part I and part II, section C, of these rules. Relevant provisions of part II, section A, of these rules shall likewise be applicable where their application may be conducive to the benefit of this special group of persons in custody, provided that no measures shall be taken implying that re-education or rehabilitation is in any way appropriate to persons not convicted of any criminal offence.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9조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 범죄의 혐의 없는 체포 또는 구금된 자는 제1부외 제2부 C절에 규정된 동일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본 규칙 제2부 A절의 관련 규정도 그 적용이 특수한 그룹에 속한 피구금자에게 이익이 될 때에는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다만 범죄에 대한 유죄판결을 받지 아니한 자에게도 재교육이나 갱생조치가 적절하다는 취지의 조치는 취하지 아니한다는 조건으로, 그러한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구금 중인 특별한 그루브이 사람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경우에 한한다.
FootNote
각주
1)
See rule 67 of the United Nations Rules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s Deprived of their Liberty (resolution 45/113, annex); and rule 22 of the United Nations Rules for the Treatment of Women Prisoners and Non-custodial Measures for Women Offenders (the Bangkok Rules) (resolution 65/229, annex).
*주
1) See rule 67 of the United Nations Rules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s Deprived of their Liberty (resolution 45/113, annex); and rule 22 of the United Nations Rules for the Treatment of Women Prisoners and Non-custodial Measures for Women Offenders (the Bangkok Rules) (resolution 65/229, annex).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