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협약
Slavery Convention
채택일 1926. 9. 25.
/ 발효일 1927. 3. 9.
Slavery Convention
노예협약
Signed at Geneva on 25 September 1926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서명
Entry into force: 9 March 1927, in accordance with article 12.
발효: 제12조에 따라 1927년 3월 9일
The Convention was amended by the Protocol done at the Headquarters of the United Nations, New York, on 7 December 1953; the amended Convention entered into force on 7 July 1955, the date on which the amendments, set forth in the annex to the Protocol of 7 December 1953, entered into force in accordance with article III of the Protocol.
이 협약은 1953년 12월 7일 국제연합 뉴욕 본부에서 작성된 의정서에 의해 개정되었으며 개정 협약은 1953년 12월 7일 자 의정서의 부속서에 규정된 개정안이 이 의정서 제3조에 따라 발효한 날인 1955년 7월 7일 발효했다.
Whereas the signatories of the General Act of the Brussels Conference of 1889-90 declared that they were equally animated by the firm intention of putting an end to the traffic in African slaves,
1889-90년 브뤼셀 회의 일반 의정서의 서명자들은 아프리카 노예무역을 종식하겠다는 확고한 의지에 동등하게 고무되었다고 선언하고,
Whereas the signatories of the Convention of Saint-Germain-en-Laye of 1919, to revise the General Act of Berlin of 1885 and the General Act and Declaration of Brussels of 1890, affirmed their intention of securing the complete suppression of slavery in all its forrns and of the slave trade by land and sea,
1885년 베를린 일반 의정서와 1890년 브뤼셀 일반 의정서 및 선언을 개정하기 위한 1919년 생제르맹-앙-레이 협약의 서명자들은 모든 형태의 노예 상태 및 육상 및 해상 노예 거래의 완전한 억제를 보장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며,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port of the Temporary Slavery Commission appointed by the Council of the League of Nations on June 12th, 1924,
1924년 6월 12일 국제연맹 이사회에서 임명된 노예 상태에 관한 임시 위원회의 보고서를 고려하고,
Desiring to complete and extend the work accomplished under the Brussels Act and to find a means of giving practical effect throughout the world to such intentions as were expressed in regard to slave trade and slavery by the signatories of the Convention of Saint-Germain-en-Laye, and recognising that it is necessary to conclude to that end more detailed arrangements than are contained in that Convention,
브뤼셀 의정서에 따라 달성된 성과를 완성하고 확대하며 생제르맹-앙-레이 협약의 서명자들이 노예 거래 및 노예 상태와 관련하여 표명한 이러한 의사에 전 세계적으로 실질적 효과를 부여할 수단을 찾을 수 있기를 염원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협약에 포함된 것보다 더 상세한 협정을 체결할 필요성을 인정하며,
Considering, moreover,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forced labour from developing into conditions analogous to slavery,
더욱이 강제 노동이 노예 상태와 유사한 조건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하면서,
Have decided to conclude a Convention and have accordingly appointed as their Plenipotentiaries [ names omitted]
협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이름 생략]을 전권대표로 임명한다.
... have agreed as follows: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Article 1
제1조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Convention, the following definitions are agreed upon:
이 협약의 목적상 다음의 정의에 합의한다.
(1) Slavery is the status or condition of a person over whom any or all of the powers attaching to the right of ownership are exercised.
(1) 노예 상태는 어떤 사람에 대해서 소유권에 수반되는 권한의 일부 또는 전부가 행사되는 지위 또는 상태이다.
(2) The slave trade includes all acts involved in the capture, acquisition or disposal of a person with intent to reduce him to slavery; all acts involved in the acquisition of a slave with a view to selling or exchanging him; all acts of disposal by sale or exchange of a slave acquired with a view to being sold or exchanged, and, in general, every act of trade or transport in slaves.
(2) 노예 거래는 어떤 사람을 노예 상태로 격하시킬 의도로 사람을 포획, 취득 또는 처분하는 데에 관여하는 모든 행위, 판매 또는 교환을 목적으로 노예를 취득하는 데에 관여하는 모든 행위, 판매 또는 교환할 목적으로 취득한 노예를 판매 또는 교환을 통해 처분하는 모든 행위, 그리고 일반적으로 노예를 거래하거나 이송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Article 2
제2조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undertake, each in respect of the territories placed under its sovereignty, jurisdiction, protection, suzerainty or tutelage, so far as they have not already taken the necessary steps:
체약국은 각국의 주권, 관할권, 보호, 종주권 또는 후견 아래 있는 영역에 관하여 이미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한 다음을 약속한다.
(a) To prevent and suppress the slave trade;
(가) 노예 거래의 방지와 억제
(b) To bring about, progressively and as soon as possible, the complete abolition of slavery in all its forms.
(나) 모든 형태의 노예 상태의 완전한 폐지의 점진적 및 가능한 한 조속한 실현
Article 3
제3조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undertake to adopt all appropriate measures with a view to preventing and suppressing the embarkation, disembarkation and transport of slaves in their territorial waters and upon all vessels flying their respective flags.
체약국은 자국의 영해 및 자국의 국기를 게양한 모든 선박에서 노예의 승선, 하선 및 이송을 방지하고 억제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조치를 채택하기로 약속한다.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undertake to negotiate as soon as possible a general Convention with regard to the slave trade which will give them rights and impose upon them duties of the same nature as those provided for in the Convention of June 17th, 1925, relative to the International Trade in Arms (Articles 12, 20, 21, 22, 23, 24 and paragraphs 3, 4 and 5 of Section II of Annex II), with the necessary adaptations, it being understood that this general Convention will not place the ships (even of small tonnage) of any High Contracting Parties in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High Contracting Parties.
체약국은 국제 무기 거래에 관한 1925년 6월 17일 협약(제12조, 20조, 21조, 22조, 23조, 24조 및 부속서 II 제II부 제3항, 4항 및 5항)에 명시된 바와 동일한 성격의 권리를 부여하고 의무를 부과하는 노예 거래에 관한 일반 협약을 가능한 한 조속히 협상하기로 약속한다. 이때 이 일반 협약이 어떤 체약국의 선박(소형 선박 포함)도 다른 체약국의 선박과 다른 지위에 두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필요한 수정을 할 수 있다.
It is also understood that, before or after the coming into force of this general Convention,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are entirely free to conclude between themselves, without, however, derogating from the principles laid down in the preceding paragraph, such special agreements as, by reason of their peculiar situation, might appear to be suitable in order to bring about as soon as possible the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 slave trade.
또한 이 일반 협약의 발효 전 또는 발효 후 체약국은 전항에 명시된 원칙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자국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노예 거래의 완전한 소멸을 가능한 한 조속히 실현하기 위해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특별 협정을 서로 간에 체결할 완전한 자유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Article 4
제4조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shall give to one another every assistance with the object of securing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the slave trade.
체약국은 노예 상태와 노예 거래의 폐지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로에게 모든 지원을 제공한다.
Article 5
제5조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recognise that recourse to compulsory or forced labour may have grave consequences and undertake, each in respect of the territories placed under its sovereignty, jurisdiction, protection, suzerainty or tutelage, to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prevent compulsory or forced labour from developing into conditions analogous to slavery.
체약국은 의무 또는 강제 노동에 대한 의존이 중대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인식하고 각국의 주권, 관할권, 보호, 종주권 또는 후견 아래 있는 영역에 관하여 의무 또는 강제 노동이 노예 상태와 유사한 조건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하기로 약속한다.
It is agreed that:
다음의 내용을 합의한다.
(1) Subject to the transitional provisions laid down in paragraph (2) below, compulsory or forced labour may only be exacted for public purposes.
(1) 아래 (2)항에 명시된 경과 규정을 조건으로, 의무 또는 강제 노동은 공공의 목적을 위해서만 요구될 수 있다.
(2) In territories in which compulsory or forced labour for other than public purposes still survives,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shall endeavour progressively and as soon as possible to put an end to the practice. So long as such forced or compulsory labour exists, this labour shall invariably be of an exceptional character, shall always receive adequate remuneration, and shall not involve the removal of the labourers from their usual place of residence.
(2) 체약국은 공공의 목적 외의 다른 목적의 의무 또는 강제 노동이 여전히 존속하고 있는 영역에서 이러한 실행을 점진적으로, 그리고 가능한 한 조속히 종식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강제 또는 의무 노동이 존재하는 한, 이러한 노동은 항상 예외적인 성격의 것이어야 하며, 언제나 적절한 보수를 받아야 하고, 통상적인 거주지로부터 노동자의 이전을 수반해서는 안 된다.
(3) In all cases, the responsibility for any recourse to compulsory or forced labour shall rest with the competent central authorities of the territory concerned.
(3) 모든 경우에서 의무 또는 강제 노동에 의거하는 것에 대한 책임은 관계 영역의 권한 있는 중앙 당국에 있다.
Article 6
제6조
Those of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whose laws do not at present make adquate provision for the punishment of infractions of laws and regulations enacted with a view to giving effect to the purposes of the present Convention undertake to adopt the necessary measures in order that severe penalties may be imposed in respect of such infractions.
이 협약의 목적을 이행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과 규정에 대한 위반을 처벌하는 적정한 규정을 현시점에서 자국법에 두지 않은 체약국은 이러한 위반에 관하여 중한 벌이 부과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기로 약속한다.
Article 7
제7조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undertake to communicate to each other and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any laws and regulations which they may enact with a view to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present Convention.
체약국은 이 협약 규정의 적용을 위해 제정하는 모든 법률 및 규정을 상호 간 및 국제연맹 사무총장에게 통보하기로 약속한다.
Article 8
제8조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agree that disputes arising between them relating to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this Convention shall, if they cannot be settled by direct negotiation, be referred for decision to the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In case either or both of the States Parties to such a dispute should not be Parties to the Protocol of December 16th, 1920, relating to the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the dispute shall be referred, at the choice of the Parti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procedure of each State, either to the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or to a court of arbitration constitu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of October 18th, 1907, for the Pacific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or to some other court of arbitration.
체약국은 이 협약의 해석 또는 적용에 관하여 발생하는 체약국 간 분쟁이 직접 교섭을 통해 해결될 수 없는 경우 그 결정을 상설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하기로 합의한다. 이 분쟁의 당사국 일방 또는 쌍방이 상설국제사법재판소에 관한 1920년 12월 16일 의정서의 당사국이 아닐 경우, 그 분쟁은 당사국의 선택 및 각국의 헌법 절차에 따라 상설국제사법재판소 또는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1907년 10월 18일 협약에 따라 구성된 중재 법원 또는 그 밖의 중재 법원에 회부된다.
Article 9
제9조
At the time of signature or of ratification or of accession, any High Contracting Party may declare that its acceptance of the present Convention does not bind some or all of the territories placed under its sovereignty, jurisdiction, protection, suzerainty or tutelage in respect of all or any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it may subsequently accede separately on behalf of any one of them or in respect of any provision to which any one of them is not a Party.
서명 또는 비준 또는 가입 시, 체약국은 이 협약의 수락이 이 협약의 전부 또는 일부 규정에 관하여 자국의 주권, 관할권, 보호, 종주권 또는 후견 아래 있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속하지 않는다고 선언할 수 있으며 추후 이 중 어느 하나를 대표하여 또는 이 중 어느 하나가 당사자가 아닌 규정에 관하여 별도로 가입할 수 있다.
Article 10
제10조
In the event of a High Contracting Party wishing to denounce the present Convention, the denunciation shall be notified in writing to the Secretary-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who will at once communicate a certified true copy of the notification to all the other High Contracting Parties, informing them of the date on which it was received.
체약국이 이 협약을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 국제연맹 사무총장에게 서면으로 폐기를 통고하며, 사무총장은 즉시 다른 모든 체약국에 그 통고의 정본 인증등본을 통보하고 통지가 접수된 날짜를 통지한다.
The denunciation shall only have effect in regard to the notifying State, and one year after the notification has reached the Secretary-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폐기는 이를 통고한 국가에 대해서만 그 통고가 국제연맹 사무총장에게 접수된 날 후 1년이 지난 후 발효한다.
Denunciation may also be made separately in respect of any territory placed under its sovereignty, jurisdiction, protection, suzerainty or tutelage.
또한 폐기는 자국의 주권, 관할권, 보호, 종주권 또는 후견 아래 있는 영역에 관하여 별도로 행할 수도 있다.
Article 11
제11조
The present Convention, which will bear this day's date and of which the French and English texts are both authentic, will remain open for signature by the States Members of the League of Nations until April 1st, 1927.
현재 일자가 명시되고 프랑스어와 영어본이 모두 정본인 이 협약은 1927년 4월 1일까지 국제연맹 회원국이 서명할 수 있다.
The Secretary-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will subsequently bring the present Convention to the notice of States which have not signed it, including States which are not Members of the League of Nations, and invite them to accede thereto.
국제연맹 사무총장은 이후 국제연맹 회원이 아닌 국가를 포함하여 서명하지 않은 국가에 이 협약에 대해 통지하고 가입을 요청한다.
A State desiring to accede to the Convention shall notify its intention in writing to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and transmit to him the instrument of accession, which shall be deposited in the archives of the League.
이 협약에 가입하고자 하는 국가는 국제연맹 사무총장에게 그 의사를 서면으로 통지하고 가입서를 사무총장에게 송부한다. 가입서는 국제연맹 문서보존소에 기탁된다.
The Secretary-General shall immediately transmit to all the other High Contracting Parties a certified true copy of the notification and of the instrument of accession, informing them of the date on which he received them.
사무총장은 가입 통고 및 가입서의 정본 인증등본을 다른 모든 체약국에 즉시 전달하고 접수된 날짜를 통지한다.
Article 12
제12조
The present Convention will be ratified and the instruments of ratification shall be deposited in the office of the Secretary-General of the League of Nations. The Secretary-General will inform all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of such deposit.
이 협약은 비준 대상이며 비준서는 국제연맹 사무총장 사무실에 기탁된다. 사무총장은 모든 체약국에 이러한 기탁을 통지한다.
The Convention will come into operation for each State on the date of the deposit of its ratification or of its accession.
이 협약은 각 국가의 비준 또는 가입서가 기탁된 날 각국에 대하여 발효한다.
In faith where of the Plenipotentiaries signed the present Convention.
전권대표들은 신의로 이 협약에 서명했다.
Done at Geneva the twenty-fifth day of September, one thousand nine hundred and twenty-six, in one copy, which will be deposited in the archives of the League of Nations. A certified copy shall be forwarded to each signatory State.
1926년 9월 25일 제네바에서 작성된 이 협약의 등본 한 부는 국제연맹 문서보존소에 기탁된다. 인증등본은 각 서명국에 전달된다.
참고 정보 링크 서비스
• 일반 논평 / 권고 / 견해 |
---|
• 개인 통보 |
---|
• 최종 견해 |
---|